맨위로가기

혈관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관염은 혈관 벽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질환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2012년 채플 힐 합의 컨퍼런스 명명법에 따라 일차 전신 혈관염, 이차 혈관염, 단일 장기 혈관염으로 분류하며, 침범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대혈관, 중혈관, 소혈관, 가변 혈관 혈관염으로 세분화된다. 혈관염은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내며, 피부 증상, 혈관 막힘 또는 파열, 전신 염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단은 혈액 검사, 영상 검사, 생검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염증 억제와 면역 체계 조절에 중점을 둔다. 예후는 질환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다르며, 활동성 평가 지표와 손상 지표를 통해 평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혈관 질환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은 동맥 벽이 굳고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세동맥경화증, 묀케베르크 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나뉘며, 특히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 내 죽상판 형성으로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질환이다.
  • 혈관 질환 - 동맥류
    동맥류는 동맥벽 약화로 동맥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질환으로, 진성 동맥류와 가성 동맥류로 나뉘며, 크기, 위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파열 시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 후 수술 또는 혈관내 시술로 치료한다.
  • 류마티스내과 - 섬유근육통
    섬유근육통은 중추신경계의 통증 신호 처리 이상으로 발생하는 만성 전신 통증 질환으로, 만성적인 전신 통증, 피로, 수면 장애가 주요 증상이며, 삶의 질 저하를 초래한다.
  • 류마티스내과 - 관절염
    관절염은 관절에 염증이 생겨 통증, 부종, 강직 등을 유발하는 질환을 통칭하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수술적 치료 등으로 치료하며, 고령화 사회에서 유병률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염증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염증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혈관염
질병 개요
다른 이름혈관염 증후군
영어 이름Vasculitis
로마자 표기Hyeolgwan炎
관련 의학 분야류마티스학
면역학
증상 및 징후
일반적인 증상체중 감소
발열
근육통
피부 증상자색반점
기타 증상복통
합병증
원인
진단
치료
의약품
예후
빈도
사망률
국제 질병 분류 (ICD)
ICD-10I77.6
I80
L95
M30-M31
ICD-9446
447.6
MeSH
이미지
감염 관련 혈관염으로 인한 하지의 자반 및 점상 출혈.
혈관염을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

2. 분류

2012년 채플 힐 합의 컨퍼런스 명명법에서는 일차 전신 혈관염, 이차 혈관염, 단일 장기 혈관염을 가장 높은 분류 수준으로 구분한다.[32]

혈관염은 침범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가 많은데, 임상 증상, 혈액 검사, 병리(육아종 유무), 감염증, 종양 등에 따른 분류법도 알려져 있다.[41] 혈관 크기는 장기마다 다르며, 신장의 경우 신동맥은 대혈관, 궁상동맥은 중혈관, 세동맥과 사구체는 소혈관으로 분류한다.

2. 1. 대혈관 혈관염

원발 전신 혈관염은 주로 침범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분류되는데, 대혈관 혈관염, 중혈관 혈관염, 소혈관 혈관염 및 가변 혈관염이 포함된다.[32] 2012년 채플힐 합의 회의는 대혈관 혈관염(LVV)을 모든 크기의 동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다른 혈관염보다 대동맥과 주요 분지에 더 자주 영향을 미치는 혈관염의 한 유형으로 정의한다.[32] 다카야수 동맥염과 거대 세포 동맥염은 LVV의 두 가지 주요 형태이다.[33]

대혈관을 선택적으로 손상시키는 질환으로는 다카야수 동맥염(TA), 거대 세포 동맥염(GCA) 등이 있다. 코간 증후군에서는 모든 크기의 혈관에서 병변이 발생할 수 있지만, 대혈관염의 합병이 많다.[42]

2. 2. 중혈관 혈관염

중간 혈관 혈관염(MVV)은 주로 중간 크기의 동맥, 즉 내장과 그 분지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에 영향을 미치는 혈관염의 한 유형이다. 그러나 모든 크기의 동맥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32] 두 가지 주요 유형은 결절성 다발 동맥염(PAN)과 가와사키병(KD)이다.[33]

단일 장기 혈관염은 이전에는 "국소", "제한적", "고립적" 또는 "비전신성" 혈관염으로 알려졌으며, 하나의 장기 또는 장기 계통에 국한된 혈관염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혈관염의 예로는 위장관, 피부, 말초 신경 혈관염 등이 있다.[34]

혈관염 분류에는 임상 증상의 조합으로 분류하는 경우, 혈액 검사, 병리(육아종 유무), 감염증, 종양과 같은 병인에 따른 분류법도 알려져 있지만, 혈관염은 침범하는 혈관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는 점 때문에 손상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41] 혈관의 크기는 장기에 따라 다르며, 신장의 경우 신동맥 등은 대혈관, 궁상동맥은 중혈관, 세동맥, 사구체는 소혈관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중소 동맥을 손상시키는 것으로는 결절성 다발 동맥염(PAN), 가와사키병(KD), 중추 신경 제한성 혈관염(원발성 육아종성 중추 신경계 혈관염 PACNS) 등이 있다.

2. 3. 소혈관 혈관염

소혈관 혈관염(SVV)은 면역 복합체 SVV와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ANCA)-연관 혈관염(AAV)으로 나뉜다.[32]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ANCA)-연관 혈관염(AAV)은 주로 소혈관에 영향을 미치고 면역 침착물이 거의 또는 전혀 없는 MPO-ANCA 또는 PR3-ANCA와 관련된 괴사성 혈관염이다.[32]

혈관염의 분류에는 임상 증상의 조합으로 분류하는 경우, 혈액 검사, 병리 (육아종 유무), 감염증, 종양과 같은 병인에 따른 분류법도 알려져 있지만, 혈관염은 침범하는 혈관의 크기가 정해져 있다는 점 때문에 손상되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41] 혈관의 크기는 장기에 따라 다르며, 신장의 경우 신동맥 등은 대혈관, 궁상동맥은 중혈관, 세동맥, 사구체는 소혈관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

2. 3. 1. ANCA 연관 혈관염

호산구성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알레르기성 육아종성 혈관염, 처그-스트라우스 증후군; CSS),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GPA, 구칭 베게너 육아종증; WG), 현미경적 다발혈관염(MPA)이 있다.

2. 3. 2. 면역 복합체 매개 소혈관 혈관염

면역 복합체 소혈관 혈관염(SVV)은 주로 소혈관에 영향을 미치고 혈관벽에 중간 정도에서 상당한 면역글로불린 및 보체 성분 침착을 보이는 혈관염이다.[32] 항사구체 기저막 (항-GBM) 질환, 혼합형 냉글로불린혈증 혈관염 (CV), IgA 혈관염 (헤노흐-쇤라인 자반증) (IgAV), 정상 보체 혈증 두드러기 혈관염 (HUV) (항 C1q 혈관염) 등이 이에 속한다.[33] 이들은 소동맥, 소정맥 등 주로 소혈관의 혈관벽에 면역글로불린이나 보체 성분이 침착되는 특징을 보인다.

3. 증상

다양한 혈관염의 증상은 주로 영향을 받는 혈관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4] 비특이적인 증상으로는 발열, 두통, 피로, 근육통, 체중 감소, 관절통이 흔하게 나타난다.[5][6]

모든 형태의 혈관염은 피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가장 흔한 피부 증상은 자반증, 결절, 그물울혈, 피부 궤양, 자반성 두드러기이다.[7]

혈관염의 종류에 따른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혈관염의 종류에 따른 주요 증상
유형이름주요 증상
원발성 대혈관 혈관염[33]다카야수 동맥염맥박 약화 또는 소실, 혈관 잡음, 고혈압, 다카야수 망막병증, 대동맥판 폐쇄 부전.[8]
거대 세포 동맥염두통, 두피 압통, 턱 파행증, 실명.[9]
원발성 중혈관 혈관염[33]결절성 다발 동맥염다발성 단일 신경염, 결절, 자반, 그물울혈, 고혈압.[10]
가와사키병발열, 결막염, 발진, 손발바닥 홍반, 경부 림프절 병증, 점막 발진.[11][12]
원발성 소혈관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ANCA) 관련 혈관염[33]현미경적 다발 혈관염국소 분절성 급진전 사구체신염, 단백뇨, 객혈, 만져지는 자반, 복통, 말초 신경병증.[13]
육아종증가피 형성 비루, 부비동염, 만성 중이염, 코 막힘, 호흡 곤란, 만성 기침.[14][15]
호산구성 육아종증천식,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 코 폴립, 말초 신경병증, 폐 침윤, 복통.[16][17]
원발성 면역 복합체 소혈관 혈관염[33]항사구체 기저막 질환사구체신염, 폐 출혈, 혈뇨, 객혈, 기침, 호흡 곤란.[18]
혼합형 저단백혈증 혈관염만져지는 자반, 레이노 현상, 관절통, 말초 신경병증.[19]
IgA 혈관염만져지는 자반, 관절통, 복통, 신염, 혈뇨.[20]
저보체 혈증 두드러기성 혈관염두드러기, 관절통, 막 증식성 사구체신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21]
원발성 가변 혈관 혈관염[33]베체트병구강 궤양, 성기 궤양, 구진성 농포 병변, 포도막염, 표재성 정맥 혈전증 및 심부 정맥 혈전증.[22]
코간 증후군간질성 각막염, 눈의 충혈, 현기증, 이명.[23]
단일 장기 혈관염[24][33]피부 소혈관 혈관염만져지는 자반, 괴사, 궤양, 수포, 결절.[25]
피부 동맥염결절, 그물울혈, 궤양 및 괴저.[26]
원발성 중추 신경계 혈관염두통, 인지 장애, 뇌졸중, 뇌병증, 발작.[27]
망막 혈관염시력 장애, 비문증, 황반 부종.[28]
이차성 혈관염[33]루푸스 혈관염만져지는 자반, 점상출혈, 구진성 결절성 병변, 두드러기 병변, 다발성 단일 신경염.[29]
류마티스 혈관염자반, 국소적인 손가락 병변, 궤양, 손가락 괴사, 농피증, 원위부 감각 또는 운동 신경병증, 다발성 단일 신경염.[30]



혈관염을 의심할 수 있는 임상 소견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혈관이 막히는 경우: 복통, 그물울혈, 다발성 단일 신경염, 피부 괴사, 실명, 무맥, 근육통, 난소통, 고환통, 두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혈관이 파열되는 경우: 자반, 객혈, 동맥류, 하혈, 사구체신염(혈뇨)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전신에 염증이 있는 경우: 다장기 질환, 발열, 권태감, 체중 감소가 관찰되거나, 적혈구 침강 속도, C-반응 단백(CRP)과 같은 염증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다발성 단신경염은 혈관염 증후군의 40%에서 나타난다.[43] 대혈관염은 혈관이 크기 때문에 출혈, 허혈이 진행된 후에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피부 증상, 흉부 X선 사진, 소변 검사 등에서 이상 소견이 나타나기 어려워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원인 불명의 발열이 있는 젊은 여성은 다카야수 동맥염, 중년은 결절성 다발 동맥염(PAN), 고령자는 거대 세포 동맥염을 의심해 볼 수 있지만, 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 초음파 검사를 통한 혈류 평가나 MRA(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를 통한 혈관 평가생검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4. 원인

혈관염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감염은 일반적으로 더 광범위한 조직 손상의 구성 요소로서 혈관을 포함하지만, 면역 매개 2차 사건을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혈관염 증후군을 유발할 수도 있다. 단순한 혈관 혈전증은 보통 내강 과정에만 영향을 미치지만, 혈전 조직화 과정을 통해 때로는 더 만성적인 혈관염 증후군을 유발할 수도 있다. 자가면역 원인은, 특정 병태생리학적 징후와 증상을 생성하는 조절되지 않은 면역 반응이 특징인 특정 질병군으로, 더 흔하게 나타난다.[31]

5. 진단

활동성 혈관염 환자는 혈액 또는 체액 검사를 통해 염증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혈구 침강 속도(ESR) 증가, C-반응 단백질(CRP) 상승, 빈혈, 백혈구 증가증, 호산구 증가증 등이 나타난다. 또한,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ANCA) 수치 상승 및 혈뇨가 나타날 수 있다.[37]

다른 장기 기능 검사에서도 이상이 발견될 수 있으며, 뇌 SPECT 검사에서는 뇌로 가는 혈류 감소 및 뇌 손상이 확인될 수 있다.

혈관염의 확진은 피부, 부비동, 폐, 신경, , 신장 등 침범된 장기 또는 조직의 생검을 통해 이루어진다. 생검을 통해 혈관 염증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일부 유형의 혈관염에서는 백혈구 파괴가 나타나기도 한다. 백혈구 파괴는 주로 과민성 혈관염과 피부 소혈관 혈관염에서 관찰된다.[37]

생검 대신 혈관 조영술(혈관 X선 검사)을 시행하여 염증 패턴을 확인할 수도 있다.

18F-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전산화 단층 촬영(FDG-PET/CT)은 대혈관 혈관염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널리 사용되는 영상 도구이다.[38] FDG 혈관 섭취의 강도와 확장을 통해 질병의 임상 경과를 예측할 수 있다.[39]

소아나 유아에게서 혈관염과 유사한 증상이 급성으로 나타나는 경우, 심각한 감염과 관련된 생명을 위협하는 자색 반점성 발진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혈관염 증후군의 실험실 검사[40]
질병혈청 검사항원관련 실험실 특징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ANA (항dsDNA 및 ENA 항체 포함) [SM, Ro (SSA), La (SSB) 및 RNP 포함]핵 항원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쿰스 검사, 보체 활성화: C3 및 C4의 낮은 혈청 농도, 기질로 Crithidia luciliae를 사용하는 양성 면역 형광, 항인지질 항체 (항카디오리핀, 루푸스 항응고제, 위양성 VDRL)
굿패스쳐 증후군항사구체 기저막 항체IV형 콜라겐의 비콜라겐 도메인에 있는 에피토프
소혈관 혈관염
현미경적 다발혈관염과립 핵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미엘로과산화효소상승된 CRP
육아종증을 동반한 다발혈관염세포질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단백질 분해 효소 3 (PR3)상승된 CRP
호산구성 육아종증을 동반한 다발혈관염일부 경우 과립 핵 항중성구 세포질 항체미엘로과산화효소상승된 CRP 및 호산구 증가증
IgA 혈관염 (헤노흐-쇤라인 자반병)없음
냉글로불린혈증냉글로불린, 류마티스 인자, 보체 성분, C형 간염
중간 혈관 혈관염
고전적 결절성 다발 동맥염없음상승된 CRP 및 호산구 증가증
가와사키병없음상승된 CRP 및 ESR



위 표에서 ANA는 항핵 항체, CRP는 C-반응 단백질, ESR은 적혈구 침강 속도, ''ds''DNA는 이중 가닥 DNA, ENA는 추출 가능한 핵 항원, RNP는 리보핵단백질, VDRL은 성병 연구소를 의미한다.

혈관염의 임상 소견은 혈관 막힘, 혈관 파열, 전신 염증으로 요약할 수 있다. 혈관염과 유사한 질환으로는 동맥경화, 심장 점액종, 혈전증, 감염성 심내막염, 약물성 혈관 장애 등이 있다.


  • 전신 염증: 다장기 질환, 발열, 권태감, 체중 감소,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 단백질(CRP)과 같은 염증 소견이 관찰될 수 있다.


다발성 단신경염은 혈관염 증후군의 40%에서 나타난다.[43]

일부 질환은 항호중구세포질항체(ANCA) 관련 혈관염으로 불리며, 다음과 같은 항체가 검출될 수 있다.[41]

  • PR3-ANCA(C-ANCA):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
  • MPO-ANCA(P-ANCA): 현미경적 다발혈관염, 알레르기성 육아종증성 혈관염


ANCA 관련 3가지 질환 중 육아종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현미경적 다발혈관염뿐이다.[44]

대혈관염은 혈관이 크기 때문에 출혈, 허혈이 진행된 후에야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피부 증상, 흉부 X선 사진, 소변 검사 이상 등이 나타나기 어려워 주의가 필요하다. 원인 불명의 발열이 있는 젊은 여성은 다카야수 동맥염, 중년은 결절성 다발 동맥염, 고령자는 거대 세포 동맥염을 의심할 수 있다. 이러한 질환들은 검사를 통해서만 확인 가능한 경우가 많으므로, 초음파 검사를 통한 혈류 평가나 MRA(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를 통한 혈관 평가 후 생검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중요한 질환은 ANCA 관련 혈관염으로, 현미경적 다발혈관염(MPA), 차그-스트라우스 증후군(CSS),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GPA) 등이 있다.

ANCA 측정은 급성 또는 만성 신장 손상, 지속적인 단백뇨, 원인 불명의 폐 음영, 객혈, 자반, 다발성 단신경염, 비중격 천공 등이 나타날 때 시행한다. 혈청에서의 양성률은 CSS에서 50%, WG의 활동기에서 90%, MPA에서 70% 정도이므로, ANCA 음성이더라도 ANCA 관련 혈관염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신장 생검 등을 통한 면역 염색은 양성률을 약간 높일 수 있다.

그 외 질환으로는 자반의 피부 생검에서 IgA 침착이 확인되는 알레르기성 자반병, C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이 있는 혼합형 냉글로불린혈증, 호산구 증가증, 천식 병력, IgE 고치가 확인되는 CSS(생검에서 호산구 침윤, 육아종, 다발성 단신경염 등), 부비동염 생검에서 육아종이 확인되고 폐에 공동 병변이 확인되는 WG 등이 의심될 수 있다. 그 외에는 MPA(면역 복합체 음성 사구체 신염이나 간질성 폐렴, 생검에서 육아종을 보이지 않음)가 많은 경향이 있다.

6. 치료

일반적으로 혈관염 치료는 염증을 멈추고 면역계를 억제하는 데 중점을 둔다. 보통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프레드니손이 사용되며,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등 다른 면역억제제도 함께 고려된다. 감염이 있는 경우에는 세파렉신을 포함한 항균제가 처방될 수 있다. 심장이나 폐와 같이 혈관염에 영향을 받는 장기는 질병의 활성 단계에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특정 의학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45]

특히 중요한 질환은 항호중구세포질항체(ANCA) 관련 혈관염이다. 구체적으로 현미경적 다발혈관염(MPA), 차그-스트라우스 증후군(CSS), 다발혈관염성 육아종증(GPA)이 이에 해당한다. ANCA 관련 혈관염에서는 리툭시맙의 유용성이 보고되고 있다.[45]

참조

[1] 웹사이트 Vasculitis — Definition http://www.merriam-w[...] 2009-01-08
[2] 웹사이트 Glossary of dermatopathological terms. DermNet NZ http://dermnetnz.org[...] 2009-01-08
[3] 사전 Vasculitis
[4] 서적 Braun-Falco´s Dermatology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22
[5] 서적 Diagnosis and Treatment in Internal Medicin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8-08
[6] 학술지 The diagnosis of vasculitis 2009
[7] 학술지 Vasculitis—What Do We Have to Know? A Review of Literature 2018
[8] 학술지 Takayasu arteritis: a review BMJ Publishing Group 2024-03-14
[9] 학술지 Giant Cell Arteritis 2016-11-01
[10] 학술지 Polyarteritis Nodosa 2015
[11] 학술지 Kawasaki Disease 2013-04-01
[12] 학술지 Kawasaki Disease 2018-07-10
[13] 학술지 Microscopic Polyangiitis 2010
[14] 학술지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Wegener):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2014
[15] 학술지 Clinical manifestations of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key considerations and major features 2018-10-03
[16] 학술지 Eosinophilic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Churg–Strauss): state of the art 2013
[17] 학술지 Eosinophilic granulomatosis with polyangiitis: A review 2023
[18] 학술지 Anti–Glomerular Basement Membrane Disease: Recent Updates 2024
[19] 학술지 New insights in cryoglobulinemic vasculitis 2019
[20] 학술지 IgA vasculitis 2021
[21] 학술지 Urticarial vasculitis 2021
[22] 학술지 Behçet: the syndrome 2020-05-01
[23] 학술지 COGAN'S SYNDROME Romanian Society of Ophthalmology 2024-03-14
[24] 학술지 Localized Forms of Vasculitis 2021
[25] 학술지 Primary cutaneous small vessel vasculitis: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2006
[26] 학술지 Cutaneous Polyarteritis Nodosa: An Update Editorial Committee of Annals of Vascular Diseases 2012
[27] 학술지 Current and future advances in practice: a practical approach to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vasculitis 2023-08-26
[28] 학술지 Retinal Vasculitis 2005
[29] 학술지 Lupus Vasculitis: An Overview MDPI AG 2021-11-05
[30] 학술지 Rheumatoid Vasculitis: Vanishing Menace or Target for New Treatment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0-09-15
[31] 서적 Pathobiology of Human Disease Elsevier
[32] 학술지 2012 Revised International Chapel Hill Consensus Conference Nomenclature of Vasculitides Wiley 2012-12-27
[33] 학술지 Overview of the 2012 revised International Chapel Hill Consensus Conference nomenclature of vasculitide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3-09-27
[34] 학술지 Classification and classification criteria for vasculitis Ovid Technologies (Wolters Kluwer Health)
[35] 학술지 Diagnostic approach to patients with suspected vasculitis Oxford University Press (OUP) 2006-08-01
[36] 논문 How to diagnose and treat secondary forms of vasculitis Elsevier BV
[37] 웹사이트 Leukocytoclastic Vasculitis: Practice Essentials, Pathophysiology, Etiology https://emedicine.me[...] 2021-07-12
[38] 논문 Giant-Cell Arteritis and Polymyalgia Rheumatica 2014-10-23
[39] 논문 The prognostic value of baseline 18F-FDG PET/CT in steroid-naïve large-vessel vasculitis: introduction of volume-based parameters 2016
[40] 서적 Tietz Textbook of Clinical Chemistry and Molecular Diagnostics Saunders 2012
[41] 논문 循環器病の診断と治療に関するガイドライン(2006-2007年度合同研究班報告):ダイジェスト版:血管炎症候群の診療ガイドライン http://www.j-circ.or[...]
[42] 논문 Cogan症候群の血管炎 https://search.jamas[...] 医歯薬出版 2013-07
[43] 논문 こう原病: 難治性病態とその対応 I. こう原病の神経・血管病変とその対応 2. 血管炎症候群と多発性単神経炎 https://doi.org/10.2[...] 日本内科学会 1996
[44] 서적 最速!聖路加診断術
[45] 논문 Efficacy of remission-induction regimens for ANCA-associated vasculitis https://doi.org/10.1[...] Mass Medical Soc
[46] 웹인용 Vasculitis - Definition from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47] 웹인용 Glossary of dermatopathological terms. DermNet NZ http://dermnetnz.org[...]
[48] 웹인용 Vasculitis http://www.mercksour[...] 2009-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