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성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성가는 독립운동가 이관석의 아들로, 일제강점기 말 중국에서 활동하다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이다. 그는 육군 소장으로 예편 후 외교관과 제9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1960년 육군대학 총장으로 재직했으며, 1973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1975년 고혈압으로 사망했다. 2000년에는 전쟁기념관 8월의 호국인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최경록
    최경록은 일본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 논란이 있는 대한민국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4.19 혁명 당시 발포 명령을 막아 시민 희생을 줄였으며 육군참모총장, 주 멕시코 대사, 주 영국 대사, 교통부 장관, 국회의원, 주일대사, 재향군인회 회장을 역임했다.
  • 육군참모학교 동문 - 송호성
    송호성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하고 광복군에서 활동했으며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기여하여 초대 조선경비대 총사령관과 육군 총사령관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어 사망했다.
  • 육군참모학교 동문 - 이진용 (1920년)
    일제강점기 한국광복군으로 활동하고 대한민국 건국 후 군인으로 활동하며 제주 4·3 사건과 6.25 전쟁 등에 참전했으며 김창룡 저격 사건에 연루되기도 했던 이진용은 언론인, 기업인, 국회의원, 정당인으로도 활동했다.
  • 퉁화시 출신 - 위안자쥔
    위안자쥔은 항공우주공학 전문가 출신으로 중국 우주 기술 발전에 기여한 정치인이며 현재 충칭시 당서기이자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다.
  • 퉁화시 출신 - 김경란 (배우)
    김경란은 1955년 아역 연극배우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배우이며, 영화감독 남태권의 아내이다.
이성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성가
원래 이름李成佳
출생일1922년 10월 9일
사망일1975년 12월 1일
출생지중화민국 만주 지린성 퉁화시
사망지서울특별시
본관합천 이씨
묘소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2묘역 68호
한글 이름이성가
한자 이름李成佳
가타카나이 소은가
로마자 표기I Seong-ga
가족 사항
부모이관석(부), 강문식(모)
자녀슬하 1남 1녀
형제누나 3명, 형 1명, 누이동생 2명
학력
학력대한민국 국방대학원
군 경력
소속 조직화평건국군
국민혁명군
한국광복군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42년 ~ 1962년
최종 계급화평건국군 / 국민혁명군: 소령
대한민국 육군: 소장
근무대한민국 육군대학
대한민국 육군 제5군단
지휘대한민국 육군대학 부총장 겸 총장 직무대리
제5군단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여순 사건
한국 전쟁
서훈태극무공훈장
을지무공훈장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정치 경력
정당유신정우회
경력한국독립당 초급행정위원
외교관 경력
직책제5대 터키 주재 대한민국 대사
임기1966년 9월 22일 ~ 1971년 3월 16일
전임지연태
후임박찬현
기타 외교 경력주멕시코 대한민국 대사
주오스트리아 대한민국 대사
기타 정보
대통령박정희 대한민국 대통령
국무총리정일권 대한민국 국무총리
백두진 대한민국 국무총리
외무부 장관이동원 외무부 장관
김영주 외무부 장관 직무대행 서리
정일권 외무부 장관
최규하 외무부 장관
외무부 차관김영주 외무부 차관
진필식 외무부 차관
윤석헌 외무부 차관

2. 생애

이성가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이관석의 막내아들로 중화민국 만저우 지방 지린성 퉁화에서 태어났다. 난징에서 남경군관학교를 졸업하고,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중국 왕정위군에서 근무했다.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하여 여순 14연대 반란사건 진압에 공을 세웠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5·16 군사정변 이후 1962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했다. 예편 후에는 외교관, 제9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을 지냈다.

한국 전쟁에서 제8사단장 등 주요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북한군의 남침에 맞서 싸웠고, 여러 사단장 및 군단장 직책을 거치며 중요한 전투들을 이끌었다.

군에서 예편한 후, 멕시코, 온두라스, 파나마 공화국, 과테말라, 자메이카, 니카라과 공화국, 터키, 이란, 요르단, 오스트리아 등 여러 국가에서 대사를 역임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국회 체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군 경력

이성가는 1922년 만주 통화에서 독립운동가 이관석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1] 중화민국 난징에서 남경군관학교를 졸업했다.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중국 왕정위군 12군 인사참모 소교로 근무하였다.[1] 국민당 정부의 람의사 요원으로 활동하다가 1945년 국민혁명군 12군 소교로 귀순하였다.[1]

광복 후, 최용덕 장군의 광복군 북평잠편지대 참모(군사부장[2])로 활동하다가[3] 귀국하여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하였다. 1946년 1월 28일 군사 영어 학교를 졸업하고 육군 중위로 임관(군번 10037번)했다. 제1연대 창설에 참여하여 소대장, 대대장을 거쳐 1948년 5월 25일에 제1연대장에 임명되었다.

1948년 8월 14일, 제4연대장,[1] 같은 해 6월 11일, 제13연대장,[1] 1949년 8월 12일, 제16연대장,[1] 9월 28일, 태백산지구 전투사령관을 역임했다.

2. 2. 한국 전쟁 참전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제8사단장 이성가는 북한군 제5사단, 38도선 경비 제1여단, 동해안에 상륙한 제766부대 및 제549부대와 맞섰다(국경 개전). 전쟁 장기화를 예상한 이성가는 작전 지역 내 계엄령 선포, 군수 물자 소각, 군·경찰 가족과 공공 기관 후방 피난 등 장기전에 대비했다.[12]

6월 29일, 제8사단은 육군 본부의 후퇴 명령에 따라 제천으로 질서 있게 후퇴, 북한 제8사단(오백룡 소장)을 상대로 단양에서 5일간 저지 후 7월 11일 죽령으로 후퇴했다. 7월 17일까지 영주를 확보하며 저항했고, 7월 하순 제1군단 예하로 편입되었다.[12]

8월 1일 안동 철수 작전으로 해임되었으나, 기계·안강 전투에서 포항 지구 전투 사령관을 맡았다. 8월 24일 제8사단장으로 복귀, 영천 전투에 참여하고 9월 1일 준장으로 진급했다.[4]

1951년 3월 제9사단장, 4월 태백산 전투 사령관, 9월 1일 제7사단장을 역임했다. 1952년 육군 본부 전방 지휘소장, 제2훈련소장을 거쳐 8월 소장으로 진급했다.[12]

2000년 8월, 전쟁기념관은 이성가를 "8월의 호국인물"로 선정했다.[13][7]

2. 3. 한국 전쟁 이후 활동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제8사단장으로서 북한군 제5사단, 38도선 경비 제1여단, 제766부대, 제549부대의 공격에 맞섰다(국경 개전). 이성가는 전쟁이 장기화될 것으로 판단, 작전 지역 내 계엄령 선포, 군수 물자 소각, 군·경 가족 및 공공 기관 후방 피난, 차량 징발을 통한 기동력 확보 등 장기전에 대비했다. 이러한 조치는 다른 사단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12]

1950년 6월 29일, 제8사단은 육군 본부의 명령에 따라 제천으로 질서 있게 후퇴했다. 제천에 집결한 제8사단은 오백룡 소장의 북한 제8사단을 상대로 단양에서 5일 동안 저지했고, 7월 11일 죽령으로 후퇴했다. 이후 죽령~영주에서 끈질기게 저항하여 영주를 17일까지 확보했다. 7월 하순, 제8사단은 제1군단 예하로 배속되었다.[12]

1950년 8월 1일 안동 철수 작전으로 인해 해임되었으나, 기계·안강 전투에서 포항 지구 전투 사령관을 맡았다. 8월 24일, 제8사단장으로 복귀하여 영천 전투에 참여했고, 9월 1일 준장으로 진급했다.[4]

1951년 3월, 제9사단장을 맡았고, 4월에는 태백산 전투 사령관, 9월 1일에는 제7사단장을 역임했다. 1952년에는 육군 본부 전방 지휘소장, 제2훈련소장을 역임했으며, 8월에 소장으로 진급했다.[12]

1955년 11월, 제5관구 사령관, 1956년 2월 제1군단 부군단장, 9월 제3군단장, 1957년 7월 제5군단장을 역임했다. 1960년에는 국방대학원을 졸업하고, 6월 정보 참모 부차장, 10월 육군대학 총장을 지냈다.[12]

1962년 3월,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12]

2. 4. 사망

1975년 12월 1일, 자택에서 지병인 고혈압으로 사망했다.[12] 12월 5일에 국회장이 거행되었다.[6]

3. 학력

4. 경력

기간직책
1946년군사 영어 학교 졸업, 육군 중위 임관, 제1연대 B 중대 소대장
1946년 5월 25일 ~제1연대장
1948년 8월 14일 ~제4연대장
1948년 6월 11일 ~제13연대장
1949년 8월 12일 ~제16연대장
1949년 9월 28일 ~태백산지구 전투사령관
1950년 6월 10일 ~ 1950년 8월 1일제8사단장
1950년한국 전쟁 발발, 제1군단 참모장, 포항 지구 전투 사령관
1950년 8월 24일 ~제8사단장 복귀, 영천 전투 참전
1951년 3월제9사단장
1951년 4월태백산 전투 사령관
1951년 9월 1일 ~제7사단장
1952년육군 본부 전방 지휘소장, 제2훈련소장
1955년 11월제5관구 사령관
1956년 2월제1군단 부군단장
1956년 9월제3군단장
1957년 7월제5군단장
1960년국방대학원 졸업, 육군 정보 참모 부차장, 육군대학 총장
1962년 3월예비역 편입
1962년 5월 ~ 1964년멕시코 대사 겸 온두라스 공화국, 파나마 공화국, 과테말라, 자메이카, 니카라과 공화국 대사
1964년 10월외무부 대기 대사
1966년 8월 ~ 1971년주 터키 대사 겸 이란, 요르단 대사
1971년 ~ 1973년오스트리아 대사
1973년 ~ 1975년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국회 체신위원회 위원


5. 상훈

훈장수여 일자비고
태극무공훈장1953년 5월 20일
을지무공훈장2회 수여
충무무공훈장2회 수여
화랑무공훈장2회 수여
공로 훈장1951년 9월 25일[8]
은성 훈장1952년 10월 28일[9]
공로 훈장1953년 6월 9일[10]
멕시코 1등 수교 훈장
오스트리아 1등 수교 훈장


6.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3년총선유신정우회--당선초선


참조

[1] 뉴스 [6·25전쟁 60주년 특별기획] 白善燁이 만난 6·25전쟁의 영웅들 <下·끝> http://monthly.chosu[...] 2010-06-01
[2] 뉴스 (84)<제6화>창군전후(3) http://news.joins.co[...] 1971-02-17
[3] 논문 한국광복군 국내지대의 결성과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01-01
[4] 간행물 洛東江戦 防御作戦 http://chppm.chilgok[...] 漆谷護国平和祈念館
[5] 뉴스 이성가 의원 별세 https://www.joongang[...] 1975-12-01
[6] 뉴스 5일 국회장으로 이성가 의원 장례 https://www.joongang[...] 1975-12-02
[7] 뉴스 [8月の護国人物]李成佳陸軍少将 http://gangnam.joins[...] 2000-08-01
[8] 웹사이트 Jeung Il Lee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9] 웹사이트 Chung Il Lee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10] 웹사이트 Lee Song Ga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11] 웹사이트 [Why] 비가 오면 생각나는 그 권총 https://www.chosun.c[...] 2009-02-08
[12] 뉴스 유정회소속 이성가 의원 별세 http://newslibrary.n[...] 1975-12-01
[13] 뉴스 「8월의 호국인물」 이성가 육군소장 https://news.naver.c[...] 2000-07-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