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9보병사단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9보병사단은 1950년 10월 25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이다.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백마고지 전투에서 중공군을 상대로 승리하여 '백마부대'라는 별칭을 얻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대규모 작전을 수행하여 많은 전과를 올렸으며, 1979년 12·12 군사 반란에 연루되기도 했다. 현재는 28, 29, 30 보병여단, 포병여단 등을 예하에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은 1949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으며, 기계화 장비를 운용하는 대한민국 육군의 기계화보병사단이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사단 - 제11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은 1950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 참전 및 대간첩 작전을 수행했으며, 기계화보병사단으로 개편된 후 현재는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2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27보병사단 "이기자부대"는 1953년 창설되어 강원도 화천군 일대 수색 및 경계를 주 임무로 수행했으며,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101경비대대를 운영하기도 했으나, 2022년 국방개혁 2.0으로 해체되었다.
  •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대한민국)
    제7보병사단은 1946년 춘천에서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하고 영천 전투 등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현재는 화천군에 주둔하며 여러 예하 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9보병사단 (대한민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부대 이름제9보병사단
별칭백마부대
창설일1950년 10월 25일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육군
병과보병
종류사단
역할수색, 경계 등
현재 지휘 체계제1군단
주둔지경기도 고양시
표어상승백마
색상청색, 백색
군가백마가, 9사단가
마스코트백마
식별 기호파란색 배경에 흰색 말
지휘관
현재 사단장[[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김동호
주요 지휘관김종오 소장
노태우 소장
참전
주요 전투6.25 전쟁
현리 전투
매봉·한석산 전투
백마고지 전투
베트남 전쟁
홍길동 작전
훈장
훈장 내역대통령 부대표창 15회(전군 최다) 등
기타
제9보병사단 휘장
제9보병사단 휘장

2. 역사

대한민국 육군보병사단으로,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0월 25일 창설되었다. 창설 초기에는 지리산 공비 토벌 작전 등에 투입되었으며, 이후 동부전선에서 중국인민지원군과 교전하였다. 특히 1952년 철원 백마고지 전투에서 중공군 3개 사단의 공세를 막아내며 큰 전과를 올려 백마부대라는 별칭을 얻게 되었다.

1966년부터는 베트남 전쟁에 파병되어 1973년까지 닌호아 지역을 중심으로 다수의 작전을 수행하였다.

1979년 12·12 군사 쿠데타 당시에는 사단장이었던 노태우 소장이 하나회의 일원으로서 쿠데타에 가담하여, 예하 부대인 제29연대 병력을 서울로 출동시켜 전두환 중심의 신군부 세력이 정권을 장악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2. 1. 창설

제9보병사단은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0월 25일, 서울특별시 청계 국민학교에서 창설되었다. 충청도 출신 장병들을 중심으로 제28연대(대전), 제29연대(공주), 제30연대(청주)를 기간으로 편성되었으며, 창설과 함께 제3군단에 배속되었다.

창설 직후에는 대둔산 지구(전라북도 완주군)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지리산 일대에서 공비 토벌 작전을 전개하여, 적 사살 2,000여 명, 포로 250여 명의 전과를 올렸다. 1950년 11월 중순에는 大田|대전중국어 지역 및 경상북도 내륙 지역에서도 게릴라 토벌 임무를 수행했다.

1950년 12월 중순, 원주강릉으로 이동하여 동부전선의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다. 1951년 4월에는 한계령 부근까지 진출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1년 5월, 현리 전투에서 중국인민지원군의 5월 공세에 밀려 큰 타격을 입고 후퇴하였다. 이 전투의 여파로 5월 말 제3군단이 해체되면서, 제9사단은 미국 제10군단의 지휘 하에 들어가게 되었다.[9]

이후 1951년 8월, 작전 지역을 미국 제25보병사단에 인계하고 경기도 포천군 광현리로 이동하여 육군본부 직할 부대가 되었다. 같은 해 8월 13일부터 10월 6일까지는 제1야전훈련사령부에서 부대 정비와 교육 훈련을 받으며 전력을 재정비했다.

2.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 중인 1950년 10월 25일, 서울특별시 청계국민학교에서 충청도 출신 장병들을 중심으로 제28연대(대전), 제29연대(공주), 제30연대(청주)를 기간으로 하여 창설되었다. 처음에는 제3군단에 배속되었다.

창설 직후 대둔산 지구(전라북도 완주)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지리산 공비 토벌 작전에 투입되어 적 사살 2,000여 명, 포로 250여 명의 전과를 올렸다. 1950년 11월 중순에는 대전 지역 및 경상북도 내륙에서 게릴라 토벌에 종사했으며, 12월 중순에는 원주, 강릉으로 이동하여 동부전선의 방어를 담당했다. 같은 해 말, 38선 근처 설악산오대산의 산악 지형에서 작전을 수행하던 중 북한군 제2군단에 의해 고립되어 큰 피해를 입기도 했다.

1951년 4월에는 한계령 부근까지 진출했으나, 5월 중공군의 공세로 인해 벌어진 현리 전투에서 괴멸적인 타격을 받고 패주했다. 이 전투 이후 5월 말 제3군단이 해체되면서 제9사단은 미 제10군단의 지휘 하에 들어갔다.[9]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예하 30연대 3대대는 강원도 인제의 매봉산과 한석산에서 북한 인민군을 상대로 치열한 고지전을 벌여 승리하는 전공을 세웠다. 이 공로로 해당 대대 부사관과 병사들에게는 1계급 특진의 영예가 주어졌다.

1951년 8월, 작전 지역을 미 제25사단에 인계하고 경기도 포천 광현리로 이동하여 육군본부 직할 부대로서 10월 6일까지 부대 정비와 교육훈련을 실시했다. 10월에는 미 제1군단에 배속되었고, 11월에는 점령 중이던 281고지와 395고지를 놓고 적군과 교전을 벌였다.

1952년 4월 5일, 미 제9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10월 6일부터 15일까지 열흘간 강원도 철원 북서쪽의 395고지(현재의 백마고지)에서 중국인민지원군(중공군) 제38군 예하 3개 사단(약 1만 2천 명)과 백마고지 전투를 벌였다. 전투 전 포로가 된 북한군 장교가 공격 계획을 알려주면서 대비할 수 있었고, 많은 지원 부대의 도움도 있었지만 제9사단 장병들이 직접 중공군과 맞서 싸웠다. 이 전투에서 양측이 쏟아부은 포격으로 고지의 높이가 1m나 낮아질 정도로 격렬한 전투 끝에, 적 사살 13,000여 명이라는 큰 전과를 올리며 승리했다. 포격으로 하얗게 변한 고지의 모습이 마치 백마(白馬)가 누워있는 형상과 같다 하여 미군들이 'White Horse Hill'이라 불렀고, 이후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제9사단은 백마부대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이 전투의 공적으로 사단장 김종오 소장, 제28연대 11중대 정낙구 중위(당시 소위), 제29연대 9중대 김만수 상사 세 명에게는 미 육군 두 번째 고위 훈장인 수훈십자장(Distinguished Service Cross, DSC)이 수여되었다.[1]

백마고지 전투 이후 1952년 10월 26일부터 11월 15일까지 작전 지역을 미 제3사단에 인계하고 사창리로 이동하여 군단 예비로서 부대 정비와 교육훈련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제30연대는 제2사단에 배속되어 다른 격전에 참가하기도 했다. 11월에는 다시 격전 지역으로 이동하여 제2사단의 진지를 인계받았다.

1953년 1월 20일에는 제1야전포병단이 편입되어 제9사단 포병단이 창설되었다. 같은 해 6월에는 오성산 주변 고지로 공격해 온 중공군 제24군을 격퇴하고 주저항선을 성공적으로 지켜냈다. 휴전을 앞두고 북한군과 중공군이 휴전선을 조금이라도 더 남쪽으로 내리기 위해 대공세를 펼쳤으나, 백마부대는 당시 작전 지역이던 철원 금화지구의 모든 진지를 굳건히 지켜냄으로써 다시 한번 전투력을 과시하였다.

2. 3. 베트남 전쟁

1966년 8월 30일 부산항에서 1진이 출발하면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였다. 같은 해 9월 5일부터 10월 8일 사이에 베트남에 도착하여 닌화군의 1번 국도와 21번 국도 교차 지점에 주둔하였다.[2] 주월한국군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11] 제28연대는 투이호아 지역, 제29연대는 사단 본부가 있는 닌화 기지, 제30연대는 깜란만 본토 방어를 담당하였다.[2] 이 배치를 통해 사단은 투이호아에서 판랑 및 퀴년까지, 그리고 퀴년 북쪽 남부 빈딘성 산기슭까지 이어지는 1번 국도와 주요 도로 인근 지역을 통제할 수 있었다.[2]

사단은 베트남에서 다수의 작전을 수행하며 전과를 올렸다. 주요 작전은 다음과 같다.

사단 참여 주요 작전 및 전과 (한국군 발표 기준)
작전명기간지역참가 부대내용 및 전과
마두 1호 작전 | 1967년 1월 21일 ~ 2월 7일 | 푸옌성 | 제28연대 | 베트남 인민군(PAVN) 160명 사살, 무기 167점 확보[3]
백마 1호 작전 | 1967년 1월 29일 ~ 31일 | 칸호아성 | 제29연대, 제30연대 | 수색 및 파괴 작전. PAVN 390명 사살, 무기 302점 확보 (한국군 피해 없음)[4]
1967년 3월 8일 ~ 4월 18일 | 푸옌성 | 사단 3개 대대, 수도사단(맹호부대) 협력 | 주월 한국군 최초의 군단급 작전. 월맹군이 장악했던 투이호아-퀴논 간 1번 국도 복구 및 작전 주도권 확보.
* 전과 (출처 1): 적 사살 925명, 포로 425명, 귀순 297명
* 전과 (출처 2): 베트콩(VC) 831명 사살, 무기 659점 확보, 한국군 사상자 23명[5]
홍길동 작전 | 1967년 7월 9일 ~ 8월 21일 | 투이호아 | 사단 주력, 수도사단 협력 | 월맹군 제5사단 예하 95연대, 베트콩 85연대 및 게릴라 2개 중대 섬멸. PAVN 638명 사살, 승무원용 무기 98점, 개인용 무기 359점 확보, 한국군 사상자 26명.[6]
1968년 10월 시작 | - | - | 북베트남군 382명 사살, 북베트남군 제7대대 및 제18연대 무력화.
1969년 5월 | 타오산 | 제30연대 제2대대 | 북베트남군 제5사단 기지 수색. 북베트남군 155명 사살, 한국군 전사 3명, 부상 1명.



1973년 귀국 전까지 제9사단은 대규모 부대 작전 500여 회, 소규모 부대 전투 2만여 회를 치렀으며, 이 과정에서 적 사살 13,500명, 포로 700여 명, 귀순 800명, 각종 화기 7,000여 점 노획 등의 전과를 올렸다고 발표하였다.

2. 4. 12·12 군사 쿠데타

10·26 사태로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한 지 두 달이 채 되지 않은 1979년 12월 12일, 정치적 목적을 가진 군인들의 사조직인 하나회군사 쿠데타를 일으켰다. 당시 국군 보안사령관이었던 전두환 소장을 중심으로 하나회 회원들은 쿠데타를 주도했으며, 이 과정에서 공수특전여단 병력을 동원해 육본국방부를 장악했다.

이때 9사단장이었던 노태우 소장 역시 쿠데타에 가담하여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노태우는 상부의 정식 명령 없이 휴전선 인근의 주둔지를 이탈하여 9사단 29연대 병력을 서울 중앙청 앞으로 출동시켰다. 9사단의 이러한 병력 동원은 전두환의 정권 장악을 직접적으로 도운 행위였다.

3. 편성

수색정찰 중인 제9보병사단 장병들


혹한기훈련 중인 제9보병사단 장병들


강안 초소에서 경계임무 수행 중인 제9보병사단 장병들


전투훈련 중인 제9보병사단 병사들

  • '''사단본부'''[7][8]
  • '''제28보병여단''' (도깨비) - K808 장갑차 보유
  • '''제29보병여단''' (황금박쥐) - K808 장갑차 보유. 과거 제29보병연대 시절인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전두환대통령이 연대장으로 지휘한 바 있다.
  • '''제30보병여단''' (독수리) - K808 장갑차 보유
  • '''사단포병여단''' (백호) - K9 자주포 보유
  • * 제30야전포병대대
  • * 제51야전포병대대
  • * 제52야전포병대대
  • * 제966야전포병대대
  • '''직할대'''
  • * 본부근무대
  • * 공병대대
  • * 군사경찰대대
  • * 정비대대
  • * 수색대대
  • * 보급수송대대
  • * 의무근무대
  • * 전차대대 (기갑)
  • * 정보통신대대
  • * 화생방지원대대
  • * 토우중대
  • * 방공중대
  • * 보충중대

4. 역대 지휘관

성명임기출신학교·기수전직후직비고
한자/가타카나 표기원어 표기
1장도영장도영 (張都暎)1950.10.25 - 10.31[13]군사영어학교 1기육군본부 정보국 국장제6보병사단장
2김종오김종오 (金鐘五)1950.10.31 - 11.2[13]군사영어학교 1기제6사단장
3오덕준오덕준 (吳德俊)1950.11.2 - 12.30[13]예비사
군사영어학교 1기
제11사단장
4김종갑김종갑 (金鍾甲)1950.12.30 - 1951.3예비사
군사영어학교 1기
제1군단 참모장육군본부 방위국장
5이성가이성가 (李成佳)1951.3 - 4.27난징육군군관학교
군사영어학교 1기
제8사단장제7사단장
6최석최석 (崔錫)1951.4.27[14]군사영어학교 1기육본 전방지휘소장
7박병권박병권 (朴炳權)1951.8 - 1952.5군사영어학교 1기제2사단 부사단장제5사단장
8김종오김종오 (金鐘五)1952.5 - 1952.10군사영어학교 1기육본 인사국장육사 교장
9김점곤김점곤 (金點坤)1952.10 - 1953.1경비사관학교 1기제2군단 참모장육본 인사국장
10이한림이한림 (李翰林)1953.1 - 1954.5.1군사영어학교 1기휴전회담 한국 대표제6군단장
12백인엽백인엽 (白仁燁)1954.6 - 1955군사영어학교 1기제6사단장육본 정보참모부장
14심흥선심흥선 (沈興善)1956 - 1958경사 2기육군포병학교장육군병기기지사령관
16박영준박영준 (朴英俊)1960.7 - 1961.5.17중앙군관학교 17기예비역 편입
17윤태일윤태일 (尹泰日)1961.5.17[15] - 1964동덕대 3기
경사 특별 7기
제36사단장겸 서울시장
18이소동이소동 (李召東)1964.8.11[16] - 1967.7.20육사 2기[17]치안국장제6관구사령관
19박현식박현식 (朴賢植)1967.7.20 - 1968.7.22육사 5기제6사단장[18]육본 예비군참모부장[19]
20유창훈유창훈 (柳昌薰)1968.7.22 - 1969[20]육사 5기
21정규환정규환 (鄭奎煥)1969.11.5 - 1970.11.7육사 5기제6군단 부군단장[21]군 특별검열단장
22조천성조천성(曺千成)1970.11.7 - 1971.11.5육사 8기
23김영선김영선(金永先)1971.11.5[22] - 1974육사 7기제6군단 부군단장대간첩대책본부 차장
24신정수[23]신정수 (申正洙)1974 - 1977육사 8기민정군정감
25이광노이광노 (李光魯)1977 - 1979.1육사 10기대통령 경호실 작전처장 보좌관제1군 부사령관
26노태우노태우 (盧泰愚)1979.1 - 1979.12육사 11기대통령 경호실 작전차장 보좌관수도경비사령관하나회
27백운택백운택 (白雲澤)1979.12[24] - 1981육사 11기제71방어사단장육군정보사령관하나회
28정진태정진태 (鄭鎭泰)1981 - 1983육사 13기하나회
29고명승고명승 (高明昇)1983 - 1984육사 15기3군사령부 인사부장육본 인사참모부장
30이필섭이필섭 (李弼燮)1984 - 1986육사 16기29연대장제1군단장하나회
31김재창김재창 (金在昌)1986 - 1988[25]육사 18기28연대장합참본부 작전국장하나회
32안병호안병호 (安秉浩)1988 - 1990.10육사 20기육본 작전처장육본 인사참모부장[26]하나회
34전관전관 (全寬)1992 - 1994?육사 23기합참본부 전략기획본부 차장국방부 국방정보본부 3부장[27]
38이상태이 상태 (李商泰)1998 - 2000육사 27기
41정인구정인구 (鄭寅九)2003.10 - 2006육사 31기3군 화력처장[28]유도탄사령관[29]
42김춘수김춘수 (金春洙)2006[30] - 2008.4.4육사 33기합동참모본부 군수부장[31]연합사령부 군수참모부장[32]
43한동주한동주 (韓東柱)2008.4.4[33] - 2008.4.43사 14기제13특전여단장육군본부 정보화기획실장
44정태희정태희 (鄭泰熙)2010.6 - 2012.5.14육사 37기연합사령부 군수참모부장[34]
45김용우김용우 (金勇宇)2012.5.14 - 2013.4.29육사 39기국방부 정책기획차장합참본부 신연합방위체제추진단장[35]
46강천수강천수 (姜天洙)2013.4.29 -육사 41기서북도서방위사령부 화력소장
47황대일황대일 (黃大日)2016.4? - 2018.5육사 43기육사 생도대장제1군 참모장
48안병석안병석 (安炳錫)2018.5 - 2020.5육사 45기전투준비태세검열단 부단장육본 정보작전참모부장
49김동호김동호 (金東浩)2020.5 - 2021.12학군 28기육군학생군사학교 교육여단장육본 정보작전참모부장


참조

[1] 웹사이트 ROK Army and Marines prove to be rock-solid fighters and allies in Vietnam War http://www.talkingpr[...] 2006-07-12
[2] 서적 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3] 웹사이트 MACV Review of Events, February 1967 http://www.vietnam.t[...] 2010-04-13
[4] 웹사이트 MACV Review of Events, January 1967 http://www.vietnam.t[...] 2010-04-12
[5] 간행물 ROK Operations in Central Vietnam http://calldp.leaven[...] 2010-07-31
[6] 웹사이트 MACV Review of Events, July 1967 http://www.vietnam.t[...] 2010-04-12
[7] 웹사이트 한국형 스트라이커 여단의 핵심 장갑차 'K808' https://cm.asiae.co.[...] 2020-12-25
[8] 웹사이트 2019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군부대) 운영단체-교육시설 목록 https://www.mcst.go.[...] 2022-05-19
[9] 서적 若き将軍の朝鮮戦争 草思社
[10] 웹사이트 Chong O. Kim http://projects.mili[...] Military Times 2015-12-09
[10] 웹사이트 Nak Koo Chung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2-09
[10] 웹사이트 Man Su Kim http://valor.militar[...] Military Times 2015-12-09
[11] 서적 NAM 狂気の戦争の真実 Vietnam:1965-75 同朋舎
[12] 웹사이트 花郎同期会卒業/叙任50年史 https://webcache.goo[...] 陸軍士官学校第16期花郎同期会 2016-05-07
[13] 웹사이트 對非正規戰史(1945~1960) http://www.imhc.mil.[...] 韓国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8-09-23
[14] 웹사이트 6・25戦争史 第8巻 http://www.imhc.mil.[...] 国防部軍事編纂研究所 2016-09-06
[15] 웹사이트 修道院の張勉 http://www.chogabje.[...] 趙甲済ドットコム 2016-06-08
[16] 웹사이트 李召東 http://dnc.go.kr/_pr[...] 国立大田顕忠院 2015-12-15
[17] 웹사이트 李召東将軍死去 http://www.starflag.[...] 大韓民国星友会 2016-05-07
[18] 뉴스 白馬部隊長に朴賢植少将(''백마 부대장에 박현식 소령'') http://news.joins.co[...] 2015-12-15
[19] 뉴스 <キム・ジンウの苗字の話>錦江流域土姓・入鄕性氏 13)淸州楊氏⑥(''<김진우의 성씨이야기> 금강유역 토성(土姓)·입향성씨(入鄕性氏) 13) 청주양씨(淸州楊氏) ⑥'') http://m.ggilbo.com/[...] 2016-06-08
[20] 뉴스 蔡命新回顧録'ベトナム戦争と私' http://www.jangro.kr[...] 2015-12-15
[21] 뉴스 政府人事(“정부인사”) https://m.mk.co.kr/a[...] 2024-10-02
[22] 웹사이트 ベトナム参戦有功者フォーラム http://www.vwm.co.kr[...]
[23] 뉴스 【民主党全大あれこれ】「韓国のケインズ - 包青天」歓声 http://news.donga.co[...] 2016-08-04
[24] 뉴스 新軍部の実際の軍事力掌握過程(''신군부의 실제 군권 장악 과정'') http://imnews.imbc.c[...] 2016-05-27
[25] 웹사이트 国防情報化法制度の発展討論会 https://webcache.goo[...]
[26] 웹사이트 [集中点検]金泳三政府のハナフェ解体 20年の明暗(''[집중점검]김영삼 정부의 하나회 해체 20년의 明暗'') http://monthly.chosu[...] 月刊朝鮮 2013-04-10
[27] 웹사이트 候補者情報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6-05-27
[28] 뉴스 師団長様の自家用車は12年前の小型車(''사단장님 자가용은 12년된 소형차'') http://news.donga.co[...] 2016-05-07
[29] 웹사이트 「軍、射程1千㎞以上の巡行ミサイルの確保」 http://blog.ohmynews[...]
[30] 뉴스 キム・チュンス9師団長 水害復旧支援(''김춘수 9사단장 수해복구 지원'') http://www.kyeongin.[...] 2016-05-07
[31] 뉴스 オンドル火教総信徒会 新会長キム・テヨン中将(''군불교총신도회 새 회장 김태영 중장'') http://news.buddhapi[...] 2016-05-07
[32] 웹사이트 オンドル火総 主な業務(11〜12月)(''군불총 주요업무(11~12월)'') http://www.gunbuddha[...] 国軍仏教総信徒会 2016-05-07
[33] 웹사이트 友達ハン・ドンジュ少将進級...白馬部隊師団長に...お祝いのお祝い(''친구 한동주 소장진급...백마부대 사단장으로...축하축하'') http://cafe.daum.net[...] 白馬戦友会 2016-05-07
[34] 뉴스 軍主教区、曹渓宗総務院長 慈乗和尚 新年祝賀会(''군종교구,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 신년하례'') http://www.buddhismj[...] 2016-05-07
[35] 뉴스 TKが軍隊も掌握?...「師団長進出者の半分がTK」(''TK가 군대도 장악?...'사단장 진출자 절반이 TK' '') http://amn.kr/sub_re[...] 2016-05-07
[36] 뉴스 [빈터 된 군부대] ① 1사단·9사단·25사단 신교대도 문 닫았다 https://www.yna.co.k[...] 2024-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