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존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존수는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좌의정에까지 올랐으며, 사헌부 대사헌, 이조판서, 형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역임했다. 1772년에 태어나 1829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문익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생애

이존수는 1772년(영조 48) 이문원(李文源)과 청송 심씨(靑松 沈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군수를 지낸 이주신(李舟臣)이고,[6]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천보(李天輔)이며,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문원이다.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황해도관찰사, 이조참의,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이후 승지, 선혜청당상, 좌부빈객, 의정부좌참찬, 한성부판윤, 사헌부대사헌, 이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등을 지냈다. 또한 빈전 제조, 빈궁제조, 빈궁당상, 직제학, 예문관제학, 우빈객, 병조판서, 판의금부사, 함경도관찰사, 홍문관제학, 의정부우의정, 서사관, 판부사를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명문가 출신으로 유배 한 번 없이 순탄하게 벼슬길을 걸었다.[1]

2. 1. 가계와 초기 생애

이존수는 1772년(영조 48) 아버지 이문원(李文源)과 어머니 청송 심씨(靑松 沈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증조부는 군수를 지낸 이주신(李舟臣)이고,[6] 할아버지는 영의정을 지낸 이천보(李天輔)이다.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낸 이문원이다.

이존수의 가계는 조선 후기의 명문가 중 하나였다. 그의 가계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이중조(李重朝)증좌찬성
증조부이주신(李舟臣, 1674년 ~ ?)군수[6]
증조모광산(光山) 김씨(金氏)김만기(金萬基)의 따님
조부이천보(李天輔, 1698년 ~ 1761년)문과 급제, 영의정, 시호 문간(文簡)
조모은진(恩津) 송씨(宋氏)송상유(宋相維)의 따님
이문원(李文源, 1740년 ~ 1794년)문과 급제, 이조판서, 시호 익헌(翼憲)
청송(靑松) 심씨(沈氏)심수(沈鏽, 1707년 ~ 1776년)의 따님
큰형이유수(李有秀, 1765년 ~ ?)생원
작은형이재수(李在秀, 1770년 ~ 1822년)문과 급제, 참판
작은형수해주(海州) 오씨(吳氏)오재소(吳載紹, 1739년 ~ 1811년)의 따님
조카이긍우(李肯愚, 1802년 ~ ?)문과 급제, 승지
조카며느리안동(安東) 김씨(金氏)김조순(金祖淳, 1765년 ~ 1832년) 따님, 시호 충문(忠文)
본인이존수(李存秀, 1772년 ~ 1829년)문과 급제, 좌의정, 시호 문익(文翼)
아내반남(潘南) 박씨(朴氏)현감 박홍수(朴弘壽)의 따님
장자이노우(李魯愚)
손자이오익(李五翼, 1769년 ~ ?)[7]
장녀연안(延安) 이씨(李氏)사위 형조판서 김영순(金英淳, 1798년 ~ ?)
서자이경우(李慶愚)
서녀1연안 이씨사위 현감 안계량(安季良)
서녀2연안 이씨사위 주부 김병원(金炳阮)
서녀3연안 이씨사위 정택선(鄭澤善)
남동생1이우수(李友秀, 1776년 ~ ?)문과 급제, 형조참판
남동생2이규수(李奎秀, 1779년 ~ ?)진사
여동생연안 이씨매제 조득영(趙得永, 1762년 ~ 1824년), 문과 급제, 형조판서, 시호 문충(文忠)
고모1연안 이씨고모부 조경(趙璥), 문과 급제, 우의정, 시호 충정(忠定)
고모2연안 이씨고모부 오재순(吳載純, 1727년 ~ 1792년), 문과 급제, 이조판서, 시호 문정(文靖)
고모3연안 이씨고모부 서유방(徐有防, 1741년 ~ 1798년), 문과 급제, 이조판서, 시호 효간(孝簡)


2. 2. 관직 생활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황해도관찰사, 이조참의,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승지, 선혜청당상, 좌부빈객, 의정부좌참찬, 한성부판윤, 사헌부대사헌, 이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빈전 제조, 빈궁제조, 빈궁당상, 직제학, 예문관제학, 우빈객, 병조판서, 판의금부사, 함경도관찰사, 홍문관제학, 의정부우의정, 서사관, 판부사, 좌의정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명문 출신으로 유배 한 번 없이 벼슬길이 순탄했다.[1]

2. 2. 1. 정조 시대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대교, 겸설서, 기사관, 각신을 거쳤다. 이후 대교, 수찬, 의정부검상, 직각, 대축, 원임직각, 황해도관찰사, 이조참의,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검교직제학, 경상도관찰사, 승지, 선혜청당상, 좌부빈객, 의정부좌참찬, 한성부판윤, 사헌부대사헌, 이조판서, 좌부빈객,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빈전 제조, 빈궁제조, 빈궁당상, 직제학, 예문관제학, 우빈객, 병조판서, 판의금부사, 함경도관찰사, 홍문관제학, 의정부우의정, 서사관, 판부사, 좌의정 등의 벼슬을 지냈다. 명문 출신으로 유배 한 번 없이 벼슬길이 순탄했다.

2. 2. 2. 순조 시대

정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대교, 겸설서, 기사관, 각신을 거쳤다. 이후 대교, 수찬, 의정부검상, 직각, 대축, 원임직각, 황해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이조참의, 홍문관부제학, 이조참판, 전라도관찰사, 검교직제학, 경상도관찰사, 승지, 선혜청당상, 좌부빈객, 의정부좌참찬, 한성부판윤, 사헌부대사헌, 이조판서, 형조판서, 공조판서, 예조판서, 호조판서, 빈전 제조, 빈궁제조, 빈궁당상, 직제학, 예문관제학, 우빈객, 병조판서, 판의금부사, 함경도관찰사, 홍문관제학, 의정부우의정, 서사관, 판부사를 거쳐 좌의정에 이르렀다. 명문 출신으로 유배 한 번 없이 순탄하게 벼슬길을 걸었다.

3. 경력

연도품계관직
1790년(정조 14년)생원, 진사 합격[2]
1794년(정조 18년)문과 과거시험 급제[3]
1794년(정조 18년)규장각 대교 겸 홍문관 정자
1799년(정조 23년)정9품예문관 검열
1802년(순조 2년)정5품의정부 검상
1803년(순조 3년)종2품황해도 관찰사
1807년(순조 7년)정3품이조 참의
1810년(순조 10년)종2품이조 참판
1812년(순조 12년)종2품경기도 관찰사
1814년(순조 14년)종2품경상도 관찰사
1818년(순조 18년)정2품의정부 좌참찬
1818년(순조 18년)정2품형조 판서
1820년(순조 20년)정2품이조 판서
1824년(순조 24년)종1품판의금부사
1827년(순조 27년)정1품의정부우의정
1829년(순조 29년)정1품의정부좌의정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고조부이중조(李重朝)증좌찬성
증조부이주신(李舟臣, 1674년 ~ ?)군수[6]
증조모광산 김씨(光山 金氏)김만기의 따님
조부이천보(1698년 ~ 1761년)문과 급제, 영의정, 시호 문간(文簡)
조모은진 송씨(恩津 宋氏)송상유(宋相維)의 따님
이문원(李文源, 1740년 ~ 1794년)문과 급제, 이조판서, 시호 익헌(翼憲)
청송 심씨(靑松 沈氏)심수(沈鏽, 1707년 ~ 1776년)의 따님
큰형이유수(李有秀, 1765년 ~ ?)생원
작은형이재수(李在秀, 1770년 ~ 1822년)문과 급제, 참판
작은형수해주 오씨(海州 吳氏)오재소(吳載紹, 1739년 ~ 1811년)의 따님
조카이긍우(李肯愚, 1802년 ~ ?)문과 급제, 승지
조카며느리안동 김씨(安東 金氏)영안부원군 김조순(1765년 ~ 1832년) 따님, 시호 충문(忠文)
본인이존수(李存秀, 1772년 ~ 1829년)문과 급제, 좌의정, 시호 문익(文翼)
아내반남 박씨(潘南 朴氏)현감 박홍수(朴弘壽)의 따님
장자이노우(李魯愚)
손자이오익(李五翼, 1769년 ~ ?)[7]
장녀연안 이씨(延安 李氏)사위 형조판서 김영순(金英淳, 1798년 ~ ?)
서자이경우(李慶愚)
서녀1연안 이씨사위 현감 안계량(安季良)
서녀2연안 이씨사위 주부 김병원(金炳阮)
서녀3연안 이씨사위 정택선(鄭澤善)
남동생1이우수(李友秀, 1776년 ~ ?)문과 급제, 형조참판
남동생2이규수(李奎秀, 1779년 ~ ?)진사
여동생연안 이씨매제 조득영(1762년 ~ 1824년), 문과 급제, 형조판서, 시호 문충(文忠)
고모1연안 이씨고모부1 조경(1727년 ~ ?), 문과 급제, 우의정, 시호 충정(忠定)
고모2연안 이씨고모부2 오재순(1727년 ~ 1792년), 문과 급제, 이조판서, 시호 문정(文靖)
고모3연안 이씨고모부3 서유방(1741년 ~ 1798년), 문과 급제, 이조판서, 시호 효간(孝簡)


참조

[1] 문서 자를 성로(聖老)라고 소개하는 자료
[2] 서적 숭정삼경술증광사마방목(崇禎三庚戌增廣司馬榜目)
[3] 서적 국조방목(國朝榜目)
[4] 문서 행장(行狀)
[5] 서적 조선왕조실록
[6] 문서 양자이다. 생부는 이성조(李成朝, 1648년 ~ 1696년).
[7] 문서 양자이다. 생부는 이시우(李時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