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토선은 일본의 철도 노선으로, 아타미역이토역을 잇는다. 1935년에 아타미~아지로 구간이 개통되었고, 1938년에는 이토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초기에는 도카이도 본선의 지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자금 문제와 지형적 어려움으로 인해 노선 건설이 지연되었다. 현재는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도카이도 본선 및 이즈 급행선과 직결 운행한다. 주요 운행 열차로는 특급 오도리코, 보통 열차가 있으며, E231계, E233계, 이즈 급행 2100계 등의 다양한 차량이 투입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토선 - 아타미역
    아타미역은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 위치한 JR 동일본과 JR 도카이의 철도역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이토선이 지나가는 교통의 요지이자 아타미 온천 관광의 관문이다.
  • 이토선 - 이토역
    이토역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에 위치하며 JR 동일본 이토선과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1938년 영업을 시작하여 주변 관광지와 연계되어 있다.
  • 193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모스크바 지하철
    모스크바 지하철은 1935년 개통되어 현재 15개 노선, 263개 역, 총 연장 449km에 달하며, 하루 평균 약 700만 명이 이용하는 세계적인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 양식의 화려한 역들과 현대적인 역들이 공존한다.
  • 193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니치난선
    니치난선은 규슈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미나미미야자키역부터 시부시역을 잇고, 미야자키현영철도 오비선과 미야자키 철도를 국유화한 유메선을 기원으로 하며, 미야자키 공항선 직결 운행, 관광 특급 '우미사치야마사치' 운행, 잦은 폭우 피해, 일부 구간 IC 카드 'SUGOCA' 사용 가능 등의 특징이 있다.
  • 시즈오카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시즈오카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토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JR 이토 선 노선도
JR 이토 선 노선도
종류일반 철도 (재래선, 간선)
기점아타미역
종점이토역
역 수6개 역
노선 기호JT
전보 약호이토세
개업1935년 3월 30일
전체 개통1938년 12월 15일
소유자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운영자동일본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JR 화물)
노선 길이16.9 km
궤간1,067 mm (협궤)
선로 수복선 (아타미역 - 기노미야역 간)
단선 (상기 구간 외)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최대 기울기25‰
최소 곡선 반지름240 m
보안 장치ATS-P
최고 속도95 km/h
명칭
한국어이토 선
일본어伊東線 (いとうせん)
로마자 표기Itō-sen
운행 정보
운영 회사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
사용 차량사용 차량 정보를 참조하십시오.
통칭우에노 도쿄 라인 (우쓰노미야 선, 다카사키 선 직통 열차만 해당)
기타
이토 선에 운행하는 특급
이토 선에 운행하는 특급 "사피르 오도리코" (2022년 8월 이토역)

2. 역사

1935년 3월 30일: 아타미 ~ 아지로 구간이 개통.[9]

1938년 12월 15일: 아지로 ~ 이토 구간이 개통.[9]

1968년 9월 9일: 아타미 ~ 기노미야 구간을 복선화.[9]

1987년 4월 1일: 동일본 여객철도에 이관.[9]

초기 계획은 일본국유철도(JNR)가 지선을 건설하여 도카이도 본선의 아타미와 시모다를 연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 시기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총리대신의 엄격한 재정 정책과 여러 기술적 문제로 인해 자금 지원이 제한되었다. 이토선의 예상 경로는 이즈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산악 지형을 지나야 했기에 수많은 터널과 교량이 필요했다. 아지로/우사미}} 근처에서 터널을 굴착하던 작업자들은 지하 온천 문제에 직면했는데, 이는 당초 계획보다 수년 늦게, 예산을 훨씬 초과하여 완공된 탄나 터널 건설 당시 겪었던 문제와 유사했다.

1935년 3월 30일, 아타미와 까지의 두 번째 구간(8.3km)은 1938년 12월 15일에 개통되었다. 두 구간 모두 개통 당시 1,500V DC로 전철화되었다. 이후 추가 공사는 지연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취소되었다.

1958년에 CTC 신호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1968년에는 아타미~키노미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원래 이 노선 전체는 복선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터널 건설을 포함하여 이를 위한 토목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1.2km 구간만이 복선화되었다.

이토 남쪽 구간 건설은 1961년에 재개되었는데, 이때 민간 기업 도큐 전철이 시모다까지 노선을 완공할 권리를 획득하고 이 구간의 건설 및 운영을 관리하기 위해 이즈큐 코퍼레이션을 설립했다.

개정 철도 부설법별표 제61호에 규정된 "시즈오카현 아타미에서 시모다, 마쓰자키를 경유하여 오히토에 이르는 철도"의 일부이다. 원래는 아타미역과 시모다 정(현: 시모다시) 사이를 복선으로 연결할 계획이었지만, 하마구치 오사치의 긴축 재정 정책으로 인해 아타미역 - 이토역 간만 단선으로 건설하게 되었다. 이즈반도 특유의 해안에 산이 닥쳐오는 험준한 지세, 단층·연약 지층 등으로 개통에는 어려움을 겪었다(우사미 터널 굴착 시의 온천 용출 등은 동시기의 시미즈, 탄나 터널 등에 최신 굴착 기술이 피드백되었다).

1938년(쇼와 13년)에 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이 전선 전철화로 개통했다. 관광 노선으로 전 구간 개통되자마자 도쿄역에서 직통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61년(쇼와 36년)에는 이토역 - 이즈큐 시모다역 간을 잇는 이즈 급행선이 개업하여, 동 노선과의 직통 운전도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이토역에 타마치 전차구 이토 지구가 있었고, 동 역에서 증해결을 실시했다. 2003년(헤이세이 15년)에 오노다선에서 마지막 운용이 종료된 쿠모하42001도 1950년대에 이토선에서 운용된 적이 있다.

국철 시대부터 복선화 계획이 있었지만, 아타미역 - 키미야 간의 선증설(복선화), 신코야마 터널, 신우사미 터널 건설, 선로 전환, 아지로 - 우사미 간의 노반 개량 공사만 실시한 상태에서 동결되었다. 재정비하여 사용할 계획이었던 구 우사미 터널 등은 방치되었다. 지역에서 복선화 구상이 오랫동안 지속되었지만, 2003년(헤이세이 15년)에 이토 복선화 기성 동맹회는 해산했다[8]


  • 1935년 (쇼와 10년) 3월 30일: 아타미역 - 아지로역 구간 (8.7 km) 이 개통. 키노미야역・이즈타가역아지로역이 개업.
  • 1938년 (쇼와 13년) 12월 15일: 아지로역 - 이토역 구간 (8.2 km) 이 연장 개통되어 전 구간 개통. 우사미역・이토역이 개업.
  • 1958년 (쇼와 33년)
  • * 5월 11일: 키노미야역 - 이토역 구간에서 열차 집중 제어 장치 (CTC) 의 시험 운용을 시작[9]
  • * 5월 20일: 키노미야역 - 이토역 구간에서 CTC의 본 운용을 시작。
  • 1961년 (쇼와 36년) 12월 10일: 이즈 급행선 개통에 따라, 동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
  • 1968년 (쇼와 43년) 9월 9일: 아타미역 - 키노미야역 간의 도카이도 본선이 신선으로 이설됨에 따라, 구선 (복선)이 이토선 전용이 됨.
  • 1984년 (쇼와 59년) 2월 1일: 전 노선의 화물 영업 폐지.
  • 1985년 (쇼와 60년) 2월 25일: 노후화된 CTC 장치를 교체하여 사용 시작.
  • 1987년 (쇼와 62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 (JR 동일본)가 계승. JR 화물이 전 노선의 제2종 철도 사업자가 됨 (전 노선의 화물 영업 재개. 단, 이즈 급행으로의 차량 반출입 시에 한함).
  • 1996년 (헤이세이 8년) 10월 1일: 요코하마 지사의 발족에 따라, 전 노선의 관할이 기존의 도쿄 지역 본사 (현재의 도쿄 지사)에서 요코하마 지사로 변경됨.
  • 2004년 (헤이세이 16년) 11월 하순: ATS-S에서 ATS-P로 갱신.
  • 2013년 (헤이세이 25년) 8월 19일: 아타미역・이토역에서, 시발 열차에 대해 반자동 문의 연중 운용을 시작[10]
  • 2015년 (헤이세이 27년) 3월 8일: 아타미역과 이토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무인화. 무인역화에 맞춰 "역 원격 조작 시스템" 도입.

2. 1. 초기 계획 및 건설

초기 계획은 일본국유철도(JNR)가 도카이도 본선아타미와 시모다를 연결하는 지선을 건설하는 것이었다.[9]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 시기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총리대신의 엄격한 재정 정책과 여러 기술적 문제로 인해 자금 지원이 제한되었다. 이토선의 예상 경로는 이즈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산악 지형을 지나야 했기에 수많은 터널과 교량이 필요했다. 아지로/우사미}} 근처에서 터널을 굴착하던 작업자들은 지하 온천 문제에 직면했는데, 이는 당초 계획보다 수년 늦게, 예산을 훨씬 초과하여 완공된 탄나 터널 건설 당시 겪었던 문제와 유사했다.

1935년 3월 30일, 아타미와 까지의 두 번째 구간(8.3km)이 개통되었다.[9] 우사미역이토역이 개업하였다. 두 구간 모두 개통 당시 1,500V DC로 전철화되었다. 이후 추가 공사는 지연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취소되었다.

1958년에는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도입되었고[9], 1968년 9월 9일에는 아타미~키노미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원래 이 노선 전체는 복선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터널 건설을 포함하여 이를 위한 토목 공사가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1.2km 구간만이 복선화되었다.

이토 남쪽 구간 건설은 1961년에 재개되었는데, 이때 민간 기업 도큐 전철이 시모다까지 노선을 완공할 권리를 획득하고 이 구간의 건설 및 운영을 관리하기 위해 이즈큐 코퍼레이션을 설립했다. 1961년 12월 10일에는 이즈 급행선 개통에 따라, 동 노선과의 직통 운전을 시작하였다.

2. 2. 개통 및 확장

1935년 3월 30일, 일본국유철도(JNR)는 도카이도 본선의 아타미와 시모다를 연결하는 지선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아타미 ~ 아지로 구간(8.7km)을 개통하고, 키노미야역, 이즈타가역을 개업하였다.[9] 1938년 12월 15일에는 아지로 ~ 이토 구간(8.2km)이 추가로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완성되었고, 우사미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9] 두 구간 모두 개통 당시 1,500V DC로 전철화되었다. 초기 계획은 도카이도 본선의 아타미와 시모다를 연결하는 것이었으나, 1930년대 대공황 시기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총리대신의 엄격한 재정 정책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자금 지원이 제한되었다. 특히 이즈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산악 지형을 지나야 했기에 수많은 터널과 교량이 필요했고, 우사미 근처 터널 굴착 작업 중에는 지하 온천 문제까지 발생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1958년 5월 20일, 키노미야 ~ 이토 구간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본격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했다.[9] 1961년 12월 10일에는 이즈 급행선 개통으로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 1968년 9월 9일에는 아타미 ~ 키노미야 구간의 도카이도 본선이 신선으로 이설되면서, 기존 복선 선로가 이토선 전용으로 사용되었다.

1984년 2월 1일에는 전 노선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으나,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이토선을 계승하고, JR 화물이 전 노선의 제2종 철도 사업자가 되어 화물 영업을 재개했다 (단, 이즈 급행으로의 차량 반출입 시에 한함). 1996년 10월 1일에는 요코하마 지사 발족으로 관할이 도쿄 지사에서 요코하마 지사로 변경되었다.

2004년 11월에는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가 ATS-SN에서 ATS-P로 갱신되었다.[10] 2013년 8월 19일부터 아타미역과 이토역에서 시발 열차에 대해 연중 반자동 문 운용을 시작했으며,[10] 2015년 3월 8일에는 아타미역과 이토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무인화되고 "역 원격 조작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2. 3. 전후 발전

1935년 3월 30일, 일본국유철도(JNR)는 도카이도 본선의 아타미와 시모다를 연결하는 지선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아타미 ~ 아지로 구간(8.7km)을 개통했다.[9] 이는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총리대신의 엄격한 재정 정책과 기술적 문제로 인한 자금 지원 제한 속에서 이루어졌다.[9] 이토선은 이즈반도 동쪽 해안의 산악 지형을 통과해야 했기에 수많은 터널과 교량이 필요했고, 특히 근처 터널 굴착 중 지하 온천 문제에 직면하여 어려움을 겪었다.[9]

1938년 12월 15일에는 아지로 ~ 이토 구간(8.3km)이 추가로 개통되었다.[9] 두 구간 모두 개통 당시 1,500V DC로 전철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추가 공사는 중단되었다.

1958년에는 CTC 신호 시스템이 도입되었고,[9] 1968년 9월 9일에는 아타미~기노미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원래 이 노선 전체는 복선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1.2km 구간만이 복선화되었다.[9]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이토선은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에 이관되었다.[9]

2. 4. 복선화 계획 및 좌절

1935년 3월 30일, 일본국유철도(JNR)는 도카이도 본선의 아타미와 시모다를 연결하는 지선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아타미 ~ 아지로 구간(8.7km)을 개통하였다.[9] 1938년 12월 15일에는 아지로 ~ 이토 구간(8.2km)이 추가로 개통되었다.[9] 그러나 1930년대 대공황 시기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총리대신의 엄격한 재정 정책과 기술적 문제로 인해 자금 지원이 제한되었다. 특히 이즈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산악 지형을 지나야 하는 이토선의 예상 경로는 수많은 터널과 교량이 필요했으며, 우사미 근처 터널 굴착 중 지하 온천 문제까지 발생하여 어려움을 겪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추가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58년에 열차 집중 제어 장치(CTC)가 도입되었고,[9] 1968년 9월 9일에는 도카이도 본선의 아타미 ~ 기노미야 구간이 신선으로 이설되면서 기존선(복선)이 이토선 전용으로 전환되어 사실상 복선화되었다. 원래 이 노선 전체는 복선으로 건설될 예정이었고 터널 건설을 포함한 토목 공사도 진행되었지만, 현재까지 1.2km 구간만이 복선으로 남아있다.

1961년 12월 10일, 이즈 급행선 개통과 함께 직통 운전이 시작되었다. 1984년 2월 1일에는 전 노선의 화물 영업이 폐지되었으나,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가 이토선을 계승하면서 JR 화물이 전 노선의 제2종 철도 사업자가 되어 화물 영업이 재개되었다(이즈 급행으로의 차량 반출입 시에 한함).[9][10] 2004년 11월에는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가 ATS-P로 갱신되었다.[10]

3. 운행 형태

대부분의 열차가 도카이도 본선(도카이도 선) 도쿄역까지 혹은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된다.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선 혹은 이즈 급행 선에 직결 운행된다.[11][12]

오도리코 호 열차는 이토 선을 거쳐 도카이도 선 도쿄 방면과 이즈 급행 선을 잇는다.

이토역을 출발하는 그린샤가 있는 일부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본선에 진입하며, 대부분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진입하며, 최장 종착역은 우쓰노미야역 또는 가고하라역이다. 따라서 이토역은 우에노-도쿄 라인의 최남단 종착역이다. 이른 아침과 심야 시간대에는 열차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에서 왕복 운행한다.

이즈큐코 소속 차량에 의한 직통 운행도 있으며, JR선 내에서만 운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카이도 본선 직통 열차는 2022년 현재 하루 5왕복이 직통하며, 야간의 상행 시나가와행 1편을 제외하고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도쿄역에서 도호쿠 본선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으로 직통하고 있다. 또한 도카이도 본선 직통 열차에는 모두 그린샤가 연결되어 있다. 과거 도카이도 본선 직통 열차는 낮에도 설정되어 있었지만,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이후 저녁 이후의 직통이 중심이 되었다.

도카이도 본선(도카이도 선) 도쿄역이나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되는 열차가 많다. 오도리코 호 열차는 이토 선을 거쳐 도카이도 선 도쿄 방면과 이즈 급행 선을 잇는다.

이 노선을 경유하여 도카이도 본선과 이즈큐코선을 직통 운행하는 특급 "오도리코" 4왕복(토, 휴일은 6왕복), "사파이어 오도리코" 1왕복이 운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특급 "슈퍼 뷰 오도리코"도 정기 운행되었지만, 2020년에 운행이 종료되었다.

대부분 열차가 도카이도 본선(도카이도 선) 도쿄역까지 혹은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된다.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선 혹은 이즈 급행 선에 직결 운행된다.[11]

오도리코 호 열차는 이토 선을 거쳐 도카이도 선 도쿄 방면과 이즈 급행 선을 잇는다.[11]

대부분의 보통 열차는 이즈큐코선을 경유하여 아타미역이즈큐시모다역 사이에서만 운행된다.[11]

이토역을 출발하는 그린샤가 있는 일부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본선에 진입하며, 대부분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진입하며, 최장 종착역은 우쓰노미야역 또는 가고하라역이다. 따라서 이토역은 우에노-도쿄 라인의 최남단 종착역이다.[11]

이른 아침과 심야 시간대에는 열차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에서 왕복 운행하지만, 그 외 시간대에는 이즈큐코선으로 직통 운전을 실시한다.[11]

이즈큐코 소속 차량에 의한 직통 운행도 있으며, JR선 내에서만 운용되는 경우도 있다. 1988년 시점에는, 이 회사의 2100계 차량을 사용하는 보통 열차에 차량 애칭과 동일한 "리조트 21"이라는 열차명을 부여했다.[11]

열차는 아타미역에서 도카이도 본선(도쿄 방면)과, 이토역에서 이즈 급행선 (이즈큐시모다 방면)과 각각 직통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 노선에서의 화물 열차는 이토역 발착의 갑종 차량 수송 열차가 드물게 운행될 뿐이며, 정기 열차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

3. 1. 직결 운행

대부분의 열차가 도카이도 본선(도카이도 선) 도쿄역까지 혹은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된다.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선 혹은 이즈 급행 선에 직결 운행된다.[11][12]

오도리코 호 열차는 이토 선을 거쳐 도카이도 선 도쿄 방면과 이즈 급행 선을 잇는다.

이토역을 출발하는 그린샤가 있는 일부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본선에 진입하며, 대부분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진입하며, 최장 종착역은 우쓰노미야역 또는 가고하라역이다. 따라서 이토역은 우에노-도쿄 라인의 최남단 종착역이다. 이른 아침과 심야 시간대에는 열차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에서 왕복 운행한다.

이즈큐코 소속 차량에 의한 직통 운행도 있으며, JR선 내에서만 운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카이도 본선 직통 열차는 2022년 현재 하루 5왕복이 직통하며, 야간의 상행 시나가와행 1편을 제외하고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도쿄역에서 도호쿠 본선 (우쓰노미야선다카사키선으로 직통하고 있다. 또한 도카이도 본선 직통 열차에는 모두 그린샤가 연결되어 있다. 과거 도카이도 본선 직통 열차는 낮에도 설정되어 있었지만, 2012년 3월 17일 시간표 개정 이후 저녁 이후의 직통이 중심이 되었다.

3. 2. 특급열차

도카이도 본선(도카이도 선) 도쿄역이나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되는 열차가 많다. 오도리코 호 열차는 이토 선을 거쳐 도카이도 선 도쿄 방면과 이즈 급행 선을 잇는다.

이 노선을 경유하여 도카이도 본선과 이즈큐코선을 직통 운행하는 특급 "오도리코" 4왕복(토, 휴일은 6왕복), "사파이어 오도리코" 1왕복이 운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특급 "슈퍼 뷰 오도리코"도 정기 운행되었지만, 2020년에 운행이 종료되었다.

3. 3. 보통열차

대부분 열차가 도카이도 본선(도카이도 선) 도쿄역까지 혹은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된다.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선 혹은 이즈 급행 선에 직결 운행된다.[11]

오도리코 호 열차는 이토 선을 거쳐 도카이도 선 도쿄 방면과 이즈 급행 선을 잇는다.[11]

대부분의 보통 열차는 이즈큐코선을 경유하여 아타미역이즈큐시모다역 사이에서만 운행된다.[11]

이토역을 출발하는 그린샤가 있는 일부 보통 열차는 도카이도 본선에 진입하며, 대부분 우에노-도쿄 라인으로 진입하며, 최장 종착역은 우쓰노미야역 또는 가고하라역이다. 따라서 이토역은 우에노-도쿄 라인의 최남단 종착역이다.[11]

이른 아침과 심야 시간대에는 열차아타미역 - 이토역 구간에서 왕복 운행하지만, 그 외 시간대에는 이즈큐코선으로 직통 운전을 실시한다.[11]

이즈큐코 소속 차량에 의한 직통 운행도 있으며, JR선 내에서만 운용되는 경우도 있다. 1988년 시점에는, 이 회사의 2100계 차량을 사용하는 보통 열차에 차량 애칭과 동일한 "리조트 21"이라는 열차명을 부여했다.[11]

4. 차량

이토선에서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1]


  • 보통 열차
  • E231계 (고즈 차량 센터, 오야마 차량 센터 소속): 도카이도, 우에노-도쿄 선을 경유한다.
  • E233계 (고즈 차량 센터, 오야마 차량 센터 소속): 도카이도, 우에노-도쿄 선을 경유한다.
  • 이즈 급행 2100계 (이즈 급행 이즈 고원 전차구 소속)
  • 이즈 급행 8000계 (이즈 급행 이즈 고원 전차구 소속)
  • 이즈 급행 3000계 (이즈 급행 이즈 고원 전차구 소속)

  • 특급 열차
  • E257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특급 "오도리코"로 운용된다.
  • E261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특급 "사파이어 오도리코"로 운용된다.
  • 185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단체 임시 열차와 임시 특급 "185"로 운용된다. 과거 특급 "오도리코"로 운용되었다.

  • 관광 열차
  • 651-1000계 4량 전동차: 2016년 여름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이즈 크레일(Izu Craile)"(이즈 크레일/伊豆クレイル일본어)이라는 이름으로 운행되었다. "이즈 크레일(Izu Craile)"은 "Cresciuto"(이탈리아어로 "성숙한"을 의미), "기차" 및 접미사 "-ile"에서 따온 혼성어이다. 1호차는 바다를 향한 창가 카운터석, 2호차는 바 카운터와 라운지, 3호차는 반개방형 칸, 4호차는 일반적인 2+2 배열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 이 서비스는 JR 동일본이 사파이어 오도리코 서비스 도입으로 인해 이즈 크레일 서비스가 불필요하다고 결정함에 따라 종료되었다.


이즈 급행 2100계


4. 1. 현재 운행 차량

이토선에서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1]

  • 보통 열차
  • E231계 (고즈 차량 센터, 오야마 차량 센터 소속): 도카이도, 우에노-도쿄 선을 경유한다.
  • E233계 (고즈 차량 센터, 오야마 차량 센터 소속): 도카이도, 우에노-도쿄 선을 경유한다.
  • 이즈 급행 2100계 (이즈 급행 이즈 고원 전차구 소속)
  • 이즈 급행 8000계 (이즈 급행 이즈 고원 전차구 소속)
  • 이즈 급행 3000계 (이즈 급행 이즈 고원 전차구 소속)

  • 특급 열차
  • E257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특급 "오도리코"로 운용된다.
  • E261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특급 "사파이어 오도리코"로 운용된다.
  • 185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단체 임시 열차와 임시 특급 "185"로 운용된다. 과거 특급 "오도리코"로 운용되었다.

  • 관광 열차
  • 651-1000계 4량 전동차: 2016년 여름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 "이즈 크레일(Izu Craile)"(이즈 크레일/伊豆クレイル일본어)이라는 이름으로 운행되었다. "이즈 크레일(Izu Craile)"은 "Cresciuto"(이탈리아어로 "성숙한"을 의미), "기차" 및 접미사 "-ile"에서 따온 혼성어이다. 1호차는 바다를 향한 창가 카운터석, 2호차는 바 카운터와 라운지, 3호차는 반개방형 칸, 4호차는 일반적인 2+2 배열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 이 서비스는 JR 동일본이 사파이어 오도리코 서비스 도입으로 인해 이즈 크레일 서비스가 불필요하다고 결정함에 따라 종료되었다.


4. 2. 과거 운행 차량

185계(오도리코 호), 211계(보통 열차), E231계(보통 열차), 251계(오도리코 호), 이즈 급행 2100계(오도리코 호, 보통 열차), 이즈 급행 8000계(보통 열차) 등이 과거 이토선을 운행했다.[1]

2016년 여름부터 2020년 6월 28일까지는 651-1000계 4량 전동차를 개조한 관광 열차 "이즈 크레일"이 운행되었다. "이즈 크레일"은 "Cresciuto"(이탈리아어로 "성숙한"을 의미), "기차", 접미사 "-ile"을 합쳐 만든 혼성어이다. 1호차는 바다를 향한 창가 카운터석, 2호차는 바 카운터와 라운지, 3호차는 반개방형 칸, 4호차는 일반적인 2+2 배열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1]

이 외에도 다양한 차량이 단체 열차나 임시 열차로 이토선에 입선했다. 소속 차량 기지는 운용 당시의 명칭이며, →는 운용 기간 중에 전속이 있었던 경우이다. 타마치 전차구·타마치 차량 센터는 현 도쿄 종합 차량 센터 타마치 센터, 카츠타 전차구는 현 카츠타 차량 센터, 신마에바시 전차구는 현 타카사키 차량 센터이다.

과거 운행했던 전동차는 다음과 같다.

  • 211계 (타마치 차량 센터 소속)
  • 113계 (오후나 전차구→코즈 차량 센터·타마치 전차구·JR 도카이 시즈오카 차량구 소속)
  • 183계 (타마치 전차구 소속) - 특급 "아마기", "오도리코"
  • 251계 (오미야 종합 차량 센터 소속) - 특급 "슈퍼 뷰 오도리코"
  • 651계 (코즈 차량 센터 소속) - 관광 열차 "이즈 크레일"
  • 451계·453계 (카츠타 전차구 소속) - 급행 "조반 이즈"
  • 167계 (타마치 전차구 소속) - 급행 "이즈", "오쿠이즈" 등
  • 165계 (타마치 전차구·신마에바시 전차구 소속) - 준급·급행 "쇼난 닛코", 급행 "이즈"
  • 157계 (타마치 전차구 소속) - 특급 "아마기"·급행 "이즈"·준급 "쇼난 닛코" 등
  • 155계 (타마치 전차구 소속) - 급행 "이즈"
  • 153계 (타마치 전차구 소속) - 준급·급행 "이즈", "이데유" 등
  • 80계 (타마치 전차구 소속) - 준급 "이즈", "이데유", "오쿠이즈" 등
  • 70계 (타마치 전차구→오후나 전차구 소속)
  • 32계·40계·42계·72계
  • 200계 (이즈 급행 소속)
  • 100계 (이즈 급행 소속)

5. 역 목록

도카이도 신칸센(도카이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시즈오카역 방면)시즈오카현아타미시JT 22기노미야来宮일본어1.2JT 23이즈타가伊豆多賀일본어6.0JT 24아지로網代일본어8.7JT 25우사미宇佐美일본어13.0이토시JT 26이토伊東일본어16.9이즈 급행 이즈 급행 선
(이즈큐시모다역까지 직결 운행 있음)



모든 역은 시즈오카현 내에 위치한다.[13] 아타미역 - 키노미야역 구간은 복선, 그 외 구간은 단선이며, 모든 역에서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 보통 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하며, 특급 "오도리코" "사파이어 오도리코"의 정차역은 열차 기사를 참조해야 한다. 아타미역과 이토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은 모두 무인역이다.[13]

6. 노선 정보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 (제1종 철도 사업자)와 일본화물철도(제2종 철도 사업자)가 이토선을 관할한다.[4] 노선 거리는 16.9km이며, 궤간은 1,067mm이다. 역 수는 총 6개(기종점역 포함)이나, 이토선 소속 역으로 한정하면 도카이도 본선 소속인 아타미역이 제외되어 5개 역이 된다.[7] 아타미역 - 기노미야역 구간은 복선 구간(1968년 완성)이다. 전 노선이 전철화 구간(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이며, 폐색 방식은 자동 폐색식이다. 보안 장치는 ATS-P를 사용하며,[4] 최고 속도는 95km/h이다. 운전 사령소는 아타미 CTC이며, 준 운전 취급역(입환 시는 역이 신호를 제어)은 아타미역, 기노미야역, 이토역이다. 최장 터널은 신우사미 터널(2,941m)이다.

전 구간이 요코하마 지사의 관할이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Rebuilt 651 series resort train to debut in summer 2016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6-01-21
[2] 문서 [[宇都宮線]]・[[高崎線]]直通列車のみ。
[3] 문서 東海道本線が使う2線を含めれば[[複々線]]
[4] 웹사이트 サステナビリティレポート2018 https://www.jreast.c[...] JR東日本 2018-09-00
[5] 문서 国鉄時代は、[[特定地方交通線]]として廃止された[[清水港線]]と[[第三セクター鉄道]]に転換された[[天竜浜名湖鉄道天竜浜名湖線|二俣線]]もこれに該当した。
[6] 문서 国鉄時代の[[神岡鉄道神岡線|神岡線]]は[[西日本旅客鉄道金沢支社]]の前身の金沢管理局の管轄であった。
[7]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JTB
[8] 웹사이트 平成15年第3回(7月)東伊豆町議会臨時会会議録 諸般の報告 https://www.town.hig[...] 東伊豆町議会
[9] 뉴스 あすからCTC試用 交通協力会 1958-05-11
[10] 뉴스 ドア開閉、乗客がボタンで…東京・品川駅など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3-08-19
[11] 서적 時刻表完全復刻版 1988年3月号 JTBパブリッシング
[12] 문서 東京駅発着・品川始発は定期列車では存在しない。下りはすべて宇都宮線宇都宮駅・小金井駅および、高崎線高崎駅・籠原駅から直通する。
[13] 웹사이트 各駅の乗車人員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3-10-10
[14]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1~2015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5]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6~2020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12
[16]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8~2022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09
[17] 웹사이트 路線別ご利用状況(2019~2023年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2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