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일본의 안보 정책을 논의하고 조정하는 기구이다. 1986년 안전보장회의를 대체하여 2013년 12월 발족했으며, 총리 산하에서 외교, 국방 관련 정책의 중앙 집중화를 목표로 한다. 회의는 총리, 외무대신, 방위대신, 내각관방장관 등이 참여하는 4자 회의, 9자 회의, 긴급 각료회의로 구성되며, 국가안전보장국이 회의를 지원한다.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미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 영국의 국가안전보장회의와 핫라인을 가지고 있으며, 자문, 국가안전보장전략 발표, 자위대 장비 선정 등 주요 활동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안전보장회의 -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미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1947년 냉전 시대에 창설되어 대통령을 보좌하여 외교 및 안보 정책을 결정하고, 국제 전략, 군사 옵션 등을 준비하며, 다양한 부처 간 조정을 통해 정책을 수립하는 기구이다. - 국가안전보장회의 -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대통령 자문 기관으로 국가안전보장에 관한 정책 수립을 지원하며, 대통령을 의장으로 국무총리 등 관계 장관 및 기관장으로 구성되어 상임위원회와 사무처를 통해 회의를 운영한다. - 일본의 행정 - 일본국 정부
일본국 정부는 입헌군주제 국가로서 천황은 의례적인 역할만 수행하고, 내각총리대신과 내각이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행사하며, 국회는 양원제로 입법권을, 사법부는 최고재판소를 정점으로 독립성을 보장받는 중앙집권적 단일 국가이다. - 일본의 행정 - 일본의 내각총리대신
일본의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 의결을 거쳐 천황이 임명하는 일본 행정부의 수반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다이죠다이진을 대신하여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1947년 일본국 헌법 채택 후 현행 제도가 확립되어 중의원 해산권을 포함한 막강한 권한을 행사한다. - 아베 신조 - 벚꽃을 보는 모임 문제
아베 신조 내각이 주최한 '벚꽃을 보는 모임' 행사에서 예산 및 참가자 수 급증, 정치적 사유화 의혹, 전야제 비용 처리 문제, 초청자 명단 파기 등의 논란이 발생하여 민주주의 근간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는 사건이다. - 아베 신조 - 아베노믹스
아베노믹스는 일본 경제 회복을 위해 아베 신조 정권이 추진한 경제 정책으로, 금융 완화, 재정 지출 확대, 성장 전략을 통해 주가 상승, 실업률 감소 등의 긍정적 효과를 보였으나, 엔화 약세, 소비세 인상, 정부 부채 증가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기관 명칭 | 국가안전보장회의 |
로마자 표기 | Kokka-anzen-hoshō-kaigi |
영어 명칭 | National Security Council |
약칭 | NSC |
문장 | Go-shichi no kiri crest.svg |
문장 크기 | 100px |
![]() | |
설립 및 조직 | |
설립일 | 2013년 12월 4일 |
전신 | 안전보장회의 |
본부 | 도쿄도지요다구나가타초 2-3-1 |
직원 수 | 약 90명 |
소속 기관 | 일본 내각 |
하위 기관 | 국가안전보장국 |
웹사이트 | 首相官邸 |
주요 인사 | |
의장 | 기시다 후미오 (내각총리대신) |
사무총장 | 아키바 다케오 (국가안전보장사무국장) |
국가안전보장담당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 나가시마 아키히사 |
기타 | |
참고 | 안전보장위원회와 혼동하지 말 것 |
2. 역사
고이즈미 내각 시절, 미국 NSC와 유사한 "일본식 국가안전보장회의" 설립에 대한 요구가 여러 차례 있었다.
아베 신조는 2006년 처음 총리에 임명된 후 새로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준비를 시작했지만, 2007년 1월 사임으로 중단되었다.[8][5][7][1] 2012년 12월 아베가 다시 총리로 임명된 후 NSC 설치 노력이 재개되었다. 제안된 새로운 NSC의 주요 특징은 보다 유연하고 정기적인 협의를 가능하게 하는 4개 장관 회의와 강력한 직원 조직인 국가안전보장국 설립이었다.[8][2]
중의원은 2013년 11월 7일 회의 설립 법안을 통과시켰고, 참의원은 11월 27일에 이어서 통과시켰다.[3][4][5] 2013년 12월 4일 회의가 처음으로 열려 국가안전보장전략 채택과 중국의 방공식별구역에 대해 논의했다.[6]
2013년 12월 일본의 첫 번째 국가안전보장전략 발표와 함께 NSC는 총리 아래 일본 안보 정책의 중앙 집중화를 나타낸다. 국가안전보장전략은 "일본을 둘러싼 안보 환경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 일본의 외교 및 안보 체제 강화를 위해 내각 전체가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로 NSC 설립을 옹호한다.[8][5][7]
전문가들은 NSC 설립을 "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외교 및 안보 정책 기구의 가장 야심찬 개편"이라고 평가했다.
2. 1. 국방회의 및 안전보장회의
National Security Council영어의 전신은 1986년 방위회의를 대체한 안전보장회의였다. 기존의 안전보장회의는 관료적 비효율성과 부족한 조정으로 어려움을 겪었다.[8]- 1954년(쇼와 29년) 7월 1일: 내각에 국방회의를 설치하는 것을 규정한 방위청 설치법이 시행되었다. 단, 제43조에서 "국방회의의 구성 그 외 국방회의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별도 법률로 정한다."라고 규정되어 즉시 발족하지는 않았다.
- 1956년(쇼와 31년) 7월 2일: 「국방회의의 구성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내각에 '''국방회의'''가 실제로 설치되었다. 아울러 총리부에 국방회의 사무국을 설치하였다.
- 1957년(쇼와 32년) 8월 1일: 내각의 국방회의와는 별도로 총리부에 설치되어 있던 국방회의 사무국이, 내각법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쇼와 32년 법률 제158호)에 의해 국방회의 직속의 사무국으로 이관되었다.
- 1986년(쇼와 61년) 7월 1일: 국방회의가 폐지되고, 안전보장회의 설치법(쇼와 61년 법률 제71호)에 기초하여 '''안전보장회의'''가 설치되었다.
- 2007년(헤이세이 19년): 안전보장회의를 국가안전보장회의로 재편하는 안전보장회의 설치법 개정안이 제출되지만, 다음 해에 심의 미결로 폐기되었다.
안전보장회의의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직책 | 설명 |
---|---|
의장 | 내각총리대신 |
의원 | 내각법 제9조 제1순위 지정 대신(부총리), 총무대신, 외무대신, 재무대신, 경제산업대신, 국토교통대신, 방위대신, 내각관방장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간사 | 의장・의원을 보좌하는 자로서 설치되어 있었다. 비상근으로, 정원은 10명 이내였다. 관계 행정기관의 직원 중에서 내각이 임명했다. |
의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다른 국무대신을 안건에 한정하여 의원으로 임시로 회의에 참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통합막료장 등 자위대 관계자를 회의에 참석시켜 의견을 듣게 할 수 있었다. 이는 회의 의원으로서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관계자로서의 배석이며, 표결 등 회의의 의사결정에는 참가할 수 없었다.
사태대응 전문위원회는 국가안전보장회의에 계승되었으며, 위원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 위원장: 내각관방장관
- 위원: 내각관방 및 관계 행정기관 직원 중에서 내각총리대신이 임명
2003년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법 개정 당시 위원은, 내각관방부장관(정무, 사무), 내각위기관리감, 내각관방부장관보, 내각정보관, 총무심의관, 소방청장, 법무성입국관리국장, 외무성 외교정책국장, 재무관, 재무성 관세국장, 경제산업성 무역경제협력국장, 자원에너지청 청장, 국토교통심의관, 해상보안청장, 경찰청차장, 방위청 방위국장, 통합막료회의 의장이었다.
안전보장회의의 사무는 내각관방(안전보장담당 내각관방부장관보)에서 처리했다.
2. 2.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 시도 (1차 아베 내각)
2006년, 제1차 아베 내각은 기존의 안전보장회의를 대체하여 국가안전보장회의(일본판 NSC)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당시 내각총리대신인 아베 신조를 의장으로 하는 국가안전보장에 관한 관저기능강화회의가 발족되었다. 의장 대리는 고이케 유리코 총리보좌관(국가안전보장문제 담당)이 맡았으며, 시오자키 야스히사 내각관방장관 외에 여러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임명되었다.[37]이 회의는 2주에 한 번씩 회의를 열어 2007년 2월을 목표로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었다. 아베 내각은 제166회 국회에 안전보장회의 설치법 개정안을 중의원에 제출했다. 이 개정안은 “안전보장회의”를 “국가안전보장회의”로 명칭을 변경하고, 심의 사항을 국가안전보장에 관한 사항으로 확대하며, 전문회의와 사무국을 설치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그러나 아베 신조가 궤양성 대장염으로 총리대신직을 사임하고, 후쿠다 야스오가 총리로 취임하면서 법안 통과가 불투명해졌다. 결국 2007년 12월 24일, 후쿠다 야스오 내각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를 단념하고 구상 자체를 백지화하기로 결정했다. 대신 기존 조직을 활용하여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 인해 안전보장회의 설치법 개정안은 심의 미결로 폐기되었다.
이후에도 자유민주당은 방위성 개혁 소위원회 등을 통해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를 계속 제안했으며, 자민당의 방위대강 제안에도 일본판 NSC 설치가 명기되었다.
2. 3. 민주당 정권
2009년 9월 제4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민당이 대패하고 민주당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졌다. 민주당은 2010년 11월 24일 당의 외교방위조사회가 발표한 「"방위계획의 대강" 검토에 관한 제언」에서 국가안전보장실(NSO) 설립을 제언했고, 이후에도 외교방위조사회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일본판 NSC) 설립을 제언했지만, 설립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었다.2. 4.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 (2차 아베 내각)
2012년 제46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정권 공약에 "관저의 사령탑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설치하겠습니다."라고 명시했다.[38] 제2차 아베 내각은 2013년 1월 발생한 알제리 인질 사건에서 알제리군이 실시한 작전과 일본 국민의 안전 확인 등 정보 수집이 매우 어려웠던 것을 계기로 일본판 NSC 설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39][40]이에 2013년 2월 14일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에 관한 전문가 회의가 설립되었고, 2월 15일 첫 회의가 개최되었다. 2013년 6월 7일, 아베 내각은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를 위한 관련 법안(안전보장회의 설치법 등의 일부를 개정하는 법률안)을 각의 결정했다.[41]
같은 해 가을 제185회 국회에 법안이 제출되어 자유민주당, 공명당, 민주당, 일본의 미래당, 일본유신회 등의 찬성으로 2013년 11월 27일 참의원 본회의에서 성립되었다.[42]
2013년 12월 4일 안전보장회의 설치법이 개정되어(법률 제목도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법」으로 변경) 안전보장회의가 국가안전보장회의로 재편되었고,[43] 2014년 1월 7일에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인 국가안전보장국이 발족했다.
3. 조직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의장(내각총리대신)과 의원(일부 국무대신)으로 구성되며, 모두 비상근이다. 의장과 의원을 보좌하기 위해 간사(비상근)가 있으며, 회의 내에는 내각관방 장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사태대처전문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8]
2014년에 설립된 국가안전보장회의와 그 사무국인 국가안전보장국은 내각총리대신 관저 직속의 정책 입안 부서이다. 국가안전보장회의 설치법에 따라 국가안전보장의 중요 사항을 심의하고, 총리의 정책 결정과 정치적 결단을 보좌한다.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논의되는 사안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의 각료회의를 소집할 수 있으며, 모든 각료회의는 총리가 의장을 맡는다.[8] 또한 미국과 영국의 상대 기관과 핫라인을 가지고 있다.[6]
국가안전보장국(National Security Secretariat영어, 약칭 NSS)은 2014년 1월 내각관방에 설치된 사무국으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지원한다. 행정 업무, 정책 기획 및 정보 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지원하며, 내각정보연구실과 긴밀히 협력하며 다양한 기관 및 부서로부터 직접 보고서를 받는다.
국가안전보장국은 사무총장(Secretary General)이 이끌며, 사무총장은 동시에 내각 국가안보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 to the Cabinet)을 겸임한다. 초대 사무총장은 전 외무성 사무차관 야치 쇼타로였다. 사무총장은 외무 담당 및 비상 대응 담당 내각부총리보좌관을 겸직하는 두 명의 차관보의 지원을 받는다. 그 아래에는 세 명의 고문이 있는데, 한 명은 자위대의 고위 군 장교이고, 나머지 두 명은 외무성과 방위성의 민간 공무원이다.
국가안전보장국은 주로 외무성과 방위성에서 파견된 공무원, 군 장교, 그리고 국가경찰청 및 기타 관련 기관의 공무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90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초기에는 조정, 정보, 전략 기획 및 세 개의 지역 정책 팀 등 여섯 개 팀으로 나뉘어 각종 현안을 처리했다. 2020년에는 당시 사무총장 키타무라 시게루의 주도로 경제 안보에 전념하는 경제팀이 신설되었다. 각 팀은 장관급 국장에 해당하는 공무원이 이끌고 있다.
방위성 내국(內局)의 정장(背広)組(문관)에 의한 문관 우위 체제(문관 통제)로 인해 앞으로 나설 수 없었던 자위대의 제복(制服)組이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국인 NSS의 한 부분을 차지하여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하게 된 것은 중대한 변화이다. NSS의 군사적 측면을 중시하는 아베 신조 총리의 의향과 냉전 이후 자위대가 해외 파병과 대미 협력 확대에 따라 “존재 중시에서 운용 중시”로 전환해 온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또한, NSS의 주도권을 쥐고 있는 외무성은 자위대 제복(制服)組과 강한 유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냉전 종결 전후부터 간부 자위관이 20명에서 30명 규모로 “사무관”으로서 외무성에 파견되어 외무관료와 깊은 인간 관계를 쌓아왔다. 이러한 축적이 NSS에서 제복(制服)組의 부상으로 구현되었다고 한다.
대수 | 이름 | 출신 성청 | 재임 기간 | 비고 |
---|---|---|---|---|
초대 | 야치 쇼타로 | 외무성 | 2014년 1월 7일 ~ 2019년 9월 11일 | 외무사무차관, 정부대표, 내각관방참여 역임, 내각특별고문 겸임 |
2대 | 키타무라 시게루 | 경찰청 | 2019년 9월 11일 ~ 2021년 7월 8일 | |
3대 | 아키바 다케오 | 외무성 | 2021년 7월 8일 ~ 현재 |
3. 1. 회의 구성
국가안전보장회의는 의장(내각총리대신)과 의원(일부 국무대신)으로 구성된다.[8] 회의는 논의되는 사안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소집된다.[8]- '''9자 회의'''[14]: 4자 회의 구성원에 더하여 부총리, 총무대신, 재무대신, 경제산업대신, 국토교통대신,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이 추가로 참석한다. 주로 방위 계획 및 예산 문제를 심의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14]
이러한 회의에는 각료 외에도 필요에 따라 통합막료장 등 관계자를 참석시켜 의견을 청취할 수 있다.[14]
국가안전보장회의설치법 제3조에 따른 회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9자 회의 구성원을 기준으로 하며, 4자 회의 구성원은 '''굵은 글씨'''로 표시)
구분 | 구성원 |
---|---|
의장 | 내각총리대신 (부재 시 내각총리대신 임시대리가 직무 대행) |
의원 | 내각법 제9조 제1순위 지정대신(부총리), 총무대신, 외무대신, 재무대신, 경제산업대신, 국토교통대신, 방위대신, 내각관방장관, 국가공안위원회 위원장 |
간사 | 의장과 의원을 보좌하며, 비상근으로 정원은 10명 이내. 관계 행정기관의 직원 중에서 내각이 임명. |
- 의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그 밖의 국무대신을 의안을 한정하여 임시로 의원으로서 회의에 참가시킬 수 있다.
- 통합막료장 등 자위대 관계자를 회의에 참석시켜 의견을 진술하게 할 수 있다. (단, 의사결정에는 참가할 수 없다.)
-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중에서 '''국가안전보장 담당'''을 지정하여 안보 문제에 대해 총리를 직접 보좌하고 회의에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하게 할 수 있다.[14]
3. 2. 자문 사항
국가안전보장회의는 다음 사항에 대해 총리의 자문에 응해야 한다. 또한, 무력 공격 사태, 존립 위기 사태, 중요 영향 사태 및 중대한 긴급 사태에 관하여, 특히 긴급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필요한 조치에 대해 총리에게 건의할 수 있다.- 국방의 기본 방침
- 방위계획의 대강
- 방위 계획과 관련된 산업 등의 조정 계획의 대강
- 무력공격사태 등[15] 또는 존립위기사태에 대한 대처에 관한 기본적인 방침
- 무력공격사태 등 또는 존립위기사태에 대한 대처에 관한 중요사항
- 중요영향사태에 대한 대처에 관한 중요사항
- 자위대법 제3조 제2항 제2호의 자위대 활동에 관한 중요사항
- 기타 국방에 관한 중요사항
- 국가안전보장에 관한 외교정책 및 방위정책의 기본방침 및 이들 정책에 관한 중요사항
3. 3. 사태대처전문위원회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보좌하는 상설 조직으로, 무력 공격 상황 등 긴급 상황 시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심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설치되었다.[17] 전신인 안전보장회의에서 이어 설치되었으나, 위원 일부가 다르다.[17]- 위원장: 내각관방 장관
- 위원: 내각총리대신이 내각관방 및 관계 행정기관의 직원 중에서 임명
직책 | 기관 |
---|---|
내각관방부장관(정무, 사무) | 내각관방 |
내각위기관리감 | 내각관방 |
국가안전보장국장, 국가안전보장국차장((겸) 내각관방부장관보) | 국가안전보장국 |
내각정보관 | 내각정보조사실 |
내각부정책총괄관(방재담당), 내각부정책총괄관(원자력방재담당) | 내각부 |
경비국장 | 경찰청 |
종합통신기반국장 | 총무성 |
차장 | 소방청 |
차장 | 법무성입국재류관리청 |
종합외교정책국장, 북미국장 | 외무성 |
심의관 | 재무성대신관방 |
관세국장 | 재무성 |
대신관방장 | 문부과학성대신관방 |
위기관리·의무기술총괄심의관 | 후생노동성대신관방 |
소비·안전국장 | 농림수산성 |
무역경제협력국장 | 경제산업성 |
차장 | 자원에너지청 |
위기관리·운수안전정책심의관 | 국토교통성대신관방 |
해상보안감 | 해상보안청 |
차장 | 원자력규제청 |
방위정책국장, 통합막료장, 통합막료감부총괄관 | 방위성 |
3. 4. 국가안전보장국 (NSS)
National Security Secretariat영어[19][20], 약칭: NSS영어)는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보좌하기 위해 내각관방에 설치된 사무국이다.[18] 2014년 1월에 설치되었으며, 부처 간의 종합 조정, 중장기적인 외교·안보 정책 입안, 긴급 상황 시의 정책 제안 등을 담당한다.[14]외무성, 방위성, 경찰청, 공안조사청, 경제산업성, 국토교통성, 내각정보조사실 등 각 부처와 각 부처의 정보 커뮤니티에 정보를 요구하며, 각 부처는 국가안전보장국에 대한 보고 의무를 진다.[14]
국가안전보장국장은 내각위기관리감과 동등한 장관정무관급 대우를 받으며,[21] 이들은 항상 협력하여 직무를 수행한다.[14] 내각총리대신의 신청에 따라 내각에서 임면한다.[22]
2014년 1월 7일, 67명 체제로 국가안전보장국이 출범했다. 초대 국장에는 외무사무차관, 정부대표, 내각관방참여를 역임한 다니우치 쇼타로가 내각특별고문을 겸임하는 형태로 취임했다.[23] 국장 아래에는 방위성과 외무성 출신의 내각관방부장관보가 겸임하는 2명의 국차장과, 동성 출신의 3명의 심의관이 배치된다. 심의관 중 한 명은 육상/해상/항공막료감부 방위부장직 또는 통합막료감부 방위계획부장 등을 거친 내각사무관을 겸임한 장보급의 자위관이다.[26]
초기에는 총괄·조정반, 정책 제1반(미합중국, 유럽 여러 나라, ASEAN 등 담당), 정책 제2반(동북아시아와 러시아 담당), 정책 제3반(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담당), 전략기획반(방위 계획의 대강과 국가안전보장전략 등 중장기적인 안전보장 정책 담당), 정보반(기밀 정보를 다루는 관계 부처 등 정부 내 연락 조정 담당)의 6개 반으로 구성되었으며, 외무, 방위 등 각 성의 전문성이 높은 직원들로 구성되었다.[26] 2020년 4월 1일, 경제안전보장 전략을 담당하는 경제반[26][27][28][29]이 신설되어 7개 반 체제가 되었고, 전체적으로 약 90명 체제가 되었다.[12]
초대 국장인 다니우치 쇼타로는 외무사무차관 경력이 있으며, 국가안전보장국의 외교적 역할은 외무성과 일체화되어 외무성의 별동대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공적인 루트로는 접촉하기 어려운 상대에게 접촉하여 관계를 구축한다.[30]
국가안전보장국(NSS)에는 군사 전문가로서 육해공 3군에서 13명의 간부 자위관이 각 반에 2명씩 배치되었다.[35] NSS에 자위관을 배치한 것은 자위관이 가진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직접 총리와 각료에게 전달하여 의사결정을 원활하게 하려는 목적이었다.[35]
반 | 담당 |
---|---|
총괄·조정반 |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 담당 |
정책 제1반 | 미합중국, 유럽 여러 나라, ASEAN 등 |
정책 제2반 | 동북아시아와 러시아 |
정책 제3반 |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
전략기획반 | 방위 계획의 대강과 국가안전보장전략 등 중장기적인 안전보장 정책 |
정보반 | 기밀 정보를 다루는 관계 부처 등 정부 내 연락 조정 |
경제반 | 경제안전보장 전략 (2020년 신설)[26][27][28][29] |
대수 | 이름 | 출신 성청 | 재임 기간 | 비고 |
---|---|---|---|---|
초대 | 다니우치 쇼타로 | 외무성 | 2014년 1월 7일 ~ 2019년 9월 11일 | 외무사무차관, 정부대표, 내각관방참여 역임, 내각특별고문 겸임[23] |
2대 | 기타무라 시게루 | 경찰청 | 2019년 9월 11일 ~ 2021년 7월 8일 | |
3대 | 아키바 다케오 | 외무성 | 2021년 7월 8일 ~ 현재 |
3. 5. 국가안전보장 담당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중 국가안전보장 담당이 지정된다. 국가안전보장 담당 총리보좌관은 안보 문제에 대해 총리를 직접 보좌하며, 회의에 참석하여 의견을 제시한다.[14]번호 | 성명 | 재임 기간 | 전임직 | 후임직 | 비고 |
---|---|---|---|---|---|
1 | 이소자키 요스케 | 2014년 1월 7일 ~ 2015년 10월 7일 | 내각총리대신 보좌관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선거제도 담당, 2014년 1월 6일까지) | 참의원 행정감시위원장 | 참의원 |
2 | 시바야마 마사히코 | 2015년 10월 7일 ~ 2017년 8월 3일 | 자유민주당 정보조사국장, 자유민주당 재무금융부회장 | 자유민주당 필두 부간사장, 총재 특별보좌 | 중의원 |
3 | 소노우라 켄타로 | 2017년 8월 3일 ~ 2019년 9월 11일 | 외무부대신 | 자유민주당 총재 외교 특별보좌 | 중의원 |
4 | 키하라 미노루 | 2019년 9월 11일 ~ 2021년 10월 4일 | 자유민주당 국회대책위원회 부위원장 | 중의원 | |
5 | 키하라 세이지 | 2021년 10월 4일 ~ 2021년 12월 3일 | 중의원 내각위원장 | 내각관방 부장관 | 중의원 내각관방 부장관 겸임 |
6 | 테라다 미노루 | 2021년 12월 3일 ~ 2022년 8월 10일 | 총무대신 | 중의원 | |
7 | 키시 노부오 | 2022년 8월 10일 ~ 2023년 2월 3일 | 방위대신 | 중의원 | |
8 | 키하라 세이지 | 2023년 2월 3일 ~ 2023년 9월 13일 | 내각관방 부장관 | 자유민주당 간사장 대리 겸 정무조사회장 특별보좌 | 중의원 내각관방 부장관 겸임 |
9 | 이시하라 히로타카 | 2023년 9월 13일 ~ 2024년 10월 1일 | 중의원 | ||
10 | 나가시마 아키히사 | 2024년 10월 1일 ~ |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 부회장 | 중의원 |
3. 6. 고문회의
국가안전보장국장은 국가안전보장과 관련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특별고문 및 고문으로 위촉하여 고문회의를 개최한다.[36] 제1회 회의는 2014년 6월 18일에 열렸다.[36]고문회의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36]
구분 | 이름 | 직책 |
---|---|---|
특별고문 | 미무라 아키오(三村明夫) | 일본제철 명예회장, 일본상공회의소 회장 |
특별고문 | 오리키 료이치(折木良一) | 전 통합막료장 |
회장 | 야마우치 마사유키(山内昌之) | 메이지대학 특임교수, 도쿄대학 명예교수 |
회장 대리 | 츠네카와 케이이치(恒川惠市) | 정책연구대학원대학 특별교수 |
고문 | 이케다 노리히로(池田徳宏) | 후지쓰 특기시스템사업본부 시니어 어드바이저 (전 해상자위대 쿠레지방총감) |
고문 | 오카베 토시야(岡部俊哉) | NEC 고문 (전 육상막료장) |
고문 | 키미즈카 나오타카(君塚直隆) | 간토가쿠인대학 국제문화학부 교수 |
고문 | 쿠보 후미아키(久保文明) | 도쿄대학 법학부 교수 |
고문 | 코시로 신이치(小城真一) | NEC 고문 (전 항공자위대 항공지원집단 사령관) |
고문 | 신보 켄(神保謙) | 게이오기주쿠대학 종합정책학부 교수 |
고문 | 타도코로 마사유키(田所昌幸) | 게이오기주쿠대학 법학부 교수 |
고문 | 히로세 요코(廣瀬陽子) | 게이오기주쿠대학 종합정책학부 교수 |
고문 | 미치시타 노리나리(道下徳成) | 정책연구대학원대학 교수 |
4. 주요 활동 및 영향
2013년 12월, 일본의 첫 국가안전보장전략이 발표되었으며,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총리 아래 일본 안보 정책의 중앙 집중화를 목표로 한다.[8][5][7] 국가안전보장전략은 "일본을 둘러싼 안보 환경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 일본의 외교 및 안보 체제 강화를 위해 내각 전체가 노력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로 NSC 설립을 옹호한다.[8][5][7] 전문가들은 NSC 설립을 "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외교 및 안보 정책 기구의 가장 야심찬 개편"이라고 평가했다.
국가안전보장국(NSS)은 자위대의 장비 선정, 방위계획의 대강 및 중기방위력정비계획 책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오랫동안 방위성 내국(內局)의 문관 우위 체제(문민통제)로 인해 앞으로 나설 수 없었던 자위대의 제복조(制服組)가 NSS의 한 부분을 차지하여 정책 결정에 깊이 관여하게 된 것은 중대한 변화이며, NSS의 군사적 측면을 중시하는 아베 신조 총리의 의향과 냉전 이후 자위대가 해외 파병과 대미 협력 확대에 따라 “존재 중시에서 운용 중시”로 전환해 온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여겨진다.
2022년 12월 16일, 국가안전보장회의 및 각의에서 국가안전보장전략, 국가방위전략, 방위력정비계획을 결정했다.[45]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의 유행에 따라 2020년 1월 31일부터 긴급사태 대응 장관회의가 여러 차례 개최되었다.[44]
5. 한국에 대한 영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빈 텍스트를 출력합니다. 주어진 입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Japan Launches Its Own National Security Council
https://www.nippon.c[...]
Nippon.com
2013-12-25
[2]
웹사이트
Abe to take on intel-gathering taboos | the Japan Times
https://www.japantim[...]
2013-05-11
[3]
뉴스
Japan's lower house OKs bill to set up NSC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13-12-07
[4]
뉴스
Japanese 'NSC' scheduled to be launched next week
http://www.asianewsn[...]
Asian News Network
2013-11-28
[5]
뉴스
Japan to Form Own National Security Council
https://online.wsj.c[...]
2013-11-21
[6]
뉴스
Japan's NSC meets for first time, with ADIZ issue on agenda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13-12-04
[7]
웹사이트
Defense of Japan
https://www.mod.go.j[...]
Ministry of Defense (Japan)
2013-12-17
[8]
웹사이트
How Will Japan's New NSC Work?
https://thediplomat.[...]
2014-01-29
[9]
법률
国家安全保障会議設置法
https://elaws.e-gov.[...]
[10]
뉴스
Japan launches U.S.-style National Security Council
http://news.xinhuane[...]
Xinhua News Agency
2013-12-04
[11]
기타
[12]
뉴스
NSS経済班が発足式 菅官房長官「困難な任務、全力で」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0-04-06
[13]
웹사이트
Organizational Chart of the Ministry of Defense
https://www.mod.go.j[...]
[14]
웹사이트
「国家安全保障会議」について(「国家安全保障会議の創設に関する有識者会議」説明資料)
https://www.kantei.g[...]
内閣官房 国家安全保障会議設置準備室
2013-05-28
[15]
기타
[16]
기타
[17]
웹사이트
会議等一覧 > 事態対処専門委員会 事態対処専門委員会構成員
https://www.kantei.g[...]
[18]
법률
内閣法
[19]
웹사이트
内閣官房長官記者会見 2015年12月3日(木曜日) 英語版
https://japan.kantei[...]
[20]
웹사이트
内閣官房組織等英文名称一覧
https://www.cas.go.j[...]
内閣官房
[21]
기타
[22]
기타
[23]
뉴스
国家安全保障局:発足、初代局長・谷内氏に辞令
http://mainichi.jp/s[...]
2014-01-07
[24]
뉴스
首相 国家安全保障局の意義を強調
http://www3.nhk.or.j[...]
2014-01-07
[25]
뉴스
NSCの組織編成全容判明 部門長は防衛省3 外務2、警察1 内調とも連携
https://www.sankei.c[...]
2013-11-09
[26]
뉴스
【安倍政権考】NSS経済班が来月発足 背景にあるのは中国の台頭、米国と連携し対抗へ
https://www.sankei.c[...]
2020-03-17
[27]
뉴스
経済・外交・安保、官邸で一元化 政府 国家安保局に専門部署
https://www.nikkei.c[...]
2019-09-19
[28]
뉴스
経済安全保障 政府は企業と連携し国益守れ 読売新聞社説
https://www.yomiuri.[...]
2020-03-13
[29]
뉴스
国家安全保障局「経済班」発足 5G、サイバー攻撃、海洋資源争奪…新型コロナ対策も
https://mainichi.jp/[...]
2020-04-01
[30]
뉴스
別働隊超えた“第1外務省” NSC事務局 プーチン氏側近と会談 中国にも接触 ソウルで意見交換 隠密外交フル稼働
https://www.sankei.c[...]
2014-06-14
[31]
뉴스
中国にらみ質量とも拡大=新大綱、官邸主導-専守防衛、崩れる恐れ〔深層探訪〕
時事通信
2018-12-22
[32]
뉴스
<税を追う>歯止めなき防衛費(1)かすむ専守防衛 官邸主導で攻撃兵器選定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18-11-13
[33]
뉴스
政府、新合同庁舎を建設へ NSC事務局を移設
https://www.sankei.c[...]
2015-10-22
[34]
뉴스
菅長官激怒、すくむ経産省 報道対応、自ら突然の規制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04-22
[35]
뉴스
NSC、67人の実動部隊――国家安全保障局が始動、6つの「頭脳」、外務省が主導(永田町インサイド)
2014-01-26
[36]
웹사이트
国家安全保障局 顧問会議
http://www.cas.go.jp[...]
[37]
웹사이트
提言・防衛省改革(平成20年4月24日)
http://www.jimin.jp/[...]
自由民主党
2008-04-24
[38]
웹사이트
自由民主党政策パンフレット(重点政策2012)
http://jimin.ncss.ni[...]
自由民主党
2013-01-26
[39]
뉴스
日本版NSC、機運高まる 人質事件受け政府・与党内
https://www.nikkei.c[...]
2013-01-23
[40]
뉴스
日本版NSCが再浮上…危機管理体制見直しへ
https://web.archive.[...]
2013-01-23
[41]
뉴스
日本版NSC法案を閣議決定 官邸主導で安保政策立案へ
https://www.sankei.c[...]
2013-06-07
[42]
뉴스
日本版NSC、来週発足…設置法が成立
https://web.archive.[...]
2013-11-27
[43]
뉴스
日本版NSC発足 4日午後に防空圏問題など議論
https://www.nikkei.c[...]
2013-12-04
[44]
웹사이트
国家安全保障会議 開催状況
https://www.kantei.g[...]
[45]
웹사이트
国家安全保障戦略について {{!}} 内閣官房ホームページ
https://www.cas.go.j[...]
[46]
웹인용
일본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강화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 국방연구(안보문제연구소)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 KISS
https://kiss.kstudy.[...]
2024-03-13
[47]
웹인용
"일본판 NSC 사무국에 중국·북한 전담반 설치"
https://www.yna.co.k[...]
2024-03-13
[48]
웹인용
日 국가안보국에 경제반 출범…한일 수출규제협상 등도 주도
https://www.yna.co.k[...]
2024-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