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저분자량 헤파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저분자량 헤파린은 피하 투여가 가능하고, aPTT 모니터링이 불필요하여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치료,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항응고 요법, 암 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위험 감소 등에 사용되는 항응고제이다. 미분획 헤파린보다 약동학 및 항응고 효과 예측이 용이하며,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부작용으로는 출혈, 알레르기 반응, 주사 부위 반응 등이 있으며,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저분자량 헤파린은 다양한 해중합 방법을 통해 제조되며, 분자량, 항-Xa/항-IIa 활성 비율 등에서 종류별 차이가 있다. 신장 배설로 인해 신부전 환자에게는 사용이 제한된다.

```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파린 - 폰다파리눅스
    폰다파리눅스는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의 치료 및 예방에 사용되는 합성 오당류 Xa인자 억제 항응고제로서, 안티트롬빈 III에 결합하여 Xa인자를 중화시키고 헤파린과 유사한 효과를 내지만 트롬빈은 억제하지 않으며, 에녹사파린 대비 허혈성 사건 위험 감소에 효과적이고 출혈 위험이 낮지만 중증 신장 장애 환자에게는 금기이다.
  • 헤파린 - 에녹사파린
    에녹사파린은 불안정 협심증, 심부정맥 혈전증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저분자량 헤파린 계열의 항응고제이며, Xa인자를 불활성화시켜 항응고 효과를 나타낸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저분자량 헤파린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약물 정보
INN나드로파린
나드로파린 칼슘
유형항응고제
투여 경로주사
생체 이용률100%
분자량4-6 kDa
약리학적 특징
작용 기전항트롬빈 활성화
배설신장
단백질 결합높음
대사
대사 산물불명확
작용 발현 시간신속
소실 반감기3~6시간
작용 시간12시간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9041-08-1
ATC 코드B01AB06
PubChem CID5311158
DrugBankDB01213
화학 정보
분자식(C12H16NS3O17Na5)n
법적 규제 현황
법적 지위전문의약품

2. 의학적 사용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다양한 의학적 상황에서 사용되는 항응고제이다. LMWH는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폐색전증과 같은 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적이며, 특히 심혈관 질환과 암 관련 혈전증에 널리 사용된다.

LMWH는 피하 투여가 가능하고, aPTT 모니터링이 필요하지 않아 외래 환자 치료에 용이하다. 또한, 약동학과 항응고 효과가 예측 가능하여 미분획 헤파린보다 선호되는 경우가 많다.

신부전 환자의 경우에는 LMWH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항-Factor Xa 활성 모니터링이 유용할 수 있다.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는 LMWH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2. 1. 심혈관 질환

피하 투여가 가능하고 aPTT 모니터링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이전에 미분획 헤파린을 투여할 때에 반드시 입원이 필요했던 것과 달리 저분자량 헤파린은 외래 환자에게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폐색전증 치료 목적으로 처방이 가능하다.[52]

저분자량 헤파린은 그 약동학과 항응고 효과가 보다 예측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대량의 폐색전증[53] 또는 심부정맥혈전증 환자의 최초 치료에서 미분획 헤파린보다 사용이 권장된다.[53] 위약(플라시보) 군이나 조치를 취하지 않은 군과 비교했을 때, 입원한 환자에서 예방적으로 저분자량 헤파린이나 유사한 항응고제를 사용할 시 정맥색전혈전증, 특히 폐색전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54][55]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서 항응고제로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로 투여할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56][57]

2. 2. 암 관련 혈전증

암 환자는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높으며, 저분자량 헤파린은 이 위험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58] 악성 종양과 급성 정맥혈전색전증이 동반된 환자에서 달테파린이 와파린보다 재발성 색전증 발생을 막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11] 장기간 치료가 필요한 암 환자에게 처음 3~6개월 동안 저분자량 헤파린 사용이 권장되며, 여러 임상진료지침에서 표준 치료로 간주된다.[10]

2. 3. 기타

저분자량 헤파린은 신장 투석 환자의 카눌라 및 션트 개방성 유지에 사용될 수 있다.[10] 또한 장기간 침상 안정이 필요한 환자의 혈전 예방에도 쓰일 수 있다.

3. 금기증과 부작용

저분자량 헤파린(LMWH)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사항과 발생 가능한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저분자량 헤파린은 헤파린, 아황산염, 벤질 알코올 등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거나, 주요 출혈,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HIT) 병력, 콩팥 기능 저하(크레아티닌 청소율 < 30mL/min) 등의 경우에는 사용을 금한다.

흔한 부작용으로는 출혈, 알레르기 반응, 주사 부위 반응, 간 기능 검사 수치 증가 등이 있다.[61]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HIT)은 헤파린이나 저분자량 헤파린 사용 시 나타날 수 있는 혈소판 감소증이다.

3. 1. 금기증

저분자량 헤파린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사용을 금한다.

뇌나 위장관 등의 급성 출혈은 고용량 치료의 금기증이다.[60] 신부전 환자는 저분자량 헤파린의 생물학적 반감기가 길어질 수 있으므로,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30mL/min보다 작은 환자에서는 저분자량 헤파린을 사용하지 않는다.[60] 이런 경우 저분자량 헤파린 대신 미분획 헤파린을 사용하거나, 투여량을 줄이거나 항-Xa 활성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51]

3. 2. 부작용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출혈, 알레르기 반응, 주사부위반응, 간기능검사에서 효소 수치 증가 등이 있다.[61] 알레르기 반응에는 피부 발진, 가려움증, 두드러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주사 부위 반응에는 통증, 발적, 멍 등이 나타날 수 있다. 간 기능 검사 수치 증가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며 간 손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HIT)은 헤파린이나 저분자량 헤파린 사용 시 나타날 수 있는 혈소판 감소증으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3. 2. 1.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 (HIT)

헤파린이나 저분자량 헤파린을 사용했을 때 혈소판감소증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합병증을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이라고 한다.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형태로 알려져 있다.

  • '''제1형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은 면역 반응에 의해 매개되지 않는 가역적인 형태로, 임상적으로 경미하다.
  • '''제2형 헤파린 유도 저혈소판증'''은 드물지만 면역 반응에 의해 매개되는 중증 질환이다. 헤파린과 혈소판인자 4(PF4) 복합체를 인식하는 자가항체가 만들어져 발생하며, 혈전성 합병증과도 연관되어 있다.[61][13][37]


발생률은 정확히 추정하기 어려우나 미분획 헤파린 투여 환자의 5%, 저분자량 헤파린 투여 환자의 1% 정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61][13][37]

4. 작용 기전

혈액응고 연쇄반응은 혈관 손상으로 인해 많은 양의 혈액이 소실되거나 출혈이 멈추지 않도록 막는 정상적인 생리 반응이다. 그러나 혈액응고로 인해 원치 않은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오랜 기간 동안 움직이지 못하는 사람, 수술을 받았거나 암에 걸린 환자는 혈전 생성 위험이 높아져 심각한 위해가 될 수 있다.

혈액응고 연쇄반응은 단백질분해효소가 작용하여 반응물을 잘라내고, 그 결과 다음 단백질분해효소가 활성화되는 방식으로 여러 단계의 반응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50] 각 단백질분해효소가 여러 개의 다음 단백질분해효소 분자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생물학적 연쇄반응의 강도는 단계가 지날수록 점차 강화된다. 이러한 연쇄반응은 수용성 단백질인 피브리노겐이 불용성 물질인 피브린으로 변환되면서 끝난다. 피브린과 혈소판은 함께 안정적인 구조물인 혈전을 만든다.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세린단백질분해효소 억제 물질인 안티트롬빈(AT)에 결합하여 혈액응고 과정을 억제한다.

4. 1. 항응고 작용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세린단백질분해효소 억제 물질인 안티트롬빈(AT)에 결합하여 혈액응고 과정을 억제한다.[62] 저분자량 헤파린이 펜타사카라이드 서열을 통해 안티트롬빈에 결합하면 안티트롬빈의 형태가 변화하며, 활성화된 X인자(Xa인자)를 억제하는 속도가 올라간다.[62] 이후 안티트롬빈에서 해리된 저분자량 헤파린은 다시 다른 안티트롬빈 분자에 결합하여 더 많은 Xa인자를 억제할 수 있다. 헤파린에 의해 활성화된 안티트롬빈과 달리, 저분자량 헤파린에 의해 활성화된 안티트롬빈은 트롬빈(IIa인자)을 억제하지 못하고 오직 Xa인자만 억제할 수 있다.

저분자량 헤파린의 효과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PTT)이나 활성화 응고 시간(ACT) 검사로는 제대로 측정할 수 없다.[63] 대신 항-Xa인자 활성 검사를 통해 모니터링한다. 항-Xa 활성 검사는 환자의 혈장에 이미 양을 알고 있는 추가적인 재조합 X인자와 안티트롬빈을 첨가하여 측정한다. 만일 헤파린이나 저분자량 헤파린이 환자의 혈장에 존재한다면 안티트롬빈에 결합하여 X인자와 복합체를 이루고, 그 결과 X인자가 Xa인자로 변환되는 것을 억제한다.[64] 남은 Xa인자의 양은 혈장 내 헤파린 또는 저분자량 헤파린의 양에 반비례하며, 색소를 만드는 기질을 첨가하여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남은 Xa인자는 색소를 생산하는 기질을 절단하고, 색소가 방출되며 분광광도계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64] 환자가 안티트롬빈 결핍증이 있어도 검사 결과에는 영향이 없는데, 이는 추가적인 안티트롬빈이 반응에 투입되기 때문이다.[64] 결괏값은 Xa인자의 units/mL 단위로 주어지는데, 높은 값이 나온 경우 혈장 표본의 항응고 수준이 높다는 것이고 낮은 값은 항응고 수준이 낮다는 것을 뜻한다.[64]

저분자량 헤파린은 70 units/mL보다 큰 항-Xa 활성을 보이며, 항-Xa 활성:항-트롬빈 활성의 비율이 1.5보다 크다.[65]

LMWH평균 분자량항-Xa/항-IIa 활성 비율
베미파린36009.7
나드로파린43003.3
레비파린44004.2
에녹사파린45003.9
파르나파린50002.3
세르토파린54002.4
달테파린60002.5
틴자파린65001.6
표 1. 이용 가능한 저분자량 헤파린 상품들의 분자량과 항응고 활성 데이터.[66]


5. 제조 과정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헤파린을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분해(해중합)하여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저분자량 헤파린은 원래 헤파린보다 분자량이 작아 약효가 더 오래 지속되고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2][31]

또한, 저분자량 헤파린은 간단한 이당류로부터 화학-효소적으로 합성될 수도 있다.[20][45]

5. 1. 해중합 방법

저분자량 헤파린(LMWH) 제조에는 다양한 헤파린 해중합 방법이 사용된다.[2],[31]

해중합 방법관련 LMWH 제품비고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적 해중합아르데파린(Normiflo)
아질산 아밀을 이용한 탈아미노 분해세르토파린(Sandoparin)
헤파린 벤질 에스테르의 알칼리성 베타 제거 분해에녹사파린(Lovenox 및 Clexane)
Cu2+ 및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산화적 해중합파르나파린(Fluxum)
헤파리나제 효소에 의한 베타 제거 분해틴자파린(Innohep 및 Logiparin)
아질산을 이용한 탈아미노 분해달테파린(Fragmin), 레비파린(Clivarin), 나드로파린(Fraxiparin)



아질산을 이용한 탈아미노 분해는 생성된 올리고당의 환원 말단에 비자연적인 무수만노스 잔기를 형성한다. 이는 적절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차후 무수만니톨로 전환될 수 있다.

IdoA(2S)의 안히드로만노스는 안히드로만니톨로 환원된다.


마찬가지로, 화학적 및 효소적 베타 제거는 비환원 말단에서 비자연적인 불포화 우론산 잔기(UA)를 생성한다.

UA(2S)-GlcNS(6S)

5. 2. 구조적 특징

아질산을 이용한 탈아미노 분해는 생성된 올리고당의 환원 말단에 비자연적인 무수만노스 잔기를 형성한다. 이는 적절한 환원제를 사용하여 차후 무수만니톨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학적 및 효소적 베타 제거는 비환원 말단에서 비자연적인 불포화 우론산 잔기(UA)를 생성한다.[20]

6. 미분획 헤파린과의 비교

저분자량 헤파린(Low molecular weight heparins영어, LMWH)은 미분획 헤파린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점을 보인다. 우선, 평균 분자량을 비교해 보면 헤파린은 약 15 kDa인데 비해, LMWH는 약 4.5 kDa으로 더 작다.[25][33] 또한, LMWH는 신장 배설로 인해 신부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25]

6. 1. 장점

저분자량 헤파린(LMWH)은 분획되지 않은 헤파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 약동학적 특성이 더 예측 가능하다.
  • 피하 투여가 가능하여, 정맥 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해 헤파린보다 덜 빈번하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정맥 혈전색전증 치료 및 불안정 협심증 치료를 위해 하루 1~2회 피하 주사로 가능하다.
  • 고용량 헤파린과 달리 APTT 응고 매개변수를 자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26][34]
  • 출혈 위험이 더 적을 수 있다.
  • 장기간 사용 시 골다공증 위험이 더 적다.
  • 헤파린 유도 혈소판 감소증 위험이 더 작다.
  • 황산 프로타민으로 헤파린의 항응고 효과를 되돌릴 수 있지만, 프로타민이 LMWH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다.
  • LMWH는 헤파린보다 트롬빈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만, 제Xa인자에는 거의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

6. 2. 단점


  • 황산 프로타민으로 헤파린의 항응고 작용을 중화시킬 수 있지만, 저분자량 헤파린에 대한 프로타민의 중화 효과는 제한적이다.[25]
  • 신장 배설로 인해 저분자량 헤파린은 분획되지 않은 헤파린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부전 환자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25]

7. 제네릭 및 바이오시밀러

저분자량 헤파린의 상업적 특허가 만료된 후, 제네릭 또는 바이오시밀러 저분자량 헤파린이 판매될 수 있게 되었다.[27]

7. 1. 규제 현황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10년 7월에 최초의 "제네릭" 저분자량 헤파린을 승인했다. FDA는 환자에 대한 임상 연구 없이 제네릭 저분자량 헤파린의 진위성을 확립하기 위해 5가지 분석 및 약리학적 기준을 사용했다.[27]

규제 관점에서, FDA는 저분자량 헤파린 (뿐만 아니라 인슐린, 글루카곤, 소마트로핀)을 생물학적 물질에서 얻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네릭" 약물로 간주한다. 유럽 의약품청은 저분자량 헤파린을 생물학적 제제로 간주하므로, 그 규제 승인은 FDA와 다르게, 바이오시밀러로서 접근한다.[28][29]

8. 한국 내 현황 및 정책

저분자량 헤파린과 관련하여 현재 한국 내에서는 명확하게 언급되거나 진행된 내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참조

[1] 논문 Low-molecular-weight heparins 1997-09-00
[2] 논문 Production and chemical processing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1999-00-00
[3] 논문 Parenteral anticoagulants: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2-02-00
[4] 논문 Treatment of pulmonary embolism: The use of low-molecular-weight heparin in the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2008-03-00
[5] 논문 Manage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2007-02-00
[6] 논문 Prophylaxis against venous thromboembolism in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an evidence-based and practical approach http://tip.org.pl/pa[...] 2008-04-00
[7] 논문 Meta-analysis: anticoagulant prophylaxis to prevent symptomatic venous thromboembolism in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2007-02-00
[8] 논문 Enoxaparin in primary and facilitat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formal prospective nonrandomized substudy of the FINESSE trial (Facilitated INtervention with Enhanced Reperfusion Speed to Stop Events) 2010-02-00
[9] 논문 Intravenous low-molecular-weight heparins compared with unfractionated heparin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quantitative review of randomized trials 2007-12-00
[10] 논문 Low-molecular-weight heparin in cancer-associated thrombosis: treatment, secondary prevention, and survival 2007-06-00
[11] 논문 Low-molecular-weight heparin versus a coumarin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venous thromboembolism in patients with cancer 2003-07-00
[12] 논문 Meta-analysis: low-molecular-weight heparin and bleeding in patients with severe renal insufficiency 2006-05-00
[13] 논문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according to scientific evidence) 2006-06-00
[14] 논문 The heparins: all a nephrologist should know 2005-10-00
[15] 논문 Differentiating between the Low-Molecular-Weight-Heparin used for VTE treatment and prophylaxis 2008-00-00
[16] 웹사이트 Coagulation Tests http://www.enotes.co[...] 2010-04-05
[17] 웹사이트 Heparin Antifactor Xa Assay http://www2.massgene[...] 2009-09-18
[18] 논문 Low Molecular Mass FEPAFUNS 1991-10-00
[19] 논문 Heparin and low-molecular-weight-heparin 2008-00-00
[20] 논문 Chemoenzymatic synthesis of homogeneous ultra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2011-10-00
[21] 간행물 WHO Working Group on 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Unfractionated Heparin 1999-09-00
[22] 간행물 Guideline on non-clinical andclinical development of similar biological medicinal product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heparins 2009-03-00
[23] 논문 From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3-10-00
[24] 논문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differences between low-molecular-weight heparins: implications for prescribing practice and therapeutic interchange 2010-02-00
[25] 서적 Disease management Pharmaceutical Press 2004-00-00
[26] 논문 Heparin and low-molecular-weight heparin: mechanisms of action, pharmacokinetics, dosing, monitoring, efficacy, and safety 2001-01-00
[27] 논문 Overview on guidelines and recommendations for generic low-molecular-weight heparins 2011-00-00
[28] 논문 Update on the safety and bioequivalence of biosimilars - focus on enoxaparin 2013-00-00
[29] 논문 Safety and toxicity of biosimilars—EU versus US regulation 2013-00-00
[30] 논문 Low-molecular-weight heparins 1997-00-00
[31] 논문 Production and chemical processing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1999-00-00
[32] 논문 Parenteral anticoagulants: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2-00-00
[33] 서적 Disease management Pharmaceutical Press 2004-00-00
[3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chestjournal.[...] 2010-02-07
[35] 논문 Meta-analysis: low-molecular-weight heparin and bleeding in patients with severe renal insufficiency. 2006-05-02
[36] 저널 Parenteral anticoagulants: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http://journal.publi[...] 2012-02-01
[37] 저널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according to scientific evidence) 2006-06-01
[38] 저널 Heparin-induced thrombocytopenia: an overview https://linkinghub.e[...] 2002-03-01
[39] 저널 Intravenous low-molecular-weight heparins compared with unfractionated heparin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quantitative review of randomized trials 2007-12-01
[40] 저널 Differentiating between the Low-Molecular-Weight-Heparin used for VTE treatment and prophylaxis 2008-01-01
[41] 웹사이트 Coagulation Tests http://www.enotes.co[...] 2010-04-05
[42] 웹사이트 Heparin Antifactor Xa Assay http://www2.massgene[...] 2009-09-18
[43] 저널 LOW MOLECULAR MASS HEPAFUNS 1991-10-01
[44] 저널 Heparin and low-molecular-weight heparin http://www.thieme-co[...] 2008-01-01
[45] 저널 Chemoenzymatic Synthesis of Homogeneous Ultra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2011-01-01
[46] 간행물 WHO Working Group on 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Unfractionated Heparin WHO Headquarters, Geneva, Switzerland 1999-09-01
[47] 간행물 Guideline on non-clinical andclinical development of similar biological medicinal products containing Low-molecular-weight-heparins EMA/CHMP/BMWP 2009-03-01
[48] 저널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lert 1993-01-01
[49] 저널 Low-molecular-weight heparins 1997-09-01
[50] 저널 Production and chemical processing of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 1999-01-01
[51] 저널 Parenteral anticoagulants: Antithrombotic Therapy and Prevention of Thrombosis, 9th ed: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2-02-01
[52] 저널 Treatment of pulmonary embolism: The use of low-molecular-weight heparin in the inpatient and outpatient settings 2008-03-01
[53] 저널 Manage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and the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icians 2007-02-01
[54] 저널 Prophylaxis against venous thromboembolism in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an evidence-based and practical approach http://tip.org.pl/pa[...] 2008-04-01
[55] 저널 Meta-analysis: anticoagulant prophylaxis to prevent symptomatic venous thromboembolism in hospitalized medical patients 2007-02-01
[56] 저널 Enoxaparin in primary and facilitated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formal prospective nonrandomized substudy of the FINESSE trial (Facilitated INtervention with Enhanced Reperfusion Speed to Stop Events) 2010-02-01
[57] 저널 Intravenous low-molecular-weight heparins compared with unfractionated heparin in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quantitative review of randomized trials 2007-12-01
[58] 저널 Low-molecular-weight heparin in cancer-associated thrombosis: treatment, secondary prevention, and survival 2007-06-01
[59] 저널 Low-molecular-weight heparin versus a coumarin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venous thromboembolism in patients with cancer 2003-07-01
[60] 저널 Meta-analysis: low-molecular-weight heparin and bleeding in patients with severe renal insufficiency 2006-05-01
[61] 저널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enous thromboembolism. International Consensus Statement (guidelines according to scientific evidence) 2006-06-01
[62] 저널 Differentiating between the Low-Molecular-Weight-Heparin used for VTE treatment and prophylaxis 2008-01-01
[63] 웹사이트 Coagulation Tests http://www.enotes.co[...] 2010-04-05
[64] 웹사이트 Heparin Antifactor Xa Assay http://www2.massgene[...] 2009-09-18
[65] 저널 Low Molecular Mass FEPAFUNS 1991-10-01
[66] 저널 Heparin and low-molecular-weight-heparin 200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