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시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시채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전남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1년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무안군수, 광주시장, 전라남도 부지사를 역임했다. 제11, 12, 14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제48대 농림부 장관을 역임했다.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위원장, 국회농림수산회 위원장, 남북 국회회담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119 구조대 창안, 도서개발촉진법 제정, 5.18 수습대책위원회 창설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도군 출신 - 박지원 (1942년)
박지원(1942년)은 전라남도 진도군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김대중 정부 대통령비서실장 및 문화관광부 장관, 문재인 정부 국가정보원장을 역임했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 지원을 통해 정계에 입문하여 주요 당직을 맡았고 남북정상회담 성사에 기여했으나 대북 불법 송금 사건으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진도군 출신 - 박양수
박양수는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석사 출신으로 한국광물자원공사 사장을 역임하고 국민회의와 민주당에서 주요 당직을 맡았으며 제16대 총선에서 국회의원에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행정 전문가이다. - 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조봉암
조봉암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이자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농림부 장관,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진보당 사건으로 사형당했으나 2011년 재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 대한민국의 농림부 장관 - 최규옥
최규옥은 강원도 양구 출신으로 의료계와 정계에서 활동한 정치인이자 의사로, 신탁통치 반대 운동과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제헌 국회의원, 강원도지사, 농림부장관 등을 역임했다. - 나주 정씨 (丁)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 나주 정씨 (丁) - 정해창
정해창은 서울대학교 법학과 수석 졸업 후 검사로 임용되어 법무부 장관을 두 차례 역임한 법조인 및 정치인으로, 변호사 활동과 사회 활동을 통해 법조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정시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36년 4월 5일 |
출생지 | 젠란안도 (전라남도), 대한민국, 일본 제국 |
사망일 | 2023년 9월 6일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정치인 |
학력 | 전남대학교 |
경력 | |
정당 | 민주정의당 신한국당 |
국회 의원 | 대한민국 국회 의원 |
임기 시작 | 1981년 4월 11일 |
임기 종료 | 1988년 5월 29일 |
임기 시작1 | 1992년 5월 30일 |
임기 종료1 | 1996년 5월 29일 |
농림수산부 장관 | 농림수산부 장관 |
임기 시작2 | 1996년 12월 21일 |
임기 종료2 | 1997년 8월 5일 |
2. 학력
3. 경력
wikitext
연도 | 직책 및 활동 | 소속 정당 | 비고 |
---|---|---|---|
1961년 | 고등고시 행정과 합격 | ||
1969년 | 무안군수 | ||
1970년 ~ 1971년 | 전라남도 광주시장 | ||
1980년 ~ 1981년 | 전라남도 부지사 | ||
1981년 ~ 1985년 | 제11대 국회의원 | 민주정의당 | 초선 (전남 해남군·진도군) |
1985년 ~ 1988년 | 제12대 국회의원 | 민주정의당 | 재선 (전남 해남군·진도군) |
1986년 ~ 1987년 | 국회 예산결산위원회 위원장 | ||
1992년 ~ 1996년 | 제14대 국회의원 | 민주자유당 | 3선 (전남 진도군) |
1992년 | 국회 농림수산위원회 위원장 | ||
1996년 ~ 1997년 | 제48대 농림부 장관 | ||
(날짜 미상) | 광주대학교 특임강사 | ||
(날짜 미상) | 조선대학교 겸임교수 | ||
(날짜 미상) | 남북 국회회담 대표 | ||
(날짜 미상) | 전남 무안군 에덴노인요양원 설립 | ||
(날짜 미상) | 에덴노인요양원 이사장 |
4. 주요 의정 활동 및 업적
정시채는 대한민국 국회 의원 및 공직자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여러 업적을 남겼다. 주요 활동 및 업적은 다음과 같다.
- 도서개발촉진법 제정 주도 (1986년): 도서지역의 소득 증대와 복지 향상을 목표로 하는 법안 제정을 위해 5년간 노력하여 예결위원장 재직 시 통과시켰다. 이는 도서 지역 사업에 대한 정부 지원 확대를 가능하게 했다.
- 5.18 민주화운동 수습 노력: 전라남도 부지사 시절 5.18 수습대책위원회를 창설하여 시민과 정부 간의 중재 역할을 수행했다.[4]
- 농촌 근대화 기여 ('농로 천리 뚫기', 1969년): 무안군수로 재직하며 농촌의 주요 운송 수단 개선을 위해 농로 확장 및 포장 사업을 추진했다. 이는 이후 새마을 운동의 모델이 되기도 했다.
- 119 구조대 창안: 내무부 초대 소방국장으로서 119 구조대를 창설하여 국가 재난 대응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다.
- 지역 개발 사업 추진: 광양 컨테이너 부두 건설, 영산강 3단계 개발 사업, 무안 공항 개발, 목포 신외항 건설 등 지역 사회의 주요 기반 시설 확충 사업을 추진하는 데 기여했다.
4. 1. 도서개발촉진법 제정 (1986)
도서지역의 소득 증대와 복지 향상을 위해 마련된 법이다. 이 법의 핵심 내용은 도서지역 사업에 대해 육지보다 더 많은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정시채는 이 법안 통과를 위해 5년간 노력했으며, 예결위원장으로 재직하던 시기에 법안을 통과시켰다. 현재 진도에는 도서개발촉진법 제정을 기념하는 공적비가 세워져 있다.4. 2. 5.18 민주화운동 수습
전라남도 부지사 재직 중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나자 5.18수습대책위원회를 창설했다.[4] 이를 통해 시민과 정부 사이의 조율을 도왔다.4. 3. 농촌 근대화 기여
1969년 무안군수로 재직할 당시, 농촌 지역의 주요 운송 수단이 지게라는 점에 주목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과 주민 생활 편의 증진을 목표로 '농로 천리 뚫기' 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은 농로를 확장하고 도로를 포장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여, 농촌의 열악한 교통 환경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이후 박정희 정부에서 시행된 새마을 운동의 모델 중 하나가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4. 4. 119 구조대 창안
내무부 초대 소방국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119 구조대를 창안하여 국민 안전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였다.4. 5. 지역 발전 기여
정시채는 지역 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과 정책을 추진하는 데 기여했다.- 농로 천리 뚫기 (1969년): 무안 지역에서 주민들이 주로 지게를 운송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고, 농로를 넓히고 도로를 포장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이는 농촌 지역의 생활 기반을 개선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으며, 이후 새마을 운동의 모태가 된 정책 중 하나로 여겨진다.
- 도서개발촉진법 제정 노력: 섬 지역 주민들의 소득을 늘리고 생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서개발촉진법 제정을 추진했다. 이 법은 섬 지역 개발 사업에 정부 예산을 더 많이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정시채는 5년간의 노력 끝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법안 통과에 기여했다.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진도군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 주요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다음과 같은 대규모 지역 개발 사업 추진에도 관여했다.
- 광양 컨테이너 부두 건설 사업
- 영산강 3단계 개발 사업
- 무안 공항 개발 사업
- 목포 신외항 건설 사업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 종류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결과 | 비고 |
---|---|---|---|---|---|---|---|---|---|
1981 | 총선 | 11대 | 국회의원 | 전국구 | 민주정의당 | 5,776,624표 (35.6%) | 전국구 41번 | 당선 | 초선 |
1985 | 총선 | 12대 | 국회의원 | 전남 해남군·진도군 | 민주정의당 | 54,918표 (46.53%) | 1위 | 당선 | 재선 |
1988 | 총선 | 13대 | 국회의원 | 전남 해남군·진도군 | 민주정의당 | 25,302표 (24.19%) | 2위 | 낙선 | |
1992 | 총선 | 14대 | 국회의원 | 전국구 | 민주자유당 | 7,923,718표 (38.5%) | 전국구 15번 | 당선 | 3선 |
1996 | 총선 | 15대 | 국회의원 | 전남 해남군·진도군 | 신한국당 | 28,905표 (37.96%) | 2위 | 낙선 |
6.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생년월일 | 비고 |
---|---|---|---|
배우자 | 이금정 | 1936년 5월 6일 ~ 2016년 9월 14일 | [5] |
장남 | 정광석 | 1957년 ~ | |
차남 | 정광일 | 1959년 ~ | |
장녀 | 정인숙 | 1961년 ~ | |
삼남 | 정광성 | 1964년 ~ | |
사남 | 정광호 | 1974년 ~ | |
차녀 | 정윤성 | 1976년 ~ |
참조
[1]
웹사이트
정시채(丁時采)
https://rokps.or.kr/[...]
[2]
뉴스
정시채 前 농림부장관 별세
https://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23-09-08
[3]
뉴스
3선 의원 지낸 정시채 전 농림부 장관 별세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3-09-08
[4]
웹인용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http://www.cnu518.jn[...]
2021-09-09
[5]
문서
첫째 부인은 청주 한씨 한석례(1934년~?년 7월 10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