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로블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로블링은 1806년 프로이센에서 태어나 건축과 공학을 공부한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토목 기사로 활동했다. 그는 와이어로프를 발명하고, 앨러게니 도수로, 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 신시내티-코빙턴 다리 등 여러 현수교를 설계하고 건설하며 현수교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브루클린 다리 설계에 참여했으나 완공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과 며느리가 브루클린 다리 건설을 이어받아 1883년에 완공했다. 그의 업적은 금문교 건설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이름은 학교, 우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상풍으로 죽은 사람 - 히라가 겐나이
    히라가 겐나이는 에도 시대에 의사, 작가, 발명가, 화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인물로, 엘렉키텔 연구, 풍자 소설 및 정루리 작품 발표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며 과학 기술 발전에도 기여했으나 말년에 수수께끼에 싸인 채 생을 마감하여 현대에도 재해석되고 있다.
  • 파상풍으로 죽은 사람 - 요한 체르클라에스 폰 틸리 백작
    요한 체르클라에스 폰 틸리 백작은 1559년에 태어나 30년 전쟁에서 가톨릭 제후 연맹의 총사령관으로 활약했으며, 마그데부르크 약탈과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1632년 레히 강 전투에서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 미국의 토목공학자 - 존 암스트롱
    존 암스트롱은 아일랜드 출신으로 프랑스-인디언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한 미군 장군이자 토목 기술자, 펜실베이니아 주 의회 대표였으며, 키타닝 원정에서의 공훈으로 "키타닝의 영웅"이라 불렸고, 찰스턴 방어 성공, 대륙회의 대표 활동, 미국 헌법 지지, 디킨슨 대학 설립 기여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 미국의 토목공학자 - 렉스 틸러슨
    1975년부터 엑손모빌에서 근무하여 회장 겸 CEO를 지낸 미국의 기업인이자 정치인 렉스 틸러슨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역임하며 북한 핵 문제와 미중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으나 정책적 이견으로 해임되었다.
  • 뱃놀이 사고로 죽은 사람 - 퍼시 비시 셸리
    퍼시 비시 셸리는 급진적인 신념과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낭만주의 시대의 영국 시인이자 작가로서, 《서풍의 노래》, 《프로메테우스의 해방》, 《오지맨디아스》 등의 작품을 통해 낭만주의적 열정과 자유, 이상을 노래하며 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뱃놀이 사고로 죽은 사람 - 호세 페르난데스 (1992년)
    쿠바 출신 메이저 리그 야구 투수 호세 페르난데스는 2013년 내셔널 리그 신인왕을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았으나, 2016년 불의의 사고로 사망하여 그의 등번호 16번이 마이애미 말린스에서 영구 결번되었다.
존 로블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Roebling,
본명요한 아우구스트 뢰블링
국적프로이센미국
출생1806년 6월 12일
출생지프로이센 왕국 뮐하우젠
사망1869년 7월 22일
사망지미국 뉴욕
안장지리버뷰 공동묘지, 트렌턴, 뉴저지주
배우자요한나 헤르팅
자녀9명, 워싱턴 포함
친척에밀리 뢰블링 캐드왈러더 (손녀), 워싱턴 A. 뢰블링 2세 (손자), 도널드 뢰블링 (증손자), 폴 뢰블링 (고손자)
주요 업적브루클린 교
존 A. 뢰블링 현수교

2. 초기 생애와 교육

존 로블링(영어: John Roebling, 1806년 6월 12일 ~ 1869년 7월 22일)은 독일 태생의 미국 토목 기사이다. 본명은 요한 아우구스투스 뢰블링(독일어: Johann Augustus Röbling)이다.

뢰블링은 1806년 프로이센 왕국 뮐하우젠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수학과학에 재능을 보였으며, 에르푸르트에서 에프라임 살로몬 웅거에게서 수학과 과학을 배웠다.[1] 15세에 에르푸르트로 간 그는 1824년 측량사 시험에 합격하고 1년간 귀향했다.

1824년, 뢰블링은 베를린 건축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2학기 동안 건축공학을 공부했다. 마틴 프리드리히 라베에게 건축과 공학을, 요한 프리드리히 디틀라인에게 교량 건설 및 기초 건설을, 요한 알베르트 아이텔바인에게 수리학을 배웠다. 또한 여러 언어를 공부하고,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강의를 들으며 자연 철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2] 이후 그는 자신의 우주관에 대한 1000페이지 분량의 논문을 작업하기도 했다.[2]

어린 시절 뢰블링은 플루트피아노 연주를 즐겼고,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악곡과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시를 좋아했다. 또한 그림에도 재능을 보였으며, 9살 때 브루클린 다리와 같은 형태의 모형 다리를 만들기도 했다. 뢰블링이 성장한 뮐루즈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군대에 맞서 싸우던 시기로, 그곳에는 그가 설계한 다리가 남아있으며, 뮐루즈의 고딕 건축은 그의 미적 감각과 건축에 대한 영속성을 길렀다.[13]

2. 1. 독일에서의 초기 경력

뢰블링은 프로이센 왕국 뮐하우젠에서 요한 아우구스투스 뢰블링(Johann Augustus Röblingde)이라는 본명으로 태어났다. 그는 공립 학교와 가정 교사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베를린에 있는 왕립 공과 대학에서 건축, 다리 건설, 수력학, 언어, 철학 등을 전공하였다. 뢰블링의 어머니는 자녀들의 교육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여, 개인적인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지원하였다.[1] 1824년, 뢰블링은 측량사 시험에 합격하고 1년간 귀향했다가, 베를린 건축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2학기 동안 수학하였다. 그는 마틴 프리드리히 라베에게 건축공학을, 요한 프리드리히 디틀라인에게 교량 건설 및 기초 건설을, 요한 알베르트 아이텔바인에게 수리학을 배웠으며,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강의를 듣기도 했다.[2]

1826년 졸업 후, 뢰블링은 프로이센 정부의 토목 기사로 일하며 도로 건설에 참여했다.[3] 아른스베르크 지방에서 4년간 군사용 도로의 설계 및 건설 감독 업무를 맡았으며, 이 기간 동안 루르강과 레네강에 현수교를 건설하기 위한 스케치를 하기도 했다.[3] 하지만 당시 프로이센의 보수적인 관료 사회와 기술 혁신에 대한 제한적인 기회 때문에, 그는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지 못했다. 1829년 고향으로 돌아와 최종 논문을 작성하고 두 번째 엔지니어 시험을 준비했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시험을 보지 않았다.[3]

당시 독일은 1815년까지 이어진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로 경제가 불안정했고, 경력을 쌓기 어려운 환경이었다.[14] 뢰블링은 큰 다리를 건설하고 싶었지만, 당시 독일에서는 실현하기 어려웠다.[14] 이러한 상황 속에서, 뢰블링은 더 나은 기회를 찾아 1831년 형 카를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결심하게 된다.

3. 미국으로의 이민과 정착

1831년, 존 로블링은 형제 카를과 함께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와 정치적 불안정으로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던 독일을 떠나 미국으로 이민하여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했다.[14]

뢰블링 형제는 노예제를 반대하여 남부 지역 대신 독일계 이민자들이 많이 정착한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 도착하여 피츠버그로 향했다. 1831년 10월 28일, 펜실베이니아주 버틀러 카운티에 1,582에이커 (6.4제곱 킬로미터)의 토지를 구매하여 삭슨버그라는 독일인 정착촌을 건설했다.[4] 존 로블링의 집은 1976년 미국 국립 사적지에 등재되었다.[5]

뢰블링은 초기에는 농업에 종사했으나, 1837년 형 카를이 사망하고 첫 아이가 태어나자 다시 엔지니어로 직업을 바꾸었다. 그는 강 항해 개선과 운하 건설 프로젝트에 참여했고, 3년 동안 펜실베이니아주 해리스버그에서 피츠버그까지 앨러게니 산맥을 가로지르는 철도 노선 측량을 수행했다.

1840년, 뢰블링은 현수교 설계자 찰스 엘렛 주니어에게 편지를 보내 필라델피아 근처의 다리 설계를 돕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15]

3. 1. 와이어로프 발명과 사업

1840년대, 뢰블링은 기존의 삼 로프를 대체할 혁신적인 와이어로프를 발명했다. 그는 펜실베이니아 운하 담당 주 공무원들에게 "와이어로프"에 대한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시했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시도하는 데 주를 설득시켰다.[15] 뢰블링은 삭슨버그로 돌아와 와이어로프를 제조하고 공장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계 장치를 설계하였다. 그는 삭슨버그에서 와이어 로프를 생산하기 시작하여 현수교 및 포티지 철도와 같은 프로젝트에 사용했다.[4]

1841년, 뢰블링은 삭슨버그의 작업장에서 와이어를 개발했다. 당시 필라델피아에서 피츠버그로 가는 운하의 배는 앨러게니 포티지 철도라는 인클라인을 통해 대차에 실려 앨러게니 산맥을 넘어 반대편 수로까지 운반되었다. 대차 견인에는 9인치로 묶은 로프를 사용했는데, 로프 절단 사고가 자주 발생했다. 뢰블링은 독일 잡지에서 와이어 로프에 대해 읽었던 것을 떠올리고, 곧 와이어 로프 개발에 착수하여 심이 되는 와이어 주위에 엮어 촘촘하게 마무리하는 제조 방법을 개발했다.

로블링의 와이어로프는 마모에 저항하고 뛰어난 힘을 제공하면서도 더 작은 지름으로 만들 수 있었다. 얇은 로프는 다루기 쉬웠고,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었다. 아이러니하게도 로블링의 발명은 철도가 증기 엔진을 이용하고 인공 수로를 대체하면서 운하를 이용하는 시대의 말기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로블링의 와이어로프는 더욱 강하고, 작고, 오래가는 케이블이 삼으로 만들어진 로프를 대체하는 데 쓰이는 많은 다른 시장들을 찾았다.

로블링은 와이어 로프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 '''존 A. 뢰블링 앤 선스 컴퍼니(John A. Roebling & Sons Company)'''를 설립했다. 삭슨버그에서 공장을 운영한 지 몇 년 후, 로블링은 뉴저지주 트렌턴으로 사업을 확장하여 존 A. 로블링 앤 선스 컴퍼니, 트렌턴 N.J., 블록 3 대규모 산업 단지를 건설하고, 세대들을 위하여 가족 소유의 기업을 유지하였다. 이 단지는 로어 트렌턴 다리에 나타나는 트렌턴의 모토인 "트렌턴 메이크스, 세계 테이크스"의 영감이 되었다.

4. 현수교 설계와 건설

뢰블링은 와이어로프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현수교 설계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1844년부터 1850년까지 펜실베이니아 운하를 따라 물을 운반하는 여러 수로들을 건설하면서 현수교 기술을 활용했다.

1846년 뢰블링은 피츠버그에서 모논가헬라 강을 가로지르는 스미스필드 스트리트 교를 설계했다. 5년 후에는 뉴욕주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나이아가라강에 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를 설계하여 현수교가 다른 형태의 다리보다 더 먼 거리를 가로지를 수 있다는 장점을 증명했다.

1859년에는 앨러게니 강을 가로지르는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 6번가 다리를 완성했다. 총 길이는 314m였으며, 두 개의 주요 경간은 각각 105m, 두 개의 측면 경간은 각각 52m였다. 그의 아들 워싱턴 로블링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뢰블링의 주요 현수교 건설 업적은 다음과 같다.

다리 이름완공 연도위치특징
앨러게니 도수로1844년앨러게니 강7개의 경간, 각 경간 50m
스미스필드 스트리트 교1845년모논가헬라 강현수교
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1855년나이아가라강2층 구조, 철도 및 차량 통행, 단일 경간 251m
존 A. 로블링 현수교1867년오하이오 강완공 당시 세계 최장 현수교, 메인 경간 322m
피츠버그, 펜실베이니아 6번가 다리1859년앨러게니 강총 길이 314m, 2개의 주요 경간 105m


4. 1. 앨러게니 수도교와 초기 현수교

1844년 로블링은 앨러게니 강을 가로지르는 나무 운하 도수로를 앨러게니 도수로로 교체하는 입찰에서 승리했다. 그의 설계는 각각 50m의 7개 경간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경간은 물을 담는 나무 트렁크로 구성되었고 트렁크의 각 측면에 여러 개의 평행 와이어를 촘촘하게 감아 만든 연속 케이블로 지지되었다.[16] 이 공사로 로블링은 현수교 기술자로서의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1845년에는 피츠버그의 모논가헬라 강 위에 현수교인 스미스필드 스트리트 교를 건설했다.

4. 2. 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

1851년, 존 로블링은 뉴욕 센트럴 철도와 캐나다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를 연결하는 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를 나이아가라강에 설계하였다. 4년간의 공사 끝에 완공된 이 다리는 825피트(251m)의 단일 경간을 가지고 4개의 10인치(25cm) 와이어 케이블로 지지되는 2층 구조로, 철도와 차량 통행이 모두 가능했다.[17]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의 광고. 오른쪽 끝에 거더의 2층 구조가 보인다. 1876년.


4개의 철도가 사용했기 때문에 3방향으로 분기되어 있다.

4. 3. 신시내티-코빙턴 다리 (존 A. 뢰블링 현수교)

미국 남북 전쟁 중이던 1863년, 로블링은 1856년에 시작했다가 자금 부족으로 중단되었던 신시내티의 오하이오 강 위에 다리 건설을 재개하여 1867년에 완공하였다. 존 A. 로블링 현수교로 명명된 이 다리는 완공 당시 메인 경간이 약 322.17m로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였다.[17]

신시내티의 오하이오 강에 걸린 존 A. 로블링 다리.

5. 브루클린 다리 설계와 죽음

1867년 로블링은 그의 최대 역작인 브루클린 다리 설계를 시작했다. 이 다리는 뉴욕의 이스트 강을 가로질러 맨해튼브루클린을 잇는 다리였다. 로블링은 1857년 7월에 이미 맨해튼과 브루클린 사이를 잇는 다리 건설을 제안한 적이 있었으나, 프로젝트가 승인되고 로블링이 수석 엔지니어로 임명되기까지는 10년이 걸렸다.

1869년 7월 22일, 다리 건설 현장을 감시하던 중 로블링은 부두에 서 있다가 페리 보트에 발이 으깨지는 사고를 당했다.[7] 부상당한 발가락은 절단되었으나, 로블링은 더 이상의 치료를 거부하고 "수 치료" (상처에 물을 계속 붓는 것)로 발을 치료하려 했다. 그러나 며칠 후 상처가 감염되었고, 결국 로블링은 사고 3주 후 파상풍으로 사망했다.[7][8] 그는 트렌턴, 뉴저지의 리버뷰 묘지에 안장되었다.

로블링의 사망 이후, 그의 아들 워싱턴 로블링이 수석 엔지니어 자리를 이어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브루클린 다리의 완성' 참조)

5. 1. 브루클린 다리의 완성

1869년 존 로블링이 브루클린 다리 건설 현장에서 사고로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워싱턴 로블링이 수석 엔지니어 자리를 이어받았다.[7] 그러나 워싱턴 역시 강바닥의 케이슨에서 작업하던 중 잠수병을 앓게 되어 현장 지휘가 어려워졌다.[7] 이에 그의 아내 에밀리 워렌 로블링이 남편을 대신하여 사실상 수석 엔지니어 역할을 수행하며, 1883년 브루클린 다리를 완공하였다.[7]

브루클린 다리의 총 길이는 1마일(약 1.6km)이 넘는 약 1825.45m이며, 두 타워 사이의 거리는 약 1054.61m로 건설 당시 기록적인 거리였다. 다리의 폭은 약 25.91m이다. 4개의 큰 케이블이 각각 기슭에서 두 타워의 꼭대기까지 뻗어 있다. 각 케이블은 지름이 약 35.56cm이고 길이는 약 1090.57m이다. 타워는 강 표면 위로 약 84.12m 높이이다. 타워는 강바닥 아래의 두꺼운 바위인 도상에 닻이 내려져 있다. 동쪽 타워는 강물 표면 아래 약 13.41m 깊이에, 맨해튼 근처의 서쪽 타워는 강물 표면 아래 약 23.77m 깊이에 건설되었다. 차도는 최고점에서 강물 위로 약 36.27m 높이에 있어 증기선과 항해 선박이 모두 그 아래를 지나갈 수 있다. 브루클린 다리는 15년의 공사 기간을 거쳐 1883년 5월 24일 개통되었다.

6. 유산과 영향

뢰블링은 현수교 설계와 와이어로프 기술 혁신을 통해 근대 교량 건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는 "항상 평형을 만족시키지만 변형의 호환성은 적용하지 않는 평형 강도 접근법"을 고안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힘 방식과 유사한 근사 방법이다. 뢰블링은 고정 하중과 활하중을 계산한 다음, 그 하중을 케이블과 스테이 사이에 분배했다. 그리고 분배된 하중에 큰 안전율을 더해 힘을 계산했다. 이 접근법은 구조물이 결과적인 변형을 처리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연성하다는 가정 하에 구조의 정확한 분석을 제공했다.[9]

그의 업적은 미국의 산업 발전과 인프라 구축에 크게 기여했으며, 현대 교량 공학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뉴저지주 로블링에 있는 로블링 컴퍼니 공장 단지인 '''킨코라 워크스'''는 2010년에 박물관으로 문을 열었다. 이 박물관은 로블링 가문과 존 A. 로블링 앤 선스 컴퍼니의 이야기를 전한다.[9]

6. 1. 로블링 가문의 업적

로블링의 회사인 존 A. 로블링 앤 선스 컴퍼니는 1933년부터 1937년까지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 케이블 계약자로 알려져 있다.[9] 금문교는 로블링 사후에도 그의 발자취를 남긴 기술적 공학의 경이로운 산물이었다.

브루클린 다리 건설은 아들 워싱턴 로블링과 그의 아내 에밀리 로블링이 이어받아 완성했다. 셋째 아들 '''찰스 로블링'''은 80톤 와이어로프 기계를 설계, 발명했다. 또한 엘리베이터용 와이어 제조 공장도 설립했는데, 이곳이 현재 뉴저지주 플로렌스 로블링이다.

로블링의 손자 '''워싱턴 로블링 2세'''는 타이타닉 호 침몰 사고로 사망했다. 증손자 도널드 로블링은 LVT(미국 해군해병대수륙양용차) 발명가이자 사회 봉사자로 알려져 있다.

6. 2. 문화적 유산

뢰블링의 업적은 여러 방식으로 기념되고 있다. 그의 고향 뮐하우젠에는 그의 이름을 딴 "존-아우구스트-뢰블링-슐레"라는 학교가 있다.[13] 도이체 포스트는 뢰블링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여 우표를 발행했다.[13]

7. 주요 작품

John A. Roebling영어현수교 설계와 건설로 유명하며, 그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완공 연도이름위치길이비고
1844앨러게니 수도교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약 49.38m1861년 철거
1846스미스필드 스트리트 다리피츠버그약 57.30m1881–1883년 교체
1848래커왁센 수도교펜실베이니아주 래커왁센 강약 35.05m (경간 2개)7인치 (18cm) 케이블 2개,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1849로블링 델라웨어 수도교펜실베이니아주 래커왁센 - 뉴욕주 미니싱크 포드, 델라웨어 강약 40.84m (경간 4개)8인치 (20cm) 케이블 2개, 차량 및 보행자 통행로로 개조, 1965년과 1995년에 복원됨
1850하이 폴스 수도교약 44.20m (경간 1개)8½인치 (22cm) 케이블 2개[11]
1850네버싱크 수도교네버싱크 강약 51.82m (경간 1개)9½인치 (24cm) 케이블 2개
1854나이아가라 폭포 현수교뉴욕주 나이아가라 폭포 - 캐나다 나이아가라 폭포, 나이아가라 강250m
1859앨러게니 다리피츠버그105m
1866존 A. 로블링 현수교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켄터키주 코빙턴, 오하이오 강322m갑판 높이 30m
1883브루클린 다리뉴욕맨해튼 - 브루클린, 이스트 강486mJohn A. Roebling영어 사후 완공
1898오후엘라 다리 (Puente de Ojuela)멕시코 두랑고주 오후엘라 금광271.5m
1904리겔스빌 다리펜실베이니아주 리겔스빌 - 뉴저지주 리겔스빌, 델라웨어 강176m



*

분류:다리

분류:현수교

참조

[1] 간행물 John Augustus Roebling. http://www.immigrant[...] German Historical Institute 2014-05-15
[2] 서적 Washington Roebling's Father ASCE Press 2008
[3] 간행물 Roebling's Development to Being an Engineer Proceedings John A Roebling Symposium, ASCE 2006
[4] 서적 Historic Saxonburg and Its Neighbors
[5] 문서 NRISref
[6] 서적 Bridges and their Builders 1941
[7] 뉴스 John A. Roebling, the Engineer https://query.nytime[...] 1869-07-23
[8] 서적 The Great Bridge 1982
[9] 웹사이트 About Roebling Museum https://www.roebling[...]
[10] 웹사이트 NJ DEP - Historic Preservation Office New Jersey and National Registers of Historic Places http://www.nj.gov/de[...] New Jersey Historic Preservation Office 2016-09-23
[11] 웹사이트 D & H Canal Museum http://www.canalmuse[...]
[12] 서적 The Roeblings 1931
[13] 인용 デビッド・スタインマン 1950
[14] 웹사이트 http://www.bernd-neb[...]
[15] 서적 Bridges and their Builders 1941
[16] 웹사이트 画像あり。 http://www.invention[...]
[17] 웹사이트 http://pghbridges.co[...]
[18] 서적 The Great Bridge 198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