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저는 중국 송나라 출신으로, 고려 현종 때 귀화하여 외교 문서 작성 등 문필 활동을 하였으며, 1024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1005년 고려에 온 후 채충순의 추천으로 관직에 진출하여 현종의 피난 시 왕을 호위한 공으로 예부시랑, 중추원 직학사 등을 역임했다. 과거 시험 호명 방식 채택을 건의하고, 현화사비의 비문을 짓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예부상서를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24년 사망 - 하인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는 973년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와 부르군디의 기젤라 사이에서 태어나 100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자 1014년부터 황제를 지낸 오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로, 왕권 강화, 폴란드와의 전쟁, 이탈리아 원정, 교회와의 관계 속에서 신권적인 제국 통치를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작센 왕조가 단절되었고 1147년 시성되었다.
  • 1024년 사망 - 교황 베네딕토 8세
    교황 베네딕토 8세는 1012년부터 1024년까지 재위하며 사라센족과 노르만족에 대처하고 성직 매매를 억제했으며, 클뤼니 수도원 개혁을 지지하다가 형제 요한 19세에게 교황 자리를 물려주었다.
  • 고려의 남작 - 강민첨
    강민첨은 고려 전기의 문신이자 무신으로, 1018년 고려-거란 전쟁 당시 원수로서 귀주대첩에서 거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사후 태자태부, 문하시랑평장사로 추증되고 은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남작 - 김치양
    김치양은 고려 시대 인물로, 승려를 사칭하여 헌애왕후와 사통하고 목종 즉위 후 국정을 농단하다가 강조의 정변으로 처형되었으며, 그의 권력 남용은 고려 정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한국으로 귀화한 사람 - 나세
    나세는 원나라에서 귀화하여 고려 말 홍건적과 왜구 토벌에 기여하고, 진포 해전에서 왜선을 격파하는 등 활약하다가 조선 시대에 왜적을 막다 사망한 무관이다.
  • 한국으로 귀화한 사람 - 김충선
    김충선은 임진왜란 때 일본군으로 참전했으나 조선에 귀순하여 공을 세웠고, 조선의 문물을 흠모하여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출병에 명분이 없다고 여겨 귀순했으며, 이후 조선군과 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우며 공을 세워 김해 김씨 성과 김충선이라는 이름을 하사받고 화포와 조총 제조 기술을 조선에 전수하는 데 기여하는 등 조선의 안보에 공헌하였다.
주저
기본 정보
한글주저
한자周佇
일본어 (히라가나)しゅうちょ
로마자 표기 (문화관광부 2000년식)jujeo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식)chu chŏ

2. 생애

1005년(목종 8) 주저는 온주 출신으로 상인을 따라 고려에 왔다. 채충순이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왕에게 건의하여 예빈주부(禮賓主簿)로 임명받았다.[2][3] 이후 사헌부의 사유, 제고를 거쳐 1018년(현종 9) 우상시가 되었다.[11] 1021년(현종 12) 6월에는 한림학사 승지(承旨)가 되었고,[12] 같은 달에 숭문보국공신(崇文輔國功臣)·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상주국(上柱國)·해남현[13] 개국남(開國男)으로 봉해졌으며, 식읍 3백 호를 받았다.[14][3] 8월에는 〈현화사비〉의 비문을 지었다.[15] 1022년(현종 13) 예부상서가 되었고,[16] 1024년(현종 15) 7월 2일(음력 5월 24일)에 사망했다.[17]

2. 1. 귀화 및 관직 생활 초기

1005년(목종 8) 장삿배를 따라 고려에 왔다. 채충순이 그의 재주를 눈여겨보고 왕에게 건의하여 예빈주부(禮賓主簿)로 임명받았다.[2][3] 그 뒤 몇 개월도 안 되어 습유(拾遺) 벼슬을 받았고 마침내 제고(制誥)를 받았다.[3]

1011년(현종 2) 현종이 거란의 침입으로 남쪽으로 피난 갔을 때 하공진이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 뿔뿔이 도망쳤지만, 시랑(侍郞) 충숙(忠肅), 장연우, 채충순, 김응인 등과 함께 왕의 곁을 지켰다.[4] 이 공으로 몇 단계를 뛰어넘어 예부시랑(禮部侍郎), 중추원 직학사(直學士)가 되었다.[5][3] 또한 과거 시험에 호명(糊名)[6] 방식을 채택할 것을 건의했다.[7]

1013년(현종 4) 수찬관에 임명되었고,[8] 1014년(현종 5) 지공거로서 과거 시험을 주관했다.[9] 1015년(현종 6)에는 〈본국 입송 진봉 기거 표〉를 지었다.[10]

2. 2. 현종 시기 활동

1005년(목종 8) 장삿배를 따라 고려에 왔는데, 그의 재주를 눈여겨본 채충순이 왕에게 건의하여 예빈주부(禮賓主簿)로 임명받았다.[2][3] 그 뒤 몇 개월도 안 되어 습유(拾遺) 벼슬을 받았고 마침내 제고(制誥)를 받았다.[3]

1011년(현종 2) 현종이 거란을 피해 남쪽으로 피난을 갔을 때 하공진이 잡혔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가 뿔뿔이 도망쳤지만, 시랑(侍郞) 충숙(忠肅), 장연우, 채충순, 김응인 등과 함께 왕의 곁을 지켰다.[4] 이 공으로 그는 몇 단계를 뛰어 넘어 예부시랑(禮部侍郎), 중추원(中樞院) 직학사(直學士)가 되었다.[5][3] 또한 과거 시험에 호명(糊名)[6] 방식을 채택할 것을 건의했다.[7]

1013년(현종 4) 수찬관에 임명되었고,[8] 1014년(현종 5)에는 지공거로서 과거 시험을 주관했다.[9] 1015년(현종 6)에는 〈본국 입송 진봉 기거 표〉를 지었다.[10]

1018년(현종 9) 우상시(右常侍)가 되었으며,[11] 1021년(현종 12) 6월에는 한림학사(翰林學士) 승지(承旨)가 되었다.[12] 같은 달에 숭문보국공신(崇文輔國功臣)·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상주국(上柱國)·해남현(海南縣)[13] 개국남(開國男)으로 봉해졌고, 식읍 3백 호를 받았다.[14][3] 8월에는 〈현화사비〉의 비문을 지었다.[15]

1022년(현종 13) 예부상서(禮部尙書)가 되었고,[16] 1024년(현종 15) 7월 2일(음력 5월 24일)에 죽었다.[17]

3. 작품


  • 동인지문 사륙 수록

:** 〈본국 입송 진봉 기거 표〉

:** 〈진봉표〉

  • 현화사비

4. 전기 자료

주저에 대한 전기는 《고려사》 권94, 〈열전〉7에 실려 있다.[1]

참조

[1] 뉴스 주저(周佇)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 서적 고려사 1005
[3] 서적 고려사
[4] 서적 고려사 1011-01-03
[5] 서적 고려사 1011-01-29
[6] 문서 과거 시험지에 답을 쓴 사람을 알 수 없게 하는 것
[7] 서적 고려사 1011
[8] 서적 고려사 1013-09-27
[9] 간행물 고려사 1014-04
[10] 문서 이 표문은 동인지문 사륙 권2에 실려 있다
[11] 서적 고려사 1018-06-08
[12] 서적 고려사 1021-06-23
[13] 문서 〈현화사비〉에는 汝南縣으로 되어 있다.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 [[허난성]] [[주마뎬시]] [[루난현]]이다. 여남 주씨(汝南 周氏)는 중국에서 이름난 사람을 다수 배출했다. [https://baike.baidu.com/item/%E6%B1%9D%E5%8D%97%E5%91%A8%E6%B0%8F?fromModule=lemma_search-box 여남 주씨] 참조.
[14] 서적 고려사절요 1021-06
[15] 서적 고려사 1021-08-16
[16] 서적 고려사 1022-10-25
[17] 서적 고려사 1024-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