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흥원은 1529년에 태어나 1568년 증광문과에 급제한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지평, 장령, 정언, 집의, 사간 등을 거쳐 동래부사, 부평부사를 역임했으며, 이후 도승지, 병조참판, 대사헌,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영평부원군에 봉해지고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호성공신과 선무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사후 충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묘소 및 신도비는 파주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고, 보령 호국사에 배향되었다. 그의 증조부는 최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9년 출생 - 야마가타 마사카게
야마가타 마사카게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신겐의 측근이자 다케다 사천왕 중 한 명으로, 붉은 갑옷을 입은 정예 부대 아카조나에를 이끌고 용맹을 떨쳤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 1529년 출생 - 류조지 다카노부
류조지 다카노부는 센고쿠 시대 히젠국의 슈고 다이묘로, 몰락했던 류조지 가문을 재흥시키고 히젠 대부분을 정복했으나,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시마즈 씨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 삭녕 최씨 - 최명희
최명희는 1980년 등단하여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남원을 배경으로 한 대하소설 《혼불》로 주목받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삭녕 최씨 - 최병주
최병주는 일제강점기 법학부 졸업 후 대법관과 변호사를 지내고 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된 법조인이다. - 1603년 사망 -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1세는 헨리 8세의 딸로 잉글랜드 여왕으로 즉위하여 국교회를 정비하고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하는 등 잉글랜드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으며, 튜더 왕조의 마지막 군주로서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 1603년 사망 - 윌리엄 길버트
윌리엄 길버트는 엘리자베스 1세와 제임스 1세의 주치의였던 영국의 의사이자 과학자로, 전기와 자기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지구 자기학의 기초를 마련하고 과학 혁명에 큰 영향을 주었다.
최흥원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출생 | 1953년 11월 26일 |
사망 | 2023년 11월 2일 (향년 69세) |
본관 | 해주(海州) |
학력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
경력 | 법무법인 율촌 고문변호사 대한상사중재원 중재인 김앤장 변호사 법무법인 세종 파트너 변호사 사법연수원 12기 수료 |
종교 | 개신교 |
경력 | |
주요 경력 | 대법원 재판연구관 서울지방법원 판사 서울고등법원 판사 춘천지방법원 원주지원장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특허법원 수석부장판사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대법원 선임재판연구관 법원도서관 관장 사법연수원 원장 법무법인 율촌 고문변호사 |
상훈 | |
훈장 | 황조근정훈장 |
2. 생애
1529년에 태어나 1555년 소과를 거쳐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장령, 정언, 집의, 사간을 거쳐 동래부사, 부평부사를 겸임 중 효릉의 감역이 문제되어 파직되었다. 다시 승지로 기용되고 도승지, 병조참판, 대사헌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지중추부사, 영돈녕부사를 지내고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승진되었다.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에 봉해지고, 청백리(淸白吏)에도 록선(錄選) 되었으며, 청백비(淸白碑)도 하사(下賜)를 받았다. 호성공신 2등(扈聖功臣 二等)과,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 一等)에 책록(册錄) 되었다. 사후(死後)에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이다.
2. 1. 초기 생애
최흥원은 1529년에 태어났다. 1555년에 소과를 거쳐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장령, 정언, 집의, 사간을 거쳐 동래부사와 부평부사를 겸임하였다. 효릉의 감역 문제로 파직되었다가 승지로 다시 기용되었다. 도승지, 병조참판, 대사헌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했다. 지중추부사, 영돈녕부사를 지내고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에 봉해지고,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으며, 청백비(淸白碑)도 하사받았다. 호성공신 2등(扈聖功臣 二等)과,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 一等)에 책록(册錄) 되었다. 사후(死後)에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이다.2. 2. 관직 생활
1529년에 태어나 1555년 소과를 거쳐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장령, 정언, 집의, 사간을 거쳐 동래부사, 부평부사를 겸임 중 효릉의 감역이 문제되어 파직되었다. 다시 승지로 기용되고 도승지, 병조참판, 대사헌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지중추부사, 영돈녕부사를 지내고 병조판서를 역임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승진되었다.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에 봉해지고, 청백리(淸白吏)에도 록선(錄選) 되었으며, 청백비(淸白碑)도 하사(下賜)를 받았다. 호성공신 2등(扈聖功臣 二等)과,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 一等)에 책록(册錄) 되었다. 사후(死後)에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이다.2. 3. 정승 반열
최흥원은 1529년 태어나 1555년 소과를 거쳐 1568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지평, 장령, 정언, 집의, 사간을 거쳐 동래부사, 부평부사를 겸임 중 효릉의 감역 문제로 파직되었다가 다시 승지로 기용되었다. 도승지, 병조참판, 대사헌을 거쳐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지중추부사, 영돈녕부사를 지내고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까지 승진되었다.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에 봉해지고, 청백리(淸白吏)에도 록선되었으며, 청백비(淸白碑)도 하사받았다. 호성공신 2등(扈聖功臣 二等)과 선무원종공신 1등(宣武原從功臣. 一等)에 책록되었다. 사후(死後)에 시호(諡號)는 충정(忠貞)이다.2. 4. 공신 책봉
최흥원은 광국원종공신 2등, 호성공신 2등, 선무원종공신 1등, 위성공신 1등에 책봉되었다.3. 사후
wikitext
4. 묘소 및 관련 유적
- 최흥원 묘 및 신도비 파주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
- 최흥원 정려각
== 묘소 ==
최흥원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파주시 아동동에 있다. 2001년 12월 21일 파주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 최흥원 정려각 ==
최흥원 정려각은 최흥원 묘 및 신도비와 함께 파주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
== 배향 ==
보령(保寧) 호국사에 배향되었다.
4. 1. 묘소
최흥원 묘 및 신도비는 경기도 파주시 아동동에 있다. 2001년 12월 21일 파주시의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4. 2. 최흥원 정려각
최흥원 정려각은 최흥원 묘 및 신도비와 함께 파주시 향토유적 제9호로 지정되어 있다.4. 3. 배향
보령(保寧) 호국사에 배향되었다.5. 가계
증조부는 최항이다. 할아버지는 최영호(崔永灝)이며, 아버지 최수진(崔秀珍)과 어머니 이세신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권응창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최산립(崔山立)을 두었다.
6. 상훈 및 봉호
영의정에 제수되었고, 영평부원군(寧平府院君)으로 봉해졌다.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청백비가 하사되었다.
7. 호
최흥원의 호는 송천(松泉)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