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빙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빙어는 15cm 정도의 가늘고 긴 몸을 가진 식용 물고기로, 일본 홋카이도와 혼슈, 큐슈의 호수에서 주로 서식한다. 빙어는 순수한 민물, 염분이 있는 곳, 강과 바다를 회유하는 세 종류로 나뉘며, 수질 적응력이 뛰어나다. 식용으로는 구이, 국, 조림, 회 등으로 먹거나 튀김, 젓갈 등으로 가공하며, 낚시 대상어로도 인기가 많다. 하지만, 수질 오염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중금속 오염 논란이 있어 섭취에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다빙어과 - 유엽어
    유엽어는 버드나무 잎을 닮은 외형을 가진 12~18cm 크기의 회귀성 어류로, 일본 홋카이도 특정 지역에 분포하며 아이누 민족에게 신성한 존재로 여겨지지만, 최근 어획량 감소로 보호가 필요한 야생 생물로 지정되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바다빙어과 - 열빙어
    열빙어는 극북 해역에 서식하며 회유하는 멸치목 열빙어과 어류로, 식용으로 이용될 뿐 아니라 대서양 대구의 주요 먹이가 되는 중요한 어종이지만, 최근 남획으로 자원 고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빙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왜소어 성어 (70mm)
왜소어 성어 (70mm)
학명Hypomesus nipponensis
명명자McAllister, 1963
다른 이름서태공어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상강경골어상강
바다빙어목
바다빙어과
빙어속
빙어
보존 상태
IUCN 적색 목록LC (관심 필요)
평가 연도2021
참고 자료IUCN 적색 목록

2. 명칭

빙어는 지역에 따라 아마사기(산인 지방)[16], 오오와카, 코와카, 사이카치, 사기, 시라사기, 시로이오, 메소구리, 사쿠라우오[14] 등으로 불린다.

일본어로 "公魚"라고 쓰는 이유는 히타치 국아소 번이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에게 가스미가우라의 빙어를 연공으로 바쳐 공기 어용어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15]. 중국어로는 "西太公魚"라고 쓴다.

3. 특징

''Hypomesus chishimaensis''는 1997년 쿠나시르이투루프 호수에서 형태학적 차이점을 근거로 새로운 종으로 기술되었다. 이후 연구에서 이러한 형태학적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하여 ''H. nipponensis''의 생태형으로 간주되었다. 2007년 유전자 분석에서도 이러한 분류가 뒷받침되었으며, ''H. chishimaensis''에 자체 이명법 지정을 하지 않도록 권장했다.[8]

빙어는 몸이 가늘고 길며, 각 지느러미는 작다. 등지느러미 뒤에는 작은 기름지느러미가 있다.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약간 뒤에 붙어있어 근연종인 빙어와 구별할 수 있다.

3. 1. 신체적 특징

빙어는 식용이 가능한 물고기이며, 몸길이는 15cm 가량으로 가늘고 길다. 아래턱이 나오고 등지느러미 뒤쪽에 기름지느러미가 있다. 몸빛은 담회색 바탕에 황색을 띠고 몸 옆에 회색의 세로띠가 있다.[19]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약간 뒤에 붙어있어 근연종과 구별할 수 있다. 기름 지느러미가 큰 돌빙어라는 근연종도 있다.[19] 등쪽은 엷은 청색, 배쪽은 은백색이며, 측면에는 엷은 흑색의 세로띠가 있다.[14]

3. 2. 생태

빙어는 순수한 민물에 사는 종류, 염분이 어느 정도 섞여 있는 곳에서 사는 종류, 강과 바다를 회유하는 종류의 세 가지로 나뉜다. 에서 나온 어린 빙어는 몸길이가 약 3cm로 자라면 바다로 간다. 보통 바다에서 1년 정도 지나 몸길이가 10cm쯤 되면 다시 민물에 올라와 알을 낳는다.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1년 정도 자란 빙어는 1-2월경에 수심 20-30m의 바닥에 알을 낳아 모래나 물풀에 붙여 놓는다. 알은 수온 9°C 정도에서 25-30일 정도 지나면 부화한다. 어미는 알을 낳고 난 뒤 점차 여위다가, 5-6월경이 되면 체력이 회복되지만, 7-8월경에 죽는다. 그러나 20-30% 정도는 살아남아 다시 산란한다.[3] 빙어는 강가에서는 여름에는 수온이 낮은 깊은 곳에서 살아가며, 수온이 낮은 겨울에는 수면 가까이 올라온다.

빙어는 수질 적응 능력이 매우 뛰어나므로 수온만 맞으면 수질이 어떠해도 생존할 수 있다.

성장기에 바다로 내려가는 소하성 회유형(양측 회유형)[20]과, 평생 민물에서 생활하는 하천 잔류형(육봉형)이 존재한다. 동일 수역 내에서도 강하형과 잔류형이 존재하는 것이 아바시 호와 오가와라 호에서 보고되었다.[16] 소하성 회유형은 부화 후에 바다로 내려가지만, 일정 기간을 기수역에서 보낸다. 산란을 위해 하천을 거슬러 올라갈 때는 담수 순응을 하지 않고, 한 번에 거슬러 올라가 산란, 강하까지를 2시간 정도로 하고 있다는 연구가 있다.[21]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산란기는 겨울부터 봄에 걸쳐 있으며, 이 시기가 되면 큰 무리를 지어 하천을 거슬러 올라가, 담수 중의 물풀이나 마른 나무 등에 부착성의 알을 낳는다. 알의 직경은 1mm 정도이며, 한 마리의 산란 수는 1000립에서 2만 립[22]에 달한다. 수명은 대략 1년이며,[16] 산란을 마친 어미는 죽어버리지만, 홋카이도, 노지리 호, 니시나 삼호 등 한랭한 지역에서는 2년생, 3년생도 보인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요각류, 단각류 등의 동물 플랑크톤, 어란 및 치어 등을 포식한다. 한편, 물고기를 먹는 대형 어류 (배스, 블루길, 무지개 송어, 산천어 등)나 물가를 서식지로 하는 왜가리 등 조류에게 포식당한다.

부영양화 등의 수질 오염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그러한 호수에서 흔히 보인다. 수질이 양호하다는 것을 표현하려는 의도로 "빙어가 살 수 있는 ○○호(늪)"와 같은 해설이 있는 경우가 있지만, 오히려 "빙어밖에 살 수 없는"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다.

4. 분포

빙어는 태평양 쪽은 지바현 또는 이바라키현(가스미가우라) 이북, 동해 쪽에서는 시마네현(신지호) 이북의 북일본, 홋카이도가 원산지이다. 일본 이외에는 러시아 연방하바롭스크우수리강, 오호츠크해로 흘러드는 사할린의 하천, 베링해로 흘러드는 아나디리강[16]에 분포한다. 서식지는 내만(연안 해역), 기수역, 하천, 호수 등이다.

4. 1. 인위적 방류

일본 홋카이도, 일본의 호수와 강어귀가 원산지이며, 혼슈와 큐슈의 호수로 도입된 일본 열빙어는, 캘리포니아 주에서 토착 삼각 김(delta smelt)을 3개의 구릉 저수지에 도입하려다 실패한 후, 캘리포니아 주 어류 및 사냥 관리국에 의해 저수지에 더 많은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 도입되었다.[3][5] 1959년, 캘리포니아 주 어류 및 사냥 관리국은 도쿄 동쪽에 위치한 스와 호수에서 채취한 360만 개의 수정란을 야자 섬유 매트에 부착하여 수입했다. 이 중 많은 수가 도착했을 때 이미 죽어 있었다. 섬유 매트는 열빙어에게 생태적으로 적합해 보이는 6개의 호수와 저수지에 공급되는 개울에 배치되었다.[6] 1972년과 1973년에는 샤스타이나 저수지에서 약 77,000마리의 물고기가 플루마스 카운티의 알마노 저수지로 옮겨졌다. 열빙어 도입 시도는 도지 저수지와 빅 베어 저수지 도입을 제외하고 모두 성공했다.[3]

수질이 나쁜 상황이나 저수온, 염분에 대한 적응력이 넓고, 식용어로서의 수요도 높아, 일본 각지의 호수나 댐 등에서도 방류된 개체가 정착하고 있다. 1910년대[17]에 수산동물학자 아메미야 이쿠사쿠가 가스미가우라의 빙어를 야마나카 호, 스와 호, 아시노 호로 이식하여, 각지의 호소에 보급된 경위가 있다. 현재는 남서 제도이즈·오가사와라 제도를 제외한 전국으로 분포역을 넓히고 있다. 가고시마가 남한계로 여겨진다.

미국에서는 캘리포니아주로 이입되었으며, 재래의 근연종인 Hypomesus transpacificus|영어와 경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18].

5. 이용

일본 각지의 호수에서 어업으로 빙어가 잡히고 유통된다. 비와호, 오가와라호, 야마나카호, 가스미가우라, 기타우라, 시나지호, 스와호 등에서 어업이 이루어지며, 다른 수역에 방류하기 위한 알 채취용 어미 고기 포획도 이루어진다. 비와호에서는 11월 하순경부터 1월 하순경까지 여러 어법으로 빙어 어업이 이루어진다. 시나지호에서는 1994년을 기점으로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는데, 여름철 고수온이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원인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5. 1. 식용

빙어 간장 조림


빙어는 성장한 친어는 뼈가 굵고 단단하지만, 작은 것은 뼈도 가늘고 부드러워 통째로 먹을 수 있다. 신선도가 나빠지면 배가 터지기 쉽다. 맛이 섬세하기 때문에 간을 옅게 하는 경우가 있으며, 신선도가 떨어지기 쉬운 생선이지만 담백하고 맛있다.

구이, , 조림, 를 비롯해 튀김, 프라이, 가라아게, 마리네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14]

5. 1. 1. 한국 요리



빙어는 성장한 친어는 뼈가 굵고 단단하지만, 작은 것은 뼈도 가늘고 부드러워 통째로 먹을 수 있다. 신선도가 나빠지면 배가 터지기 쉽다. 맛이 섬세하기 때문에 간을 옅게 하는 경우가 있으며, 신선도가 떨어지기 쉬운 생선이지만 담백하고 맛있다.

구이, , 조림, 로 해 먹거나[14], 튀김, 프라이, 가라아게, 마리네, 남반, 튀김, 쓰쿠다니, 간장 조림으로 만들어 보존식으로도 한다. 신선한 것은 생선회로도 먹을 수 있다.

5. 1. 2. 해외 요리

빙어는 뼈가 가늘고 부드러워 통째로 먹을 수 있다. 신선도가 나빠지면 배가 터지기 쉬우며, 맛이 섬세하기 때문에 간을 옅게 하는 경우가 있다. 담백하고 맛있는 생선이다.[14]

구이, , 조림, 뿐만 아니라, 튀김, 프라이, 가라아게, 마리네 등으로 조리한다. 튀김이나 간장 조림으로 만들어 보존식으로도 이용하며, 신선한 것은 생선회로도 먹을 수 있다.[14] 영국에서는 빙어 튀김을 Whitebait 또는 Blanchbait(상품명)로 즐겨 먹는다. Whitebait는 다른 물고기 치어 요리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5. 2. 낚시

빙어 낚시는 얼음 위 구멍 낚시, 돔선 낚시, 보트 낚시, 뭍 낚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26] 채비는 세로 찌낚시의 사비키를 사용한 낚시 방법이 주류이며, 미끼는 구더기나 붉은 벌레가 자주 사용된다. 비와호에서는 12월부터 3월까지 야간에 산란을 위해 빙어 무리가 해안에 접근하기 때문에, 뜰채나 투망으로 잡을 수 있다.

일본 각지의 호수에서 어업으로도 빙어가 잡히고 유통된다. 비와호, 오가와라호, 야마나카호, 가스미가우라, 기타우라, 시나지호, 스와호 등에서 어업이 이루어지며, 다른 수역에 방류하기 위한 알 채취용 어미 고기 포획도 이루어진다. 비와호에서는 11월 하순경부터 1월 하순경까지 여러 어법으로 빙어 어업이 이루어진다. 시나지호에서는 1994년을 기점으로 어획량이 크게 감소했는데, 여름철 고수온이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원인으로 거론되기도 한다.

5. 2. 1. 얼음낚시

얼음낚시는 얼어붙은 호수 표면에 아이스 드릴(Ice Auger)이라는 전용 도구나 곡괭이, 스퍼드(spud) 등으로 지름 15-20cm 정도의 구멍을 뚫어 그 구멍을 통해 빙어를 낚는 것이다. 일본 겨울의 풍물시 중 하나로 꼽힌다.[27] 쇼와 시대 초기, 신슈 지방(나가노현)의 마쓰바라 호, 노지리 호, 야마나시현의 야마나카 호 등에서 낚시를 취미로 하는 사람들에 의해 "얼음 위 구멍 낚시"가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5. 2. 2. 기타 낚시 방법

빙어 낚시는 얼음 위 구멍 낚시, 돔선 낚시, 보트 낚시, 뭍 낚시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26] 채비는 세로 찌낚시의 사비키를 사용한 낚시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미끼는 구더기나 붉은 벌레가 자주 사용된다.

비와호에서는 12월부터 3월까지 야간에 산란을 위해 빙어 무리가 해안에 접근하기 때문에, 뜰채나 투망으로 잡을 수 있다.

나가노현의 노지리 호나 스와 호, 야마나시현의 야마나카 호나 가와구치 호 등에서는 난로를 갖춘 '돔선'이라고 불리는 배를 타고 배 바닥에 뚫린 구멍(쌍동선에 준하는 구조로 침수는 되지 않음)에서 낚시를 하는 유어도 행해지고 있다.

6. 논란

빙어는 멸종 위기 종인 델타 스멜트와 형태 및 생물학적 생활사가 매우 유사하여 몇 가지 위협을 가한다. 영양 자원 경쟁, 델타 스멜트 알과 유충 포식 가능성,[3] 잡종 형성으로 인한 종 희석 및 개체 수 감소 등이 제기된다. 야생에서 1세대 잡종이 발견되었지만, 생존 불가능을 시사하는 역교배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유전자 표지를 통해 종 오인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4]

빙어는 델타 스멜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비단연어 어업을 감소시켰지만, 다른 연어 및 송어 어업 성장률을 높였다.[10]

6. 1. 수질 오염

빙어는 수질 적응 능력이 매우 뛰어나므로 수온만 맞으면 수질이 어떠해도 생존할 수 있다.

2009년 2월 4일 KBS 소비자고발에서는 맑고 깨끗한 물에서만 산다는 인식 때문에 특히 빙어를 로 먹는 소비자들이 많지만, 빙어가 오염된 물에서도 잘 산다는 충격적인 제보를 다루었다. 방송에서는 농업용수로도 쓸 수 없을 만큼 오염된 물에서 빙어를 잡는 어부들을 보여주었고, 채취한 빙어에서 중금속수은비소가 검출되었다고 보도하였다.[31]

부영양화 등의 수질 오염에 대한 적응력이 높고, 그러한 호수에서 흔히 보인다. "빙어가 살 수 있는 ○○호(늪)"와 같은 해설은 수질이 양호하다는 것을 표현하려는 의도이지만, 오히려 "빙어밖에 살 수 없는"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경우도 있다.

6. 2. 중금속 오염

빙어는 1급수에서만 서식하는 어종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2009년 2월 4일 KBS 소비자고발에서 오염된 환경에서도 서식이 가능하다는 사실이 보도되어 큰 파장이 있었다.[31] 당시 방송에서는 맑고 깨끗한 물에서만 산다는 인식 때문에 빙어를 회로 먹는 소비자들이 많지만,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을 만큼 오염된 물에서 빙어를 잡는 어부들이 있으며, 채취한 빙어에서 중금속인 수은비소가 검출되었다고 밝혔다.[31]

참조

[1] IUCN Hypomesus nipponensis 2023-01-14
[2] FishBase
[3] 서적 Inland Fishes of Californ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2
[4] 학술지 Biochemical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population subdivision in morphologically similar native and invading smelt species (Hypomesus) in the Sacramento-San Joaquin Estuary, California 1998
[5] 서적 California Department of Fish and Game Biennial Report 1954–1956 https://archive.org/[...] Division of Fish and Game of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1956
[6] 학술지 Introduction of pond smelt from Japan into California Division of Fish and Game of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1962
[7] 학술지 Field Identification of Delta Smelt and Wakasagi 1995
[8] 학술지 Are Hypomesus chishimaensis and H. nipponensis (Osmeridae) distinct species? http://www.bioone.or[...]
[9] 학술지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al patterns within the smelt genus Hypomesus in the North Pacific Ocean
[10] 학술지 History and status of introduced fishes in California, 1871–1996 http://escholarship.[...]
[11] 웹사이트 西太公鱼 http://www.bioinfo.c[...] 中国科学院微生物研究所 2023-11-11
[12] 웹사이트 「ワカサギの生態と資源動向について」 https://www.hro.or.j[...] 地方独立行政法人北海道立総合研究所機構,水産研究本部 1990-11-16
[13] 학술지 洱海西太公鱼和太湖新银鱼生长特性及种群调控效果研究
[14] 서적 広辞苑 岩波書店 2008-01-11
[15] 간행물 土浦商工会誌 土浦商工会事務所 1937
[16] 학술지 【原著論文】耳石 Sr:Ca と採集調査から推定された宍道湖産ワカサギの回遊パターン
[17] 간행물 諏訪湖各種移航魚貝類の放流年次と各種の年間漁穫物量順位の推移
[18] 학술지 Comparative environmental tolerances of threatened delta smelt (Hypomesus transpacificus) and introduced wakasagi (H. nipponensis) in an altered California estuary
[19] 서적 フィールドベスト図鑑 日本の淡水魚 学習研究社 2000-08-04
[20] 간행물 網走湖産ワカサギ降海移動期の発育段階と栄養状態 http://www.fishexp.h[...]
[21] 학술지 岩手県閉伊川における遡河回遊型ワカサギの回遊履歴
[22] 학술지 ワカサギの抱卵数に就いて
[23] 웹사이트 わかさぎに関するご案内 http://www.suwakogyo[...] 諏訪湖漁業協同組合
[24] 웹사이트 ワカサギ産地レポート https://shigaquo.jp/[...] 滋賀県農政水産部 食のブランド推進課 2021-01-11
[25] 간행물 宍道湖におけるワカサギ資源の変動 http://www.pref.shim[...] 1996-10
[26] 웹사이트 内水面3魚種(アユ、渓流魚、ワカサギ)の遊漁の実態 https://www.suisan-s[...] 東京水産振興会 2021-01-11
[27] 서적 釣魚夜話 1942
[28] 뉴스 ワカサギ釣り船で小学生3人CO中毒 山梨・山中湖 https://web.archive.[...] 2012-12-24
[29] 뉴스 ワカサギ釣りでCO中毒 http://www.oita-pres[...] 2013-01-03
[3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10-20
[31] 웹사이트 감춰진 빙어의 진실 http://www.kbs.co.k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