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트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트인은 주로 아제르바이잔과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에 거주하는 이란계 민족이다. 타트족은 역사적으로 아제르바이잔 동부 지역에 상당수 거주했으나, 아제르바이잔어의 확산으로 인해 인구수가 감소했다. 타트어는 이란어군의 서남 이란어에 속하며, 아제르바이잔의 타트족은 주로 이슬람교 시아파를 믿는다. 타트족은 카펫 제작, 직조, 금속 공예 등 전통 예술이 발달했으며, 아제르바이잔인과 문화적으로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아제르바이잔의 민족 - 아르메니아인
    아르메니아인은 아르메니아 공화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거주하며, 기독교를 국교로 채택하고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를 중심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민족이다.
  • 이란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이란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러시아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러시아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타트인
기본 정보
아제르바이잔 아두르 출신 타트족 남성 (1880년)
1880년 사진,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현쿠바 우예즈아두르 마을 출신 타트족 남성 그룹
언어타트어, 아제르바이잔어, 러시아어
종교시아 이슬람(다수), 소수의 수니 이슬람
관련 민족다른 이란 민족, 아르메니아-타트족
인구 통계
아제르바이잔25,218명 (2009년)
러시아1,585명 (2010년)
명칭
타트어тат, тати, парси, даглы, лохиджихон
러시아어Та́ты
영어Tat people

2. 역사

타트족은 역사적으로 이란계 민족으로, 코카서스 지역, 특히 현재의 아제르바이잔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에 주로 거주해왔다. 이들의 조상은 고대 페르시아 시대부터 코카서스 지역과 관련을 맺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사산 제국 시대(3~7세기)에 남 코카서스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했을 가능성이 높다.[12] 중세 시대를 거치며 이 지역은 이슬람 세력과 튀르크족의 영향을 받았고, '타트'라는 명칭은 이 시기 페르시아계 정착민을 가리키는 튀르크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14] 이후 몽골 제국, 티무르 제국, 사파비 왕조 등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 러시아 제국러시아-페르시아 전쟁을 통해 코카서스 지역을 장악하면서[15] 타트족 사회는 큰 변화를 겪었다. 러시아의 정책과 아제르바이잔어의 확산으로 타트어 사용 인구가 점차 줄어들고, 많은 타트족이 아제르바이잔인으로 동화되기 시작했다. 특히 소비에트 시대에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심화되어 공식적인 인구 조사에서 타트족으로 자신을 밝히는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20][21] 그럼에도 불구하고, 21세기 초 조사에서도 여전히 상당수의 타트족이 아제르바이잔 내 특정 지역에 거주하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22]

2. 1. 고대와 중세

1886~1890년 아제르바이잔(당시 바쿠 주, 러시아 제국의 일부)의 타트족 분포


페르시아인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남긴 아케메네스 제국(기원전 558~330년)의 팽창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당시 아케메네스 제국은 트란스코카서스 (남 코카서스) 지역을 제국의 X, XI, XVIII, XIX 사트라프(속주)로 편입했다.[10] 현재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조지아에서 발굴되는 고고학 자료에는 아케메네스 건축 양식의 유물, 보석, 도자기 등이 포함되어 있어 당시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11]

아케메네스 시대 이후 남 코카서스 지역에 페르시아인이 영구적으로 거주했다는 직접적인 정보는 부족하다. 하지만 현대 타트인의 조상은 3세기부터 7세기 사이 사산 제국 시대에 이 지역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사산 제국은 남 코카서스 지역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도시를 건설하고 군사 주둔지를 설치했는데, 이때 페르시아계 주민들이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12] 사산 제국의 코스로 1세(재위 531–579)는 자신의 가까운 친척에게 동남 코카서스의 쉬르반 지역 통치권을 부여하며 '섭정' 칭호를 내렸다. 이 인물은 훗날 쉬르반샤 왕조(약 510년 – 1538년)의 시조가 되었다.[13]

7세기와 8세기에 걸쳐 이 지역은 아랍인에게 정복되었고, 이후 현지 주민들의 이슬람화가 시작되었다.

11세기부터는 셀주크 왕조의 지휘 아래 오구즈 부족이 이 지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아제르바이잔 민족의 점진적인 형성이 이루어졌다. 이때 농경 정착민을 가리키는 튀르크어 외래어인 '타트(Tat)' 또는 '타티(Tati)'라는 용어가 남 코카서스 지역의 페르시아계 방언 사용자들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14]

1230년대에는 몽골 제국이 남 코카서스를 정복했고, 1250년대에는 일칸국이 세워졌다. 몽골의 지배는 1360년대에서 1370년대까지 이어졌지만, 이 시기에도 저명한 시인과 과학자들이 배출되었다.

14세기 말, 남 코카서스는 중앙아시아의 정복자 티무르의 침략을 받았다. 15세기 말에는 쉬르반샤 국가가 상당한 세력을 회복하여 외교 및 경제 관계를 활발히 맺었다. 그러나 16세기 중반, 쉬르반샤 국가는 결국 멸망하고 남 코카서스 지역은 사파비 왕조가 통치하는 이란에 거의 완전히 편입되었다.

2. 2. 근대



18세기 말, 러시아 제국은 코카서스 지역에서 이란의 영향력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두 차례의 러시아-페르시아 전쟁(1804–1813년과 1826–1828년) 결과, 러시아는 골레스탄 조약과 투르크멘차이 조약을 통해 카자르 왕조 이란으로부터 남 코카서스와 북 코카서스 일부를 획득했다.[15] 이후 러시아 제국 정부는 타트족의 인구와 정착지에 대한 통계를 수집했다. 19세기 초 1804-1813년 전쟁 중 바쿠 시가 점령되었을 당시, 도시 인구 약 8,000명 전체가 타트족이었다.[16]

러시아는 새로 획득한 영토에서 이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책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정부는 종교가 아닌 공통 언어에 기반한 새로운 튀르크 정체성을 형성하고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 결과, 당시 미래의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영토에 거주하던 많은 이란계 주민들은 자신의 조상을 숨기거나 점차 동화되는 과정을 겪기 시작했다. 타트족과 쿠르드족은 이러한 통합 과정에 특히 빠르게 편입되었다.

19세기 아바스굴루 바키하노프가 쓴 ''골레스탄-에-에람''에 따르면, 당시 타티어는 샤마키, 바쿠, 다르반드, 구바의 여러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7] 바키하노프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 “타바라산에는 잘칸, 루칸, 마카티르, 카마흐, 리디얀, 호메이디, 마타이, 빌하디 등 8개의 마을이 있습니다. 이들은 아누시르반이 다르반드 성벽 근처에 지은 도시의 주변에 있습니다. 그 잔재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그들은 타트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고대 페르시아어의 언어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파르스에서 온 사람들이며 그 파괴 이후 그 마을에 정착한 것이 분명합니다. ..샤마키와 쿼딜(현재는 코베 도시) 사이의 지역에는 시르반의 호즈, 라헤지, 코슌루와 쿼베의 바르마크, 세쉬파레, 보두크의 하부와 투르크멘족 6개 마을을 제외한 바쿠의 모든 지역이 타트어를 사용하며, 이들은 파르스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입니다.”[18]

1894년 ''코카서스 달력''에 따르면 코카서스 지역에는 124,693명의 타트족이 거주했으나,[19] 아제르바이잔어의 점진적인 확산으로 타티어 사용은 감소했다. 소비에트 시대인 1930년대 후반 공식적으로 '아제르바이잔인'이라는 용어가 도입된 후, 타트족의 민족적 정체성은 크게 변화하여 많은 이들이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인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1926년 인구 조사에서는 약 28,443명의 타트족이 집계되었지만,[20] 1989년 조사에서는 불과 10,239명만이 자신을 타트족으로 인식했다.[21]

2005년 미국 연구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구바, 데베치, 키지, 시아잔, 이스마일리, 셰마하 지역 여러 마을에 15,553명의 타트족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2. 3. 현대



18세기 말부터 러시아 제국은 코카서스 지역에서 이란의 영향력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두 차례의 러시아-페르시아 전쟁(1804–1813년과 1826–1828년) 이후, 러시아는 골레스탄 조약과 투르크멘차이 조약을 통해 카자르 왕조 이란으로부터 남 코카서스와 북 코카서스 일부를 획득했다.[15] 이 시기 러시아 차르 정부는 타트족의 수와 정착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초 1804–1813년 전쟁 중 바쿠 시가 점령되었을 때, 도시 전체 인구(약 8,000명)는 타트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16]

러시아는 새로 정복한 영토에서 이란의 영향력을 제거하려는 정책을 추구했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 정부는 이전의 종교적 정체성과는 대조적으로, 공통 언어에 기반한 새로운 튀르크 정체성을 만들고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 결과, 당시 미래의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영토에 거주하던 많은 이란계 주민들은 자신들의 이란계 조상을 숨기거나 점진적인 동화 과정을 겪기 시작했다. 타트족과 쿠르드족은 이러한 통합 과정을 특히 빠르게 겪었다.

19세기 학자 아바스굴루 바키하노프가 저술한 ''골레스탄-에-에람''에 따르면, 타트어는 샤마키, 바쿠, 다르반드, 구바의 여러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17] 바키하노프는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

“타바라산에는 잘칸, 루칸, 마카티르, 카마흐, 리디얀, 호메이디, 마타이, 빌하디 등 8개의 마을이 있습니다. 이들은 아누시르반이 다르반드 성벽 근처에 지은 도시의 주변에 있습니다. 그 잔재가 아직 남아 있습니다. 그들은 타트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고대 페르시아어의 언어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파르스에서 온 사람들이며 그 파괴 이후 그 마을에 정착한 것이 분명합니다. ..샤마키와 쿼딜(현재는 코베 도시) 사이의 지역에는 시르반의 호즈, 라헤지, 코슌루와 쿼베의 바르마크, 세쉬파레, 보두크의 하부와 투르크멘족 6개 마을을 제외한 바쿠의 모든 지역이 타트어를 사용하며, 이들은 파르스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입니다.”[18]


1894년 ''코카서스 달력''에 따르면 코카서스 지역에는 124,693명의 타트족이 거주했지만,[19] 아제르바이잔어가 점차 확산되면서 타트어 사용은 줄어들었다. 소비에트 시대인 1930년대 후반에 '아제르바이잔인'이라는 공식 용어가 도입된 후, 타트족의 민족적 자의식은 크게 변화했고 많은 이들이 스스로를 아제르바이잔인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1926년 인구 조사에서는 약 28,443명의 타트족이 집계되었지만,[20] 1989년 조사에서는 단 10,239명만이 자신을 타트족으로 인식했다.[21]

2005년 미국 연구자들의 조사에 따르면,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구바, 데베치, 키지, 시아잔, 이스마일리, 셰마하 지역 여러 마을에 15,553명의 타트족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3. 인구 분포

타트족은 역사적으로 코카서스 지역, 특히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동부와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등지에 주로 분포해왔다. 과거 상당한 인구를 유지했으나[7], 이후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인구가 크게 감소하였고 현재는 동화 위기에 직면해 있다.

타트인이 사용하는 언어는 이란어군의 서남이란어파에 속하는 타트어이다.[37] 이 언어는 다게스탄 공화국의 14개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으며,[38] 산악 유대인이 사용하는 유대 타트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편, '타트인'이라는 명칭은 여러 집단을 가리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원래 "타트"는 튀르크어에서 "비(非) 튀르크인", 특히 "이란계 정주민"을 의미하는 일반적인 용어였다.[37] 이 때문에 코카서스의 타트인 외에도, 이란 북서부에 거주하며 서이란어군 북서이란어파에 속하는 Tati language (Iran)|타티어영어를 사용하는 Tat people (Iran)|타트인영어이 존재한다. 이들의 언어는 코카서스 타트인의 언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또한, 타트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인의 한 분파 역시 Armeno-Tats|타트인영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타트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3. 1. 아제르바이잔

라히크의 늙은 타트족 여성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타트족은 아제르바이잔 동부 지역 전체 인구의 약 11%를 차지했다(바쿠 현의 인구 통계 참조). 특히 바쿠 지역 인구의 거의 5분의 1(18.9%)을 차지했고, 카스피 해 연안의 쿠바 구 지역 인구의 4분의 1 이상(25.3%)을 차지할 정도로 상당한 비중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오해, 데이터 조작, 또는 동화 과정 등을 거치면서 아제르바이잔 인구에서 타트족의 비중은 크게 줄어들었으며, 현재는 동화 위기에 직면해 있다.

시대별 인구 조사 결과는 타트족 인구의 급격한 감소를 보여준다.

타트족 인구 조사 결과[7]
연도조사 지역전체 타트족 인구아제르바이잔 지역
(바쿠 현 / 아제르바이잔 SSR)
다게스탄 지역
(다게스탄 주 / 다게스탄 ASSR)
비고
1886-1892년러시아 제국 코카서스124,683명118,165명3,609명
1897년러시아 제국95,056명89,519명2,998명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
1926년소련28,705명28,443명1,237명1926년 소련 인구 조사
1979년소련22,441명8,848명7,437명1979년 소련 인구 조사



특히 1926년 소련 인구 조사에서는 타트족의 상당수가 "페르시아인"이나 "아제르바이잔 투르크인"으로 잘못 분류된 것으로 지적된다.[8] 당시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약 38,327명이 "타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투르크인"이라는 모호한 분류로 기록되기도 했다.[9] 이러한 통계상의 변화는 실제 인구 감소와 더불어 타트족의 정체성이 희미해지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2. 러시아



러시아의 타트족은 주로 다게스탄 공화국데르벤트, 마하치칼라 등지에 거주하며, 그 수는 약 1만 5천 명 정도로 추산된다.

역사적으로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절의 인구 조사를 통해 타트족 인구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 1886년부터 1892년 사이에 실시된 차르 시대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러시아 제국 코카서스 지역 전체 타트족 124,683명 중 다게스탄 주에는 3,609명이 거주했다.[7]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서는 다게스탄 주에 거주하는 타트족이 2,998명으로 기록되었다.[7]

소련 시대에 들어 1926년 소련 인구 조사에서는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다게스탄 ASSR)에 1,237명의 타트족만이 집계되었다.[7] 아서 추치예프는 이 시기 인구 조사에서 상당수의 타트족이 "페르시아인"이나 "아제르바이잔 투르크인"으로 잘못 분류되었을 가능성을 지적한다.[8] 1979년 소련 인구 조사에서는 다게스탄 ASSR의 타트족 인구가 7,437명으로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7]

다음은 러시아 내 타트족 인구 변화를 인구 조사 기준으로 정리한 표이다.

연도지역인구비고
1886-1892다게스탄 주3,609명[7]러시아 제국 시기
1897다게스탄 주2,998명[7]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
1926다게스탄 ASSR1,237명[7]1926년 소련 인구 조사. 일부 타트족이 다른 민족으로 분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됨.[8]
1979다게스탄 ASSR7,437명[7]1979년 소련 인구 조사


4. 언어

타트인은 이란어군의 서남이란어파에 속하는 타트어를 사용한다.[37] 타트어는 고유 문자가 없어 문자 언어 사용 시에는 아제르바이잔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등을 사용한다. 타트어는 다게스탄 공화국의 14개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다.[38] 또한 산악 유대인이 사용하는 유대 타트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4. 1. 방언

타트어를 사용한다. 타트어는 고유 문자가 없어 문자 언어 사용 시에는 아제르바이잔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 등을 사용한다.

아제르바이잔과 다게스탄 남부 타트족 대다수는 튀르키예어에서 유래한 이름인 ''타티'' 또는 ''타트''를 자칭으로 사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지역별 자칭도 존재한다:[23]

  • 파르시: 압셰론 지역의 타트족은 오늘날까지 자신들을 '파르시'라고 부르며, 자신들의 언어를 '주반 파르시'라고 칭한다. 이 용어는 중세 페르시아어로 페르시아인을 지칭하는 ''Pārsīk''과 관련이 있으며, 신 페르시아어 시대에는 마지막 자음이 사라지면서 민족명이 ''Pārsī''가 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의 일부 페르시아어 사용 집단과 인도의 조로아스터교도(파르시족) 또한 '파르시'라는 용어를 자칭으로 사용한다.
  • 로히존: 이스마일리 지역의 타트 정착촌 라히치 주민들은 자신들을 마을 이름을 따서 '로후지'(복수형 '로히존')라고 부른다. 라히치는 약 1만 명의 주민이 사는 가장 큰 타트족 마을이다. 이 마을의 고립은 지역 주민들이 외부 세계와 접촉하는 것을 막았고, 그들만의 고립된 자칭을 낳았다. 1910~20년대 라히치에서 이주해온 후손인 로히존의 작은 공동체가 조지아 카헤티 주의 동부 곰보리 마을에 살고 있다. 그들은 아제르바이잔인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아제르바이잔어를 주 언어로 사용한다.[24] 2020년 기준으로 약 150명 정도 남아있다.[25]
  • 다글리: 히지 지역과 데베치 및 시야잔 지역의 일부 타트족은 자신들을 위해 또 다른 튀르키예어 이름인 ''다글리''(산악인)를 사용한다. 아제르바이잔 투르크어의 확산으로 인해 ''다글리''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고, 지역 타트족도 스스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1990년 12월 14일, 타트어, 역사 및 민족지 연구 및 발전을 위한 ''아제리'' 문화 교육 협회가 아제르바이잔 SSR 법무부의 이사회에 의해 설립되었다. 타트어의 기초 교재와 교과서가 문학 및 민속 작품과 함께 출판되었다.

4. 2. 다른 타트어 사용 집단

타트어는 과거 동부 남캅카스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20세기까지는 무슬림 타트인 외에도 산악 유대인, 일부 아르메니아인과 우디인 등 비무슬림 집단도 사용했다.[29] 이로 인해 일부에서는 이들 집단이 서로 다른 종교를 믿지만 실제로는 단일 민족이라는 오해가 생기기도 했다.

산악 유대인은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유대인 공동체로, 이란, 이스라엘,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에 거주한다. 북캅카스와 오늘날의 아제르바이잔 지역 유대인들은 19세기 러시아 공식 문서에서 '산악 유대인'으로 분류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스스로를 Juhuro|유후로jdt, 즉 "유대인"이라고 부른다.

1888년 A. Sh. 아니시모프는 산악 유대인과 타트족의 언어적 유사성을 지적하며, 산악 유대인이 원래 이란에서 온 타트족이었으나 유대교를 받아들인 후 남캅카스로 이주한 후손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소련 시대에 정치적으로 이용되었다. 특히 1930년대에는 산악 유대인의 유대인 정체성을 약화시키려는 의도와 맞물려, 이들이 실제 유대인이 아니라 유대교를 받아들인 타트족이라는 생각이 정권과 가까운 일부 산악 유대인들에 의해 퍼져나갔다. 일부 산악 유대인들은 당국의 압력으로 스스로를 타트족으로 등록하기도 했다.

그 결과, '타트족'과 '산악 유대인'이라는 용어가 거의 동의어처럼 사용되었고, 연구 문헌에서도 '타트족'이 산악 유대인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쓰이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산악 유대인들이 창조한 문학, 연극, 음악 등 문화 유산이 타트족의 것으로 잘못 귀속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러나 타트족과 산악 유대인은 언어, 신체-인류학적 특징, 유전적 특성 등 여러 면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별개의 민족 집단이다.

  • 언어: 산악 유대인이 사용하는 주후리어는 고대 페르시아어의 특징을 보존하면서도 히브리어아람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 특히 종교 의례와 직접 관련 없는 어휘(예: zoft|조프트jdt 수지, nokumi|노쿠미jdt 질투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문장 구조에서도 히브리어의 영향을 보인다. 이는 타트족의 언어와는 다른 특징이다.
  • 신체 인류학: 1913년 인류학자 K.M. 쿠르도프의 연구를 비롯한 여러 측정 결과[30][31], 타트족은 머리 형태가 중두형이나 장두형인 경우가 많은 반면, 산악 유대인은 극단적인 단두형이 전형적이다. 피부 능선 분석 결과 역시 두 집단 간의 민족적 유사성을 뒷받침하지 않는다.
  • 유전학: 2012년 다게스탄의 유대-타트 방언 사용자와 무슬림-타트 방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유전자 표지 비교 연구 결과, 두 집단은 서로 독립적인 인구 통계학적 역사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32]


결론적으로, 산악 유대인과 타트족은 사용하는 언어, 종교, 민족 의식, 스스로를 부르는 명칭, 생활 방식, 물질적 및 정신적 가치 등 모든 면에서 구분되는 서로 다른 민족이다.[33]

또한, 19세기와 20세기 일부 문헌에서는 남캅카스의 특정 타트어 사용 마을 주민들을 '아르메니아 타트인', '아르메노-타트인', '기독교 타트인' 등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동남캅카스의 페르시아계 주민 일부가 아르메니아 기독교를 받아들였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는 해당 주민들이 스스로를 아르메니아인으로 강력하게 인식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 동방 문화권에서는 종교 개종이 민족 정체성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이다.[34] 타트어를 사용하는 이들 아르메니아인들의 방언에는 아르메니아어의 음운, 어휘, 문법적 특징 및 차용어가 남아있다. 특히, 일반적인 타트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아르메니아어 고유의 파찰음(ծ, ց, ձ)이 이란어 계통 단어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르메니아어의 영향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비록 언어적으로는 타트어를 사용하게 되었지만, 이들은 자신들의 민족 정체성을 확고하게 유지했다. 스스로를 Hay|하예hye(아르메니아인을 의미)라고 칭하며, 주변의 무슬림(타트인과 아제르바이잔인을 통칭)과 명확히 구분하는 "우리 대 그들"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란 북서부에는 이란어군의 서북이란어파에 속하는 타티어를 사용하는 이란의 타트인이 존재한다. 이들은 코카서스의 타트인과는 언어적으로나 민족적으로 구별되는 집단이므로 혼동해서는 안 된다.

원래 "타트"라는 용어는 특정 민족을 지칭하는 고유명사가 아니라, 튀르크어에서 "비(非)튀르크계 이란인"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보통명사였다.[37] 더 자세한 내용은 타트인 (동음이의)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5. 종교

종교적으로는 유대계 타트족, 기독교계 타트족, 무슬림 타트족으로 나뉜다. 아제르바이잔의 타트족은 주로 무슬림이다.

타트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페르시아인들은 본래 조로아스터교를 믿었다. 이후 정통 칼리파조의 영향 아래 들어가면서 이슬람교가 확산되었다. 오늘날 타트족은 주로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수니파 이슬람교 신자도 상당수 존재한다.[28]

6. 문화

타트족의 전통적인 직업은 농업, 채소 재배, 원예, 가축 사육이다. 주로 보리, 호밀, , 수수, 해바라기, 옥수수, 감자, 완두 등을 재배하며, 넓은 포도원과 과수원도 흔히 볼 수 있다. 가축으로는 , 소, , 당나귀, 물소를 주로 기르고 드물게 낙타를 사육하기도 한다.

전통 가옥은 보통 1~2층으로 지어지며, 직사각형 석회암 블록이나 강 자갈을 사용하여 만든다. 거리 쪽 벽에는 창문을 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지붕은 평평하며 돌로 만든 굴뚝이 있다. 위층은 주로 거주 공간으로 사용되고, 가족이 모이는 부엌 등은 1층에 위치한다. 거실 벽에는 옷, 침구류, 식기 등을 보관하는 여러 개의 틈새(벽감)를 만드는 경우가 많다. 방은 램프나 지붕에 낸 창을 통해 빛을 들인다. 가구는 낮은 소파, 카펫이 깔린 바닥, 매트리스 등으로 구성된다. 겨울철 난방과 요리에는 벽난로, 화로, 오븐 등이 사용된다.

집 주위에는 보통 담장이나 울타리를 두른 마당이 있으며, 거의 항상 정원이 딸려 있다. 마당에는 베란다 (eyvan|에이반tat), 포장된 배수로나 작은 물통(tənu|태누tat), 지붕이 있는 가축 우리, 마구간, 닭장 등이 있는 경우가 많다.

6. 1. 예술

남부 코카서스의 페르시아 정착민들은 오랫동안 주변 민족들과 교류하며 문화적 요소를 주고받았다. 카펫 제작, 손으로 하는 직조, 금속 제조, 엠보싱 및 상감 기법과 같은 예술이 매우 발달했다. 장식 디자인과 미니어처 예술 역시 인기가 높다.[26]

타트어 구전 예술은 풍부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루바'이, 가잘, 바이트와 같은 민족 시 장르가 잘 발달되어 있다. 남부 코카서스 출신의 페르시아 중세 시인 하카니와 니자미 간자비의 작품 연구를 통해 타트어의 몇 가지 특징이 밝혀지기도 했다.[27]

타트족과 아제르바이잔인은 오랫동안 함께 살아오면서 농업, 가사, 문화 등 여러 면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전통적인 타트족 여성 의상은 긴 셔츠, 밖으로 입는 넉넉한 바지, 몸에 맞는 드레스, 단추 없는 겉옷, 머리 스카프, "모로코" 스타일의 스타킹으로 구성된다. 남성 의상으로는 체르케스 코트와 높은 모피 모자가 있다.

6. 2. 복식

타트족은 아제르바이잔인과 오랫동안 함께 살아오면서 농업, 가사, 문화 등 여러 면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전통적인 타트족 여성의 복장은 긴 셔츠, 밖으로 입는 넉넉한 바지, 몸에 맞는 드레스, 단추가 없는 겉옷, 머리 스카프, 그리고 '모로코' 스타킹으로 구성된다. 남성의 경우 체르케스 코트와 높은 모피 모자를 착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Demography of Azerbaijan https://www.stat.gov[...]
[2] 서적 Islam in Post-Soviet Russi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2-11-27
[3] 서적 Encyclopaedic Ethnography of Middle-East and Central Asia:P-Z, Volume 1 Global Vision Publishing Ho
[4] 서적 An Ethnic History of Russia: Pre-Revolutionary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 문서 Tatskij jazyk
[6] 문서 Grammaire juhuri, ou judéo-tat, langue iranienne des Juifs du Caucase de l'est Reichert
[7] 문서 Appendix 3: Ethnic Composition of the Caucasus: Historical Population Statistics Yale University Press
[8] 문서 Appendix 3: Ethnic Composition of the Caucasus: Historical Population Statistics Yale University Press
[9] 문서 Appendix 3: Ethnic Composition of the Caucasus: Historical Population Statistics Yale University Press
[10] 문서 History
[11] 웹사이트 Medes and Persians in Transcaucasia: archaeological horizons in north-western Iran and Transcaucasia http://www.box.net/s[...]
[12] 문서 A History of Sharvan and Darband in the 10th–11th Centuries
[13] 문서 Book of the Conquests of Lands
[14] 웹사이트 Taty, ikh rasseleniye i govory (in Russian) http://www.box.net/s[...]
[15]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16] 문서 Azərbaycanda Islam (in Azeri Turkic)
[17] 문서 Gulistan-i Iram Idārah-ʾi intishārāt-i "ʻIlm"
[18] 서적 The Heavenly Rose-Garden: A History of Shirvan & Daghestan by Abbas Qoli Aqa Bakikhanov Mage Publishers
[19] 서적 Кавказский календарь на 1894 год https://rusneb.ru/ca[...] Tipografiya kantselyarii Ye.I.V. na Kavkaze, kazenny dom
[20]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26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гионам республик СССР http://demoscope.ru/[...]
[21]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по регионам республик СССР http://demoscope.ru/[...]
[22] 웹사이트 Sociolinguistic Situation of the Tat and Mountain Jews in Azerbaijan, 2005 г. http://www2.sil.org/[...]
[23] 웹사이트 Taty, ikh rasseleniye i govory (in Russian) http://www.miacum.am[...]
[24] 간행물 ლაიჯები 2012
[25] 뉴스 They live in Georgia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 yet no one knows about them https://jam-news.net[...] 2020-01-19
[26] 문서 Great Soviet Encyclopedia
[27] 웹사이트 Nozhat al-majāles http://www.iranica.c[...]
[28] 서적 Muslims of the Soviet Empire: A Guide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9] 문서 Azərbaycan tarixi (in Azeri Turkic)
[30] 문서
[31] 문서
[32] 간행물 The dual origin of Tati-speakers from Dagestan as written in the genealogy of uniparental variants. http://dx.medra.org/[...]
[33] 웹사이트 О происхождении горских евреев. http://www.gorskie.r[...]
[34] 웹사이트 Устные истории татоязычных армян о событиях начала 20-го века http://www.karabah88[...]
[35] 문서 Языки мира. Иранские языки. Северо-западные иранские языки.
[36] 웹사이트 http://www.encyclopa[...] 2012-03-06
[37] 서적 ザカフカースの民族問題と歴史記述 https://hdl.handle.n[...] 弘前大学 1998-03
[38] 문서 書記言語はムスリム・タート語の他にロシア語、アグール語、アヴァル語、アゼルバイジャン語、チェチェン語、ダルギン語、クムク語、レズギ語、ラク語、ノガイ語、ルトゥル語、タバサラン語、ツァフル語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