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제천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택제천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충청북도 제천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다. 1997년 평택음성고속도로로 지정되어, 여러 차례 노선 연장 및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총 연장은 127.1km에서 127.5km 사이이며, 서평택 분기점에서 제천 분기점까지 135.56km 구간이 평택제천고속도로로 지정되었다. 서해안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다양한 나들목, 분기점, 휴게소, 터널, 교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천시의 도로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제천시의 도로 - 북부로
북부로는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시작해 충주시와 제천시를 잇는 도로로, 국도 제38호선 일부를 포함하며, 서동대로에서 시작해 강원남로와 직결되어 국도 제42호선의 일부로서 강원특별자치도까지 연결되고, 제천시 우회도로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진천군의 도로 - 중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는 경기도 하남시에서 충청북도 청주시를 잇는 총연장 117.2km의 고속도로로, 1985년 착공되어 1987년 서울~대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1년에 고속국도 노선번호 35호선으로 변경되었고, 구간별로 왕복 4차로와 8차로로 운영된다. - 진천군의 도로 - 덕금로
충청북도 진천군과 음성군을 연결하는 덕금로는 원덕로와 이어지며 여러 국도, 지방도, 국가지원지방도와 교차하고, 주변에는 덕산읍 행정복지센터와 용천초등학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평택제천고속도로 - 대소 분기점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과 진천군 이월면에 위치한 대소 분기점은 평택제천고속도로와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를 연결하는 클로버 형태의 분기점으로, 2008년 개통하여 미호강을 지나며 평택제천고속도로의 남안성 및 북제천 나들목, 통영대전중부고속도로의 대소 및 진천 나들목을 잇는 교통 거점이다. - 평택제천고속도로 - 음성 나들목
음성 나들목은 충청북도 음성군에 위치한 평택제천고속도로의 나들목으로, 국도 제37호선과 직접 연결되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과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2013년 개통 이후 통행량이 증가하고 있다.
평택제천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 | |
기본 정보 |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40호선 |
노선명 | 평택제천고속도로 |
다른 이름 | 평택-제천 고속도로 |
총 연장 | 127.5 km |
개통일 |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 ~ 서안성) 2007년 8월 31일 (서안성 ~ 남안성) 2008년 11월 11일 (남안성 ~ 대소) 2013년 8월 12일 (대소 ~ 충주) 2014년 10월 31일 (충주 ~ 동충주) 2015년 6월 30일 (동충주 ~ 제천) |
방향 | 동서 |
기점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서평택 분기점) |
종점 |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제천 분기점) |
관할 국가 | 대한민국 |
주요 경유지 | |
경유 도시 |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안성시 충청북도 진천군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북도 충주시 충청북도 제천시 |
분기점 | |
주요 교차 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서평택 분기점)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 분기점) 평택파주고속도로 (오성 분기점) 경부고속도로 (안성 분기점) 중부고속도로 (진천 분기점) 중부내륙고속도로 (음성 분기점) 중앙고속도로 (제천 분기점) |
로마자 표기 | |
로마자 표기 | Pyeongtaek Jecheon Gosok Doro |
한자 표기 | 平澤堤川高速道路 |
고속도로 정보 | |
고속도로 번호 | 40 |
기타 정보 | |
주요 교차 국도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5호선 |
2. 역사
平澤堤川高速道路중국어는 1997년 8월 27일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구간이 고속국도 제24호선 평택음성고속도로(평택 ~ 음성선)으로 지정되면서 시작되었다.[5] 1997년 12월 7일 서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구간(32.2km), 12월 22일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구간(25.6km)이 착공되었다.
2001년 8월 25일 노선번호가 제24호에서 제40호로 변경되었고,[7] 2002년 12월 5일 종점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으로 연장되면서 평택충주고속도로(평택 ~ 충주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2008년 1월 3일 종점이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에서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으로 연장되면서 현재의 평택제천고속도로(평택 ~ 제천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6]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 분기점에서 서안성 나들목 구간이 처음 개통된 이후, 2015년 6월 30일 동충주 나들목에서 제천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8][29]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일시 | 내용 |
---|---|
1997년 12월 | 서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구간(32.2km),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구간(25.6km) 착공 |
2002년 12월 12일 |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25.7km 구간 개통[10] |
2007년 8월 31일 | 서안성 나들목 - 남안성 나들목 10.1km 구간 개통[14] |
2008년 11월 11일 | 남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22km 구간 개통[18] |
2009년 7월 24일 | 북진천 나들목 개통[21] |
2013년 8월 12일 | 대소 분기점 - 충주 분기점 27.6km 구간 개통[23] (단, 금왕꽃동네 나들목은 개통 연기) |
2013년 11월 26일 | 금왕꽃동네 나들목 개통[24] |
2014년 10월 31일 | 충주 분기점 - 동충주 나들목 18.0km 구간 개통[25] |
2015년 6월 30일 | 동충주 나들목 - 제천 분기점 23.9km 구간 개통[28][29] |
2018년 6월 30일 | 평택고덕 나들목 개통[35] |
2020년 9월 24일 | 평택휴게소 신설 개장[37] |
2. 1. 평택제천고속도로
1997년 8월 27일,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에서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구간이 고속국도 제24호선 평택음성고속도로(평택 ~ 음성선)로 지정되었다.[5] 1997년 12월 7일 서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구간(32.2km)이, 12월 22일에는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구간(25.6km)이 착공되었다. 1998년 6월 12일, 평택 ~ 음성고속도로 평택 ~ 안성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 안성시 원곡면 반제리 26.6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6]2001년 8월 25일, 노선번호가 제24호에서 제40호로 변경되었다.[7] 2002년 12월 5일에는 종점이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에서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으로 연장되면서 평택충주고속도로(평택 ~ 충주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9] 2002년 12월 12일, 서평택 분기점 ~ 서안성 나들목 25.7km 구간이 개통되었다.[10]
2007년 8월 31일, 서안성 나들목 - 남안성 나들목 10.1km 구간이 개통되었고,[14] 2008년 11월 11일에는 남안성 나들목 - 대소 분기점 22km 구간이 개통되었다.[18] 2009년 7월 24일에는 북진천 나들목이 개통되었다.[21]
2008년 1월 3일, 종점이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에서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으로 연장되면서 평택제천고속도로(평택 ~ 제천선)로 최종 명칭이 변경되었다.[16]
2013년 8월 12일, 대소 분기점 - 충주 분기점 27.6km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금왕꽃동네 나들목은 개통이 연기되었다.[23] 이후 2013년 11월 26일 금왕꽃동네 나들목이 개통되었다.[24] 2014년 10월 31일에는 충주 분기점 - 동충주 나들목 18.0km 구간이 개통되었다.[25]
2015년 3월 27일, 국토교통부 고시로 기점을 '경기도 평택시 청북면 고잔리', 종점을 '충청북도 제천시 금성면 월림리'로 명시하였다.[27] 2015년 6월 30일, 동충주 나들목 - 제천 분기점 23.9km 구간이 개통되었다.[28][29]
2018년 6월 30일, 평택고덕 나들목이 개통되었다.[35] 2020년 9월 24일에는 평택휴게소가 신설 개장되었다.[37]
3. 구성
평택제천고속도로는 서평택 분기점에서 제천 분기점까지 이어지는 고속도로로, 구간별 차로수, 총 연장 127.1km, 제한 속도(최고 100km/h, 최저 50km/h) 등으로 구성된다.
3. 1. 차로수
3. 2. 총 연장
127.1km3. 3. 제한속도
전 구간 최고 속도는 100km/h, 최저 속도는 50km/h이다.4. 나들목 · 분기점
지방도 제302호선 (청원로)
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지방도 제317호선 (삼남로)
지방도 제302호선 (안성맞춤대로·신두만곡로)
제2공단1길
지방도 제302호선 (이덕로)
지방도 제333호선 (대동로)
맹동산단지원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대금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신덕로)
지방도 제306호선 (중원대로·용광로)
지방도 제525호선 (솔고개로)
국도 제38호선 (북부로)
남제천 나들목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