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오미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오미노는 n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도형으로, 각 정사각형은 변을 공유하며, n의 값에 따라 모노미노, 도미노, 테트로미노 등으로 불린다. 폴리오미노는 평행이동, 회전, 반사 등을 통해 겹쳐질 수 있는지에 따라 자유, 단면, 고정 폴리오미노로 분류되며, 대칭성에 따라 개수가 달라진다. 폴리오미노의 개수는 n이 커짐에 따라 지수적으로 증가하며, 다양한 열거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된다. 폴리오미노는 타일링, 퍼즐, 게임 등에 활용되며, 테트리스, 블로커스, 스도쿠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폴리오미노 외에도 정삼각형을 이용한 폴리아이아몬드, 정육각형을 이용한 폴리헥스 등 다양한 폴리폼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리폼 - 폴리아몬드
    폴리아몬드는 정삼각형을 이어 붙여 만든 도형으로, 삼각형 개수에 따라 n-아몬드라 불리며 조합론에서 종류와 개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평행 이동, 회전, 반사에 따라 자유형, 단면형, 고정형으로 분류되며, 폴리오미노, 폴리헥스와 유사하고 보드 게임의 구성 요소로 활용된다.
  • 폴리폼 - 테트로미노
    테트로미노는 4개의 정사각형이 변끼리 연결된 폴리오미노로, 회전 및 반사 고려 방식에 따라 자유, 단면, 고정 테트로미노로 나뉘며, 직사각형 채우기 퍼즐과 테트리스 게임에 활용된다.
  • 수학 게임 - 테트로미노
    테트로미노는 4개의 정사각형이 변끼리 연결된 폴리오미노로, 회전 및 반사 고려 방식에 따라 자유, 단면, 고정 테트로미노로 나뉘며, 직사각형 채우기 퍼즐과 테트리스 게임에 활용된다.
  • 수학 게임 - 님 (게임)
    님은 여러 돌 더미에서 플레이어들이 번갈아 돌을 가져가는 수학 게임으로, 다양한 변형과 수학적 이론이 존재하며 마지막 돌을 가져가는 사람이 승리하거나 패배하는 방식으로 즐길 수 있다.
  • 퍼즐 - 다른 그림 찾기
    다른 그림 찾기는 거의 동일한 두 그림에서 시각적 비교 등을 통해 서로 다른 부분을 찾아내는 퍼즐이다.
  • 퍼즐 - 몬티 홀 문제
    몬티 홀 문제는 세 개의 문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진행자가 상품이 없는 문을 열어 보여줄 때, 선택을 바꾸는 것이 유리한지를 묻는 확률 문제로, 직관과 달리 선택을 바꾸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전략임을 보여주는 확률 역설이며, 의사 결정 방식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폴리오미노
개요
정의평면에서 단위 정사각형을 변을 따라 연결하여 만든 다각형
어원폴리(poly, 많은) + 도미노(domino)
명칭
일반 명칭폴리오미노
일본어ポリオミノ (Porio mino)
영어Polyomino
종류
모노미노정사각형 1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도미노정사각형 2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트로미노정사각형 3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테트로미노정사각형 4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펜토미노정사각형 5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헥소미노정사각형 6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헵토미노정사각형 7개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
특징
회전 및 반사폴리오미노는 회전하거나 반사된 형태가 동일한 경우, 같은 폴리오미노로 간주함
고정 폴리오미노회전만 허용하고 반사는 허용하지 않는 폴리오미노
자유 폴리오미노회전과 반사를 모두 허용하는 폴리오미노
활용
퍼즐폴리오미노 조각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을 만드는 퍼즐
테셀레이션평면을 겹치거나 틈 없이 폴리오미노로 채우는 테셀레이션 연구

2. 종류

n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폴리오미노는 n의 값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1개는 모노미노, 2개는 도미노, 3개는 트로미노, 4개는 테트로미노, 5개는 펜토미노, 6개는 헥소미노, 7개는 헵토미노, 8개는 옥토미노, 9개는 노노미노, 10개는 데코미노, 11개는 운데코미노, 12개는 도데코미노 등으로 불린다. 각 이름은 그리스어 수 접두사에서 유래되었다. (예: 테트라 = 4, 펜타 = 5) 단, 모노미노는 폴리오미노에 포함되지 않는다.

폴리오미노는 대칭성에 따라 자유, 단면, 고정 폴리오미노로 구분된다.[6][7]


  • '''자유 폴리오미노'''는 평행이동, 회전, 반사 또는 글라이드 반사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서로 다르다고 간주한다.
  • '''단면 폴리오미노'''는 평행이동 또는 회전으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서로 다르다고 간주한다.
  • '''고정 폴리오미노'''는 평행이동으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서로 다르다고 간주한다.


이름n자유 (free)구멍 있는 자유 (free with holes)구멍 없는 자유 (free without holes)단면 (one-sided)고정 (fixed)
모노미노 (monomino)110111
도미노 (domino)210112
트로미노 (tromino)320226
테트로미노 (tetromino)4505719
펜토미노 (pentomino)5120121863
헥소미노 (hexomino)63503560216
헵토미노 (heptomino)71081107196760
옥토미노 (octomino)836963637042,725
노노미노 (nonomino)91,285371,2482,5009,910
데코미노 (decomino)104,6551954,4609,18936,446
운데코미노 (undecomino)1117,07397916,09433,896135,268
도데코미노 (dodecomino)1263,6004,66358,937126,759505,861



두 개의 자유 트로미노


35개의 자유 헥소미노, 대칭에 따라 색상 구분

3. 폴리오미노의 개수

n이 커짐에 따라 폴리오미노의 개수는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다음 표는 다양한 유형의 폴리오미노에서 n개의 셀 수를 보여준다.

n이름자유일면고정
총계구멍 포함구멍 미포함
1모노미노10111
2도미노10112
3트로미노20226
4테트로미노505719
5펜토미노120121863
6헥소미노3503560216
7헵토미노1081107196760
8옥토미노36963637042,725
9노노미노1,285371,2482,5009,910
10데카미노4,6551954,4609,18936,446
11운데카미노17,07397916,09433,896135,268
12도데카미노63,6004,66358,937126,759505,861



고정 폴리오미노는 Iwan Jensen에 의해 ''n'' = 56까지, Gill Barequet와 Gil Ben-Shachar에 의해 ''n'' = 70까지 열거되었다.[9]

자유 폴리오미노는 Tomás Oliveira e Silva에 의해 ''n'' = 28까지,[10] Toshihiro Shirakawa에 의해 ''n'' = 45까지,[11] John Mason에 의해 ''n'' = 50까지 열거되었다.[12]

폴리오미노를 열거할 때 구별하는 세 가지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6][7]


  • ''자유'' 폴리오미노는 다른 폴리오미노를 평행이동, 회전, 반사 또는 글라이드 반사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서로 다르다고 간주한다(집어 올리고 뒤집을 수 있는 조각).
  • ''일면'' 폴리오미노는 다른 폴리오미노를 평행이동 또는 회전으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서로 다르다고 간주한다(뒤집을 수 없는 조각).
  • ''고정'' 폴리오미노는 다른 폴리오미노를 평행이동으로 변환할 수 없을 때 서로 다르다고 간주한다(뒤집거나 회전할 수 없는 조각).


크기가 n인 고정 폴리오미노의 수에 대한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

:A_n \sim \frac{c\lambda^n}{n}

여기서 ''λ'' = 4.0626이고 ''c'' = 0.3169이다.[20] 하지만, 이 결과는 증명되지 않았으며 ''λ''와 ''c''의 값은 단지 추정치일 뿐이다.

''An''은 지수적으로 증가하며, 다음이 증명되었다.

:\lim_{n\rightarrow \infty} (A_n)^\frac{1}{n} = \lambda

2016년에 발견된 ''λ''에 대한 최상의 알려진 하한은 4.00253이다.[21] 최상의 알려진 상한은 4.5252이다.[23]

대칭성 (회전 또는 반사)이 없는 자유 폴리오미노는 8개의 서로 다른 고정 폴리오미노에 해당하며, 큰 ''n''의 경우 대부분의 ''n''-오미노는 대칭성이 없다. 따라서 고정 ''n''-오미노의 수는 자유 ''n''-오미노의 수의 약 8배이다.

4. 대칭성

폴리오미노는 다양한 대칭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폴리오미노의 개수를 계산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정사각형의 대칭군인 이면체군 D₄는 네 개의 회전과 네 개의 반사를 포함한다. 폴리오미노의 가능한 대칭은 다음과 같다:[13]


  • 대칭 없음 (4):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8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격자선 방향 중 하나에 대한 거울 대칭 (4):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4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대각선에 대한 거울 대칭 (3):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4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2겹 회전 대칭: ''C''2 (4):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4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두 격자선 방향 모두에 대한 대칭, 따라서 2겹 회전 대칭: ''D''2 (2) (클라인 사원군으로도 알려짐):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2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두 대각선 방향 모두에 대한 대칭, 따라서 2겹 회전 대칭: ''D''2 (7):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2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4겹 회전 대칭: ''C''4 (8):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2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 정사각형의 모든 대칭: ''D''4 (1): 각 자유 폴리오미노에 대해 1개의 고정 폴리오미노가 존재한다.


다음 표는 ''n''개의 정사각형을 가진 폴리오미노의 수를 대칭 그룹별로 나타낸 것이다.[14]

n없음거울
90°
거울
45°
C2D2
90°
D2
45°
C4D4
100000001
200001000
300101000
411011001
552211001
6206252000
7849743100
8316235184111
91,1963826194002
104,4619022738100
1116,750147917310200
1262,8783417927815333


5. 폴리오미노의 열거 알고리즘

크기가 ''n''+1인 각 폴리오미노는 크기가 ''n''인 폴리오미노에 정사각형을 추가하여 얻을 수 있다. 이는 폴리오미노를 귀납적으로 생성하는 알고리즘으로 이어진다.[15]

가장 간단한 방법은, 크기가 ''n''인 폴리오미노 목록이 주어졌을 때, 각 폴리오미노 옆에 가능한 모든 위치에 정사각형을 추가하고, 이미 발견된 것과 중복되지 않는 경우 크기가 ''n''+1인 결과 폴리오미노를 목록에 추가하는 것이다. 열거 순서를 개선하고 고려하지 않아야 할 인접한 정사각형을 표시하면 중복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의 수를 줄일 수 있다.[15] 이 방법은 자유 폴리오미노 또는 고정 폴리오미노를 열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Redelmeier가 설명한 보다 정교한 방법은 많은 저자가 폴리오미노를 계산할 뿐만 아니라 (크기가 ''n''+1인 폴리오미노를 열거하기 위해 크기가 ''n''인 모든 폴리오미노를 저장할 필요 없이) 그 수에 대한 상한을 증명하는 방법으로 사용해 왔다. 기본 아이디어는 단일 정사각형으로 시작하여 거기에서 재귀적으로 정사각형을 추가하는 것이다. 세부 사항에 따라 각 ''n''-오미노를 ''n''번 계산할 수 있으며, 각 정사각형에서 시작하여 한 번 계산하거나, 한 번만 계산하도록 배열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구현은 한 번에 하나의 정사각형을 추가하는 것이다. 초기 정사각형으로 시작하여 인접한 정사각형에 위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1, 2, 3, 4의 번호를 매긴다. 이제 1에서 4 사이의 숫자를 선택하고 해당 위치에 정사각형을 추가한다. 번호가 매겨지지 않은 인접한 정사각형에 5부터 번호를 매긴다. 그런 다음 이전에 선택한 숫자보다 큰 숫자를 선택하고 해당 정사각형을 추가한다. 현재 정사각형의 숫자보다 큰 숫자를 선택하고 해당 정사각형을 추가한 다음 새로운 인접한 정사각형에 번호를 매기는 것을 계속한다. ''n''개의 정사각형이 생성되면 ''n''-오미노가 생성된다.

이 방법은 각 고정 폴리오미노가 각 시작 정사각형에 대해 정확히 ''n''번 계산되도록 한다. 각 폴리오미노를 ''n''번이 아닌 한 번만 계산하도록 최적화할 수 있다. 초기 정사각형으로 시작하여 폴리오미노의 왼쪽 아래 정사각형으로 선언한다. 동일한 행의 정사각형보다 아래쪽 행에 있거나 왼쪽에 있는 정사각형에는 번호를 매기지 않는다. 이것이 Redelmeier가 설명한 버전이다.

자유 폴리오미노를 대신 계산하려는 경우 각 ''n''-오미노를 생성한 후 대칭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대칭 폴리오미노를 (이 방법의 변형으로) 별도로 생성하는 것이 더 빠르므로[16] 번사이드 보조정리를 사용하여 자유 폴리오미노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17]

고정 폴리오미노를 열거하는 가장 현대적인 알고리즘은 이반 옌센에 의해 발견되었다.[18] 앤드루 콘웨이의 방법론을 개선한 것으로,[19] 이전 방법보다 지수적으로 빠르다(하지만, 실행 시간은 여전히 ''n''에 대해 지수적이다).

콘웨이와 옌센의 전송 행렬 방법은 모두 특정 너비를 가진 폴리오미노의 수를 세는 것을 포함한다. 모든 너비에 대한 수를 계산하면 폴리오미노의 총 개수가 나온다. 이 방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가능한 시작 행을 고려한 다음 주어진 너비의 폴리오미노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최소 사각형 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생성 함수를 사용하면 이 기술은 한 번에 많은 폴리오미노를 계산할 수 있으므로 모든 폴리오미노를 생성해야 하는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실행 시간은 매우 뛰어나지만, 이 알고리즘은 지수적인 양의 메모리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50보다 큰 ''n''의 경우 많은 기가바이트의 메모리가 필요하다). 다른 방법보다 프로그래밍하기 훨씬 더 어렵고, 현재 자유 폴리오미노를 계산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6. 폴리오미노를 사용한 타일링

폴리오미노를 사용한 타일링 문제는 레크리에이션 수학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주제이다.[29] 이러한 문제들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주어진 폴리오미노 집합으로 특정 영역을 채우는 문제이다. 예를 들어, 12개의 펜토미노로 6x10 직사각형을 채우는 문제가 있으며, 1960년에 2339개의 해답이 발견되었다.[30] 이와 같이 집합 내 폴리오미노의 여러 복사본이 허용되는 경우, 주어진 집합이 채울 수 있는 다양한 영역(직사각형, 스트립, 전체 평면 등)의 계층 구조가 정의된다. 주어진 집합의 폴리오미노가 평면을 채울 수 있는지 여부는 왕 타일 집합을 폴리오미노 집합에 매핑하여 결정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31]

두 번째 유형은 단일 폴리오미노의 복사본으로 직사각형 또는 평면을 채우는 문제이다.[34] 이 문제는 특정 폴리오미노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으며,[35] 개별 폴리오미노에 대한 결과 표가 제공된다.[36] 클라너와 괴벨은 모든 폴리오미노에 대해 채울 수 있는 유한한 집합의 '소수' 직사각형이 존재하며, 다른 모든 직사각형은 해당 소수 직사각형으로 채울 수 있음을 보였다.[37][38]

단일 폴리오미노 복사본으로 평면을 타일링하는 문제도 많이 논의되었다. 1965년에 헥소미노까지의 모든 폴리오미노[43]와 헵토미노 중 4개를 제외한 모든 폴리오미노가 평면을 타일링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4] 이후 연구를 통해 더 큰 크기의 폴리오미노에 대한 타일링 가능성이 밝혀졌다.[45][46][47] 평면을 타일링하는 폴리오미노는 타일링의 대칭성과 타일이 나타나는 측면(방향)의 수에 따라 분류되었다.[48][49]

어떤 폴리오미노가 평면을 타일링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데는 컨웨이 기준이 활용되기도 한다.[50]

7. 폴리오미노를 활용한 퍼즐 및 게임

테트리스는 7개의 단면 테트로미노("테트리미노"라고도 함)를 사용한 비디오 게임이다.[63] Tetris영어는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블로커스는 펜토미노까지의 모든 자유 폴리오미노를 사용하는 보드 게임이다. 일부 스도쿠 변형은 노노미노 모양의 영역을 사용한다.

테트리스


폴리오미노를 장방형 등의 상자에 채우는 퍼즐이 다수 고안되었다. 특히 펜토미노를 6x10 등의 장방형으로 채우는 퍼즐이 유명하다. 또한 채우는 것 이외의 조건을 설정한 퍼즐도 많다.

도미노의 각이 십자로 모이지 않도록 채우는 퍼즐은 다다미를 까는 방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조건이 주어지는 경우가 있다.

  • 단위 정방형을 장방형이나 평행사변형 등으로 변형하고, 회전에 제한을 둔다.
  • 도형을 단위 정방형으로 바둑판 무늬로 색칠하고, 전체가 바둑판 무늬가 되도록 채운다.
  • 상자의 형태를 고정하지 않고, 합동 도형을 여러 개 만들거나, 대칭형으로 하는 등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로 배치한다.
  • 동일한 형태의 폴리오미노로 장방형을 만든다.[63]


;도미노

: 폴리오미노의 이름의 유래가 된 보드 게임.

: 0~6, 혹은 0~9의 주사위 눈이 각 정방형에 그려진 한 벌의 패를 사용한다.

;테트리스

: "단면형 테트로미노" 7종을 사용한 떨어지는 퍼즐 게임.

: 이 게임에서는 '테트'''리'''미노'라는 명칭이 사용된다.

;블록스

: 양면형 모노미노~펜토미노 총 21개의 패를 판에 놓는 보드 게임.

하나야마에서 "메이지 퍼즐 시리즈"로 초콜릿 등 과자를 모티브로 한 폴리오미노가 (2022년 현재) 출시되었다.[64][65]

8. 한국의 폴리오미노 문화

폴리오미노 애호가들을 영어로는 ominist영어라고 부른다. 아시가하라 노부유키는 이것을 "미노벌레"라고 번역했다.[59]

9. 기타

폴리오미노의 정사각형 대신, 몇 가지 다른 도형을 사용한 다각형에는 이름이 붙어 있다. 이것들을 통칭하여 폴리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정삼각형 → '''폴리아이아몬드'''
  • 정육각형 → '''폴리헥스'''
  • 직각 이등변삼각형 → '''폴리아볼로'''
  • 정육면체 → '''폴리큐브'''


폴리오미노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도형을 사용한 상자 채우기 퍼즐도 고안되었다. 이들 중 일부는, 텐요에서 "플라퍼즐"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다.

참조

[1] 문서 "the observation that there are twelve distinctive patterns (the pentominoes) that can be formed by five connected stones on a Go board ... is attributed to an ancient master of that game" Golomb
[2] 서적 Polyomino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논문 More about the shapes that can be made with complex dominoes (Mathematical Games) 1960-11
[4] 서적 Disorder in Physical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Tilings and Patterns https://archive.org/[...] W.H. Freeman and Company
[6] 논문 Counting polyominoes: yet another attack
[7] 문서 Golomb
[8] 웹사이트 Series for lattice animals or polyominoes http://www.ms.unimel[...] 2007-05-06
[9] 서적 2024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Algorithm Engineering and Experiments (ALENEX) - Counting Polyominoes, Revisited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2024-01
[10] 웹사이트 Animal enumerations on the {4,4} Euclidean tiling http://www.ieeta.pt/[...] 2007-05-06
[11] 웹사이트 Harmonic Magic Square, Enumeration of Polyominoes considering the symmetry https://www.gatherin[...]
[12] 웹사이트 Counting size 50 polyominoes https://oeis.org/A00[...]
[13] 문서 Redelmeier
[14] 논문 Counting polyominoes: Yet another attack
[15] 문서 Golomb
[16] 문서 Redelmeier
[17] 문서 Redelmeier
[18] 논문 Enumerations of Lattice Animals and Trees 2001-02
[19] 논문 Enumerating 2D percolation series by the finite-lattice method: theory
[20] 논문 Statistics of lattice animals (polyominoes) and polygons
[21] 논문 λ > 4: An Improved Lower Bound on the Growth Constant of Polyominoes
[22] 논문 A procedure for improving the upper bound for the number of ''n''-ominoes http://historical.nc[...] 2007-05-11
[23] 논문 " Improved upper bounds on the growth constants of polyominoes and polycubes"
[24] 서적 Generatingfunctionology Academic Press
[25] 논문 New enumerative results on two-dimensional directed animals
[26] 논문 Generating functions for column-convex polyominoes
[27] 논문 The generating function of convex polyominoes: The resolution of a ''q''-differential system
[28] 간행물 Geometry Labs https://books.google[...] MathEducationPage.org
[29] 서적 Polyominoes: A guide to puzzles and problems in tiling https://archive.org/[...]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30] 논문 A Computer Program for Pentominoes https://www.archim.o[...] 1960-10
[31] 논문 Tiling with Sets of Polyominoes
[32] 논문 Jigsaw Puzzles, Edge Matching, and Polyomino Packing: Connections and Complexity https://link.springe[...] 2007-06
[33] 논문 Backtrack Programming
[34] 문서 Polyominoes Golomb
[35] 웹사이트 References for Rectifiable Polyominoes http://www.math.ucf.[...] 2007-05-11
[36] 웹사이트 List of known prime rectangles for various polyominoes http://www.math.ucf.[...] 2007-05-11
[37] 논문 Packing boxes with congruent figures
[38] 웹사이트 A Finite Basis Theorem Revisited http://historical.nc[...] Stanford University Technical Report STAN-CS-73–338 1973-02
[39] arXiv Tiling rectangles with holey polyominoes 2015
[40] 논문 Tiling with Polyominoes
[41] 웹사이트 Hard Tiling Problems with Simple Tiles http://www.santafe.e[...]
[42] 간행물 Math Trek: Tiling with Polyominoes http://www.sciencene[...] 2012-03-11
[43] 논문 On the relation between mathematics and the ordered patterns of Op art 1965-07
[44] 논문 Thoughts on the task of communication with intelligent organisms on other worlds 1965-08
[45] 논문 More about tiling the plane: the possibilities of polyominoes, polyiamonds and polyhexes 1975-08
[46] 논문 Tiling complexity of small ''n''-ominoes
(''n''<10)

[47] 서적 Planar Tilings and the Search for an Aperiodic Prototile PhD dissertation, Rutgers University
[48] 문서 Grünbaum and Shephard, section 9.4
[49] 논문 Isohedral Polyomino Tiling of the Plane
[50] 논문 Planar tilings by polyominoes, polyhexes, and polyiamonds
[51] 간행물 MASS selecta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52] 웹사이트 Mireles, J.L., "Poly2ominoes"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Resta, G., "Polypolyominoes" http://www.iread.it/[...] 2010-07-02
[54] 웹사이트 Zucca, L., "Triple Pentominoes" http://sicherman.net[...] 2023-04-20
[55] 서적 Tribute to a Mathemagician A.K. Peters
[56]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2nd edition, entry ''domino''
[57] 웹사이트 21-110: Polyominoes Introduction https://www.math.cmu[...] 2023-11-10
[58] 웹사이트 Greek Numerical Prefixes http://www.georgehar[...]
[59] 문서 芦ヶ原伸之『パズラート パズルの回帰線』P.72
[60] OEIS A000105
[61] OEIS A000988
[62] OEIS A001168
[63] 서적 数理パズル 中公新書
[64] 웹사이트 http://www.hanayamat[...]
[65] 웹사이트 明治チョコレートパズル https://www.hanayama[...] 2023-1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