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국경제인협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국경제인협회는 정부의 경제 비전 실현과 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단체이다.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시장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회원사의 국제 협력을 지원하며, 경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한상공회의소 등과 함께 경제 5단체로 불리며, 과거 반값 등록금 포퓰리즘 발언, 반 대기업 정책 입법 저지 활동, 배임 및 횡령 혐의자 선처 요구, 기업 엑소더스 엄포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2010년 5월 기준 488명의 회원이 있으며, 류진이 회장, 김창범이 상근부회장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단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협회(KITA)는 1946년 설립되어 무역 정책 자문, 해외 시장 정보 제공, 무역 외교 증진 등 한국 무역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무역 지원 기관이다.
  • 사단법인 (산업통상자원부 소관) - 한국수입업협회
    한국수입업협회는 대한민국의 수입업 관련 단체로서, 수입 관련 연구, 회원 지원, 국제 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사용자 단체 -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는 상공회의소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경제 단체로, 국가기술자격검정, 인력개발, 정보화 지원, 국제 협력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 72개 지역 상공회의소와 주한외국상공회의소를 통해 지역 경제 및 국제 교류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고, 회장은 서울상공회의소 회장이 겸임하며 현 회장은 최태원이다.
  • 대한민국의 사용자 단체 - 한국무역협회
    한국무역협회(KITA)는 1946년 설립되어 무역 정책 자문, 해외 시장 정보 제공, 무역 외교 증진 등 한국 무역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무역 지원 기관이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센다이 방송
    센다이 방송은 미야기현을 대상으로 1962년 개국한 후지 TV 계열의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FNS 도호쿠 지역 기간국으로서 지역 사회를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61년 설립된 기업 - 삼양식품
    삼양식품은 1961년 설립되어 1963년 국내 최초로 인스턴트 라면을 생산한 대한민국의 식품 회사로,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등을 통해 성장하며 해외 시장에도 진출했으나, 우지 사건, 가격 담합, 경영진 비리, 제품 안전성 논란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하여 기업 이미지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3년 9월 사명을 삼양라운드스퀘어로 변경했다.
한국경제인협회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영문 명칭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 FKI
종류사단법인
설립1961년
설립자이병철
주요 인물회장 류진 (풍산그룹 회장), 2023년 8월-
웹사이트한국경제인협회
위치 정보
소재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
전경련회관 (FKI 타워, 사진 중앙, 2016년 4월)
전경련회관 (FKI 타워, 사진 중앙, 2016년 4월)
기타 정보
이전 명칭전국경제인연합회
이후 명칭사단법인 한국경제인협회
주무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주요 자회사자유기업원

2. 주요 활동


  • 기업 경영 인프라 개선: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통해 정부의 경제 비전인 '활기찬 시장경제'와 '선진화를 통한 세계 일류 국가' 실현에 기여한다.
  • 기업 시민의 역할 선도와 시장경제 실현: '신뢰받는 기업상 정립'을 위해 자유롭고 공정한 경쟁 원칙을 확립하고 기업가 정신을 구현한다.
  • 회원 서비스 확대 및 경제계 구심체 역할 수행: 회원사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경제계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다.
  • 글로벌 민간 경제 협력 선도: 회원사의 국제 협력을 지원하고, 글로벌 민간 로비 역량을 강화하여 국제 무대에서 한국 기업의 이익을 대변한다.
  • 경제 교육: 시장경제와 기업가 정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3. 특이사항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경제 5단체로 불린다.[15] 대한상공회의소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반면, 한국경제인협회는 민간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설립된 단체이다.[15]

4. 논란 및 비판

한경협은 과거 정경유착, 반값 등록금 포퓰리즘 발언, 반 대기업 정책 입법 저지 활동, 배임 및 횡령 혐의자 선처 요구, 기업 엑소더스 엄포, 어버이연합 불법 지원 등 다양한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 반값 등록금 포퓰리즘 발언 비판: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기업 세금 인하는 요구하면서도 대학 등록금 인하는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하여 사회 각계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16]
  • 반 대기업 정책 입법 저지 활동 논란: 전경련이 정치권의 '반 대기업' 입법 움직임을 막기 위한 매뉴얼을 작성해 논란이 되었다.[20]
  • 배임 및 횡령 혐의자 선처 요구: 전경련은 SK그룹 최태원 회장 형제에 대한 수사에 대해 탄원서를 제출하여 비판을 받았다.[21]
  • "기업 엑소더스 엄포" 비판: 전경련은 기업들의 경영 환경 악화를 이유로 생산 기지의 해외 이전, 즉 '경제 엑소더스' 가능성을 제기했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았다.[23]
  • 어버이연합 불법 지원 논란: 어버이연합 차명 계좌로 추정되는 계좌에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넉 달 동안 1.2억이 입금된 사실이 확인되어 논란이 되었다.[25]

4. 1. 반값 등록금 포퓰리즘 발언 비판

허창수 전경련 회장이 기업 세금 인하를 요구하면서도 대학 등록금 인하를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한 것에 대해 사회 각계에서 비판이 제기되었다.[16]

박경철경향신문 기고를 통해 전경련이 재벌 기업의 이익만을 대변하며, 사회적 책임을 외면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전경련이 '등록금 문제'나 '복지'와 같은 사회적 문제에 '포퓰리즘'과 같은 정치적 용어를 사용하며 개입하는 것은 자본이 대한민국의 방향을 좌우할 수 있다는 오만함의 표현이며, 자본 지배 시대를 꿈꾸지 않는 한 있어서는 안 될 발언이라고 주장했다.[17]

반면, 동아일보의 권순활 논설위원은 허 회장의 발언을 옹호하며, 포퓰리즘의 폐해를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8]

이주영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은 대기업 성장이 정부의 특혜 정책에 의존해 왔음에도 불구, 전경련이 등록금 문제 등 국민 부담 경감 정책을 시장 원리에 어긋난다며 반대하는 것은 '사다리 걷어차기' 행태라고 비판했다.[19]

4. 2. 반 대기업 정책 입법 저지 활동 논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정치권의 '반 대기업' 입법 움직임을 막기 위한 매뉴얼을 작성해 논란이 일고 있다.[20] 전경련이 작성해 실무 임원진에게 배포한 문건에는 정치인들을 개별 면담하고 후원금, 출판기념회, 지역구 사업 등을 지원하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20]

주요 대기업마다 정치인을 할당하기까지 했다. 삼성그룹홍준표, 손학규 등 각 당 대표를, 현대자동차그룹황우여, 이주영 등 여당 주요 인사를 담당하며 국회가 대기업 총수를 증인으로 채택하면 무조건 불출석하고, 대신 해당 기업 최고 경영자가 나가는 것을 아예 방침으로 정했다.[20]

4. 3. 배임 및 횡령 혐의자 선처 요구

전국경제인연합회는 SK그룹 최태원 회장 형제에 대한 수사에 대해 "경제 성장의 원동력인 기업가 정신이 위축되지 않도록 배려해 달라"는 취지로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에 대해 다음 커뮤니케이션 창업자이자 최대 주주인 이재웅은 트위터에 "기업가 정신이 무엇인지 전경련은 이해를 전혀 못하고 있다"며 "배임, 횡령, 비자금이 기업가 정신이랑 무슨 상관인가"라는 글을 올려 비판했고, 이 글은 트위터 사용자들에 의해 빠르게 확산되었다.[21]

한겨레도 사설을 통해 "전경련은 재계를 대표하는 데 걸맞은 합리성과 책임 의식을 가져야지 특권·특혜 의식에 바탕해 법치를 흐리는 역할을 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또한 전경련이 노동 쟁의나 생존권 투쟁에 대해서는 엄격한 법 집행 등 강경 대응을 주문하는 것과 대조된다는 점과 최 회장은 2003년 거액의 분식회계를 저질러 2008년 대법원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뒤 그해 특별 사면을 받고서 다시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는 점도 지적하면서 검찰의 엄정 수사를 촉구했다.[22]

4. 4. "기업 엑소더스 엄포" 비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13년 6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기업들의 경영 환경 악화를 이유로 생산 기지의 해외 이전, 즉 '경제 엑소더스' 가능성을 제기했다. 전경련은 법인세 증세 논의, 과도한 기업 규제, 납품 단가 조정 어려움, 엔화 가치 하락, 높은 생산 요소 비용, 경직적 노사 관계, 반기업 정서 확산 등을 7가지 근거로 제시했다.[23]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전경련은 한국이 법인세 인하 추세에 역행한다고 주장했지만, 2009년 법인세 최고 세율을 22%로 낮춰 이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2021년에는 법인세 최고 세율이 27.5%로 다시 높아졌지만, 2020년 기준 OECD 평균(23.1%)과 비교해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전경련은 세계 경제 포럼(WEF)의 정부 규제 부담 순위(114위)를 근거로 기업 규제가 과도하다고 주장했지만, 같은 WEF 발표에서 기업경영윤리(56위), 기업 이사회 유효성(121위) 등 기업 규제 강화 필요성을 보여주는 지표도 많았다.[23]

전경련은 하도급법 개정으로 부당 단가 인하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제가 도입되어 단가 인하가 불가능해졌다고 주장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는 법 개정 취지가 대기업의 경영 부담을 중소기업에 전가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공정 거래를 하면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23]

전경련은 노사 협력 순위(129위)를 근거로 경직적 노사 관계를 지적했지만, 노사 관계 악화는 노사 공동의 책임이라는 반론이 있다.[23]

전경련은 국민의 기업 호감도 하락을 언급하며 양극화에 대한 대기업 책임론과 경제 민주화 법안이 반기업 정서를 낳았다고 주장했지만, 반기업 정서의 근본 원인은 남양유업 사태와 같은 '갑'의 횡포 때문이며, 경제 민주화 법안은 이를 막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인과관계를 뒤바꿨다는 지적을 받았다.[23]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은 전경련의 주장이 1990년대 중반 '고비용·저효율 구조론'을 내세워 정부와 국민을 협박하며 개혁을 거부하다 1997년 외환위기를 맞았던 과거를 연상시킨다며, 전경련은 해체하는 것이 낫겠다고 비판했다.[24]

4. 5. 어버이연합 불법 지원 논란

어버이연합 차명 계좌로 추정되는 계좌에 2014년 9월부터 12월까지 넉 달 동안 1.2억이 입금된 사실이 확인되었다.[25] 이에 경실련은 "보수단체를 이용한 국론 분열 조장 행위를 규명해야 한다"며 전국경제인연합회의 해체를 요구하기도 했다.[26]

5. 회원 구성

2010년 5월 기준으로 한경협 회원은 모두 488명이다. 회원 구성을 보면 기업체의 대표인 일반 회원이 417명, 업종별 단체의 대표인 단체 회원이 66명, 전직 한경협 회장인 명예 회원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6. 역대 회장 및 상근부회장

한국경제인협회 회장단
김승연한화 회장이웅열코오롱그룹 명예회장
신동빈롯데그룹 회장김윤삼양홀딩스 회장
김준기DB그룹 창업회장이장한종근당 회장
박정원두산 회장조원태한진그룹 회장
허태수GS 명예회장조현준효성그룹 회장
김남구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김정수삼양라운드스퀘어 회장
성래은영원무역 부회장
한국경제인협회 위원회
경제정책위원회 위원장김윤삼양홀딩스 회장
남북경제교류특별위원회 위원장정몽규HDC그룹 회장
K-ESG 얼라이언스 위원장김윤삼양홀딩스 회장
윤리위원회 위원장목영준고려대학교 석좌교수


6. 1. 역대 회장

대수성명재임기간비고
초대이병철1961년 ~ 1962년삼성그룹 창업주[12]
제2 ~ 4대이정림1962년 ~ 1964년
제5대김용완1964년 ~ 1966년
제6 ~ 8대홍재선1966년 ~ 1969년
제9 ~ 12대김용완1969년 ~ 1977년
제13 ~ 17대정주영1977년 ~ 1987년현대그룹 명예회장
제18대구자경1987년 ~ 1989년LG그룹 명예회장
제19 ~ 20대유창순1989년 ~ 1993년
제21 ~ 24대최종현1993년 ~ 1998년SK그룹 회장
제25대김우중1998년 ~ 1999년대우그룹 회장
제26 ~ 27대김각중2000년 ~ 2003년경방 회장
제28대손길승2003년 ~ 2003년SK텔레콤 명예회장
제29 ~ 30대강신호2004년 ~ 2007년동아제약 회장
제31 ~ 32대조석래2007년 ~ 2010년효성그룹 회장
제33 ~ 38대허창수2011년 ~ 2023년GS그룹 회장
직무대행김병준2023년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13]
제39대류진2023년 ~풍산그룹 회장[14]


6. 2. 역대 상근부회장

대수성명재임 기간비고
초대김주인1961년 ~ 1962년사무국장
제2대김입삼1962년 ~ 1963년사무국장
제3대진학문1963년 ~ 1966년상근부회장
제4대김상영1966년 ~ 1971년상근부회장
제5대김입삼1971년 ~ 1981년상근부회장
제6대윤태염1981년상근부회장
제7대노인환1981년 ~ 1987년상근부회장
제8대신봉식1987년 ~ 1989년상근부회장
제9대최창락1989년 ~ 1993년상근부회장
제10대조규하1993년 ~ 1994년상근부회장
제11대황정현1994년 ~ 1997년상근부회장
제12대손병두1997년 ~ 2003년상근부회장
제13대현명관2003년 ~ 2005년상근부회장
제14대조건호2005년 ~ 2007년 4월상근부회장
제15대이윤호2007년 ~ 2008년상근부회장
제16대정병철2008년 ~ 2013년상근부회장
제17대이승철2013년 ~ 2017년상근부회장
제18대권태신2017년 ~ 2023년상근부회장
제19대김창범2023년 ~ 현재상근부회장


참조

[1] 뉴스 South Korea's powerful business lobby group dealt big blow by Park scandal https://www.reuters.[...] 2016-12-14
[2] 웹사이트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 South Korean business organization https://www.britanni[...]
[3] 서적 Structures Congress 2014 2014-04-09
[4] 웹사이트 About FKI > Introduction http://www.fki.or.kr[...]
[5] 뉴스 現代自動車が全経連を公式脱退…4大グループが全部「グッバイ~全経連」 https://japan.hani.c[...] The Hankyoreh 2017-02-21
[6] 뉴스 危機の韓国全経連 「韓国企業連合会」に名称変更=改革案発表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17-03-24
[7] 뉴스 韓国全経連が名称変更 政治との癒着排除へ=改革案発表 https://www.chosunon[...] 朝鮮日報 2023-05-18
[8] 뉴스 全経連 「韓国経済人協会」に名称変更=当局が承認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9-18
[9] 뉴스 全経連が「韓国経済人協会」に 4大グループの系列会社も復帰 http://world.kbs.co.[...] KBS WORLD Radio 2023-08-22
[10] 웹사이트 韓国大統領、経団連会長会談 ウォン高苦境 歴史譲らず https://web.archive.[...] 2017-02-06
[11] 웹사이트 日韓・韓日未来パートナーシップ基金の今後の運営について https://www.keidanre[...] 日本経済団体連合会 2023-05-10
[12] 웹사이트 [オピニオン]全経連会長というポスト http://japanese.dong[...] 2017-02-09
[13] 뉴스 経済団体・全経連 12年ぶりトップ交代へ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2-23
[14] 뉴스 豊山グループ会長、全経連の新会長に就任へ https://www.nna.jp/n[...] NNA POWER ASIA 2023-08-09
[15] 웹인용 전경련, 全軍 정훈장교 640명 경제 교육 https://www.joongang[...] 조선일보 2016-01-11
[16] 뉴스 기업세금은 깎아달라며 등록금 깎아주는건 포퓰리즘이라는 재계 대표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6-21
[17] 뉴스 경제와 세상 자본의 무서운 교만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6-30
[18] 웹인용 "[횡설수설/권순활]허창수 회장의 쓴소리" https://www.donga.co[...] 2021-06-22
[19] 뉴스 한나라당도 재계 이기주의 강력 비난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1-06-28
[20] 뉴스 "삼성이 홍준표 마크" 전경련 비밀문서 '파문' http://media.daum.ne[...] MBN 2011-08-05
[21] 뉴스 이재웅 “배임·횡령이 기업가 정신과 무슨 상관?”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1-08
[22] 뉴스 <사설> 쓴소리 들어 마땅한 전경련의 낮은 법의식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1-08
[23] 뉴스 ‘경제민주화 입법 저항’ 전경련, 이번엔 “기업 엑소더스” 엄포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3-06-04
[24] 뉴스 <김상조의 경제시평>2류 정치, 3류 행정, 4류 기업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3-06-11
[25] 뉴스 전경련, 어버이연합에 거액 입금 의혹…확인해보니 http://news.jtbc.joi[...] JTBC 2016-04-19
[26] 뉴스 경실련 “전경련 어버이연합 지원, 해체하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4-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