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기악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교육자이다. 2.8 독립선언에 참여하고 3.1 운동 당시 독립선언서를 배포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임시의정원 의원을 지냈다. 동아일보, 시대일보, 조선일보 등에서 편집국장으로 활동하며 민족 언론 발전에 기여했고, 신간회 발기인 및 중앙위원으로 활동하며 민족 운동에 헌신했다. 또한, 민립대학기성회를 조직하여 대학 건립 운동을 전개했으며, 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며 후학을 양성했다. 199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강원도 원성(현재의 원주) 출신이다. 1919년 일본 도쿄에서 기독청년회 회원으로 있으면서 2.8 독립선언에 참여했고, 3·1운동 때에는 임규, 심영택 등과 독립선언서를 유인하여 각계에 배포하는 등[1] 활약하다가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1920년 초 귀국하여 중앙학교에 근무하다가 1920년 4월 1일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했다.
한기악은 독립운동, 언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일제강점기 민족의 독립과 발전을 위해 헌신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언론인으로서 민족의식 고취와 계몽에 힘쓴 공로가 크다.[1]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1983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1]
간행물
삼일 독립선언 관련자 신문조서 (경성지방법원) 임규 신문조서(제2회, 1919.7.21.)
http://www.history.g[...]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11(삼일운동 I)
2007-09-26
2. 생애
1920년 7월에는 조선청년회연합기성회를 조직하고 오상근을 위원장으로 추대하였으며, 그는 서무를 담당하여 청년운동을 벌였다. 1921년 3월에는 조선노동공제회 정기총회에서 61인의 대표자 중 한 사람으로 뽑히기도 하였다.
1935년부터는 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후진 양성에 힘쓰다가 1941년 6월 20일 학교 사택에서 별세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3년 건국포장)을 추서받았다.
2. 1.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1919년 일본 도쿄에서 기독청년회 회원으로 있으면서 2.8 독립선언에 참여했고, 3·1운동 때에는 임규, 심영택 등과 독립선언서를 유인하여 각계에 배포하는 등[1] 활약하다가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1919년 4월 13일 초대 임시의정원 의원에 선출되었으며, 4월 22일경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제2회 회의에서 남형우, 김응섭과 함께 임시정부 법무부 위원 3인 중 1인으로 선임되어[2] 활동하였다.
2. 2. 언론 활동과 민족 운동
1920년 귀국하여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하였으며, 1921년 11월부터 편집기자, 1924년 12월부터 1925년 3월까지 편집국장 대리로 민족언론 창달에 전념하였다.[1]
시대일보 초대 편집국장을 지냈으며, 1925년 10월 민족의 자립자활을 목표로 하는 조선물산장려회 이사회에서 선전부 이사로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1927년 2월 13일 조선물산장려회는 기관지 "자활(自活)"을 발행하기도 하였다.
1927년 초, 사회주의와 민족주의를 망라한 민족 유일 전선인 신간회(新幹會)가 창립되었다. 그는 같은 해 2월 15일 YMCA에서 안재홍, 신석우(申錫雨), 김준연, 이상재, 홍명희, 문일평(文一平), 한용운 등과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중앙위원에 선출되었으며, 1931년 5월 신간회가 해체될 때까지 구국운동을 벌였다.
1928년부터 1932년 4월까지는 조선일보사 편집국장으로 언론을 통한 민족 계몽에 힘썼다.
2. 3. 교육 활동
1926년 3월 교육이 민족을 살리는 가장 효과적인 사업이라고 판단하고 민립대학기성회를 조직하여 이종린, 박승철, 최원순, 안재홍 등과 함께 대학 건립운동을 전개하였다.[1] 1935년부터는 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후진 양성에 힘쓰다가 1941년 6월 20일 학교 사택에서 별세하였다.[1]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사망 비고 아버지 한정우(韓正愚) 1875년 2월 15일 1937년 5월 2일 어머니 한양 조씨(韓陽 趙氏) 1874년 4월 9일 1933년 2월 29일 조종필의 딸 부인 남희정(南喜貞) 1894년 9월 29일 1950년 5월 5일 남만희의 딸, 의령 남씨 장남 한만춘(韓萬春) 1921년 6월 26일 1984년 8월 5일 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 학장 자부 이순복(李順馥) 1923년 11월 6일 ? 이정구의 딸, 한산 이씨 손자 한민구(韓民九) 1948년 7월 21일 손녀 한은구(韓銀九) 1952년 6월 26일 손자 한인구(韓仁九) 1956년 10월 15일 차남 한만년(韓萬年) 1925년 10월 29일 2004년 4월 30일 출판사 일조각 창립자 자부 유효숙(兪孝淑) 1930년 3월 27일 ? 유진오의 딸, 기계 유씨 손자 한성구(韓成九) 1954년 4월 21일 손자 한경구(韓敬九) 1956년 3월 25일 손자 한준구(韓準九) 1958년 1월 29일 손녀 한승미(韓承美) 1964년 3월 7일 손자 한홍구(韓洪九) 1959년 7월 16일 성공회대 교수 삼남 한만청 전 서울대병원장 자부 김봉애(金奉愛) 1938년 6월 13일 김용완의 딸, 광산 김씨 손녀 한숙현(韓淑炫) 1966년 1월 15일 손녀 한금현(韓錦炫) 1967년 2월 9일 손녀 한지현(韓智炫) 1968년 8월 27일 사돈 김용완 사돈 김성수 동아일보 창간멤버이자 동료.[3]
4. 평가
참조
[2]
간행물
대한민국임시의정원기사록 제2회집
http://www.history.g[...]
한국독립운동사 자료2(임정편Ⅱ) 四. 대한민국임시의정원 관계자료 2. 임시의정원기사록(제1회집-제6회집)
2007-09-26
[3]
일반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