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신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신칸(阪神間)은 일본 효고현의 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아시야시, 이타미시, 다카라즈카시, 가와니시시, 산다시, 이나가와정을 묶어 부르는 지역으로, 한신미나미 현민센터와 한신키타 현민센터 관할 구역을 합쳐 지칭한다. 이 명칭은 오사카시를 줄인 "한(阪)"이 교토에 가까운 순서로 지역명을 붙이는 일본의 역사적 관습에 따라 유래되었으며, 한신 공업지대를 포함한 넓은 지역을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시요도가와구의 역사 - 글리코·모리나가 사건
1984년부터 1985년까지 일본에서 발생한 글리코·모리나가 사건은 괴도 21면상을 자칭하는 범인들이 글리코 사장 유괴를 시작으로 글리코와 모리나가 제과 등 식품 회사를 협박하며 청산가리를 넣은 과자를 유통시키겠다고 위협한 미해결 기업 협박 사건이다.
한신칸 | |
---|---|
개요 | |
국가 | 일본 |
지역 | 효고현 남동부에서 오사카부 서북부에 이르는 지역 |
중심 도시 | 오사카시, 고베시 |
지리 | |
범위 | 대략적으로 오사카 평야와 그 주변의 한신 본선 연선 지역 |
주요 도시 | 오사카시 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아시야시 고베시 |
지리적 특징 | 오사카만에 접하고 롯코 산지를 배경으로 함 |
역사 | |
형성 배경 | 메이지 시대 이후 철도 개통과 함께 도시화 진행 한신 모던 시대를 거치며 주택 지역 및 상업 지역 발달 |
문화적 특징 | 게이한신 지역의 중심 독자적인 문화 및 생활 양식 형성 |
교통 | |
철도 | 한신 전기 철도 한큐 전철 JR 서일본 |
도로 | 국도 2호선 국도 43호선 |
주요 교통망 |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주요 교통 요충지 |
경제 | |
산업 | 제조업 상업 서비스업 |
특징 | 오사카와 고베의 경제적 연결 고리 역할 |
문화 | |
생활 양식 | 세련된 주택 지역 다양한 문화 시설 |
교육 기관 | 다수의 대학교 및 고등학교 위치 |
기타 | |
관련 용어 | 게이한신 한신 모던 |
참고 자료 | 한신간 모더니즘 관련 연구 자료 |
2. 정의
효고현에서는 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아시야시 3개 시를 한신미나미 현민센터로, 이타미시, 다카라즈카시, 가와니시시, 산다시, 가와베군 이나가와정 4개 시 1개 정을 한신키타 현민센터로 묶어 관할하고 있다. 이 두 현민센터를 포괄하는 7개 시 1개 정 지역을 "한신칸" 혹은 "한신 지역"(阪神地域)이라 부른다. 1975년부터 2001년까지 이들 지역은 아마가사키시에 본부를 둔 '''한신현민국'''(제1차) 관할이었으나, 한신미나미/한신키타로 분할되었다. 한신미나미는 아마가사키시와 니시노미야시가 중핵시가 되면서 현 업무 대부분이 시로 이관되어 규모가 축소된 현민센터로 바뀌었다. 두 조직은 2022년을 목표로 한신현민국(제2차)으로 통합되어 이타미시에 본부를 둘 예정이다.[15]
2. 1. 명칭 유래
"한신"이라는 명칭은 오사카시(한)과 고베시(신)에서 한 글자씩 따온 것이다. "칸"(間)은 두 지역 사이를 의미한다. 효고현의 현청소재지인 고베시를 줄인 "신"(神)이 먼저 오지 않고 오사카시를 줄인 "한"(阪)이 먼저 오는 이유는 일본 역사상 지역명을 교토에 가까운 순으로 불렀기 때문이다.[18] "한신"이라는 말이 정착된 것은 메이지 중기로 보이며, 1899년 한신 전기 철도가 "셋츠 전기 철도 주식회사"라는 이름으로 설립되기 이전에는 "신칸 전기 철도"(神阪電気鉄道)라는 명칭으로 창설하자는 제안도 있었다.[18]"칸"을 뺀 단순한 한신이라는 단어는 한신 공업지대와 같이 고베시와 오사카시를 포함한 넓은 지역을 통칭하며, 이를 광의적 의미에서 "한신"이라고 부른다. 가장 좁은 의미에서는 한신미나미 현민센터 관할 지역인 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아시야시 3개 시만을 가리키며, 약간 넓은 의미로는 한신키타 현민센터 관할 지역인 이타미시, 다카라즈카시, 가와니시시를 포함하고 산다시와 이나가와정은 제외하는 경우가 있다.[16] 일본 기상청이 발표하는 기상정보의 2차 세부구분구역에서는 고베시 전역을 포함한 8개 시 1개 정 지역을 '한신' 지역으로 두고 있다.[17]
1929년 무코군 니시고정, 니시나다촌, 롯코촌이, 1950년 미카게정, 스미요시촌, 우오자키정, 혼조촌, 모토야마촌이 각각 고베시에 편입되기 전까지는 이 지역도 넓은 의미의 한신칸에 포함되었으나,[19] 현재는 고베시 나다구와 히가시나다구 지역이 되었기 때문에 후카에 문화촌 등 역사적 맥락을 제외하고는 현재의 "한신칸" 지역에 포함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현재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 지역이 되어버린 구 니시나리군 히에지마정, 후쿠촌, 지부네정, 가와키타촌 등 한신 본선 연선 일대 지역도 오사카시 편입 이전까지 역사적으로는 "한신칸" 지역으로 불렀었다.[20]
2. 2. 역사적 변천

효고현의 지역 구분에서 니시노미야시, 아마가사키시, 아시야시 3개 시는 한신 남현민센터(구 현민국)에, 다카라즈카시, 산다시, 이타미시, 가와니시시, 가와베군 이나가와정 4개 시 1개 정은 한신 북현민국 관할 구역으로 되어 있다. 이 두 구역을 합한 7개 시 1개 정을 "한신칸" 또는 "한신 지역"으로 정의한다. 이들 지역은 1975년부터 2001년까지 아마가사키시에 본부를 둔 '''한신 현민국'''(제1차) 관할이었으나, 한신 남·북으로 분할되었다. 이후 한신 남은 아마가사키시와 니시노미야시가 중핵시로 지정되면서 현 업무 대부분이 이관되어 규모가 축소된 현민센터로 개편되었다. 두 조직은 2022년을 목표로 '''한신 현민국'''(제2차)으로 재통합되어 이타미시에 본부를 설치할 예정이다.[1]
"칸"을 붙이지 않은 "한신"은 한신 공업 지대처럼 고베시 및 오사카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가장 좁은 의미로는 한신 남현민센터 관할 구역인 니시노미야·아마가사키·아시야 3개 시만을 가리킨다.[2] 일본 기상청이 발표하는 기상 정보의 2차 세분 구역에서는 고베시 전역을 포함한 8개 시 1개 정이 "한신" 지역으로 되어 있다.[3]
효고현의 현청 소재지인 고베시를 줄인 "신"이 아닌 오사카시를 줄인 "한"이 먼저 오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교토에 가까운 순서"이기 때문이다. "한신"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중기에 확립된 것으로 보이며, 한신 전기 철도가 1899년 "세츠 전기 철도 주식회사"로 설립되기 이전에는 "'''신한''' 전기 철도"라는 명칭으로 하자는 제안도 있었다.[4]
1929년 무코군 사이고정, 니시나다촌, 롯코촌, 1950년 미카게정, 스미요시촌, 우오자키정, 혼조촌, 혼야마촌이 각각 고베시에 편입되기 전까지는 이 지역들도 "한신칸"에 포함되었다.[5] 그러나 현재는 고베시 나다구 및 히가시나다구가 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한신칸"에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찬가지로, 현재 오사카시 니시요도가와구가 된 구 니시나리군 히에지마정, 후쿠촌, 지부네정, 가와키타촌 등 한신 본선 연선 일대도 오사카시 편입 전까지는 "한신칸"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었다.[6]
3. 관련된 지역 구분
한신칸과 관련된 지역 구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세이세쓰(西摂): 셋쓰국의 서쪽 지역으로, 가와베군, 아리마군, 무코군, 우바라군, 야타베군의 5개 군을 포함한다. 이 중 우바라군과 야타베군은 1896년에 무코군에 통합되었다.
- 대오사카(大大阪): 1925년부터 쇼와 초기까지 오사카시가 주변 지역을 흡수 합병하여 도쿄시를 제치고 일본 최대 인구 도시가 된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에는 효고현의 가와베군 전역과 무코군 대부분도 넓은 의미의 오사카 도시권에 포함되었다.
- 호쿠세쓰(北摂): 셋쓰 국의 북부 지역을 가리키며, 넓게는 한신 북현민국 관내의 4시 1정(4개의 시와 1개의 정)을, 좁게는 산다시나 가와니시시, 이나가와정을 포함한 2시 1정을 의미한다.
- 탄유(丹有): "단바·아리마"의 약자로, 주로 구 아리마군 북부에 해당하는 산다시와 단바국 서부였던 단바사사야마시, 단바시를 포함하는 지역을 가리킨다.
각 지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조하면 된다.
3. 1. 세이세쓰(西摂)
셋쓰국의 서쪽 지역을 말한다. 가와베군, 아리마군, 무코군, 우바라군, 야타베군 5개 군이며 이 중 우바라군과 야타베군은 1896년 무코군으로 편입, 흡수되었다. 페번치현 당시 1869년 가와베군만 셋쓰현에서 도요사키현 관할로 바뀌어 그 외 4개 군만 효고현(제1차)에 속했지만, 같은 해 도요사키현이 효고현에 흡수합병되어 1871년 가와베군 이외에 7개 군(니시나리군, 히가시나리군, 스미요시군, 데시마군, 노세군, 시마카미군, 시마시모군)이 여러 차례 분할되어 효고현과 오사카부(당시 오사카부는 현재 오사카시 중심부인 오사카산고 영역에만 있었다)에 나뉘어 들어갔다.[7]3. 2. 대오사카(大大阪)
오사카시가 인근 정촌을 흡수 합병해 시가지를 확장하여 도쿄시를 제치고 일본 최대 인구 도시가 된 1925년부터 쇼와 초기까지의 번영기를 대오사카 번영기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는 인접한 효고현 가와베군 전역과 무코군의 대부분(당시의 고베시 영역 서쪽의 구 8부군인 스마정, 야마다촌을 제외)도 넓은 의미에서 오사카 도시권인 "오사카"의 일부로 통칭하는 경우가 있었다. 무코군 나루오촌(현재의 니시노미야시)에 있는 고시엔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는 한신 타이거스가 구단 설립 초기에는 '''오사카''' 타이거스를 칭하고, 고시엔 구장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오사카시에 구단 사무소를 두었던 것도 그 때문이다. 그러나 오사카 근교에는 가와베군 고하마촌(현재의 다카라즈카시)의 다카라즈카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는 한큐군이나 사카이시의 나카모즈 구장을 홈구장으로 하는 난카이군도 있었으므로, 오사카 타이거스는 1961년에 정식 명칭을 현재의 "한신 타이거스"로 개칭하기 전부터 "오사카"가 아닌 모회사인 한신 전기철도의 이름을 딴 "한신"으로 통칭되었다[7].3. 3. 호쿠세쓰(北摂)와 탄유(丹有)
"호쿠세쓰"(北摂)는 셋쓰 국의 북부를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는 한신 북현민국 관내의 4시 1정(4개의 시와 1개의 정)을, 좁은 의미로는 산다시 또는 가와니시시·이나가와정을 포함한 2시 1정을 가리킨다. 오사카부에도 현재 또는 과거의 도요노군(구 도요시마군·노세군)과 미시마군(구 시마카미군·시마시모군)에 해당하는 지역을 "호쿠세쓰"라고 부르는 지역 구분이 있다.[7]"탄유"(丹有)는 "단바·아리마"의 약자로, 주로 구 아리마군의 북부에 해당하는 산다시와 과거 단바국의 서부(타키군·코리상군)였던 단바사사야마시 및 단바시를 동일 지역으로 하여 "한신칸"과 다른 지역으로 구분할 때 사용된다. 하지만 대부분이 구 아리마군에 속한 고베시 기타구(무코군 야마다촌·미노군아와가와촌에 속한 지역을 제외)[8]이나 니시노미야시 북부(야마구치, 나요, 나마세, 구 야마구치촌·시오세촌)는 포함되지 않는다. "탄유"는 현립 고등학교의 구 학군 등 교육 관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구 아리마군에 속하지 않는 시정(주로 이나가와정, 극히 드물게 가와니시시·다카라즈카시·이타미시)도 포함하는 경우에는 "호쿠세츠·단바"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7]
4. 정치
한신칸의 참의원은 전 지역이 효고현 선거구에 속한다. 효고현의회 선거구는 가와니시시와 가와베군(이나가와정)이 하나의 선거구로 묶여 있으며, 나머지 시는 각각 하나의 선거구를 가진다.
4. 1. 중의원
1994년 일본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소선거구와 비례대표제를 동시에 운영하게 된 이후 선거구 변천은 다음과 같다. 2017년에는 표당 격차를 조정하기 위해 소선거구제 의석 구분이 변경되었고,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부터 변경된 선거구가 적용되었다.시정 | 구역 | 현행(제48회 중의원 선거부터 적용) | 제41회-제47회 총선거 당시 | 중선거구(제23회-제40회 총선거 당시) |
---|---|---|---|---|
산다시 | 효고현 제5구 | 효고현 제5구 | 효고현 제2구(5명 선출) | |
이나가와정 | ||||
가와니시시 | 북부(구 히가시타니촌) | 효고현 제6구 | ||
남부(구 가와니시정, 다다촌) | 효고현 제6구 | |||
이타미시 | ||||
다카라즈카시 | ||||
아시야시 | 효고현 제7구 | 효고현 제7구 | ||
니시노미야시 | 남부(구 무코군) | |||
북부(구 아리마군 시오세촌, 야마구치촌) | 효고현 제2구 | |||
아마가사키시 | 효고현 제8구 | 효고현 제8구 |
4. 2. 효고현의회
효고현의회의 선거구와 정수는 다음과 같다. 가와니시시와 가와베군(이나가와정)은 하나의 선거구로 묶여 있으며, 나머지 시는 각각 하나의 선거구를 가진다.
5. 교통
한신칸 지역은 일본 긴키 지방의 주요 교통 요지 중 하나이다. 이 지역의 교통은 한신 남부 현민 센터 및 한신 북부 현민국에서 관할하며, 7개 시와 1개 정을 포함한다. 이 지역에서는 "고베" 번호판이 발급된다.[1]
이 지역에는 오사카 국제공항이 있으며, 서일본 여객철도, 한신 전기철도, 한큐 전철, 노세 전철, 고베 전철 등의 철도 노선이 지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 고속도로
; 도시 고속도로
- 한신 고속도로
- * 한신 고속도로 3호 고베선
- * 한신 고속도로 5호 만안선
- * 한신 고속도로 7호 기타고베선
- * 한신 고속도로 11호 이케다선
; 국도
- 국도 2호선
- 국도 43호선
- 국도 171호선
- 국도 176호선
; 노상 휴게소
- 미치노에키 이나가와
5. 1. 항공
오사카 국제공항5. 2. 철도
- 서일본 여객철도
- * 도카이도 본선 (JR 고베 선)
- * 후쿠치야마 선 (JR 다카라즈카 선)
- 한신 전기철도
- * 본선
- * 한신 난바 선
- 한큐 전철
- * 고베 본선
- ** 이타미 선
- ** 이마즈 선
- ** 고요 선
- * 다카라즈카 본선
- 노세 전철
- * 묘켄 선
- * 닛세이 선
- 고베 전철
- * 산다 선
- ** 공원도시 선
오사카 모노레일의 오사카 공항역은 부지 일부가 이타미시에 속하지만, 역의 주소는 오사카부 도요나카시로 되어 있다.
5. 3. 도로
;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 (도요나카IC) - 아마가사키IC - 니시노미야IC - (한신 고속도로에 합류)
- 신메이신 고속도로 (미노오 도도로미IC) - 가와니시IC - 다카라즈카 북 SA/스마트IC - (고베JCT) ※ 산요 자동차도·주고쿠 자동차도와 접속
- 주고쿠 자동차도 (주고쿠 이케다IC) - ''이타미시'' - 다카라즈카IC - 니시노미야키타IC - (고베JCT) - 고베 산다IC - (요시카와JCT)
- 마이즈루 와카사 자동차도 (요시카와JCT) - 산다니시IC - (탄난 사사야마구치IC)
; 도시 고속도로
- 한신 고속도로 3호 고베선
- 한신 고속도로 5호 만안선
- 한신 고속도로 7호 기타고베선
- 한신 고속도로 11호 이케다선
; 국도
- 국도 2호선 (오사카시) - 아마가사키시 - 니시노미야시 - 아시야시 -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 국도 43호선 (오사카시) - 아마가사키시 - 니시노미야시 - 아시야시 -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 국도 171호선 (도요나카시) - 이타미시 - 아마가사키시 - 니시노미야시 - 아시야시 -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 국도 176호선 (이케다시) - 가와니시시 - 다카라즈카시 - 니시노미야시 - (고베시 기타구) - 산다시 - (단바사사야마시)
; 노상 휴게소
- 미치노에키 이나가와 - 이나가와초의 효고현도 12호 가와니시 사사야마 선 연변에 있다.
6. 교육
한신칸은 사립 중학교・고등학교가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밀집된 지역 중 하나이다. 현립 고등학교 학군을 살펴보면, 오랫동안 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다카라즈카시, 아시야시는 각각 1개 시 단독으로, 이타미시, 가와니시시, 이나가와정은 이타미 학구를 형성했고, 산다시는 사사야마시, 단바시와 함께 탄유 학구에 포함되어 있었다.
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다카라즈카시는 1953년부터, 이타미시, 가와니시시, 이나가와정은 1970년부터 공립 고등학교 입시에서 종합 선발을 실시했다 (2010년에 전면 폐지). 아시야시는 학구 내 인구가 극단적으로 적어 소학구제였다가 2005년에 고베 제1학구에 통합되어 고베 제1・아시야 학구가 되었다. 2015년에는 학구 재편이 이루어져 아시야시만 고베시와 같은 제1학구가 되고, 나머지는 제2학구(구 탄유 학구의 단바사사야마시, 단바시도 포함)에 통합되었다.
한신칸 지역에는 국공립대학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모두 사립대학이다.
6. 1. 대학
한신칸 지역에는 국공립대학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다음은 모두 사립대학이다.'''대학'''
- 아시야 대학
- 오사카 아오야마 대학(가와니시시)[12]
- 오테마에 대학(니시노미야시, 이타미시)
- 간세이 가쿠인 대학(니시노미야시, 산다시)
- 고베 여학원 대학(니시노미야시)
- 고시엔 대학(다카라즈카시)
- 소노다 학원 여자 대학(아마가사키시)
- 다카라즈카 대학
- 다카라즈카 의료 대학
- 효고 의과대학(니시노미야시)
- 무코가와 여자 대학(니시노미야시)
'''단기 대학'''
- 아시야 학원 단기 대학
- 오사카 아오야마 단기 대학(가와니시시)
- 오사카 예술 대학 단기 대학부(이타미시)[13]
- 오테마에 단기 대학(이타미시)
- 세이와 단기 대학(니시노미야시)
- 고시엔 단기 대학(다카라즈카시)
- 산업기술 단기 대학(아마가사키시)
- 소노다 학원 여자 대학 단기 대학부
- 도요 식품공업 단기 대학(가와니시시)
- 미나토가와 단기 대학(산다시)
- 무코가와 여자 대학 단기 대학부(니시노미야시)
6. 2. 단기 대학
7. 미디어
방송은 킨키 광역권에 준하지만, 전역에서 현역 방송인 선 TV를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오사카부의 부역 방송인 TV 오사카를 시청할 수 있지만, 산다와 이나가와 북부에서는 케이블 TV에 가입하지 않으면 시청이 어려운 지역이 있다.[14]
7. 1. 신문
한신칸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로컬 신문은 존재하지 않는다. 효고현의 현역 신문인 고베 신문은 현내 다른 지역에 비해 한신 지역에서 점유율이 약간 낮다. 2015년 1월 집계에 따르면 니시노미야, 아시야, 카와니시에서는 아사히 신문이, 아마가사키, 이타미, 다카라즈카, 산다에서는 요미우리 신문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나가와는 합매로 인해 전국지 데이터 없음).[14]취재망에서는 고베 신문이 2총국 3지국을 설치하고 있지만, 아사히 신문도 지역 내에 5지국(한신과 산다가 총괄 지국 상당)을 설치하고 있다. 아사히 신문 한신 지국은 1987년 적보대 사건으로 기자가 순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총국·총괄 지국의 대부분은 니시노미야시에 "한신" 명칭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마이니치 신문과 지지 통신은 아마가사키시에 한신 지국을 설치하고 있다.
통신부는 생략한다.
신문사 | 총지국 |
---|---|
고베 신문사 | ★한신(니시노미야), 아마가사키, 이타미, 다카라즈카, ★호쿠세츠(산다) |
아사히 신문 오사카 본사 (고베 총국 관내) | ☆한신(니시노미야), 아마가사키, 다카라즈카, 카와니시, ☆산다 |
마이니치 신문 오사카 본사 | 한신(아마가사키) |
요미우리 신문 오사카 본사 (고베 총국 관내) | 한신(니시노미야), 산다 |
산케이 신문 오사카 본사 (고베 총국 관내) | 한신(니시노미야) |
지지 통신사 (고베 총국 관내) | 한신(아마가사키) |
교도 통신사는 지역 내에 지국이 없으며, 고베 지국(오사카 지사 관내) 니시노미야 통신부가 지역 내 취재를 담당하고 있다. 일본 경제 신문사에서는 고베 지사(오사카 본사 관내)가 취재를 담당하고 있다.
7. 2. 케이블 TV
베이 커뮤니케이션즈(아마가사키시, 니시노미야시, 이타미시)는 본사가 오사카시 후쿠시마구에 있으며, 잠정 조치로 KBS 교토 TV의 구역외 재전송을 실시하고 있다. 제이콤 웨스트 산하 J:COM 다카라즈카・가와니시 (다카라즈카시, 가와니시시, 산다시, 이나가와정)와 J:COM 고베・아시야 (아시야시)는 사업소가 고베시 히가시나다구에 있으며, KBS 교토 TV의 구역외 재전송은 실시하지 않고 있다. eo 히카리 TV (전역)에서는 KBS 교토 TV의 구역외 재전송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7. 3. 커뮤니티 FM
FM 아마가사키 (FM 아이아이), 이타미 커뮤니티 방송 (해피 FM 이타미), 사쿠라 FM, FM 다카라즈카 (허밍 FM 다카라즈카), FM 산다 (HONEY FM)는 라지넷 효고에 가맹되어 있다.참조
[1]
뉴스
「阪神県民局」本庁舎は伊丹に 県が方針案発表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19-12-18
[2]
서적
阪神
https://kotobank.jp/[...]
講談社
[3]
간행물
兵庫県
https://www.jma.go.j[...]
気象庁
[4]
웹사이트
摂津電気鉄道計画
http://www.archives.[...]
[5]
뉴스
数字が物語る工場の増加振り 地形一変す産業文化 伸び行く阪神沿線(上)
日本工業新聞
1940-02-06
[6]
웹사이트
歴史を訪ねて(西淀川区) 区内の碑
https://www.city.osa[...]
大阪市役所
2019-12-27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웹사이트
猪名川花火大会事業
https://www.city.kaw[...]
川西市
[11]
웹사이트
池田市・川西市 図書館の相互利用
http://lib-ikedacity[...]
池田市立図書館
[12]
문서
[13]
문서
[14]
웹사이트
兵庫県の新聞折込
http://oricomi-k.co.[...]
神戸新聞総合折込
[15]
뉴스
「阪神県民局」本庁舎は伊丹に 県が方針案発表
https://www.kobe-np.[...]
神戸新聞社
2019-12-18
[16]
서적
阪神
https://kotobank.jp/[...]
講談社
[17]
간행물
兵庫県
https://www.jma.go.j[...]
気象庁
[18]
웹사이트
摂津電気鉄道計画
http://www.archives.[...]
[19]
뉴스
数字が物語る工場の増加振り 地形一変す産業文化 伸び行く阪神沿線(上)
日本工業新聞
1940-02-06
[20]
웹인용
歴史を訪ねて(西淀川区) 区内の碑
https://www.city.osa[...]
大阪市役所
2019-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