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숙 (무용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영숙은 1920년 충청남도 천안에서 출생하여 한국 무용가로 활동하다 1989년 사망했다. 그는 한성준의 손녀이자 서녀로 태어나 할아버지에게 춤을 배우며 승무, 살풀이춤 등 전통 춤을 전수받았다. 1946년 한영숙 고전 무용 연구소를 설립하여 후학을 양성했으며, 서울 올림픽 폐막식에서 살풀이춤을 선보이는 등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1969년에는 그의 승무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서울시 문화상, 서울신문 문화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무용가 - 김천흥 (국악인)
김천흥은 해금 연주자이자 전통 무용가, 국악인으로, 종묘제례악과 처용무 예능 보유자였으며 국립국악원에서 아악과 궁중무 재현 및 전승에 힘썼고, 1964년 종묘제례악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무용가 - 정칠성
정칠성은 일제강점기 기생으로 3·1 운동에 참여하여 사회운동에 투신, 여성 계몽과 사회 부조리 개선을 주장하며 신간회와 근우회에서 항일 의식을 고취한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운동가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김소희 (국악인)
김소희는 심청가를 통해 판소리에 입문하여 송만갑에게 사사하고 남원 천향제에서 수상하며 재능을 인정받은 후 이화정선과 함께 활동,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후 국악원을 설립하고 대학에서 한국음악 강사로 활동하며 국악 전파 및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중요무형문화재 판소리 명창이다. -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 장주원
장주원은 대한민국의 옥공예 장인으로, 전통 기법을 계승하고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옥공예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무용가 - 공옥진
공옥진은 1931년 출생하여 판소리와 춤을 결합한 1인 창무극을 개척하고, 전라남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80세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무용가 - 한나나
한나나는 1979년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발레리나를 꿈꿨으나 부상으로 진로를 변경, 미시간 주립대학교 졸업 후 미디어 드림 엔터테인먼트에 입사하여 1999년 영화 데뷔, 미스코리아 선 수상, 드라마 주연 및 뮤직비디오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 배우이다.
한영숙 (무용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영숙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일 | 1920년 2월 2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천안군 |
사망일 | 1989년 10월 7일 (향년 69세) |
사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아호 | 벽사(碧史) |
분야 | 한국 무용 |
직업 | 고전무용가 대학 교수 |
학력 | 1926년 충청남도 홍성 갈미보통학교 1학년 중퇴 |
배우자 | 황병렬 |
부모 | 부: 한희종 |
친척 | 친조부: 한성준 사돈: 임방울 친정 종질녀: 한수자 친정 종질녀: 한백희 친척 조카손녀: 김완선 친척 조카손주: 정현 |
경력 | |
주요 경력 | 세종대학교 초빙교수 |
주요 작품 | |
대표작 | 학춤(학무) |
2. 생애
한영숙은 1920년 2월 2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한성준의 손녀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한희종이었다. 9세에 홍산갈미학교를 중퇴하고 13세에 할아버지 한성준을 따라 서울로 이사하여 한국 무용을 배우기 시작했다. 조선 음악무용연구소에서 해금과 양금을 배우고, 승무, 학춤, 태평무, 살풀이, 바라춤 등 다양한 한국 무용을 익혔다. 서울 부민관에서 열린 할아버지의 무용 발표회에서 첫 공연을 가졌다.[1]
1944년에는 아코디언 연주자 황병렬과 결혼했다. 한성준 사후 그의 한국 무용 스타일을 계승하였고, 일본, 만주, 황해도, 평안북도, 함경도 등지에서 순회 공연을 가졌다.[1] 1990년 10월 8일에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충청남도 천안에서 한희종(친정 부친)의 서녀(측실 소생 막내딸)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충청남도 예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충청남도 홍성에서 성장하였다. 1920년 2월 2일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태어났다. 한국 무용의 대가인 한성준의 손녀이며, 아버지는 한희종이었다. 9세에 홍산갈미학교를 중퇴한 후 13세에 할아버지 한성준과 함께 한국 무용을 배우기 위해 서울로 이사했다.[1] 조선 음악무용연구소에서 해금과 양금을 배웠으며, 승무, 학춤, 태평무, 살풀이, 바라춤과 같은 모든 한국 무용을 배웠다.[1] 13세 때 할아버지 한성준에게 춤을 배우기 시작해 1937년 경성부에서 열린 한성준 무용발표회에서 처음 발표했다.2. 2. 무용가로서의 활동
한성준에게서 승무, 학춤, 살풀이, 태평무 등 전통춤을 전수받았다. 광복 후 한영숙고전무용연구소를 설립했고, 세종대학교, 국악예술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 서울시립무용단 등에서 활동하였으며,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46년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한영숙 고전 무용 연구소를 설립했다. 국악예술학교(현 국악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수도사범학교, 서울시립무용단 등에서 한국 무용 강사로 활동했다.[1]조선 음악무용연구소에서 해금과 양금을 배웠으며, 승무, 학무, 태평무, 살풀이, 바라춤과 같은 모든 한국 무용을 배웠다. 서울 부민관에서 열린 할아버지의 무용 발표회에서 첫 공연을 했다. 한성준 무용 연구소를 물려받았고,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그의 한국 무용 스타일을 계승했다. 일본, 만주, 황해도, 평안북도, 함경도에서 순회 공연을 했다.[1]
일본 오사카 엑스포에 국가 사절단으로 참여했다.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에서 민속 공연단을 이끌었다. 뮌헨 하계 올림픽에서도 민속 공연을 했으며, 1975년에는 한국 광복 3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과 오키나와 순회 공연을 가졌다. 오키나와 해양 엑스포 국가의 날 콘서트에서 공연을 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폐막식 행사에서 자신의 특기인 살풀이를 선보였다.[1]
2. 3. 교육 활동
1946년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한영숙 고전 무용 연구소를 설립했다. 국악예술학교(현 국악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수도사범학교, 서울시립무용단 등에서 한국 무용 강사로 활동했다.2. 4. 국제 교류
일본 오사카 엑스포에 국가 사절단으로 참여했다.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과 뮌헨 하계 올림픽에서 민속 공연을 했다. 1975년에는 한국 광복 3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과 오키나와 순회 공연을 했고, 오키나와 해양 엑스포 국가의 날 콘서트에서 공연을 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폐막식 행사에서 자신의 특기인 살풀이를 선보였다.2. 5. 사망
1989년 10월 7일 만성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3. 주요 작품 및 활동
한영숙은 1946년 한영숙 고전 무용 연구소를 설립하여 학생들을 가르쳤다. 국악예술학교(현 국악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수도사범학교, 서울시립무용단 등에서 한국 무용 강사로 활동했다. 일본 오사카 엑스포에 국가 사절단으로 참여했고,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과 뮌헨 하계 올림픽에서 민속 공연을 했다. 1975년에는 한국 광복 3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과 오키나와 순회 공연을 가졌고, 오키나와 해양 엑스포 국가의 날 콘서트에서 공연했다.
3. 1. 승무
1969년 한영숙의 승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로 지정되어 전승되고 있다. 현 보유자는 이애주이다.3. 2. 학무
1946년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한영숙 고전 무용 연구소를 설립했다. 국악예술학교(현 국악고등학교), 서라벌예술대학,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 서울예술대학교, 수도사범학교, 서울시립무용단 등에서 한국 무용 강사로 활동했다. 일본 오사카 엑스포에 국가 사절단으로 참여했다. 1972년 삿포로 동계 올림픽과 뮌헨 하계 올림픽에서 민속 공연을 했다. 1975년에는 한국 광복 30주년을 기념하여 일본과 오키나와 순회 공연을 가졌다. 오키나와 해양 엑스포 국가의 날 콘서트에서 공연을 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폐막식 행사에서 자신의 특기인 살풀이를 선보였다.3. 3. 태평무
서울 올림픽 폐막식 행사에서 한영숙은 자신의 특기인 살풀이를 선보였다.[1]3. 4. 살풀이춤
한영숙은 1988년 서울 올림픽 폐막식 행사에서 자신의 특기인 살풀이 춤을 선보였다.[1]4. 수상 경력
연도 | 수상 내역 |
---|---|
1967년 | 서울시 문화상 |
1970년 | 제3회 서울신문 문화상, 대통령 표창 |
1971년 | 제3회 문화예술상 |
1973년 | 동백장 |
1980년 | 대한민국예술원상 |
5. 가족 및 친척 관계
가수 김완선의 외조부는 한영숙의 친정 사촌 오빠이며, 판소리 국악인 임방울의 사위들 가운데 한 사람이 한영숙의 친정 7촌 조카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