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함백산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백산층은 한반도 평안 누층군에 속하는 지층으로, 주로 유백색 내지 담회색 조립 사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셰일이 협재되기도 한다. 삼척탄전, 강릉탄전, 단양탄전 등 남한 지역에 분포하며, 페름기 식물 화석이 발견된다. 이 지층은 장성층 상위에 위치하며, 지역에 따라 습곡, 단층, 부정합 등의 지질 구조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의 지리 - 금천층
    금천층은 석탄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암회색 사암, 셰일, 석회암을 주 구성 암석으로 하며 얇은 석탄층을 포함하고, 태백산지구에 넓게 분포하며, 석회암층에서 산출되는 화석은 지질시대 및 퇴적 환경 연구에 활용된다.
  • 강릉시의 지리 - 장성층
    장성층은 평안 누층군의 일부로, 흑색 셰일과 사암으로 구성되고 식물 화석이 발견되며, 여러 겹의 무연탄층을 포함하여 경제적으로 중요한 지층이다.
  • 태백시의 지리 - 태백산
    태백산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위치하며 백두대간에서 갈라져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산으로, 2,637종의 야생 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자연환경을 자랑하고 천제단과 망경사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 태백시의 지리 - 구문소
    황지천이 막골층 암벽을 침식하여 형성된 구문소는 구하도 지형과 감입 곡류 하천의 특징을 보이는 동굴이다.
  • 정선군의 지리 - 정선군의 지질
    정선군의 지질은 캄브리아기부터 트라이아스기까지의 다양한 지층과 지질 구조를 가지며 조선 누층군과 평안 누층군이 넓게 분포하고, 단곡 단층을 포함한 다수의 단층과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발달하여 다양한 광상과 지하자원을 형성한다.
  • 정선군의 지리 - 금천층
    금천층은 석탄기에 형성된 지층으로, 암회색 사암, 셰일, 석회암을 주 구성 암석으로 하며 얇은 석탄층을 포함하고, 태백산지구에 넓게 분포하며, 석회암층에서 산출되는 화석은 지질시대 및 퇴적 환경 연구에 활용된다.
함백산층
암석 단위 정보
이름함백산층
시대고생대
시기페름기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해안에 드러난 함백산층의 [[습곡]]과 [[단층]] 구조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 해안에 드러난 함백산층의 습곡단층 구조
유형퇴적암
주 암질사암, 셰일
나머지 암질석회암, 무연탄
이름 따옴함백산
명명정창희 (1969)
상위 단위평안 누층군
하층평안 누층군 장성층
상층평안 누층군 도사곡층
두께삼척탄전 : 장성 광산 250 m
도계 광산 270 m
백운산 350 m
단양탄전 : 100~300 m
지역삼척탄전, 강릉탄전, 정선-평창탄전, 영월탄전, 단양탄전

2. 평안 누층군의 층서

고생대 페름기 전기 시수랄리아세 쿤쿠리안절에 해당하는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사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셰일을 협재하기도 한다. 지층의 두께는 장성광산에서 250m, 도계광산에서 270m, 백운산 근방에서 350m이다.[1] 함백산층을 이루는 사암은 풍화에 대한 저항이 강해 높은 절벽이나 능선을 이룬다.

함백산층은 삼척탄전, 강릉탄전, 단양탄전 등 여러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 삼척탄전에서는 주로 유백색 내지 담회색 조립사암으로 구성되며, 사층리가 많이 발달해 있다.[9]
  • 강릉탄전에서는 유백색, (담)회색, 담녹색의 (극)조립사암과 담녹색-(녹)회색 세립사암으로 구성되며 박층의 흑색/암회색 셰일과 사암을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약 200m이다.[15]
  • 단양탄전에서는 대부분 담색의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규화 작용으로 인해 규암으로 변해 있다.[17]

2. 1. 남한 지역

1969년 정창희는 삼척탄전을 평안 누층군의 표식지로 삼고, 그 층서를 하부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으로 새로 설정하였다.[3] 이 층서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표준 층서로 사용된다.[4]

평안 누층군의 지질 계통표와 층서는 다음과 같다.

지질 시대지역
삼척탄전강릉탄전정선-평창탄전영월탄전단양탄전보은탄전화순탄전평남분지두만분지
고생대
페름기
252.17–298.9 Mya
시수랄리아
272.3–298.9 Mya
쿤쿠리안함백산층함백산층style="background-color: #157d68;" |함백산층함백산층계룡산통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사암으로 구성되며, 풍화에 강해 높은 절벽이나 능선을 이룬다.

2. 1. 1. 삼척탄전

삼척-고사리 지질도폭(1962)에 의하면 함백산층은 경동광업소 부근 장성층 상위에 분포하며, 주로 (담)회색의 역질사암 및 조립 내지 중립의 사암과 유백색의 중립 내지 조립질의 사암이 대부분이나 실트암이나 셰일도 소규모 협재한다. 하부의 장성층과는 정합적 관계로 두 지층의 구분은 뚜렷한 암상의 차이로 용이하다.[7]

정창희(1969)에 의하면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사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셰일을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장성광산에서 250m, 도계광산에서 270m, 백운산 근방에서 350m이다. 장성층과 함백산층은 대개 정합이나 일부 지역에서 부정합의 관계를 보인다. 부정합의 증거로 기저 역암층이 백운산과 옥동광산 지역에서 각각 20cm와 10cm 두께로 나타난다.[1]

함백산층은 함백산 주변에 표식적으로 분포하나 장성의 장성층 상위에도 잘 발달한다. 함백산층은 고방산통의 하부에 해당하며 유백색 규암을 주로 하고 간간히 얇은 층의 흑색 셰일을 협재한다. 이 지층은 250m~270m의 두께를 가지며 본 층 상부에서 발견되는 식물 화석은 페름기를 지시한다.[8]

삼척탄전 서부 지역에서의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내지 담회색 조립사암으로 구성되며 두께 5m 이하의 흑색 셰일을 수 매 협재한다. 본 층에는 사층리가 많이 발달해 있다.[9]

함백산 단층 동부 황지동-장성동 지역에서의 함백산층은 하위의 장성층과 정합적인 관계를 가지며 기저부에는 0.3cm~1cm 크기의 역을 함유하는 역암에서 암회색 셰일에 이르기까지 정상적인 점이 층리를 보이며 3회의 윤회층을 보인다. 그 상부에서는 상향 조립화를 보이는 윤회층이 6회 반복된 다음 다시 암회색 셰일층이 발달한다. 이 상위에는 대부분이 점이 층리를 보이며 역암 내지 역질 사암, 중립질 사암, 세립질 사암의 순서이거나 또는 그 상위에 셰일층이 놓이는 순서를 보이다가 본 층의 상한인 암회색 셰일이 분포한 다음에 도사곡층의 최하부 녹회색 셰일과 접한다.[10]

전희영(1985, 1987)은 함백산층에서 페름기 쿤구르절(Kungurian)에 속하는 식물화석 ''Annularia gracilescens'' Halle, ''Annularia mucronata'' Schenk, ''Annularia sphenophylloides'' (Zenker) Gutbier, ''Annularia stellata'', ''Lobatannularia'' sp. cf. ''L. lingulata'' Hall, ''Lobatannularia sinensis'' Halle, ''Calamites suckowii'' Brongniart, ''Calamites cistii'' Brongniart, ''Calamites'' sp. 등을 발견했다.[11][12]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내지 회백색 조립 사암으로 구성되며 간간히 흑색 셰일이 협재된다. 이 지층을 구성하는 사암의 95% 이상은 석영으로 구성되며 기질의 양이 적다. 함백산층을 이루는 사암은 풍화에 대한 저항이 강해 높은 절벽이나 능선을 이룬다. 이 지층의 두께는 70m 내외이다.[13]

삼척-고사리도폭 지질보고서(1994)에 의하면 함백산층은 경동광업소 부근 장성층 상위에 분포하며, 주로 담회색 내지 회색의 역질 사암 및 조립 내지 중립의 사암과 유백색의 중립 내지 조립질의 사암이 대부분이나 실트암이나 셰일도 소규모 협재한다. 하부의 장성층과는 정합적 관계로 두 지층의 구분은 뚜렷한 암상의 차이로 용이하다.[1]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의하면 함백산층의 암상조합은 삼각주가 석호(lagoonal)나 바다 쪽으로 확장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이다.

함백산층 종자고사리류 화석 ''Callipteridium koraiense''


함백산층 네게라치아류 화석 ''Tingia Hamaguchi''

2. 1. 2. 강릉탄전

안인리에서 묵호동에 이르는 동해안 일대와, 대관령 동쪽 4 km 지점부터 강릉 남쪽 12 km 지점인 만덕봉 부근까지 이르는 지역은 석탄이 산출되어 소위 '''강릉탄전'''(江陵炭田)으로 불린다. 면적 190 km2에 이르는 강릉탄전에는 전국 석탄의 약 5%가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80년대 말 약 90개의 탄광이 운영되었으나 석탄산업 합리화 사업으로 모두 폐광되었다.[14]

'''함백산층'''(Hambaeksan Formation)은 과거 고방산층 하부에 해당하며 유백색, (담)회색, 담녹색의 (극)조립사암과 담녹색-(녹)회색 세립사암으로 구성되며 박층의 흑색/암회색 셰일과 사암을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약 200 m이다.[15]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옥계면 금진리 해안도로를 따라 함백산층이 드러나 있으며, 습곡, 단층, 암맥이 관찰된다.

금진항 (강릉시)의 노두와 이를 관입한 암맥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의 조립사암층으로 석영맥이 관입하였다.






평안 누층군 함백산층에 형성된 풍화구조로 작은 구멍이 있다.


하부 백색층과 상부 암회색층. 서쪽으로 기울어 있다.


습곡단층 구조로 층리가 변화한다.


지층은 서쪽으로 경사한다.


이암과 사암의 호층으로 배사 습곡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암회색층 내 단층 구조


대규모 향사 습곡 구조


함백산층을 관입한 암맥 구조




사층리



2. 1. 3. 단양탄전

단양탄전은 충청북도 단양군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며 밑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과 동고층으로 구성된다.[1]

함백산층은 장성층 서편에 장성층과 평행하게 400~800 m 폭으로 대상(帶狀) 발달하며 종래의 고방산층 분포대와 거의 일치한다. 대부분 담색의 사암으로 구성된 지층이나 규화 작용으로 인해 지금은 규암으로 변하여 있다. 규암층은 풍화에 강해 산 능선부에 분포하며 유백색이고 조립사암을 주로 하나 간혹 두께 2~3 m의 흑색 셰일을 협재한다. 함백산층 기저에서 약 40 m 되는 곳에 석탄층이 발달되는 경우가 있다.[17]

함백산층은 고방산층 하부에 해당하며 고수동굴 부근에서는 고수리 단층 동측에 넓게 분포한다. 고수동굴의 출구는 설미기골이라는 계곡에 있는데 이 설미기골 서측 50 m 이내에 고수리 단층이 있어 고수동굴을 포함한 막동 석회암층은 고현리 단층을 사이에 두고 함백산층과 접하고 있다. 이곳의 함백산층은 고수리 단층 동방 400 m에 있는 또 다른 역단층 '사평리 단층'에 의해 잘린다. 함백산층은 주로 담회색 내지 백색의 조립 사암으로 되어 있다고 하나 사암은 변성되어 규암으로 변해 있다. 이는 아주 단단하며 구성 광물은 거의 모두가 석영 입자이고 입자들 사이는 세립의 석영 입자로 충전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는 규산이 침전되어 있다.[18]

3. 함백산층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은 최대 1,400 m의 두께를 가지며, 과거 하부로부터 홍점통(→만항층), 사동통(→금천층, 장성층), 고방산통(→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녹암통(→동고층)으로 구분되었다.[1][2] 1969년 정창희는 삼척탄전을 평안 누층군의 표식지로 삼고, 그 층서를 하부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으로 새로 설정하였다. 이들 지층명은 오늘날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의 표준 층서로 자리잡았다.[3][4]

함백산층은 고방산통의 하부에 해당하며, 주로 유백색 규암사암으로 구성된다. 흑색 셰일을 협재하며, 페름기 식물 화석이 발견되어 지질 시대를 추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평안 누층군의 지질 계통표와 층서는 다음과 같다.

지질 시대지역
삼척탄전강릉탄전정선-평창탄전영월탄전단양탄전보은탄전화순탄전평남분지두만분지
고생대
페름기
252.17–298.9 Mya
시수랄리아
272.3–298.9 Mya
쿤쿠리안함백산층함백산층style="background-color: #157d68;" |함백산층함백산층계룡산통고방산통



김항묵(1971)은 단양탄전 지구에 분포된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과 대동 누층군에 발달된 사층리와 고수류를 분석하여, 단양탄전 지구의 쇄설성 퇴적물의 공급지가 이 지역의 동쪽에 위치하고 평균 운반 방향은 295°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함백산층과 황지층군(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의 사층리는 해성 환경을 지시하며, 단양탄전의 평안 누층군 퇴적분지가 해양과 연결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즉 평안 누층군은 만입(灣入) 분지 내 퇴적형이다.[16]

3. 1. 삼척탄전의 함백산층

정창희(1969)에 의하면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사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셰일을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장성광산에서 250 m, 도계광산에서 270 m, 백운산 근방에서 350 m이다. 장성층과 함백산층은 대개 정합이나 일부 지역에서 부정합의 관계를 보인다. 부정합의 증거로 기저 역암층이 백운산과 옥동광산 지역에서 각각 20 cm와 10 cm 두께로 나타난다.[1]

함백산층은 함백산 주변에 표식적으로 분포하나 장성의 장성층 상위에도 잘 발달한다. 함백산층은 고방산통의 하부에 해당한다. 함백산층은 유백색 규암을 주로 하고 간간히 얇은 층의 흑색 셰일을 협재한다. 이 지층은 250~270 m의 두께를 가지며 본 층 상부에서 발견되는 식물 화석은 페름기를 지시한다.[8]

삼척탄전 서부 지역에서의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내지 담회색 조립사암으로 구성되며 두께 5 m 이하의 흑색 셰일을 수 매 협재한다. 본 층에는 사층리가 많이 발달해 있다.[9]

함백산 단층 동부 황지동-장성동 지역에서의 함백산층은 하위의 장성층과 정합적인 관계를 가지며 기저부에는 0.3~1 cm 크기의 역을 함유하는 역암에서 암회색 셰일에 이르기까지 정상적인 점이 층리를 보이며 3회의 윤회층을 보인다. 그 상부에서는 상향 조립화를 보이는 윤회층이 6회 반복된 다음 다시 암회색 셰일층이 발달한다. 이 상위에는 대부분이 점이 층리를 보이며 역암 내지 역질 사암, 중립질 사암, 세립질 사암의 순서이거나 또는 그 상위에 셰일층이 놓이는 순서를 보이다가 본 층의 상한인 암회색 셰일이 분포한 다음에 도사곡층의 최하부 녹회색 셰일과 접한다.[10]

전희영(1985, 1987)은 함백산층에서 페름기 쿤구르절(Kungurian)에 속하는 식물화석 ''Annularia gracilescens'' Halle, ''Annularia mucronata'' Schenk, ''Annularia sphenophylloides'' (Zenker) Gutbier, ''Annularia stellata'', ''Lobatannularia'' sp. cf. ''L. lingulata'' Hall, ''Lobatannularia sinensis'' Halle, ''Calamites suckowii'' Brongniart, ''Calamites cistii'' Brongniart, ''Calamites'' sp. 등을 발견했다.[11][12]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내지 회백색 조립 사암으로 구성되며 간간히 흑색 셰일이 협재된다. 이 지층을 구성하는 사암의 95% 이상은 석영으로 구성되며 기질의 양이 적다. 함백산층을 이루는 사암은 풍화에 대한 저항이 강해 높은 절벽이나 능선을 이룬다. 이 지층의 두께는 70 m 내외이다.[13]

삼척-고사리도폭 지질보고서(1994)에 의하면 함백산층은 경동광업소 부근 장성층 상위에 분포하며, 주로 담회색 내지 회색의 역질 사암 및 조립 내지 중립의 사암과 유백색의 중립 내지 조립질의 사암이 대부분이나 실트암이나 셰일도 소규모 협재한다. 하부의 장성층과는 정합적 관계로 두 지층의 구분은 뚜렷한 암상의 차이로 용이한 편이다.[1]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의하면 함백산층의 암상조합은 삼각주가 석호(lagoonal)나 바다 쪽으로 확장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이다.

3. 2. 강릉탄전의 함백산층

함백산층은 과거의 고방산층 하부에 해당하며 유백색, (담)회색, 담녹색의 (극)조립사암과 담녹색-(녹)회색 세립사암으로 구성되며 박층의 흑색/암회색 셰일과 사암을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약 200 m이다.[15]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옥계면 금진리 해안도로를 따라 함백산층이 드러나 있으며 습곡, 단층, 암맥이 관찰된다.

3. 3. 단양탄전의 함백산층

함백산층은 장성층 서쪽에 장성층과 평행하게 폭 400~800m로 띠 모양으로 발달하며, 이는 과거 고방산층이 분포하던 지역과 거의 일치한다. 이 지층은 대부분 밝은색의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규화 작용으로 인해 현재는 규암으로 변해 있다. 규암층은 풍화에 강해 산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유백색을 띠고 조립사암이 주를 이루지만, 간혹 두께 2~3m의 흑색 셰일을 포함하기도 한다. 함백산층 기저에서 약 40m 지점에는 석탄층이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17]

함백산층은 대체로 장성층과 정합 관계이며, 야외에서 부정합을 나타내는 기저 역암층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정창희는 삼척탄전의 백운산 산정 부근에서 규암의 둥근 자갈과 흑색 셰일의 각진 조각을 포함한 역암층이 장성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것을 관찰했으나, 다른 지역에서는 점이적이어서 부정합을 확정할 수 없었다. 함백산층의 두께는 100~300m이며, 상부는 도사곡층에 의해 정합으로 덮인다.[17]

고수동굴 부근에서 함백산층은 고수리 단층 동쪽에 넓게 분포한다. 고수동굴 출구는 설미기골이라는 계곡에 있는데, 이 설미기골 서쪽 50m 이내에 고수리 단층이 있어 고수동굴을 포함한 막동 석회암층은 고현리 단층을 사이에 두고 함백산층과 접한다. 이곳의 함백산층은 고수리 단층 동쪽 400m에 있는 또 다른 역단층인 사평리 단층에 의해 잘린다. 함백산층은 주로 옅은 회색이나 백색의 조립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변성 작용으로 규암으로 변해 있다. 이 규암은 매우 단단하며, 구성 광물은 거의 모두 석영 입자이고, 입자 사이는 세립의 석영 입자로 채워져 있으며, 이들 사이는 규산이 침전되어 있다. 고수동굴 주차장에서 수직 거리로 50m 더 높은 곳(해발 200m)에 있는 동굴 출구에 함백산층의 노두(암석이나 지층이 지표에 드러나 있는 부분)가 있으며, 동굴 출구 서쪽에는 막동 석회암층이 드러나 있다. 동굴 출구는 고현리 단층을 뚫고 나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18]

고현리 단층과 사평리 단층 사이의 함백산층은 분포가 이들 단층에 의해 제한되어 폭이 약 400m, 지층 두께는 200m이다. 사평리 단층 동쪽의 함백산층은 최대 폭 600m, 지층 두께 250m로 분포한다. 사평리 단층 북쪽 끝 동쪽에는 도사곡층이 함백산층을 덮고 있다. 함백산층의 주향은 남-북에서 북동 10°이며, 서쪽으로 40~50°경사져 있다.[18]

4. 지질 구조

평안 누층군은 여러 차례의 지각 변동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습곡, 단층 등의 지질 구조가 발달해 있다. 함백산층은 장성층 상위에 정합으로 놓여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부정합 관계를 보이기도 한다.

함백산 단층 동부 황지동-장성동 지역에서 함백산층 하부에는 기저 역암에서 암회색 셰일에 이르기까지 정상적인 점이층리를 보이는 윤회층이 나타난다.[10] 삼척탄전 서부 지역에서는 함백산층에 사층리가 많이 발달해 있다.[9] 김항묵(1971)은 단양탄전 지구에 분포된 조선 누층군, 평안 누층군과 대동 누층군에 발달된 사층리와 고수류를 분석하여, 단양탄전 지구의 쇄설성 퇴적물의 공급지가 이 지역의 동쪽에 위치하며 평균적인 운반 방향은 295°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함백산층과 황지층군(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의 사층리는 해성 환경을 지시하며, 단양탄전의 평안 누층군 퇴적분지가 해양과 연결되었던 것으로 해석된다.[16]

4. 1. 습곡

습곡은 횡압력에 의해 지층이 휘어진 구조이다. 삼척탄전의 백운산 향사대, 강릉탄전 해안 노두 등에서 함백산층의 습곡을 관찰할 수 있다.[14]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옥계면 금진리 해안도로를 따라 함백산층이 드러나 있으며 습곡, 단층, 암맥이 관찰된다. [15] 아래는 해당 지역의 사진 자료이다.










단양탄전 지역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 지층들은 퇴적 이후 습곡 작용과 충상단층의 운동을 겪었으며, 대부분의 층리가 북동-남서 방향의 주향과 북서 방향의 경사를 보인다. 습곡축 및 스러스트 단층들은 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고, 이러한 습곡 및 충상운동은 중생대 송림 변동 및 대보 조산운동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16]

4. 2. 단층

단층은 지층이 끊어져 어긋난 구조로, 평안 누층군 분포 지역 곳곳에서 확인된다.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옥계면 금진리 해안도로를 따라 함백산층이 드러난 곳에서는 단층이 관찰된다.[15]

단양군 지역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 지층들은 퇴적 이후 습곡 작용과 충상단층의 운동을 겪었으며, 대부분의 층리가 북동-남서 방향의 주향과 북서 방향의 경사를 보인다. 습곡축 및 스러스트 단층들은 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되어 있고, 이러한 습곡 및 충상운동은 중생대 송림 변동 및 대보 조산운동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4. 3. 부정합

정창희(1969)는 장성층과 함백산층이 대개 정합이나 일부 지역에서 부정합 관계를 보인다고 하였다. 부정합의 증거로 백운산과 옥동광산 지역에서 각각 20 cm와 10 cm 두께의 기저 역암층이 나타난다.[1]

함백산층은 대체로 장성층과 정합적이며 야외에서 부정합을 지시하는 기저 역암층이 발견되지 않았다. 정창희는 삼척탄전의 백운산 산정부 부근에서 규암 원력(圓礫)과 흑색 셰일의 각력을 함유한 역암층이 장성층을 부정합으로 덮는 부분을 보았으나 기타 지역에서는 점이적이어서 부정합을 인정할 수 없었다고 보고하였다.[17]

5. 퇴적 환경

평안 누층군의 퇴적 환경은 하천, 삼각주, 석호, 천해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함백산층은 삼각주가 석호나 바다 쪽으로 확장되는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16]

함백산층은 주로 유백색 사암으로 구성되며, 흑색 셰일을 협재한다. 지층의 두께는 장성광산에서 250m, 도계광산에서 270m, 백운산 근방에서 350m이다.[1] 함백산층에는 사층리가 많이 발달해 있다.[9]

함백산 단층 동부 황지동-장성동 지역에서는 함백산층 하부에 점이 층리를 보이는 윤회층이 나타난다. 상부에는 상향 조립화를 보이는 윤회층이 반복되며, 암회색 셰일층이 발달한다. 이 상위에는 점이 층리를 보이는 역암, 역질 사암, 중립질 사암, 세립질 사암, 셰일층이 나타나며, 최상부에는 암회색 셰일이 분포하고 도사곡층의 녹회색 셰일과 접한다.[10]

전희영(1985, 1987)은 함백산층에서 페름기 쿤구르절(Kungurian)에 속하는 식물 화석 ''Annularia gracilescens'' Halle, ''Annularia mucronata'' Schenk, ''Annularia sphenophylloides'' (Zenker) Gutbier, ''Annularia stellata'', ''Lobatannularia'' sp. cf. ''L. lingulata'' Hall, ''Lobatannularia sinensis'' Halle, ''Calamites suckowii'' Brongniart, ''Calamites cistii'' Brongniart, ''Calamites'' sp. 등을 발견했다.[11][12]

함백산층을 구성하는 사암은 95% 이상이 석영으로 구성되며, 기질의 양이 적다. 이 사암은 풍화에 강해 높은 절벽이나 능선을 이룬다. 지층의 두께는 70m 내외이다.[13]

김항묵(1971)은 단양탄전의 함백산층과 황지층군(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의 사층리는 해성 환경을 지시하며, 평안 누층군이 만입(灣入) 분지 내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했다.[16]

6. 연구사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되었다. 코다이라(Kodaira, 1924)는 북한 지역의 평남 분지에 분포하는 후기 고생대 퇴적암층을 평안계(system)라고 제안하였고, 카와사키(Kawasaki, 1927)와 타테이와(Tateiwa, 1931)는 평안계를 홍점통, 사동통, 고방산통, 녹암통의 4개 통(series; 현재의 층군에 해당)으로 구분하였다. 남한 지역의 태백산지구지하자원조사단(GICTR, 1962)은 태백산 분지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을 북한 지역과 유사하게 4개의 통으로 구분하였다.[1][2]

그러나 분단 이후 북한 지역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해졌고, 평남 분지와 태백산 분지로 대표되는 양 지역 간의 암상 차이 및 대비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1969년 정창희는 삼척탄전을 평안 누층군의 표식지로 삼고, 그 층서를 하부에서부터 '''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함백산층,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으로 새롭게 설정하였다. 또한 만항층금천층을 고목층군, 장성층과 함백산층을 철암층군, 도사곡층, 고한층, 동고층을 황지층군으로 설정하였다.[3] 이 층서 구분은 현재 대한민국 평안 누층군의 표준 층서로 자리잡아 대부분의 연구자가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평남 분지에 분포하는 평안 누층군은 하부로부터 홍점통, 입석통, 사동통, 고방산통 등으로 분류된다. 북한 지역에서는 사동통의 하부를 후기 석탄기의 입석통으로 분리한 것을 제외하면 현재까지도 같은 층서를 사용하고 있다.[5]

참조

[1] 서적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2] 웹인용 평안누층군의 재조명: 송림 조산운동의 변성작용과 변형작용 https://www.dbpia.c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9
[3] 저널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I)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https://www.dbpia.co[...] 1969-03
[4] 저널 땅_지반을 알게 하는 지질학(Geology) -남한은 어떤 암석으로 구성되어 있나 Ⅰ(서울,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지역) - https://www.dbpia.co[...] 2020-03
[5] 저널 한반도 남부의 상부 고생대 평안누층군의 층서와 대비 (The stratigraphy and correlation of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 A review) https://www.dbpia.co[...] 2017-04
[6] 서적 지구과학개론 교학연구사
[7] 웹인용 삼척-고사리도폭 지질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4
[8] 저널 A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Fusulinid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紡錘蟲의 古生物學的 硏究) https://www.dbpia.co[...] 1973-06
[9] 저널 Geology of the We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三陟炭田 西部地域의 地質) https://www.dbpia.co[...] 1981-06
[10] 저널 Structural Analysis of Hambaeg-san Area, Samcheog Coalfield, S. Korea (三陟炭田 咸白山一帶의 地質構造 硏究) https://www.dbpia.co[...] 1985-09
[11] 저널 Permo-Carboniferous Plant Fossil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Gangwondo, Korea. Part 1 (江原道 三陟炭田地域에서 발견된 植物化石에 대한 연구) <제1편> https://www.dbpia.co[...] 1985-06
[12] 저널 Permo-Carboniferous Plant Fossil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Gangwondo, Korea. Part 2 (江原道 三陟炭田地域에서 발견된 植物化石에 대한 연구 <제2편> https://www.dbpia.co[...] 1987-06
[13] 저널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Sabuk-Gohan Area (사북-고한 지역의 평안누층군에서 산출되는 코노돈트 생층서에 관한 연구) https://www.dbpia.co[...] 1989-06
[14] 웹인용 강릉·주문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1
[15] 웹인용 한반도 상부 고생대의 층서 확립을 위한 연구(Ⅱ) The Stratigraphy of the Upper Paleozoic Formations in Korea)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0
[16] 저널 Paleozoic and Mesozoic Paleocurrents of the Danyang Coalfield District, Korea (丹陽炭田 地區의 古生代 및 中生代의 古水流) https://www.dbpia.co[...] 1971-12
[17] 저널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丹陽炭田의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https://www.dbpia.co[...] 1971-06
[18] 저널 고수동굴의 지질에 관한 연구 https://www.dbpia.co[...] 199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