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 군비 경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 군비 경쟁은 핵무기 개발 경쟁으로, 미국이 1945년 원자폭탄 개발에 성공하고 일본에 투하한 것을 시작으로 소련이 1949년 원자폭탄 개발에 성공하면서 본격화되었다. 냉전 시대에 미국과 소련은 수소 폭탄 개발,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 경쟁을 벌였으며, 영국, 프랑스, 중국도 핵무기를 개발하여 핵무기 보유국이 증가했다. 미국과 소련은 상호확증파괴 전략으로 핵전쟁을 억제하려 했으나, 쿠바 미사일 위기와 같은 위기를 겪기도 했다. 냉전 이후 핵 군축 노력이 있었지만, 새로운 핵 군비 경쟁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은 북핵 문제 등 안보 환경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술 경쟁 - 군비 경쟁
    군비 경쟁은 국가 간 군사력 증강 경쟁으로, 전쟁의 원인이 되거나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이나 최근 동아시아 군사적 긴장 고조와 자율 무기 시스템 개발 경쟁 등의 양상을 보인다.
  • 기술 경쟁 - 우주 경쟁
    우주 경쟁은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소련 간의 과학기술 및 군사적 경쟁으로 시작되어 인공위성 발사, 우주 비행사 배출, 달 착륙 등 우주 개발 전반에 걸쳐 심화되었으며, 로켓 기술과 통신 기술 발전을 이끌었다.
  • 러시아-미국 관계 - 포츠머스 조약
    포츠머스 조약은 1905년 러일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체결된 조약으로, 러시아의 영토적 양보와 일본의 조선에 대한 우월권 인정, 배상금 면제 등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국제 질서 재편에 기여했으나 한국에서는 국권 침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러시아-미국 관계 -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개입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대한 러시아의 개입은 러시아 정부가 사이버 공격, 소셜 미디어 선전, 허위 정보 유포 등의 방식으로 미국 선거에 영향을 미치려 한 일련의 활동을 의미하며, 미국 정보 당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지시로 이루어졌다고 결론 내렸다.
  • 지정학적 경쟁 - 시리아 내전
    시리아 내전은 2011년 아사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시위에서 시작되어 무력 분쟁으로 확대, 다수 국가 개입과 극단주의 세력 부상으로 국제적인 대리 전쟁 양상을 띠며 수많은 인명 피해와 난민을 발생시켰으나, 2024년 반군 공세로 아사드 정권이 붕괴되며 종식되었다.
  • 지정학적 경쟁 - 군비 경쟁
    군비 경쟁은 국가 간 군사력 증강 경쟁으로, 전쟁의 원인이 되거나 국제 관계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냉전 시대 핵무기 경쟁이나 최근 동아시아 군사적 긴장 고조와 자율 무기 시스템 개발 경쟁 등의 양상을 보인다.
핵 군비 경쟁
냉전 시대 핵 군비 경쟁
개요
날짜1942년 9월 28일 – 1987년 12월 8일
위치미국, 소비에트 연방, 영국, 중국, 프랑스, 인도, 파키스탄, 지구의 대기
결과소비에트 연방, 맨해튼 계획에 대한 대응으로 핵무기 연구 시작
미국,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 크로스로드 작전 수행
미국, 최초의 본격적인 열핵 장치, 아이비 마이크 실험
양측, 대륙간 탄도 미사일 개발
소비에트 연방, 차르 봄바 열핵 폭탄 실험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1987년 INF 조약 체결
경쟁자
서방 진영 (주요 당사자)미국
영국
프랑스
동방 진영 (주요 당사자)소비에트 연방
(중소 분쟁)
중국
지휘관 및 지도자
주요 작전
미국맨해튼 계획
크로스로드 작전
그린하우스 작전
아이비 작전
캐슬 작전
플럼밥 작전
나이키 제우스 프로그램
PGM-17 토르 프로그램
도미닉 작전
LGM-30 미니트맨 프로그램
전략 방위 구상
LGM-118 피스키퍼 프로그램
영국허리케인 작전
그래플 작전
프랑스제르부아즈 블뢰
카노푸스
소련RDS-1
RDS-4 ("타티야나")
RDS-6s (조 4)
RDS-37
R-7 세묘르카 프로그램
K 프로젝트
차르 봄바
R-14 추소바야 프로그램
차가간 작전
A-35 프로그램
R-36 프로그램
중국596 계획
6번 실험
21번 실험
파키스탄키라나-I 작전
차게이 작전
인도Operation Smiling Buddha (포크란-I)
Operation Shakti (포크란-II)
비용
추정 비용5조 5천억 달러
근접 재앙

2. 발단

제2차 세계 대전미국맨해튼 계획을 통해 핵무기를 개발하였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하면서 그 가공할 위력이 드러났다. 소련도 핵무기 개발에 착수하여 1949년 핵실험에 성공하면서, 미국과 소련의 핵 군비 경쟁이 시작되었다.[1]

2. 1. 미국의 핵무기 개발과 사용

미국맨해튼 계획을 통해 1945년에 최초로 원자 폭탄 개발에 성공하였다.[1] 개발된 원자폭탄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추축국에 대항하여 사용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1945년 8월, 미국의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의 명령에 따라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각각 리틀 보이팻 맨이라는 이름의 원자폭탄이 투하되었다. 이 폭탄들은 B-29 폭격기인 ''에놀라 게이''와 ''복스카''에 의해 투하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국제 연합이 창설되었고, 1946년 1월 런던에서 열린 유엔의 첫 번째 총회에서 핵무기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 유엔 원자력 위원회를 창설하였다.[9] 미국은 바루크 계획을 제시하여 모든 위험한 원자 활동을 통제하는 국제 기구가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소련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거부했다.[10]

2. 2. 소련의 핵무기 개발

미국맨해튼 계획으로 1945년에 원자 폭탄을 만들고,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실제로 사용하자, 소련1949년에 원자 폭탄 개발에 성공했다.[1] 이로써 미국과 소련 간의 핵 군비 경쟁이 본격화되었다.

소련 과학자들은 핵무기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있었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2] 소련맨해튼 계획에 대해 1945년 7월 24일 포츠담 회담에서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으로부터 공식 브리핑을 받기 전까지는 관련 정보를 알지 못했다.[3][4]

하지만, 스탈린은 맨해튼 프로젝트의 높은 보안 등급 때문에 트루먼조차 부통령 시절에는 알지 못했던 계획임에도 불구하고(트루먼은 대통령 취임 직후에야 알게 됨), 이미 오래전부터 이 계획을 인지하고 있었다.[5] 클라우스 푸흐스[6]와 테오도어 홀을 포함한 맨해튼 프로젝트 내 스파이들이 미국의 핵 개발 진전 상황을 스탈린에게 알렸다.[7] 1950년 푸흐스의 체포는 해리 골드, 데이비드 그린글래스, 에텔과 줄리어스 로젠버그 등 다른 러시아 스파이 용의자들의 체포로 이어졌고, 로젠버그 부부는 1951년 간첩 혐의로 재판 후 처형되었다.[8]

3. 냉전 시대의 핵 군비 경쟁

제2차 세계 대전미국이 최초의 핵무기를 개발하여 추축국에 대항하여 사용하려 했고,[1] 소련도 핵무기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2]

1945년 7월 24일 포츠담 회담에서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이 요제프 스탈린에게 맨해튼 계획에 대해 브리핑하기 전까지 소련은 공식적으로 정보를 받지 못했다.[3][4] 미국과 영국은 소련을 신뢰하지 않아 정보를 공유하지 않았고, 소련은 클라우스 푸흐스[6]와 테오도어 홀을 포함한 스파이들을 통해 미국의 핵 개발 진전 상황을 파악하고 있었다.[7]

1945년 8월, 트루먼의 명령에 따라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다. 리틀 보이는 히로시마에, 팻 맨은 나가사키에 투하되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직후, 국제 연합이 창설되었다. 1946년 1월 런던에서 열린 유엔의 첫 번째 총회에서는 핵무기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고 유엔 원자력 위원회를 창설했다. 이 회의의 목표는 모든 핵무기의 사용을 제거하는 것이었으나, 미국과 소련의 제안은 모두 UN에 의해 거부되었다.[9][10]

2차 세계 대전 직후 몇 년 동안 미국은 핵무기에 대한 지식과 원자재를 독점했다. 미국의 지도자들은 핵무기를 독점하면 소련으로부터 양보를 얻을 수 있다고 희망했지만, 이는 효과가 없었다.

UN 총회 6개월 후, 미국은 크로스로드 작전을 실시하여 핵폭발이 선박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했다.[11]

소련은 자체적인 원자 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했고, 1949년 8월 29일에 최초의 소련 폭탄을 폭발시켰다.

이후 미국과 소련은 핵무기 경쟁을 시작했고, 수소 폭탄 개발과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 등 핵무기 기술 경쟁을 벌였다. 소련은 1978년 핵무기 보유량에서 미국을 추월하여 1982년에는 핵 전력에서 미국을 크게 앞섰고, 붕괴 이전까지 세계 1위의 핵무기 보유국 지위를 유지하였다.[69]

1960년대 미국과 소련은 상대방으로부터 전면적인 공격을 받더라도 보복 공격 능력을 갖추어 핵전쟁 발발 가능성을 억제하고자 했다. 이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과 같은 기술 발전을 통해 가능해졌다. 이러한 전략은 상호확증파괴(Mutual Assured Destruction, MAD)라고 불린다.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는 핵전쟁 발발 직전까지 갔던 위기 상황으로, 핵 군비 경쟁의 위험성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3. 1. 핵무기 기술 발전

미국은 원자 폭탄에 이어 1952년에는 수소 폭탄 개발에 성공했고, 소련도 1953년에 수소 폭탄을 만들어 미국을 기술적으로 따라잡았다. 소련은 1961년에 인간이 만든 무기 중 가장 화력이 큰 차르 봄바라는 핵무기(수소 폭탄)를 만들었다. 영국, 프랑스, 중화인민공화국도 핵무기를 만들어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다. 영국은 1952년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였고 1957년에는 수소폭탄 실험에도 성공하였다. 프랑스도 1960년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였고 수소폭탄 실험은 1968년에 성공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64년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였고 수소폭탄 실험은 1967년에 성공하였다.[68]

미사일은 오랫동안 핵무기의 이상적인 플랫폼으로 여겨졌으며, 폭격기보다 잠재적으로 더 효과적인 투발 시스템이었다. 1950년대부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과 중간 사거리 탄도 미사일(IRBM)이 전술 핵무기 투발용으로 개발되었고, 기술은 점차 더 긴 사거리로 발전하여 결국에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이 되었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 궤도에 발사하여 소련 ICBM이 지구상의 모든 지점에 도달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미국은 1958년 1월 31일 최초의 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했다.

3. 1. 1. 수소폭탄 개발

미국은 1952년에 수소 폭탄 개발에 성공했고, 소련도 1953년에 수소폭탄 개발에 성공하여 미국을 기술적으로 따라잡았다.[68] 소련은 1961년에 인간이 만든 무기 중 가장 강력한 차르 봄바라는 수소폭탄을 만들기도 했다.[68]

미국은 1952년 11월 1일 에니웨탁 환초에서 아이비 마이크라는 암호명으로 최초의 수소폭탄 실험을 실시했다.[12] 이 실험은 헝가리계 미국인 핵물리학자 에드워드 텔러가 주도했다.[13] 폭발로 인해 약 160.93km 너비와 약 40.23km 높이의 구름이 생겼고, 주변 섬의 모든 생명체가 사라졌다.[13]

소련은 1953년 8월에 열핵무기를 폭발시켰는데, 비록 완전한 수소폭탄은 아니었지만, 비행기에서 투하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실용성이 있었다.[68] 1955년 11월 22일에는 1.6 메가톤 위력의 "진정한" 수소폭탄을 폭발시켰다. 1961년 10월 30일, 소련은 차르 봄바라는 약 58메가톤 위력의 수소폭탄을 폭발시켰다.[18]

1954년 3월 1일, 미국은 캐슬 브라보 실험을 통해 또 다른 수소폭탄을 비키니 환초에서 실험했다.[14] 과학자들은 폭탄의 위력을 5메가톤으로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14.8메가톤으로 미국 핵 장치 중 가장 강력했다.[15][16] 이로 인해 약 482.80km 떨어진 지역 주민들에게 상당량의 방사선 노출이 발생했다.[17]

3. 1. 2.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개발

1957년 10월 4일, 소련은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지구 궤도에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20] 이는 소련이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을 이용하여 지구상의 모든 지점에 핵무기를 투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21] 미국은 1958년 1월 31일 최초의 위성인 익스플로러 1호를 발사하며 대응했다.

1950년대부터 중거리 탄도 미사일과 중간 사거리 탄도 미사일(IRBM)이 전술 핵무기 투발용으로 개발되었고, 기술 발전으로 사거리가 점차 늘어나 마침내 ICBM이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도 개발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는 폭격기, ICBM, SLBM을 통해 한 가지 투발 수단이 방어되더라도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핵무기 투발 3중 체제"가 확립되었다.

다음 표는 1964년부터 1982년까지 미국과 소련의 ICBM, 탄두, 투하 중량을 나타낸다.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미국과 소련의 탄두 및 투하 중량, 1964–1982'''
연도발사기탄두메가톤수
미국소련미국소련미국소련
19642,4163756,8005007,5001,000
19662,3964355,0005505,6001,200
19682,3601,0454,5008505,1002,300
19702,2301,6803,9001,8004,3003,100
19722,2302,0905,8002,1004,1004,000
19742,1802,3808,4002,4003,8004,200
19762,1002,3909,4003,2003,7004,500
19782,0582,3509,8005,2003,8005,400
19802,0422,49010,0007,2004,0006,200
19822,0322,49011,00010,0004,1008,200


3. 2. 핵무기 보유량 경쟁

소련은 1953년에 미국을 기술적으로는 따라잡았으나 핵무기 보유량은 1961년에도 미국이 여전히 크게 앞서고 있었다. 이에 소련은 1961년에 인간이 만든 무기 중 가장 화력이 큰 차르 봄바라는 핵무기(수소 폭탄)를 개발하였다. 영국, 프랑스, 중화인민공화국도 핵무기를 개발하여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다. 영국은 1952년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였고 1957년에는 수소폭탄 실험에도 성공하였다. 프랑스도 1960년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였고 수소폭탄 실험은 1968년에 성공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64년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하였고 수소폭탄 실험은 1967년에 성공하였다.[68]

소련은 계속 핵 전력을 크게 증강시켜 1978년에는 마침내 핵무기 보유량에서 미국을 추월하고 세계 1위의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고, 1982년에는 핵 전력에서 미국을 크게 앞서게 되었다. 이후에도 소련은 붕괴 이전까지 계속 세계 1위의 핵무기 보유국 지위를 유지하였다.[69]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미국과 소련의 탄두 및 투하 중량, 1964–1982'''[20][21]
연도발사기탄두메가톤수
미국소련미국소련미국소련
19642,4163756,8005007,5001,000
19662,3964355,0005505,6001,200
19682,3601,0454,5008505,1002,300
19702,2301,6803,9001,8004,3003,100
19722,2302,0905,8002,1004,1004,000
19742,1802,3808,4002,4003,8004,200
19762,1002,3909,4003,2003,7004,500
19782,0582,3509,8005,2003,8005,400
19802,0422,49010,0007,2004,0006,200
19822,0322,49011,00010,0004,1008,200


3. 3. 상호확증파괴(MAD) 전략

1960년대 미국과 소련은 상대방으로부터 전면적인 공격을 받더라도 보복 공격 능력을 갖추어 핵전쟁 발발 가능성을 억제하고자 했다.[20] 이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과 같은 기술 발전을 통해 가능해졌다. 이러한 전략은 상호확증파괴(Mutual Assured Destruction, MAD)라고 불린다.
상호확증파괴(MAD)는 양측 모두 상대방에 대한 핵 공격이 자멸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 확실하므로, 핵무기 사용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전략이다.

3. 4. 쿠바 미사일 위기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는 핵전쟁 발발 직전까지 갔던 위기 상황으로, 핵 군비 경쟁의 위험성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4. 핵 확산

미국과 소련 외에도 여러 국가들이 핵무기를 개발하면서 핵 확산 문제가 심화되었다. 영국, 프랑스, 중화인민공화국은 물론이고, 이스라엘, 인도, 파키스탄이 핵무기를 개발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주장하였다.[1]

이 국가들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

4. 1. 핵무기 보유국 증가

미국소련 외에도 영국,[22] 중화인민공화국,[23] 프랑스[24]가 냉전 초기에 핵무기를 개발했다.

영국은 1952년 10월 3일 허리케인 작전[25]에서 25킬로톤의 원자탄을 터뜨리며 세 번째로 핵무기 실험에 성공했다. 맨해튼 계획에 캐나다와 영국 정부가 크게 기여했음에도, 미국 의회는 1946년 원자력법을 통과시켜 핵 프로젝트 관련 다국적 협력을 금지했다. 이는 전후 핵 기술 공유에 관한 퀘벡 협정이 있었다고 믿었던 영국 과학자들과 윈스턴 처칠을 분노하게 했고, 결국 영국이 핵무기를 개발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영국은 1947년 1월에 핵무기 개발 계획을 세웠고, 영토가 작았기 때문에 호주 해안 근처 몬테벨로 제도에서 폭탄을 실험하기로 결정했다. 성공적인 실험 후, 처칠의 지도 아래 영국은 수소 폭탄을 개발, 실험하기로 결정하여 1957년 11월 8일에 1.8메가톤 위력의 첫 수소 폭탄 실험을 했다.[26] 1958년 원자력법 개정으로 핵 협력이 다시 허용되어 영국-미국 핵 프로그램이 재개되었다.

프랑스는 1960년 2월 13일, 당시 프랑스 식민지(공식적으로 프랑스 본토의 일부)였던 알제리에서 원자탄 "제르부아즈 블루"를 폭발시키며 네 번째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다.[27] 프랑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핵무기 프로그램 계획을 시작했지만, 195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8년 후, 프랑스는 팡가투아파 환초 상공에서 2.6메가톤 위력의 첫 번째 열핵 실험을 실시했다.[28]

중화인민공화국은 1964년 10월 16일, 로프 노르에서 596[29]이라는 암호명으로 25킬로톤 우라늄-235 폭탄을 폭발시키며 다섯 번째 핵 보유국이 되었다. 1950년대 후반, 중국은 우라늄 광석을 대가로 소련의 상당한 지원을 받아 핵무기 개발을 시작했다. 그러나 1950년대 후반 중소 분쟁으로 양국 관계에 문제가 생겨 소련은 지원을 중단했다. 그럼에도 중국은 독자적으로 핵무기 개발을 계속하여 1960년대에 놀라운 진전을 이루었고,[30] 1967년 6월 14일 첫 번째 수소 폭탄을 폭발시켰다.

4. 2. 추가 핵무기 보유국

이스라엘, 인도, 파키스탄은 핵무기를 개발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도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남아시아에서 인도파키스탄 역시 1970년대부터 기술적인 핵 군비 경쟁에 참여해 왔다. 핵 경쟁은 1974년 인도 라자스탄 주 포크란 지역에서 "스마일링 부다"라는 암호명으로 장치를 폭파시키면서 시작되었다.[59] 인도 정부는 이 실험을 "평화적 핵폭발"이라고 불렀지만, 독립적인 소식통에 따르면 이는 실제로 인도의 가속화된 비밀 핵 프로그램의 일부였다고 한다.[60]

이 실험은 파키스탄에 큰 우려와 의문을 불러일으켰으며, 오랜 경쟁 상대에게 자국의 운명이 달려있다는 두려움을 안겨주었다. 파키스탄은 1972년부터 자체적인 비밀 원자 폭탄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이는 인도의 첫 번째 핵무기 폭발 이후 여러 해 동안 지속되었다. 1974년 실험 이후 파키스탄의 원자 폭탄 프로그램 속도가 크게 빨라졌고, 결국 자체적인 원자 무기 개발에 성공했다. 20세기 후반 수십 년 동안 인도와 파키스탄은 핵 탑재가 가능한 로켓과 핵 군사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1998년 아탈 비하리 바지파이 정부 하에서 인도는 5개의 핵무기를 추가로 실험 폭파했다. 파키스탄 내부에서는 여론의 압력이 거세지기 시작했고 미안 무하마드 나와즈 샤리프 총리는 이에 대한 보복이자 억지력 확보를 위해 실험을 명령하여 6개의 핵무기(차가이-I차가이-II)를 폭파시켰다.

2022년 8월 학술지 ''네이처 푸드''(Nature Food)에 게재된 동료 심사를 거친 연구에 따르면,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핵전쟁은 핵 겨울 동안 기아로 인해 20억 명 이상을 간접적으로 사망시킬 수 있다고 한다.[61]

4. 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 개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무기를 개발했다고 주장하였다.[1]

5. 냉전 이후의 핵 군비 경쟁

냉전 종식과 함께 미국과 러시아는 핵무기 지출을 줄였다.[39] 새로운 시스템 개발이 줄어들고 양국의 비축량이 줄었지만, 양국 모두 상당한 양의 핵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비축물 관리 프로그램이 노후화된 무기고를 유지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39]

냉전 이후, 많은 핵무기와 시설이 남았는데, 일부는 재활용되거나 해체되어 가치 있는 물질로 회수되었다. 소련에서 핵무기 개발에 사용될 뻔했던 막대한 돈과 자원은 환경 피해 복구에 사용되었고, 거의 모든 이전 생산 시설은 현재 주요 정화 구역이 되었다. 미국에서는 워싱턴주 핸퍼드의 플루토늄 생산 시설과 콜로라도주 로키 플래츠의 플루토늄 핏 제조 시설이 가장 오염된 지역 중 하나이다.

1991년 9월 27일, 미국은 지상 발사 단거리 핵무기를 파괴할 것이라고 발표했고,[67] 당시 소련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방공 미사일과 핵 포탄에서 핵탄두를 제거했다.[67]

주요 대립 없이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군사 정책과 전략이 수정되었다. 1995년, 핵 확산 관련 미국 정책과 전략은 미국 전략 사령부 전략 자문 그룹(SAG) 정책 소위원회가 제작한 문서 "냉전 종식 이후 억제의 본질"에 요약되어 있다.

핵 군축은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네 가지 규범(군비 통제, 군비 감축에서 제거, 금지, 낙인) 중 하나이지만,[65] 대부분의 조건, 무게, 전략, 시기, 조건부, 준수 사항에 대한 논쟁이 있어 시행하기 어려웠다.[65]

2017년 7월 7일 핵무기 금지 조약 채택에 대한 UN 투표


2017년 핵무기 금지 조약은 자기 권한 부여를 나타내지만,[65] 핵무기 보유국 또는 그 동맹국을 포함하지 않았다.[65] 핵 군축에 대한 많은 논쟁은 냉전 종식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5. 1. 핵 군축 노력

SALT I과 SALT II는 미국의 핵무기 규모를 제한하려는 시도였다. 1969년 11월, 전략 무기 제한 회담(SALT)이 시작되었다. 이는 핵실험과 생산이 미국과 소련 경제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었다. 1972년 5월에 서명된 SALT I 조약은 탄도 미사일 방어 조약(ABM 조약)과 전략 공격 무기 제한에 관한 임시 협정을 포함했다.[35] ABM 조약은 각국에 두 개의 ABM 기지만 허용했으며, 임시 협정은 각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과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수를 현재 수준에서 5년간 동결했다.

1979년 6월 18일, SALT II 조약이 비엔나에서 서명되었다. 이 조약은 양측의 핵무기 및 기술을 제한했다. 그러나 1979년 12월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을 고려하여, 미국 상원은 SALT II 조약을 비준하지 않았다.[36]

1991년, 미국과 소련은 전략 공격 무기의 수와 능력을 줄이기 위해 START (전략 무기 감축 조약)를 협상했다. 이는 결국 START II, START III, New START 조약으로 이어졌다.

2010년 프라하에서 신 전략무기 감축 협정에 서명한 후 드미트리 메드베데프버락 오바마


2010년에는 새로운 전략 무기 감축 협정(START)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66] 이 조약은 미국과 러시아 간에 협상되었다.[66] 미국과 러시아 대통령 모두 자국이 보유한 핵무기를 파괴하는 데 동의했다.[67]

5. 2. 새로운 핵 군비 경쟁

2001년 12월 13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에 탄도탄 요격 미사일 제한 조약에서의 탈퇴를 통보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미사일 방어청이 설립되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의 탈퇴에 대응하여 러시아의 핵 능력 증강을 명령했다.[40]

2010년 4월 8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은 신전략무기감축협정에 서명했다. 이 조약은 전략 핵 미사일 발사기의 50% 감축과 배치된 핵탄두의 축소를 요구했다.[41] 미국 상원은 2010년 12월에 3/4의 다수로 이 조약을 비준했다.

전 세계 사정권의 대규모 비축량 (짙은 파란색), 전 세계 사정권의 소규모 비축량 (중간 파란색), 지역 사정권의 소규모 비축량 (밝은 파란색).


2016년 12월 2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미국은 세상이 핵무기에 대해 정신을 차릴 때까지 핵 능력을 크게 강화하고 확장해야 한다"고 선언하며[42] 사실상 세계에 핵 패권 경쟁에 다시 참여할 것을 촉구했다. 다음 날, 트럼프는 MSNBC의 ''모닝 조'' 진행자 미카 브레진스키에게 "군비 경쟁으로 가자. 우리는 모든 면에서 그들을 능가하고 오래 살아남을 것이다."라고 말했다.[43]

2018년 10월, 미하일 고르바초프 전 소련 지도자는 미국의 INF 핵 조약 탈퇴에 대해 "훌륭한 정신의 작품이 아니다"라며 "새로운 군비 경쟁이 선언되었다"고 언급했다.[44][45]

2019년, 세르게이 랴브코프 러시아 외무부 차관은 지난 1년 동안 부정적인 역학이 두드러짐에 따라 핵전쟁의 위험을 경고했다. 그는 잠재적인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채널을 구축하여 위험을 줄이도록 핵 보유국에 촉구했다.[46]

2023년 2월 21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과의 신전략무기감축협정 핵군축 조약 참여를 중단했으며,[51] 러시아가 미국과 NATO가 자국의 핵 시설을 사찰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52]

2024년 7월, 조 바이든 행정부는 2026년부터 독일탄도 미사일을 배치하여 10분 안에 러시아 영토를 타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대응하여 푸틴 대통령은 제2의 냉전 스타일의 미사일 위기를 경고하고 서방을 타격할 수 있는 사정권 내에 장거리 미사일을 배치하겠다고 위협했다.[53][55] 독일에 배치될 미국의 무기에는 SM-6 및 토마호크 순항 미사일과 장거리 극초음속 무기가 포함될 것이다.[55] 미국이 독일에 장거리 미사일을 배치하기로 한 결정은 1979년 서유럽에 퍼싱 II 발사기를 배치한 것과 비교되었다.[54][55] 비평가들은 이 조치가 새로운 군비 경쟁을 촉발할 것이라고 말한다.[56] 러시아 군사 분석가에 따르면, 재래식 무기로 무장한 미사일과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을 구별하는 것은 극도로 어려울 것이며, 러시아는 독일을 목표로 하는 더 장거리의 핵 시스템을 배치하여 대응할 수 있다.[57]

2024년 8월,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의 핵 확산 위협 증가, 북한의 미사일 기술 발전, 이란의 "임계치" 핵 국가로의 진전을 배경으로 핵 전력을 증강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어 "새로운 핵 군비 경쟁이 다가오고 있다"고 보도했다.[58]

6. 핵 군비 경쟁과 한국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핵무기 개발 경쟁이 심화되면서,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 아래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북한의 핵 개발은 한국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6. 1. 한국의 안보 환경

한국은 냉전 시기 미국의 핵우산 아래 놓이게 되었다. 이는 북한의 핵 개발이라는 새로운 위협으로 이어졌다.

6. 2. 북핵 문제와 한국의 대응

북한의 핵 개발은 한국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한국 정부는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교적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는 남북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한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6. 3. 핵 군비 경쟁의 미래와 한국의 역할

냉전 종식 이후 미국과 러시아는 핵무기 관련 지출을 줄였고, 새로운 핵무기 시스템 개발도 감소했다. 양국 모두 핵미사일 비축량을 줄였지만, 여전히 상당한 양을 보유하고 있다.[39] 미국에서는 비축물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노후화된 핵무기를 유지하고 있다.[39]

과거 핵무기 개발에 사용되었던 막대한 양의 자원은 이제 핵무기 경쟁으로 인해 발생한 환경 피해를 복구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미국의 워싱턴주 핸퍼드 플루토늄 생산 시설과 콜로라도주 로키 플래츠의 플루토늄 핏 제조 시설은 가장 오염된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1995년, 핵 확산 관련 미국의 정책과 전략은 미국 전략 사령부 전략 자문 그룹(SAG) 정책 소위원회가 제작한 문서 "냉전 종식 이후 억제의 본질"에 요약되었다.

핵 군축은 핵무기 제거를 위한 네 가지 규범 중 하나이며,[65] 군비 통제, 군비 감축에서 제거, 금지, 낙인찍기 등이 포함된다.[65] 그러나 핵 군축은 시행하기 어려운 규범으로, 조건, 무게, 전략, 시기, 조건부, 준수 사항 등 많은 논쟁이 있었다.[65]

1991년 9월 27일, 미국은 지상 발사 단거리 핵무기를 파괴하겠다고 발표했고,[67] 당시 소련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방공 미사일과 핵 포탄에서 핵탄두를 제거했다.[67]

2017년, 핵무기 금지 조약이 채택되었으나, 핵무기 보유국 또는 그 동맹국은 포함되지 않았다.[65]

핵 군축에 대한 논쟁은 냉전 종식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다. 2010년에는 미국과 러시아 간에 새로운 전략 무기 감축 조약(START)에 대한 논쟁이 있었다.[66] 많은 비핵 보유국들은 핵무기 보유국들이 핵 군축 의무를 준수하도록 압박하고 있다.[66] 미국과 러시아 대통령은 자국이 보유한 핵무기를 파괴하는 데 동의했다.[67]

핵 군비 경쟁은 한반도를 넘어 전 세계적인 안보 문제이며, 한국은 국제 사회와 협력하여 핵 군축 및 비확산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Key Issues: Nuclear Weapons: History: Pre Cold War: Manhattan Project http://www.nuclearfi[...]
[2] 웹사이트 The Soviet Nuclear Weapons Program http://nuclearweapon[...] 1997-12-12
[3] 웹사이트 The Potsdam Conference between allied forces http://www.atomicmus[...] 2007-10-24
[4] 웹사이트 Atomic Bomb: Decision – Truman Tells Stalin, July 24, 1945 http://www.dannen.co[...]
[5] 웹사이트 Potsdam Note (Animation) http://www.mbe.doe.g[...] 2007-11-16
[6] 웹사이트 Klaus Fuchs: Atom Bomb Spy http://www.crimelibr[...]
[7]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lanl.gov/hist[...]
[8] 웹사이트 Atomic Espionage https://www.atomicar[...]
[9] 웹사이트 The Beginnings of the Cold War http://www.atomicarc[...] 2012-11-24
[10] 웹사이트 United States Relations with Russia: The Cold War https://2001-2009.st[...] U.S. Department of State 2007-06
[11] 웹사이트 Operation Crossroads http://www.atomicarc[...] 2012-11-24
[12] 웹사이트 The Mike Test http://www.atomicarc[...] 2012-11-24
[13] 웹사이트 The Soviet Atomic Bomb http://www.atomicarc[...] 2012-11-24
[14] 웹사이트 The BRAVO Test https://www.atomicar[...]
[15] 웹사이트 Operation Castle https://nuclearweapo[...] 2017-09-23
[16] 웹사이트 Castle Bravo: The Largest U.S. Nuclear Explosion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01-11-30
[17] 서적 The fisherman ANU Press 2017
[18] 웹사이트 The Soviet Response https://www.atomicar[...]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웹사이트 United Kingdom Nuclear Forces https://fas.org/nuke[...]
[23] 웹사이트 China Nuclear Forces https://fas.org/nuke[...]
[24] 웹사이트 France Nuclear Forces https://fas.org/nuke[...]
[25] 서적 A toxic legacy: British nuclear weapons testing in Australia http://www.aic.gov.a[...] Australi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8-10-21
[26] 웹사이트 Britain Goes Nuclear https://www.atomicar[...]
[27] 웹사이트 Chapitre II, Les premiers essais Français au Sahara : 1960–1966 http://www.senat.fr/[...] 2017-07-01
[28] 웹사이트 France Joins the Club https://www.atomicar[...]
[29] 웹사이트 China's Nuclear Weapons http://nuclearweapon[...]
[30] 웹사이트 Chinese Becomes A Nuclear Nation https://www.atomicar[...]
[31] 웹사이트 Theater Missile Systems https://fas.org/nuke[...]
[32] 웹사이트 Cuban Missile Crisis https://www.atomicar[...]
[33] 문서
[34] 웹사이트 Limited Test Ban Treaty https://www.atomicar[...] 2021-01-17
[35] 웹사이트 Easing The Tensions https://www.atomicar[...]
[36] 웹사이트 The Arms Race Resumes https://www.atomicar[...]
[37] 웹사이트 Reagan's Star Wars https://www.atomicar[...]
[38] 웹사이트 The End of the Cold War https://www.atomicar[...]
[39] 서적 The nuclear borderlands: the Manhattan Project in post-Cold War New Mexico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0] 뉴스 Russia's Nuclear Weapons Buildup Is Aimed at Beating U.S. Missile Defenses https://nationalinte[...] 2018-03-01
[41] 웹사이트 What's the arms race? A short history https://www.usatoday[...]
[42] 웹사이트 Trump's call for an 'arms race' flabbergasts nuclear experts https://www.nbcnews.[...] 2016-12-23
[43] 뉴스 'Let it be an arms race': Donald Trump appears to double down on nuclear expansion https://www.theguard[...] 2016-12-24
[44] 뉴스 Gorbachev says Trump's nuclear treaty withdrawal 'not the work of a great mind' https://www.cnbc.com[...] 2018-10-22
[45] 웹사이트 Trump stokes debate about new Cold War arms race https://thehill.com/[...] 2018-10-27
[46] 웹사이트 Russia warns about nuclear war possibility https://www.aa.com.t[...]
[47] 간행물 Global food insecurity and famine from reduced crop, marine fishery and livestock production due to climate disruption from nuclear war soot injection 2022-08-15
[48] 문서 Xia et al.(2022, esp. Tables 1 and 2); 5 billion = 80% of the 6.7 billion 2010 population in the countries included in the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6.7 billion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World population#Annual population growth|7 billion]] 2010 [[world population]] is not likely to make a substantive difference in this percentage.
[49] 뉴스 Nowhere to hide: How a nuclear war would kill you — and almost everyone else https://thebulletin.[...] 2022-10-20
[50] 뉴스 World Nuclear war between the U.S. and Russia would kill more than 5 billion people – just from starvation, study finds https://www.cbsnews.[...] 2022-08-16
[51] 뉴스 Putin pulls back from last remaining nuclear arms control pact with the US https://edition.cnn.[...] 2023-02-21
[52] 뉴스 Putin defends Ukraine invasion, warns West in address https://www3.nhk.or.[...] NHK World 2023-02-21
[53] 뉴스 A new arms race in Europe? US long-range weapons in Germany https://www.dw.com/e[...] 2024-07-13
[54] 뉴스 Russia says US missiles in Germany signal return of Cold War https://www.aljazeer[...] 2024-07-11
[55] 뉴스 Putin warns US against deploying long-range missiles in Germany https://www.theguard[...] 2024-07-28
[56] 뉴스 Germany split on US stationing long-range cruise missiles https://www.dw.com/e[...] 2024-07-11
[57] 뉴스 Thanks to Putin, the U.S. will again place long-range missiles in Germany https://thehill.com/[...] 2024-07-12
[58] 뉴스 America prepares for a new nuclear-arms race https://www.economis[...] 2024-08-13
[59] 웹사이트 India's Nuclear Weapons Program – Smiling Buddha: 1974 http://nuclearweapon[...]
[60] 웹사이트 1974 Nuclear files http://www.nuclearfi[...] Nuclear files archives 2013-01-14
[61] 뉴스 India-Pakistan nuclear war could kill 2 billion people: Study https://www.wionews.[...] 2022-08-16
[62] 뉴스 China 'successfully tests missile interceptor' https://www.theguard[...] 2010-01-12
[63] 웹사이트 India successfully tests missile interceptor http://www.iht.com/a[...] 2009-03-06
[64] 웹사이트 Akash Missile Achieves Direct-Hit, Destroys Banshee Target http://www.newindian[...] 2014-11-23
[65] 간행물 Nuclear Disarmament without the Nuclear-Weapon States: The Nuclear Weapon Ban Treaty 2020
[66] 간행물 Nuclear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2012
[67] 간행물 Nuclear disarmament and the end of chemical weapons 'system of restraint' https://doi.org/10.1[...] 2019
[68] 뉴스 기술 흘리고 빼내고… 살벌한 ‘핵 핑퐁 게임’ https://news.naver.c[...] 시사저널 2006-10-19
[69] 뉴스 핵무기 없는 세상 아직은 이상일 뿐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0-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