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박씨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박씨유는 호박씨에서 추출한 식물성 기름으로, 견과류 맛과 다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며 샐러드 드레싱, 아이스크림 토핑 등으로 사용된다.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를 비롯한 유럽 지역에서 별미로 여겨지며, 전 세계적으로도 활용된다. 용매 추출 또는 초임계 이산화 탄소를 사용하여 생산되며, 특히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스티리아 오일은 껍질 없는 호박씨를 로스팅하여 압착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호박씨유는 이색성을 띠며, 지방산 조성은 호박 종자에 따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유럽 요리 - 여과 요거트
    여과 요거트는 유청을 제거하여 단백질 함량을 높이고 질감을 걸쭉하게 만든 유제품으로, 그릭 요거트, 라브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세계 각지에서 요리에 활용된다.
  • 동유럽 요리 - 동남유럽 요리
    동남유럽 요리는 지리적, 문화적 특성에 따라 루마니아, 몰도바, 발칸 요리 등 다양한 하위 분류로 나뉘며, 각 지역의 독특한 음식 문화를 형성했다.
  • 호박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호박 요리 - 호박 파이
    호박 파이는 호박을 주재료로 한 파이로, 특히 미국과 캐나다에서 추수감사절의 대표적인 디저트이며, 1796년에 현재와 유사한 형태의 레시피가 등장하여 19세기 초부터 추수감사절 만찬의 메뉴로 자리 잡았다.
  • 식물성 기름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식물성 기름 - 피마자유
    피마자유는 피마자 씨앗에서 추출한 리시놀레산이 주성분인 담황색의 점성 액체로, 완하제 및 윤활유, 코팅제,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 등 다양한 공업적 용도로 사용되지만,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하여 식용으로는 부적합하며 과거 체벌이나 고문에도 악용되었다.
호박씨유
기본 정보
호박씨 기름 생산
호박씨 기름 생산
종류식물성 기름
원료호박 씨앗
색깔짙은 녹색에서 짙은 빨간색
생산
생산 지역오스트리아
슬로베니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중국
특징
견과류 맛
용도샐러드 드레싱
수프
기타 요리
영양 정보
지방산 구성리놀레산: 약 60%
올레산: 약 21%
팔미트산: 약 13%
스테아르산: 약 6%

2. 용도

호박씨유는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절부터 사용되어 온 기름이다.[21][1][11] 현재는 오스트리아 남동부(슈타이어마르크), 슬로베니아 동부(슈타예르스카프레크무레), 트란실바니아 중부, 루마니아 오라슈티-쿠기르 지역, 크로아티아 북서부(메지무레주), 보이보디나, 그리고 헝가리 인접 지역 등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했던 지역들에서 요리 특산품으로 널리 사용된다.[21][1][11] 이 외에도 북아메리카, 멕시코, 인도,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21][1][11]

주된 용도는 요리 분야로, 특유의 강렬한 견과류 맛을 활용하여 샐러드 드레싱, 디저트, 수프 등에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된다.[22][2][12] 특히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 등지에서는 별미로 여겨진다.[22][2][12]

2. 1. 요리

호박씨유는 강렬한 견과류 맛이 나며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다.[22][2][12] 갈색을 띠는 기름은 쓴맛이 날 수 있다.[22][2][12] 특유의 고소한 풍미 때문에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주로 샐러드 드레싱으로 많이 사용되는데, 특히 오스트리아 남동부 슈타이어마르크슬로베니아 동부 지역에서는 전통적으로 호박씨유와 사이다 식초(또는 사과 사이다 식초)를 섞어 샐러드 드레싱을 만든다.[22][2][12] 또한, 디저트에도 활용되어 바닐라 아이스크림 위에 뿌리면 고소한 맛을 더할 수 있다.[22][2][12]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에서는 호박씨유를 별미로 여기며, 호박 수프를 비롯한 현지 요리에 몇 방울 떨어뜨려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한다.[22][2][12]

다만, 호박씨유를 가열하면 풍부하게 함유된 필수 지방산이 파괴될 수 있으므로, 튀김이나 볶음 요리 등 가열하는 조리법에는 적합하지 않다.[22][2][12] 따라서 주로 차가운 요리나 마지막에 첨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생산

호박씨유는 용매 추출이나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추출된다.[23][3][13] 이런 방식으로 기름을 얻은 후에는 카로티노이드와 같은 특정 성분을 추가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23][3][13]

3. 1. 오스트리아와 슬로베니아의 스티리아 오일

오스트리아의 페포호박


오스트리아슬로베니아의 수출품인 스티리아 오일(Styrian oil)은 현지 호박 품종인 "스티리아 오일 호박"(''페포호박'', ''Cucurbita pepo'' subsp. ''pepo'' var. ''styriaca'')[14][15]호박씨 껍질을 제거하고 구운 것을 압착하여 만든다. 고온에서 로스팅하는 과정은 호박씨유 특유의 향을 더욱 좋게 한다.[16]

4. 종자의 종류와 기름

투명한 유리병에 담긴 호박씨유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호박씨 오일이 판매되고 있다. 일부 국제 생산자들은 껍질이 있는 흰 씨앗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한 흰색 오일을 생산하기도 한다. 중국 등지에서도 새로운 종자 생산자들이 나타나고 있다.

호박씨유는 호박 종자의 떡잎 세포 안에 있는 작은 지질 방울 형태로 존재한다.[29][10][20]

4. 1. 이색성

이색성을 보이는 호박씨유 한 방울


호박씨유는 점성이 있는 오일로, 관찰하는 샘플의 두께에 따라 연한 녹색부터 매우 어두운 녹색, 또는 짙은 붉은색까지 다양한 색을 띤다. 이는 얇은 층에서는 녹색으로 보이고 두꺼운 층에서는 붉은색으로 나타나는 이색성이라고 불리는 광학 현상 때문이다.[26][7][17] 호박씨유는 이색성이 가장 강한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Kreft의 이색성 지수는 -44이다.[27][8][18] 요구르트와 함께 사용하면 오일이 밝은 녹색으로 변하여 때때로 "녹색-금색" 또는 "녹색 금"이라고 불리기도 한다.[27][8]

4. 2. 지방산 구성

서양호박의 서로 다른 12가지 품종 종자에서 추출한 호박씨유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지방산 구성 비율 범위를 나타냈다.[28]

n:불만족지방산명백분율 범위
(14:0)미리스트산0.09~0.27
(16:0)팔미트산12.6~18.4
(16:1)팔미톨레산0.12~0.52
(18:0)스테아르산5.1~8.5
(18:1)올레산17.0~39.5
(18:2)리놀레산36.2–62.8
(18:3)리놀렌산0.34–0.82
(20:0)아라키드산0.26~1.12
(20:1)가돌레산0~0.17
(22:0)베헨산0.12–0.58



분석 결과, 미리스트산팔미트산 함량의 합은 12.8~18.7%였으며, 총 불포화 지방산 함량은 73.1~80.5%로 나타났다. 18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진 매우 긴 사슬 지방산 함량은 0.44~1.37% 범위였다.[28]

호박씨유는 떡잎 세포 내의 작은 지질 방울 형태로 존재한다.[29]

참조

[1] 논문 Pumpkin Seed Oil: An Alternative Medicine
[2] 웹사이트 Healthy Cooking Oils http://www.kumc.edu/[...]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2013-09-17
[3] 논문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Carotenoids from Pumpkin (Cucurbita spp.): A Review
[4] 논문 Microbial Diversity Inside Pumpkins: Microhabitat-Specific Communities Display a High Antagonistic Potential Against Phytopathogens
[5] 논문 Chemical Evaluation of Seeded Fruit Biomass of Oil Pumpkin (''Cucurbita pepo'' L. var. ''Styriaca'') 2009-08
[6]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ation of commercial pumpkin seed oil
[7] 논문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Basis of Dichromatic Colour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7-11
[8] 논문 Quantification of Dichromatism: A Characteristic of Color in Transparent Materials Optical Society of America
[9] 논문 Oil and Tocopherol Content and Composition of Pumpkin Seed Oil in 12 Cultivars https://lib.dr.iasta[...]
[10] 간행물 Histolocalisation of the oil and pigments in the pumpkin seed 2009
[11] 논문 Pumpkin Seed Oil: An Alternative Medicine
[12] 웹사이트 Healthy Cooking Oils http://www.kumc.edu/[...]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2013-09-17
[13] 논문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Carotenoids from Pumpkin (Cucurbita spp.): A Review
[14] 논문 Microbial Diversity Inside Pumpkins: Microhabitat-Specific Communities Display a High Antagonistic Potential Against Phytopathogens
[15] 논문 Chemical Evaluation of Seeded Fruit Biomass of Oil Pumpkin (''Cucurbita pepo'' L. var. ''Styriaca'') 2009-08
[16]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ation of commercial pumpkin seed oil
[17] 논문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Basis of Dichromatic Colour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7-11
[18] 논문 Quantification of Dichromatism: A Characteristic of Color in Transparent Materials Optical Society of America
[19] 논문 Oil and Tocopherol Content and Composition of Pumpkin Seed Oil in 12 Cultivars https://lib.dr.iasta[...]
[20] 간행물 Histolocalisation of the oil and pigments in the pumpkin seed 2009
[21] 논문 Pumpkin Seed Oil: An Alternative Medicine
[22] 웹인용 Healthy Cooking Oils http://www.kumc.edu/[...] University of Kansas Medical Center 2013-09-17
[23] 논문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f Carotenoids from Pumpkin (Cucurbita spp.): A Review
[24] 논문 Microbial Diversity Inside Pumpkins: Microhabitat-Specific Communities Display a High Antagonistic Potential Against Phytopathogens
[25] 논문 Chemical composi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sation of commercial pumpkin seed oil
[26] 논문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Basis of Dichromatic Colour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07-11
[27] 논문 Quantification of Dichromatism: A Characteristic of Color in Transparent Materials Optical Society of America
[28] 논문 Oil and Tocopherol Content and Composition of Pumpkin Seed Oil in 12 Cultivars https://lib.dr.iasta[...]
[29] 간행물 Histolocalisation of the oil and pigments in the pumpkin seed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