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지 쌍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지 쌍대(Hodge dual)는 유향 준 리만 다양체에서 정의된 미분 형식에 또 다른 미분 형식을 대응시키는 선형 연산자이다. 호지 쌍대는 미분 형식의 차수를 변경하며, 미분 기하학, 이론 물리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2차 형식을 자기 쌍대 및 반자기 쌍대 형식으로 분해하는 데 사용되며, 양-밀스 방정식과 같은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정의

(M,g)n차원 유향 리만 다양체 또는 준 리만 다양체이고, \alpha가 그 위에 정의된 k미분 형식(0\le k\le n)이라고 할 때,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먼저, 준 리만 계량의 음악 동형을 통하여, k차 미분 형식을 (k,0)차 완전 반대칭 텐서로 대응시킨다. 이후, \alpha\in\Omega^p(M)의 호지 쌍대 \star\alpha를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유향 준 리만 다양체 (M,g) 위의 벡터 다발 E가 주어졌을 때, E값의 k차 미분 형식 \alpha\in\Omega^k(M;E)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호지 쌍대를 정의할 수 있다.

V를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 \langle \cdot,\cdot \rangle을 가진 n차원 방향 벡터 공간이라고 하자. 이것은 단순 k-벡터 \alpha = \alpha_1 \wedge \cdots \wedge \alpha_k\beta = \beta_1 \wedge \cdots \wedge \beta_k에 대해 0 \le k \le n인 다중 벡터 k-벡터에 대한 스칼라 곱을 유도하며, 그람 행렬식[1]과 같도록 정의한다.

: \langle \alpha, \beta \rangle = \det \left( \left\langle \alpha_i, \beta_j \right\rangle _{i,j=1}^k\right)

선형성을 통해 \bigwedge^{\!k}V로 확장된다.

단위 n-벡터 \omega\in{\textstyle\bigwedge}^{\!n}VV의 방향 정규 직교 기저 \{e_1,\ldots,e_n\}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mega := e_1\wedge\cdots\wedge e_n.

'''호지 별 연산자'''는 V외대수에 대한 선형 연산자이며, 0 \le k \le n에 대해 k-벡터를 (n-k)-벡터로 매핑한다. 모든 k-벡터 \alpha,\beta\in {\textstyle\bigwedge}^{\!k}V 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alpha \wedge ({\star} \beta) = \langle \alpha,\beta \rangle \,\omega

쌍대적으로, n-형식(V^n에 대한 교대 n-다중 선형 함수)의 공간 {\textstyle\bigwedge}^{\!n}V^*에서 \omega의 쌍대는 부피 형식 \det이며, 다음을 얻는다.

:\det(\alpha \wedge {\star} \beta) = \langle \alpha,\beta \rangle 모든 k-벡터 \alpha,\beta\in {\textstyle\bigwedge}^{\!k}V 에 대해.

이는 k-벡터의 정규 직교 기저를 e_I \ = \ e_{i_1}\wedge\cdots\wedge e_{i_k}로, [n]=\{1,\ldots,n\}의 모든 부분 집합 I = \{i_1<\cdots에 대해 작성하면, 호지 쌍대가 보완 집합 \bar{I} = [n] \smallsetminus I = \left\{\bar i_1 < \cdots < \bar i_{n-k}\right\}에 해당하는 (n-k)-벡터임을 의미한다.

:{\star} e_I = s\cdot t\cdot e_\bar{I} ,

여기서 s\in\{1,-1\}는 순열 i_1 \cdots i_k \bar i_1 \cdots \bar i_{n-k}의 부호이고, t\in\{1,-1\}는 곱 \langle e_{i_1},e_{i_1}\rangle\cdots \langle e_{i_k},e_{i_k}\rangle이다. 리만 케이스에서 t=1이다.

호지 별은 정규 직교 기저를 정규 직교 기저로 변환하므로, 외대수 \bigwedge V에 대한 등거리 변환이다.

n차원 유사 리만 다양체 M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구성을 각 코탄젠트 공간 \text{T}^*_p M과 그 외대수 \bigwedge^k\text{T}^*_p M에 적용하고, 따라서 미분 형식 k-형식 \zeta\in\Omega^k(M) = \Gamma\left(\bigwedge^k\text{T}^*\!M\right)에 적용한다. 여기서 \Omega^k(M)전역 단면 다발 \bigwedge^k \mathrm{T}^*\! M\to M이다. 리만 계량은 각 점 p\in M에서 \bigwedge^k \text{T}^*_p M에 스칼라 곱을 유도한다. k-형식 \zeta 의 '''호지 쌍대''' {\star} \zeta는 모든 k-형식 \eta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n-k)-형식으로 정의한다.

:\eta\wedge {\star} \zeta \ =\ \langle \eta, \zeta \rangle \, \omega

여기서 \langle\eta,\zeta\rangleM상의 실수 값을 갖는 함수이고, 부피 형식 \omega 는 유사 리만 계량에 의해 유도된다.

V를 배향된 내적 공간으로 하고, n을 그 차원이라고 하자. 0 \le k \le n을 만족하는 정수 k에 대해, 호지 스타 작용소는 k-벡터에서 (n-k)-벡터 공간으로의 동형 사상이다. 이 사상의 k-벡터의 상은, k-벡터의 '''호지 쌍대'''라고 불린다. k-벡터의 공간 및 (n-k)-벡터의 공간의 차원은 모두 이항 계수

: \binom{n}{k} = \binom{n}{n - k}

이다. 같은 체 위의 같은 차원의 두 벡터 공간은 항상 동형이지만, 표준적인 방법으로 동형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경우의 호지 쌍대는, 내적과 벡터 공간의 배향을 이용함으로써, 대수학에서의 이항 계수의 패턴을 반영한 동형을 자연스럽게 정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k-벡터 공간의 내적을 이끌어낸다.

비퇴화 대칭 쌍선형 형식을 갖는 벡터 공간 V 상의 '''호지 스타 연산자'''는, V외대수 상의 선형 연산자이며, 0 \le k \le n 에 대해, k - 벡터를 (n-k) - 벡터로 사상하는 것이다.

k - 벡터 상의 내적 \langle \cdot, \cdot \rangle는, V 상의 내적로부터, k - 벡터 \alpha = \alpha_1 \wedge \cdots \wedge \alpha_k\beta = \beta_1 \wedge \cdots \wedge \beta_k에 대해,

:\langle \alpha, \beta \rangle = \det \bigl( \langle \alpha_{i}, \beta_{j} \rangle \bigr)

로 정하고, 이것을 쌍선형으로 확장함으로써 얻어진다.

n - 벡터의 공간은 1차원이므로, 단위 n 벡터 \omega에는 두 가지 선택이 있다. 이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V 상의 방향성이 결정된다.

호지 스타 연산자는 다음의 성질을 가지며, 또한 이것에 의해 결정된다. 두 개의 k - 벡터 \alpha, \beta 가 주어졌을 때,

:\alpha \wedge (\star \beta) = \langle \alpha,\beta \rangle \omega

이다.

V를 내적을 갖는 n차원 벡터 공간이라고 하면, 각 k에 대해 \bigwedge^k V에도 내적을 정의할 수 있다. 이것들을 모두 \langle \cdot, \cdot \rangle로 나타낸다. \bigwedge^n V는 1차원이므로, 그 길이 1인 벡터 중 하나 \omega를 고정하고, 이것을 방향으로 한다.

k-벡터 \lambda(n-k)-벡터 \theta에 대해 \lambda \wedge \theta \in \bigwedge^n V 가 얻어진다.

이것은 앞에서 선택한 \omega의 스칼라 배가 된다.

\lambda \in \bigwedge^k V를 고정하고, 위에서 정해지는 스칼라를 f_\lambda(\theta)라고 쓰면, 유일하게 선형 형식

:f_{\lambda} \in \biggl( \bigwedge^{n-k} V \biggr)^{\! *}

이 존재하여, 임의의 \theta \in \bigwedge^{n-k} V 에 대해 \lambda \wedge \theta = f_\lambda(\theta) \omega가 된다.

이 선형 형식에 대해, 리스 표현 정리에 의해 유일하게 (n-k)-벡터, \star \lambda \in \bigwedge^{n-k} V 가 존재하여,

:\forall \theta \in \bigwedge^{n-k} V: \quad f_{\lambda}(\theta) = \langle \theta, \star \lambda\rangle

을 만족한다. 이와 같이,

: \star\colon \bigwedge^{k} V \to \bigwedge^{n-k} V

가 얻어진다.

위의 구성을 방향이 정해진 n차원 리만 다양체 또는 유사 리만 다양체의 여접공간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미분 형식 k-형식의 '''호지 쌍대''' (n-k)-형식을 얻는다.

2. 1. 미분 형식의 호지 쌍대

(M, g)가 n차원 유향 준 리만 다양체이고, α가 그 위에 정의된 k차 미분 형식이라 하자(0 ≤ k ≤ n). 준 리만 계량의 음악 동형을 통해, k차 미분 형식을 (k, 0)차 완전 반대칭 텐서로 대응시킬 수 있다.

:(-)^\# \colon \Omega^p(M) \to \Gamma\left(\bigwedge^k\mathrm TM\right)

지표로 쓰면 이는 다음과 같다.

:(\alpha^\#)^{i_1i_2\dotsb i_p} = g^{i_1j_1}\dotsm g^{i_pj_p} \alpha_{j_1\dotso j_p}

α ∈ Ωp(M)의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다.

:\star\alpha = \alpha^\# \lrcorner \omega \in \Omega^{n-p}(M)

여기서

  • \lrcorner는 (p, 0)차 완전 반대칭 텐서와 n차 미분 형식 사이의 내부곱이다.
  • ω ∈ Ωn(M)는 준 리만 계량 및 방향으로 정의되는 부피 형식이다.


지표로 쓰면,

:\omega_{i_1\dotso i_n} = \sqrt

\epsilon_{i_1\dotso i_n}

이므로,

:(\star\alpha)_{i_{p+1}\dotso i_n} = \frac1{p!}\sqrt

\epsilon_{i_1\dotso i_n} g^{i_1j_1} \dotsm g^{i_pj_p}\alpha_{j_1\dotso j_p}

이다. 여기서 \epsilon^{i_1,\dots,i_n}은 n차원 레비치비타 기호이다.

2. 2. 벡터 값 미분 형식의 호지 쌍대

준 리만 다양체(M,g) 위의 벡터 다발E가 주어졌을 때, E값의 k차 미분 형식\alpha\in\Omega^k(M;E)에 대하여 호지 쌍대를 정의할 수 있다.

:\alpha^\# \in \Gamma\left(\bigwedge^k \mathrm TM \otimes E\right)

:\star\alpha = \alpha^\# \lrcorner \omega \in \Omega^{n-p}(M;E)

성분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star\alpha)^a_{i_{p+1}\dotso i_n} = \frac1{p!}\sqrt

\epsilon_{i_1\dotso i_n} g^{i_1j_1} \dotsm g^{i_pj_p}\alpha^a_{j_1\dotso j_p}

ω영어 = e|1영어 ∧ … ∧ e|n영어 와 같이 순서가 정해진 직교 기저 (e|1영어, ..., e|n영어)}}가 주어지면,

:\star (e_{1} \wedge e_{2} \wedge \dotsb \wedge e_{k})= e_{k+1} \wedge e_{k+2} \wedge \dotsb \wedge e_n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짝순열 (i|1영어, i|2영어, ..., i|n영어)}} 에 대해서도

:\star (e_{i_1} \wedge e_{i_2} \wedge \dotsb \wedge e_{i_k}) = e_{i_{k+1}} \wedge e_{i_{k+2}} \wedge \dotsb \wedge e_{i_n}

이 됨을 알 수 있다.

3. 성질

호지 쌍대는 주어진 미분형식의 차수를 바꾸는 중요한 성질을 가진다. (n-q,q)차원 준 리만 다양체 위에 정의된 k차 미분 형식 \alpha에 대해, 호지 쌍대 연산자 \star는 다음 성질을 만족시킨다.

:\star\star\alpha=(-1)^{k(n-k)+q}\alpha

이는 호지 쌍대를 두 번 적용하면 원래의 미분 형식으로 돌아오며, 부호 인자가 곱해짐을 의미한다.

특히, n이 짝수인 경우,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은 선형 변환을 정의한다.

:\star \colon \Omega^{n/2}(M) \to \Omega^{n/2}(M)

이 때, \star\star = +1이면, 가운데 차수 미분 형식은 '''자기 쌍대 미분 형식'''(\alpha = \star \alpha)과 '''자기 반쌍대 미분 형식'''(\alpha = -\star \alpha)으로 분해될 수 있다.

:\alpha = \frac12(\alpha+\star\alpha) + \frac12(\alpha-\star\alpha)

반대로, \star\star = -1이면, 이는 가운데 차수 미분 형식의 실수 벡터 공간에 복소구조를 정의한다.

호지 쌍대는 k-벡터를 (n-k)-벡터로 사상하는 동형 사상이며, 이 사상의 결과는 k-벡터의 호지 쌍대라고 불린다. k-벡터 공간과 (n-k)-벡터 공간의 차원은 모두 이항 계수 \binom{n}{k} = \binom{n}{n - k}로 같다.

두 미분 형식 \alpha\beta에 대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alpha \wedge (\star \beta) = \langle \alpha,\beta \rangle \omega

여기서 \omega는 부피 형식을 나타낸다. 이를 통해 미분 형식의 -노름인 내적을 정의할 수 있다.

:(\eta,\zeta)=\int_M \eta\wedge \star \zeta = \int_M \langle \eta, \zeta \rangle \, \mathrm{d}\mathrm{Vol}

3. 1. 쌍대성

\alpha(n-q,q)차원 준 리만 다양체 위에 정의된 k미분 형식이라고 할 때, 호지 쌍대를 두 번 적용하면 다음 식이 성립한다.

:\star\star\alpha=(-1)^{k(n-k)+q}\alpha

즉, 원래의 미분 형식으로 돌아오며, 부호 인자가 있을 수 있다.[6]

특히, n이 짝수일 때, 이는 선형 변환

:\star \colon \Omega^{n/2}(M) \to \Omega^{n/2}(M)

을 정의한다.

만약 \star\star = +1인 경우, 가운데 차수 미분 형식은 '''자기 쌍대 미분 형식'''(self-dual differential form영어)

:\alpha = \star \alpha

과 '''자기 반쌍대 미분 형식'''(anti-self-dual differential form영어)

:\alpha = -\star \alpha

으로 분해된다.

:\alpha = \frac12(\alpha+\star\alpha) + \frac12(\alpha-\star\alpha)

만약 \star\star = -1인 경우, 이는 가운데 차수 미분 형식의 실수 벡터 공간에 복소구조를 정의한다.

n차원 공간 V에서 \eta\in {\textstyle\bigwedge}^k V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star} {\star} \eta = (-1)^{k(n-k)} s\, \eta

여기서 sV상의 스칼라 곱의 부호수의 패리티, 즉 임의의 기저에 대한 스칼라 곱 행렬의 행렬식의 부호이다. 예를 들어, n=4이고 스칼라 곱의 부호수가 (+ − − −) 또는 (− + + +)이면, s=-1이다. 리만 다양체(유클리드 공간 포함)의 경우 항상 s=1이다.

위의 항등식은 \star의 역이 다음과 같이 주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begin{align}

{\star}^{-1}: ~ {\textstyle\bigwedge}^{\!k} V &\to {\textstyle\bigwedge}^{\!n-k} V \\

\eta &\mapsto (-1)^{k(n-k)} \!s\, {\star} \eta

\end{align}

만약 n이 홀수이면 모든 k에 대해 k(n-k)는 짝수이고, 반면에 n이 짝수이면 k(n-k)k의 패리티를 갖는다. 따라서:

:{\star}^{-1} = \begin{cases} s\, {\star} & n \text{ is odd} \\ (-1)^k s\, {\star} & n \text{ is even} \end{cases}

여기서 k는 연산되는 요소의 차수이다.

3. 2. 내적

n영어차원 유사 리만 다양체 M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구성을 각 코탄젠트 공간 \text{T}^*_p M과 그 외대수 \bigwedge^k\text{T}^*_p M에 적용하고, 따라서 미분 형식 ''k''-형식 \zeta\in\Omega^k(M) = \Gamma\left(\bigwedge^k\text{T}^*\!M\right)에 적용한다. 여기서 \Omega^k(M)전역 단면 다발 \bigwedge^k \mathrm{T}^*\! M\to M이다. 리만 계량은 각 점 p\in M에서 \bigwedge^k \text{T}^*_p M에 스칼라 곱을 유도한다.

임의의 \alpha\in H^p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forall \beta\in H^p\colon \beta\wedge\star\alpha=\langle\beta,\alpha\rangle_{H^p}\omega\in H^n

즉, 이 경우 호지 쌍대 연산은 힐베르트 공간의 내적과 쐐기곱 사이의 변환이다.

''k''-형식 \zeta 의 '''호지 쌍대'''는, 모든 ''k''-형식 \eta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n'' – ''k'')-형식으로 정의되는 {\star} \zeta이다.

:\eta\wedge {\star} \zeta \ =\ \langle \eta, \zeta \rangle \, \omega

여기서 \langle\eta,\zeta\rangleM상의 실수 값을 갖는 함수이고, 부피 형식 \omega 는 유사 리만 계량에 의해 유도된다.

이 방정식을 M에 대해 적분하면, 우변은 L^2 (제곱 적분 가능) ''k''-형식에 대한 스칼라 곱이 되고,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int_M \eta\wedge {\star} \zeta\ =\ \int_M \langle\eta,\zeta\rangle\ \omega.

더 일반적으로, M이 비 가향적이면, ''k''-형식의 호지 스타를 (''n'' – ''k'')-유사 미분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표준 선 다발의 값을 갖는 미분 형식이다.

를 배향된 내적 공간으로 하고, 을 그 차원이라고 하자. 을 만족하는 정수 에 대해, 호지 스타 작용소는 -벡터에서 -벡터 공간으로의 동형 사상이다. 이 사상의 -벡터의 상은, -벡터의 '''호지 쌍대'''라고 불린다.[1] -벡터의 공간 및 -벡터의 공간의 차원은 모두 이항 계수

: \binom{n}{k} = \binom{n}{n - k}

이다. 같은 체 위의 같은 차원의 두 벡터 공간은 항상 동형이지만, 표준적인 방법으로 동형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경우의 호지 쌍대는, 내적과 벡터 공간의 배향을 이용함으로써, 대수학에서의 이항 계수의 패턴을 반영한 동형을 자연스럽게 정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벡터 공간의 내적을 이끌어낸다. 자연스러운 정의란, 이 쌍대 관계가 이론의 기하학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1]

를 내적을 갖는 차원 벡터 공간이라고 하면, 앞에서 언급했듯이 각 에 대해 \bigwedge^k V에도 내적을 정의할 수 있다. 이것들을 모두 로 나타낸다. \bigwedge^n V는 1차원이므로, 그 길이 1인 벡터 중 하나 를 고정하고, 이것을 방향으로 한다.[2]

  • 벡터 와 -벡터 에 대해 \lambda \wedge \theta \in \bigwedge^n V 가 얻어진다.[2]

이것은 앞에서 선택한 의 스칼라 배가 된다.

\lambda \in \bigwedge^k V를 고정하고, 위에서 정해지는 스칼라를 라고 쓰면, 유일하게 선형 형식

:f_{\lambda} \in \biggl( \bigwedge^{n-k} V \biggr)^{\! *}

이 존재하여, 임의의 \theta \in \bigwedge^{n-k} V 에 대해 가 된다.[2]

이 선형 형식에 대해, 리스 표현 정리에 의해 유일하게 -벡터, \star \lambda \in \bigwedge^{n-k} V 가 존재하여,

:\forall \theta \in \bigwedge^{n-k} V: \quad f_{\lambda}(\theta) = \langle \theta, \star \lambda\rangle

을 만족한다. 다시 말해, 이 -벡터 는 내적

:\biggl( \bigwedge^{n-k} V \biggr)^{\! *} \cong \bigwedge^{n-k} V

에 의해 유도된 동형 아래에서 의 상이 된다. 이와 같이,

: \star\colon \bigwedge^{k} V \to \bigwedge^{n-k} V

가 얻어진다.[2]

위의 구성을 방향이 정해진 차원 리만 다양체 또는 유사 리만 다양체의 여접공간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형식의 '''호지 쌍대''' -형식을 얻는다. 그러면, 호지 스타는 다양체 위의 미분 형식의 -노름인 내적을 제공한다. \bigwedge^k(T^{*}M)의 단면 와 에 대해,

:(\eta,\zeta)=\int_M \eta\wedge \star \zeta = \int_M \langle \eta, \zeta \rangle \, \mathrm{d}\mathrm{Vol}

이다(단면의 집합은 \Omega^{k}(M) = \Gamma \bigl( \bigwedge^{k}(T^{*}M) \bigr)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의 원소는 외 -형식이라고 불린다).[2]

더 일반적으로는, 방향이 정해지지 않은 경우에는, -형식의 호지 스타를 -의사 텐서(pseudo differential form), 즉, 표준 라인 번들 값을 갖는 미분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2]

3. 3. 공미분

codifferential영어인 공미분 \delta미분 형식의 차수를 1 감소시키는 연산으로, 외미분 d에 대응하는 연산이다. \alphak차 형식이라면, 공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4]

:\delta\alpha=(-1)^k\star^{-1}\mathrm d\star\alpha

공미분은 외미분과 마찬가지로 \delta^2=0을 만족시킨다.

공미분은 외미분과 함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Delta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Delta=(d+\delta)^2=d\delta+\delta d.

4. 역사

윌리엄 밸런스 더글러스 호지호지 이론의 일부로서 도입하였다.

5. 예시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호지 쌍대는, 벡터 공간 자신과 그 공간에서 유도된 두 벡터의 쐐기곱 공간 사이의 동형 사상을 확립한다. 이는 전통적인 벡터 해석학의 외적과 관련이 있다. 외적은 3차원에서만 정의되지만, 호지 쌍대는 일반적인 차원에서도 정의된다.

3차원에서 호지 쌍대는 3차원 벡터와 3 × 3 왜대칭 행렬의 대응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는 벡터 해석학에서 암묵적으로 사용되며, 예를 들어 두 벡터의 쐐기곱으로부터 외적을 만들 수 있다. 특히, 유클리드 공간 에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2]







여기서 , , 는 위의 표준 직교 미분 1-형식이다. 3차원에서 호지 쌍대는 외적과 쐐기곱을 연결한다.

5. 1. 2차원

2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호지 쌍대는 미분 형식의 차수를 교환한다. 정규화된 유클리드 메트릭과 (''x'', ''y'') 순서로 주어진 방향을 가진 2차원에서, ''k''-형식에 대한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3]

  • \star 1 = dx \wedge dy
  • \star dx = dy
  • \star dy = -dx
  • \star (dx \wedge dy) = 1

5. 2. 3차원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호지 쌍대는 벡터와 2차 형식 사이의 대응 관계를 나타낸다. 이는 벡터 미적분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차 형식의 기저 dx, dy, dz를 통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2]

\begin{align}

{\star} \,dx &= dy \wedge dz \\

{\star} \,dy &= dz \wedge dx \\

{\star} \,dz &= dx \wedge dy.

\end{align}

이는 벡터곱과 쐐기곱을 관련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3차원에서 호지 쌍대는 축 벡터와 2차 형식 사이의 동형 사상을 제공하며, 각 축 벡터 a는 2차 형식 A와 연결되고 그 반대도 성립한다.[2]

\mathbf{A} = {\star} \mathbf{a}, \ \ \mathbf{a} = {\star} \mathbf{A}.

이러한 관계는 클리퍼드 대수의 단위 유사 스칼라 i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boldsymbol{e}_{\ell}는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직교 기저이다.[8]

: \boldsymbol{A} = \boldsymbol{a}i \quad \boldsymbol{a} = - \boldsymbol{A} i

이때, \ell, m, n이 순환적인 경우 다음 관계가 성립한다.[7]

:\star \boldsymbol{e}_{\ell} = \boldsymbol{e}_{\ell} i = \boldsymbol{e}_{\ell} \boldsymbol{e}_1 \boldsymbol{e}_2 \boldsymbol{e}_3 = \boldsymbol{e}_m \boldsymbol{e}_n

:\star ( \boldsymbol{e}_{\ell} \boldsymbol{e}_m ) = -( \boldsymbol{e}_{\ell} \boldsymbol{e}_m ) i = -( \boldsymbol{e}_{\ell} \boldsymbol{e}_m )\boldsymbol{e}_1 \boldsymbol{e}_2 \boldsymbol{e}_3 = \boldsymbol{e}_{n}

결과적으로, 3차원에서 호지 쌍대는 외적과 쐐기곱을 다음과 같이 연결한다.[7]

:\star (\boldsymbol{u} \wedge \boldsymbol{v} ) = \boldsymbol{u} \times \boldsymbol{v} \,,\quad

\star (\boldsymbol{u} \times \boldsymbol{v} ) = \boldsymbol{u} \wedge \boldsymbol{v}

이는 i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10]

: \boldsymbol{u} \times \boldsymbol{v} = -(\boldsymbol{u} \wedge \boldsymbol{v} ) i \,,\quad

\boldsymbol{u} \wedge \boldsymbol{v} = (\boldsymbol{u} \times \boldsymbol{v} ) i

5. 3. 4차원

4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에서 호지 쌍대는 2차 형식의 공간에서 자기 사상으로 작용한다. 즉, 2-형식을 2-형식으로 사상한다. 이는 2차 형식을 자기 쌍대 형식과 반자기 쌍대 형식으로 분해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성질은 양-밀스 방정식과 같은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

구체적으로, 좌표 (t,x,y,z)와 계량 부호 (+ - - -)를 갖는 민코프스키 시공간에서, 부피 형식\varepsilon_{0123} = 1로 주어진다. 이때, 1-형식과 2-형식의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다.

1-형식호지 쌍대2-형식호지 쌍대
{\star} dt-dx \wedge dy \wedge dz{\star} (dt \wedge dx)- dy \wedge dz
{\star} dx-dt \wedge dy \wedge dz{\star} (dt \wedge dy)- dz \wedge dx
{\star} dy-dt \wedge dz \wedge dx{\star} (dt \wedge dz)- dx \wedge dy
{\star} dz-dt \wedge dx \wedge dy{\star} (dx \wedge dy) dt \wedge dz
{\star} (dz \wedge dx) dt \wedge dy
{\star} (dy \wedge dz) dt \wedge dx



이들은 지수 표기법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 {\star} (dx^\mu) = \eta^{\mu\lambda} \varepsilon_{\lambda\nu\rho\sigma} \frac{1}{3!} dx^\nu \wedge dx^\rho \wedge dx^\sigma
  • {\star} (dx^\mu \wedge dx^\nu) = \eta^{\mu\kappa} \eta^{\nu\lambda} \varepsilon_{\kappa\lambda\rho\sigma} \frac{1}{2!} dx^\rho \wedge dx^\sigma


3-형식과 4-형식의 호지 쌍대성은 로렌츠 부호에서 {\star}^2=1 (홀수 순위 형식) 및 {\star}^2=-1 (짝수 순위 형식)이라는 사실에서 쉽게 추론할 수 있다.

(dx^\mu \wedge dx^\nu)^{\pm} := \frac{1}{2} \big( dx^\mu \wedge dx^\nu \mp i {\star} (dx^\mu \wedge dx^\nu) \big)와 같은 조합은 호지 별 연산자에 대해 \pm i를 고유값으로 갖는다. 즉, {\star} (dx^\mu \wedge dx^\nu)^{\pm} = \pm i (dx^\mu \wedge dx^\nu)^{\pm} 가 성립한다.

따라서, 자기 쌍대 및 반자기 쌍대 2-형식이라는 이름을 갖는다. 민코프스키 시공간의 기하학 또는 운동학을 자기 쌍대 및 반자기 쌍대 섹터에서 이해하는 것은 수학적 및 물리적 관점에서 통찰력이 있으며, 2-스피너 언어 사용과 같은 현대 물리학, 스피너-헬리시티 형식론 또는 트위스터 이론과 관련이 있다.

6. 응용

호지 쌍대 연산자는 여러 분야에 응용된다.

이론 물리학에서 호지 쌍대는 맥스웰 방정식양-밀스 이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장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4차원(n=4)인 경우, 호지 쌍대는 2-벡터로 구성된 공간의 자기 준동형 사상으로 작용한다. 이때 호지 쌍대는 대합이며, 따라서 자신에서 자신으로의 '자기 쌍대' 및 '반 자기 쌍대' 부분 공간으로 분해되며, 그 위에서 호지 쌍대가 각각 +1, -1로 작용한다.

차원 계량 부호 (+, -, -, -)와 좌표 (t, x, y, z)를 사용하는 민코프스키 공간(ε0123=1 사용)에서, 1-형식과 2-형식에 대한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다.

1-형식호지 쌍대
\mathrm{d}t\mathrm{d}x\wedge \mathrm{d}y \wedge\mathrm{d}z
\mathrm{d}x\mathrm{d}t\wedge \mathrm{d}y \wedge\mathrm{d}z
\mathrm{d}y\mathrm{d}t\wedge \mathrm{d}z \wedge\mathrm{d}x
\mathrm{d}z\mathrm{d}t\wedge \mathrm{d}x \wedge\mathrm{d}y



2-형식호지 쌍대
\mathrm{d}t \wedge\mathrm{d}x-\mathrm{d}y\wedge \mathrm{d}z
\mathrm{d}t \wedge\mathrm{d}y\mathrm{d}x\wedge \mathrm{d}z
\mathrm{d}t \wedge\mathrm{d}z-\mathrm{d}x\wedge \mathrm{d}y
\mathrm{d}x \wedge\mathrm{d}y\mathrm{d}t\wedge \mathrm{d}z
\mathrm{d}x \wedge\mathrm{d}z-\mathrm{d}t\wedge \mathrm{d}y
\mathrm{d}y \wedge\mathrm{d}z\mathrm{d}t\wedge \mathrm{d}x



호지 쌍대는 전자기학, 유체역학 등에서 전자기장, 유체의 흐름 등을 기술하는 데 응용된다.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grad, curl, div를 생성하는데, 이는 외미분과 호지 쌍대 연산자({\star})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1]

예를 들어, 맥스웰 방정식은 외미분과 호지 쌍대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간단하고 우아한 형태를 띤다.[1] 또한, 이 표현 방식을 통해 다음 항등식들을 얻을 수 있다.[1]


  • \mathrm {curl\;grad} f = 0
  • \mathrm {div\;curl} \mathbf{F} = 0


라플라시안 역시 이 연산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1]

: \Delta f = {\star}d{\star}d f = \frac{\partial^2 f}{\partial x^2} + \frac{\partial^2 f}{\partial y^2} + \frac{\partial^2 f}{\partial z^2}.

6. 1. 미분기하학

유사 리만 다양체 ''M''에서, 각 코탄젠트 공간 \text{T}^*_p M과 그 외대수 \bigwedge^k\text{T}^*_p M에 적용하고, 미분 형식 ''k''-형식 \zeta\in\Omega^k(M) = \Gamma\left(\bigwedge^k\text{T}^*\!M\right)에 적용한다. 리만 계량은 각 점 p\in M에서 \bigwedge^k \text{T}^*_p M에 스칼라 곱을 유도한다. ''k''-형식 \zeta 의 '''호지 쌍대'''는 모든 ''k''-형식 \eta 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유일한 (''n'' – ''k'')-형식으로 정의한다.

:\eta\wedge {\star} \zeta \ =\ \langle \eta, \zeta \rangle \, \omega

여기서 \langle\eta,\zeta\rangleM상의 실수 값을 갖는 함수이고, 부피 형식 \omega 는 유사 리만 계량에 의해 유도된다.

더 일반적으로, M이 비가향적이면, ''k''-형식의 호지 스타를 (''n'' – ''k'')-유사 미분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양체 위의 호지 쌍대의 가장 중요한 응용은, '''여미분'''codifferential영어을 정의하는 것이다.

:\delta = (-1)^{nk + n + 1}s\, {\star \mathrm{d}\star} = (-1)^k\,{\star^{-1}\mathrm{d}\star}

여기서, 리만 다양체에 대해, d는 외미분, s=1로 한다.

d: \Omega^{k}(M) \rightarrow \Omega^{k+1}(M)에 대해, \delta: \Omega^{k}(M) \rightarrow \Omega^{k-1}(M)이다. 여미분은 외미분에 수반되며, 즉 \langle\eta, \delta\zeta\rangle = \langle d\eta, \zeta\rangle이다. 여기서 \zeta(k+1)-형식이며, \etak-형식이다.

라플라스-드 람 작용소는 \Delta = (\delta + d)^2 = \delta d + d\delta로 주어지며, 호지 이론의 핵심을 이룬다. 호지 쌍대는 조화 형식을 조화 형식으로 사상한다. 호지 이론의 결과로서, 드 람 코호몰로지는 자연스럽게 조화 k-형식의 공간과 동형이 되며, 호지 스타는 코호몰로지 군

:\star\colon H^{k}_{\Delta}(M) \to H^{n-k}_{\Delta}(M)

의 동형을 가져온다. 이것은 H^k(M)푸앵카레 쌍대성과 표준적으로 동일시된다.

6. 2. 이론 물리학

호지 쌍대는 이론 물리학, 특히 맥스웰 방정식양-밀스 이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장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4차원(n=4)인 경우, 호지 쌍대는 2-벡터로 구성된 공간의 자기 준동형 사상으로 작용한다(4-2=2이므로, 호지 쌍대는 2-형식에서 2-형식으로의 사상이다). 이때 호지 쌍대는 대합이며, 따라서 자신에서 자신으로의 '자기 쌍대' 및 '반 자기 쌍대' 부분 공간으로 분해되며, 그 위에서 호지 쌍대가 각각 +1, -1로 작용한다.

차원 계량 부호 (+, -, -, -)와 좌표 (t, x, y, z)를 사용하는 민코프스키 공간(ε0123=1 사용)에서, 1-형식에 대한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다.

:\star \mathrm{d}t=\mathrm{d}x\wedge \mathrm{d}y \wedge\mathrm{d}z

:\star \mathrm{d}x=\mathrm{d}t\wedge \mathrm{d}y \wedge\mathrm{d}z

:\star \mathrm{d}y=\mathrm{d}t\wedge \mathrm{d}z \wedge\mathrm{d}x

:\star \mathrm{d}z=\mathrm{d}t\wedge \mathrm{d}x \wedge\mathrm{d}y

2-형식에 대한 호지 쌍대는 다음과 같다.

:\star (\mathrm{d}t \wedge\mathrm{d}x) = - \mathrm{d}y\wedge \mathrm{d}z

:\star (\mathrm{d}t \wedge\mathrm{d}y) = \mathrm{d}x\wedge \mathrm{d}z

:\star (\mathrm{d}t \wedge\mathrm{d}z) = - \mathrm{d}x\wedge \mathrm{d}y

:\star (\mathrm{d}x \wedge\mathrm{d}y) = \mathrm{d}t\wedge \mathrm{d}z

:\star (\mathrm{d}x \wedge\mathrm{d}z) = - \mathrm{d}t\wedge \mathrm{d}y

:\star (\mathrm{d}y \wedge\mathrm{d}z) = \mathrm{d}t\wedge \mathrm{d}x

6. 3. 공학

호지 쌍대는 전자기학, 유체역학 등에서 전자기장, 유체의 흐름 등을 기술하는 데 응용된다.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벡터장에 대한 고전적인 연산자인 grad, curl, div를 생성하는데, 이는 외미분()과 호지 쌍대 연산자({\star})를 조합하여 만들 수 있다.[1]

예를 들어, 맥스웰 방정식은 외미분과 호지 쌍대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하고 우아한 형태를 띤다.[1]

또한, 이 표현 방식을 통해 다음 항등식들을 얻을 수 있다.[1]

  • {\mathrm {curl\;grad}} f = 0
  • {\mathrm {div\;curl}} \mathbf{F} = 0


라플라시안 역시 이 연산들을 통해 얻을 수 있다.[1]

: \Delta f = {\star}d{\star}d f = \frac{\partial^2 f}{\partial x^2} + \frac{\partial^2 f}{\partial y^2} + \frac{\partial^2 f}{\partial z^2}.

참조

[1] 서적 Differential Forms with Applications to the Physical Sciences Academic Press 1963
[2] 서적 Clifford Algebras and Spinors, Volume 286 of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 Se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3] 서적 The Geometry of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4] 논문 The Poincare Lemma for Codifferential, Anticoexact Forms, and Applications to Physics https://doi.org/10.1[...] 2022-07-29
[5] 서적 Applied exterior calculus https://www.worldcat[...] 2005
[6] 서적 The Geometry of Phys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7] 서적 Clifford Algebras and Spinors, Volume 286 of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 Se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8] 서적 Geometric algebra and applications to phys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7
[9] 서적 Lectures on Clifford (geometric) algebras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Birkhäuser 2004
[10] 서적 New foundations for classical mechanics: Fundamental Theories of Physic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