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Ь는 키릴 문자의 한 글자로, 주로 러시아어, 불가리아어, 우크라이나어 등 슬라브어에서 사용되며, 연음 부호 역할을 한다. 자음 뒤에 붙어 자음의 구개음화를 나타내거나, 모음 앞에서 요타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브어 연구에서는 원시 슬라브어의 짧은 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비슬라브어에서는 이중 문자를 만드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Ь는 러시아어 알파벳의 30번째 문자이며, 유니코드에서 U+042C (대문자), U+044C (소문자)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Ь | |
---|---|
기본 정보 | |
![]() | |
유니코드 명칭 | 키릴 문자 연음 부호 |
유니코드 번호 | U+042C (대문자), U+044C (소문자) |
키릴 문자 | Ь, ь |
음성 | '[ʲ]', '[j]' |
설명 | 키릴 문자의 글자 |
명칭 | |
러시아어 | мягкий знак (먀흐키 즈나크) |
용도 | |
기능 | 선행하는 자음을 구개음화하거나, 자음 뒤에 모음 '요트'를 추가하는 데 사용된다. |
언어 |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불가리아어, 루신어 |
역할 | 앞선 자음을 구개음화하는 역할 |
특징 | 자체적으로는 소리가 나지 않음. |
역사 | |
기원 | 키릴 문자 'ерь' (Ѥрь)에서 유래 |
문자 정보 | |
ISO 9 | '' (문자 없음) |
음가 | 자음의 경구개음화 (국제 음성 기호: [ʲ]) |
다른 문자 인코딩 | KOI8-R: 0xDD (대문자), 0xCD (소문자) CPT1251: 0xDC (대문자), 0xFC (소문자) |
유니코드 | 대문자 Ь: U+042C 소문자 ь: U+044C |
HTML 엔티티 | 대문자 Ь: Ь 소문자 ь: ф |
2. 용법 및 의미
러시아어에서는 독립된 음을 가지지 않고, 연음 부호라고 불리며, 바로 앞의 음이 경자음(비구개음화 자음)이라면 연자음(구개음화 자음)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 , , 에서는 의 유무와 관계없이 발음이 변하지 않는다. 명사의 어미에서는 그것이 여성 명사임을, 는 동사의 어미에서 2인칭 단수임을 나타낸다.
불가리아어에서는 가 자음 뒤에서 를 나타낸다. 어두나 모음 뒤에서는 를 사용한다. 1945년 이전의 구 정자법에서는 발음이 자음으로 끝나는 여성 명사의 어미에 붙었지만, 러시아어와 달리 자음의 연음화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현행 정자법에서는 자음자로 끝나는 여성 명사가 존재한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기본적으로 러시아어에서의 용법과 같지만, 를 나타내는 용법은 불가리아어와 동일하다.
압하스어에서는 러시아어에서의 용법과 마찬가지로, 자음 뒤에 붙어 구개음화를 나타낸다.
아디게어에서는 жьady ()와 хьady ()에서만 나타난다.
원래는 독립된 모음 문자였으며, e 또는 i의 매우 약하고 짧은 음을 나타냈다고 생각된다. 바로 앞의 자음은 반드시 연자음이 된다. 그 후의 음운 변화에 의해, 단어의 위치에 따라 더 완전한 모음 (е 등)이 되거나, 독립된 모음으로서는 탈락하여 앞의 자음이 연자음임을 나타내는 부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 , → (모두).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불가리아어, 압하스어, 아디게어에서는 단어의 처음에 오지 않기 때문에 원래 대문자가 없다.
로마자로 전사할 경우에는 아포스트로피(')가 사용된다. 다만, 일반적인 표기에서는 전혀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 Тверьru(트베리) → Tver)
2. 1. 구개음화 부호
연성 기호(ь)는 일반적으로 자음 뒤에 쓰이며 자음의 "연성화"(구개음화)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우크라이나어에서 "батько" (아버지)의 "ть"는 연성 기호로 인해 연구개음화된 [tʲ]로 발음된다. 드물게 음성학적 기능 없이 문법적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러시아어 "туш" (팡파르)와 "тушь" (인도 잉크)는 발음은 같지만(/tuʂ/), 연성 기호의 유무에 따라 문법적 성과 변화가 달라진다.세르비아 키릴 문자와 마케도니아 문자는 연성 기호를 별개의 문자로 사용하지 않고, 구개음화를 특수 자음 문자(Љ, Њ)로 표시한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슬라브어 중 연성 기호는 불가리아어에서 가장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불가리아어에서 연성 기호는 주로 자음과 "о" 사이에 위치하여 구개음화를 나타낸다(예: Жельо, Кръстьо).
러시아어에서 연성 기호(ь)는 독립된 음을 가지지 않고, 연음 부호라고 불리며, 앞의 자음을 연자음(구개음화 자음)으로 만든다. 불가리아어에서는 ьо가 자음 뒤에서 /jo/를 나타낸다. 우크라이나어에서는 러시아어와 용법이 유사하며, /jo/를 나타내는 용법은 불가리아어와 동일하다. 압하스어와 아디게어에서도 연성 기호는 자음 뒤에 붙어 구개음화를 나타낸다.
원래 연성 기호는 독립된 모음 문자였으며, e 또는 i의 매우 약하고 짧은 소리를 나타냈다고 추정된다. 이후 음운 변화에 따라 모음은 탈락하고 앞의 자음이 연자음임을 나타내는 부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로마자로 전사할 경우에는 아포스트로피(')가 사용되지만, 일반적인 표기에서는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 2. 동슬라브어에서의 모음 앞 용법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 연성 기호(ь)는 "요타화" 기능을 수행한다. 러시아어에서 "льют" (/lʲjut/, '(그들이) 붓다/주조하다')와 "лют" (/lʲut/, '(그는) 사납다')를 비교하면, 연성 기호 뒤의 모음 "ю"가 요타화되어 발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러시아어 철자법에서 "ья", "ье", "ьё", "ью" 조합은 요타화된 모음을 나타내며, 이는 구개음화와는 구별된다.이러한 연성 기호의 요타화 기능은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러시아어만큼 흔하게 사용되지는 않는다. 우크라이나어 철자법에서는 요타화가 아포스트로피로 표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요타화된 모음이 앞에 오는 소리가 구개음화되는 경우에는 연성 기호가 사용된다.
2. 3. 슬라브어 연구에서의 용법
슬라브어 연구에서 연성 기호(ь)와 경음 기호(ъ)는 원시 슬라브어의 매우 짧은 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ь는 매우 짧은 /ĭ/ 소리를, ъ는 매우 짧은 /ŭ/ 소리를 나타낸다. 이 매우 짧은 모음은 지속 시간이나 길이에 따라 일반적인 단모음과 구별된다. Ь로 표시되는 매우 짧은 /ĭ/ 소리는 영어 단어 "bit"의 "i" 소리와 유사한 전설 모음이며, Ъ로 표시되는 매우 짧은 /ŭ/ 소리는 영어 단어 "put"의 "u" 소리와 유사한 후설 모음이다.원시 슬라브어는 5세기에서 9세기경에 사용된 슬라브어의 공통 조상을 말하며, 이 시기에 슬라브어는 공유된 언어적 조상으로부터 분화되는 과정에 있었다. 슬라브어 연구 표기법은 역사언어학과 비교언어학을 기반으로 원시 슬라브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재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 표기법에서 연자 부호(Ь)와 경자 부호(Ъ)는 원래 매우 짧은 모음 소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 슬라브어 연구 표기법에서 Ь와 Ъ를 활용함으로써 언어학자와 연구자는 재구성된 원시 슬라브어 단어에서 이 매우 짧은 모음 소리의 존재를 나타낼 수 있다.
원래는 독립된 모음 문자였으며, e 또는 i의 매우 약하고 짧은 음을 나타냈다고 생각된다. 바로 앞의 자음은 반드시 연자음이 된다. 그 후의 음운 변화에 의해, 단어의 위치에 따라 더 완전한 모음 (е 등)이 되거나, 독립된 모음으로서는 탈락하여 앞의 자음이 연자음임을 나타내는 부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2. 4. 이중 문자
일부 비슬라브어 키릴 문자 기반 알파벳(체첸어, 잉구쉬어, 타바사란어 등)에서는 연성 기호를 사용하여 이중 문자를 만든다. 예를 들어, "аь"는 /æ/ 또는 /a/ 소리를, "оь"는 /œ/ 또는 /ø/ 소리를, "уь"는 /y/ 소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 가능한 키릴 문자를 활용하여 비슬라브어에서 특정 모음 소리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연성 부호 ⟨ь⟩는 다른 문자와 결합하여 단독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뚜렷한 음소를 나타내는 이중 자모를 생성한다. 또한, 터키어에서 /ə/ 또는 /æ/ 소리를 나타내는 키릴 문자 쇼아 (Ә)를 대체하기 위해 ⟨аь⟩ 이중 자모를 사용하는 제안도 있었다.
모음 외에도, 연성 부호는 경자 부호 및 팔로치카처럼 많은 언어에서 단독 문자와 음성적으로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자음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이중 자모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г"는 /g/ 소리를 나타내는 반면, "гь" 조합은 크림 타타르어에서 /ɣ/, 아르치어에서 /ɦ/, 아바르어 및 타바사란어에서 /h/를 나타낸다.
3. 명칭
벨라루스어로는 ()라고 부른다. 불가리아어로는 ()라고 부르며, 경자음 와 구분된다. 부랴트어로는 ()라고 한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는 라고 불렸다. 칼미크어로는 ()라고 한다. 카자흐어로는 ()라고 한다. 키르기스어로는 라고 한다. 몽골어로는 ()라고 한다. 러시아어로는 () 또는 (고어, 주로 1917년 이전 명칭) ()라고 부른다. 세르비아어로는 또는 라고 부르며, 경자음 또는 와 구분된다. 우크라이나어로는 ()라고 부른다. 우즈베크어로는 ()라고 한다.
4. 문자 위치
러시아어 알파벳의 30번째 문자, 벨라루스어 알파벳의 29번째 문자,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31번째 문자, 불가리아어 알파벳의 28번째 문자이다. 압하스어의 63번째 문자, 아디게어의 61번째 문자이기도 하다.
5. 컴퓨팅 코드
유니코드에서 Ь의 대문자는 U+042C, 소문자는 U+044C이다. KOI8-R, KOI8-U, 코드 페이지 855, 코드 페이지 866, 윈도우 1251, ISO-8859-5, 매킨토시 키릴 등 다양한 키릴 문자 인코딩에서 Ь에 대한 코드 값이 정의되어 있다.
대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소문자 | 유니코드 | JIS X 0213 | 문자 참조 | 비고 |
---|---|---|---|---|---|---|
Ь | U+042C | 1-7-30 | ь | U+044C | 1-7-78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