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바사란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바사란어는 러시아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타바사란치 또는 굼굼이라고도 불린다.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1928년부터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를 사용했다. 타바사란어는 48개의 격을 가지고 있어 기네스 세계 기록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격 체계를 가진 언어로 등재되었으며, 절대격, 능격, 소유격, 여격의 4개의 핵심 격과 7~8개의 장소 격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바사란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타바사란어 |
| 다른 표기 | |
| 사용 국가 | 러시아 |
| 사용 지역 | 다게스탄 공화국 남부 |
| 사용자 | 타바사란인 |
| 언어 사용자 수 | 126,900명 (2010년) |
| 언어 계통 | 북동캅카스어족 |
| 어파 | 레즈기어파 |
| 하위 어파 | 사무르어파 |
| 하위 하위 어파 | 동사무르어파 |
| 하위 하위 하위 어파 | 레즈기어-아굴어-타바사란어 |
| 문자 | 키릴 문자 |
| ISO 639-3 | tab |
| Glottolog | taba1259 |
| Glottolog 명칭 | Tabasaran |
| 언어 생존력 | 취약 |
2. 언어 명칭
타바사란어는 타바사란, 타바사란치, 굼굼이라고도 불린다.
타바사란어는 크게 남부 방언과 북부 방언으로 나뉜다. 남타바사란 방언은 표준어의 기반이 되는 방언이다.
3. 사용 지역
4. 방언
4. 1. 주요 방언
타바사란어의 남타바사란 방언은 표준어의 기반이 되는 방언이다.
5. 문자
타바사란어는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1928년부터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 기반 표기 체계를 사용했다.
| 문자 | IPA |
|---|---|
| А а | |
| Аь аь | |
| Б б | |
| В в | |
| Г г | |
| Гг гг | |
| Гъ гъ | |
| Гь гь | |
| Д д | |
| Е е | , |
| Ё ё | |
| Ж ж | , |
| Жв жв | |
| З з | , |
| И и | |
| Й й | |
| К к | |
| Кк кк | |
| Къ къ | |
| Кь кь | |
| Кӏ кӏ | |
| Л л | |
| М м | |
| Н н | |
| О о | |
| П п | |
| ПП пп | |
| Пӏ пӏ | |
| Р р | |
| С с | |
| Т т | |
| Тт тт | |
| Тӏ тӏ | |
| У у | |
| Уь уь | |
| Ф ф | |
| Х х | |
| Хъ хъ | |
| Хь хь | |
| Ц ц | |
| Цц цц | |
| Цӏ цӏ | |
| Ч ч | |
| Чв чв | |
| Чч чч | |
| Чӏ чӏ | |
| Ш ш | |
| Шв шв | |
| Щ щ | |
| Ъ ъ | |
| Ы ы | |
| Ь ь | |
| Э э | |
| Ю ю | , |
| Я я | , |
Ё ё, О о, Щ щ, Ы ы, Ь ь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사용된다.
5. 1. 문자 및 발음
타바사란어는 1938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고 있다. 1928년부터 1938년까지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를 사용하였다.| 문자 | IPA |
|---|---|
| А а | |
| Аь аь | |
| Б б | |
| В в | |
| Г г | |
| Гг гг | |
| Гъ гъ | |
| Гь гь | |
| Д д | |
| Е е | , |
| Ё ё | |
| Ж ж | , |
| Жв жв | |
| З з | , |
| И и | |
| Й й | |
| К к | |
| Кк кк | |
| Къ къ | |
| Кь кь | |
| Кӏ кӏ | |
| Л л | |
| М м | |
| Н н | |
| О о | |
| П п | |
| ПП пп | |
| Пӏ пӏ | |
| Р р | |
| С с | |
| Т т | |
| Тт тт | |
| Тӏ тӏ | |
| У у | |
| Уь уь | |
| Ф ф | |
| Х х | |
| Хъ хъ | |
| Хь хь | |
| Ц ц | |
| Цц цц | |
| Цӏ цӏ | |
| Ч ч | |
| Чв чв | |
| Чч чч | |
| Чӏ чӏ | |
| Ш ш | |
| Шв шв | |
| Щ щ | |
| Ъ ъ | |
| Ы ы | |
| Ь ь | |
| Э э | |
| Ю ю | , |
| Я я | , |
Ё ё, О о, Щ щ, Ы ы, Ь ь는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사용된다.
6. 음운
타바사란어의 음운 체계는 다음과 같다.
후치경 마찰음은 휘파람 소리가 날 수 있다.[1]
타바사란어의 모음은 IPA로 /i/, /y/, /u/, /e/, /ø/, /o/, /æ/, /a/가 있다.
6. 1. 자음
후치경 마찰음은 휘파람 소리가 날 수 있다.[1]| colspan="2" rowspan="2"| | 순음 | 치음 | 후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
| 평음 | 마찰음 | |||||||||
| 비음 | ||||||||||
| 파열음/ 파찰음 | 유성음 | |||||||||
| 무성음 | ||||||||||
| 경음 | ||||||||||
| 방출음 | ||||||||||
| 마찰음 | 무성음 | |||||||||
| 경음 | ||||||||||
| 유성음 | ||||||||||
| 접근음 | ||||||||||
| 전동음 | ||||||||||
6. 2. 모음
타바사란어의 모음은 IPA로 , , , , , 이다.
7. 문법
타바사란어는 능격 언어의 유동형-S 타입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2]
7. 1. 격 체계
타바사란어는 48개의 격을 가지고 있어, 기네스 세계 기록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격 체계를 가진 언어로 등재되었다. 1935년 옐름슬레우(Hjelmslev)는 타바사란어가 52개의 격(단, 2개는 형용사에만 나타남)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격'에 대한 엄밀하지 않은 분석에 기반하며, 체즈어와 같은 다른 언어는 그러한 정의에 따르면 더 많은 격을 가질 수 있다. 1998년 콤리(Comrie)와 폴린스키(Polinsky)는 타바사란어의 격 체계를 남부 방언(표준어 포함)에서 14개, 북부 방언에서 15개의 격 형태소(무표지 절대격 포함)를 가진 것으로 분석했다.[2][3]타바사란어의 격은 크게 핵심 격과 장소 격으로 나뉜다.
7. 1. 1. 핵심 격
타바사란어에는 4개의 핵심/논항 격( 절대격, 능격, 소유격 -n, 여격 -z)이 있다. 절대격은 기본형이다. 능격은 불규칙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i로 끝나며, 다른 모든 격의 어간 역할을 한다.[2][3]7. 1. 2. 장소 격
타바사란어에는 7~8개의 장소격 접미사가 있다. '-ʔ'는 '안에', '-xy'는 '에', '-h'는 '가까이 / 앞에'(남부에서는 '에'와 중화됨), '-ʔin'는 '위에'(수평), '-k'는 '위에'(수직), '-kk'는 '아래', '-q'는 '뒤에', '사이에'를 뜻한다. 장소격은 이동격 '-na' 또는 탈격 '-an'을 추가로 취하여 21개 또는 24개의 조합을 만들 수 있다. 이들 모두는 여격과 마찬가지로, 위치를 덜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추가 접미사 '-di'를 취할 수 있어 47개(남부)에서 53개(북부)의 격 접미사 조합을 형성한다.[2][3]8. 예시
Уву алдакураву.|우우 알다쿠라우우tab - "당신은 넘어지고 있어요."
Узуз уву ккундузуз.|우주즈 우우 끄쿤두주즈tab - "사랑해요."
Уву фужува?|우우 푸주와tab - "당신은 누구세요?"
Фици вуна?|피치 우나tab - "어떻게 지내세요?"
Закур гъюрза.|자쿠르 규르자tab - "내일 올게요."
Узу кана хъэза.|우주 카나 퀘자tab - "돌아올게요."
참조
[1]
웹사이트
Consonant Systems of the North-East Caucasian Languages on TITUS DIDACTICA
http://titus.fkidg1.[...]
[2]
서적
Case, Typology and Grammar
http://scholar.harva[...]
[3]
서적
Cas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9-20
[4]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