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き'는 일본어의 히라가나 및 가타카나 문자 중 하나이다. 히라가나는 4획, 가타카나는 3획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한자로 표기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는 여러 인코딩 방식으로 표현되며, 점자, 모스 부호, 수기 신호 등 다양한 형태로도 나타난다. 또한, 철도 차량 기호, 일본 제국 육군 항공기, 날씨 기호 등에서도 특정 의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き | |
|---|---|
| 개요 | |
| 종류 | 가나 |
| 문자 체계 | 일본어 |
| 음절 문자 | き/キ |
| 로마자 표기 | |
| 헵번식 | ki |
| 훈령식 | ki |
| JIS X 4063 | ki |
| 음운 | |
| 음성 | [ki] |
| 문자 정보 | |
| 히라가나 유니코드 | U+304D |
| 히라가나 JIS | 1-4-13 |
| 가타카나 유니코드 | U+30AD |
| 가타카나 JIS | 1-5-13 |
| 히라가나 자원 | 幾의 초서 |
| 가타카나 자원 | 幾의 일부 |
| 일본어 | |
| 오십음 | か행 い단 |
| 발음 | き |
| 기타 | |
| 아이누어 | ki |
2. 문자 형태 및 획순
'き'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두 가지 형태로 쓰인다. 히라가나 'き'는 '幾'의 초서체에서 유래되었으며, 가타카나 'キ'는 '幾'의 초서 변형이다. 한자로는 '貴', '気', '木' 등 다양한 글자로 표기될 수 있다.[1]



2. 1. 획순


히라가나 'き'는 4획, 가타카나 'キ'는 3획으로 쓴다.
3. 음운
현대 표준어의 음운은 1자음과 1모음 "이"로 이루어진다. 자음은 다음과 같다.
- 청음 ‘き’: 혀 뒤쪽을 구개의 안쪽 부분(연구개, 또는 약간 앞쪽의 경구개쪽)에 대고 일단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 무성음. 모음이 무성음화되었을 때 실제 음은 파찰음 [kç]이 된다.
- 탁음 ‘ぎ’: 혀 뒤쪽을 구개의 안쪽 부분(연구개)에 대고 일단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 유성음.
- 비탁음 ‘き゚’: 코로 소리를 빼면서 혀 뒤쪽을 구개의 안쪽 부분(연구개)에 대고 일단 막았다가 터뜨려서 내는 소리. 유성음.
단, 실제 발음은, か행의 다른 음에 비해 혀를 앞쪽까지 크게 대고 있으며, 조음점은 경구개에 가까운 연구개가 된다.
4. 컴퓨터 부문
'き'는 다양한 문자 인코딩 시스템에서 표현된다. 유니코드를 비롯하여 Shift JIS, EUC-JP, GB 18030, EUC-KR, Big5 등에서 'き'와 관련된 문자들을 표현하기 위한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이는 하위 섹션 "문자 인코딩"에서 자세한 코드 표와 함께 다룬다.
4. 1. 문자 인코딩
き|키일본어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글자 중 하나이다. 오십음도에서 제2행 제2단(か행 い단)에 위치한다.| 종류 | 코드 | 문자 | 시프트 JIS[1] | EUC-JP[2] | GB 18030[3] | EUC-KR[4] / UHC[5] | Big5 (비-ETEN 가나)[6] | Big5 (ETEN / HKSCS)[7] |
|---|---|---|---|---|---|---|---|---|
| 히라가나 문자 Ki | 304D | き | 82 AB | A4 AD | A4 AD | AA AD | C6 B1 | C6 F3 |
| 가타카나 문자 Ki | 30AD | キ | 83 4C | A5 AD | A5 AD | AB AD | C7 45 | C7 A9 |
| 반각 가타카나 문자 Ki | FF77 | キ | B7 | 8E B7 | 84 31 97 39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해당 없음 |
| 히라가나 문자 Gi | 304E | ぎ | 82 AC | A4 AE | A4 AE | AA AE | C6 B2 | C6 F4 |
| 가타카나 문자 Gi | 30AE | ギ | 83 4D | A5 AE | A5 AE | AB AE | C7 46 | C7 AA |
| 종류 | 코드 | 문자 | 시프트 JIS-2004[9] | EUC-JIS-2004[10] | GB 18030[3] | |||
| 히라가나 문자 비다쿠온 Ngi[8] | 304D 309A | き゚ | 해당 없음 | A4 F8 | 해당 없음 | |||
| 가타카나 문자 비다쿠온 Ngi[8] | 30AD 309A | キ゚ | 해당 없음 | A5 F8 | 해당 없음 | |||
| 원형 가타카나 Ki | 32D6 | ㋖ | 82 F6 | 해당 없음 | 81 39 D2 32 |
5. 기타 표현
'き'는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 중 하나로, 통화표, 모스 부호, 수기 신호, 일본 점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본 점자에서 き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1]
| き / キ in 일본 점자 | K + 요음 점자 | ||||||
|---|---|---|---|---|---|---|---|
| き / キ ki | ぎ / ギ gi | きい / キー kī | ぎい / ギー gī | きゃ / キャ kya | ぎゃ / ギャ gya | きゃあ / キャー kyā | ぎゃあ / ギャー gyā |
| K + 요음 점자 | |||||||
| きゅ / キュ kyu | ぎゅ / ギュ gyu | きゅう / キュー kyū | ぎゅう / ギュー gyū | きょ / キョ kyo | ぎょ / ギョ gyo | きょう / キョー kyō | ぎょう / ギョー gyō |
5. 1. 점자
일본 점자에서 'き'는 ⠣로 표현된다.[1]| き / キ in 일본 점자 | K + 요음 점자 | ||||||
|---|---|---|---|---|---|---|---|
| き / キ ki | ぎ / ギ gi | きい / キー kī | ぎい / ギー gī | きゃ / キャ kya | ぎゃ / ギャ gya | きゃあ / キャー kyā | ぎゃあ / ギャー gyā |
| K + 요음 점자 | |||||||
| きゅ / キュ kyu | ぎゅ / ギュ gyu | きゅう / キュー kyū | ぎゅう / ギュー gyū | きょ / キョ kyo | ぎょ / ギョ gyo | きょう / キョー kyō | ぎょう / ギョー gyō |
5. 2. 모스 부호
'き'의 모스 부호는 -・-・・이다.5. 3. 수기 신호
き일본어의 수기 신호는 6→2 (6번 스트로크 후 2번 스트로크)로 표현된다.[1]6. き와 관련된 사항
'き'는 일본어에서 여러 가지 의미와 용도로 사용된다. 우선, 'き'는 다양한 한자의 음으로 사용된다.[1]
| 한자 | 의미 |
|---|---|
| 貴 | 귀하다 |
| 気 | 기운, 마음 |
| 木 | 나무 |
| 期 | 기간 |
| 機 | 기회, 기계 |
| 着 | 도착하다, 입다 |
| 危 | 위험하다 |
| 記 | 기록하다 |
| 紀 | 기원, 세기 |
| 来 | 오다 |
| 希 | 희망하다, 드물다 |
| 基 | 기초, 기반 |
| 季 | 계절 |
| 黄 | 노란색 |
| 器 | 그릇, 기구 |
| 奇 | 기이하다 |
| 規 | 규칙, 규범 |
| 起 | 일어나다 |
| 企 | 기업, 계획하다 |
| 喜 | 기쁘다 |
| 机 | 책상 |
| 旗 | 깃발 |
| 既 | 이미, 벌써 |
| 棄 | 버리다 |
| 帰 | 돌아가다 |
| 祈 | 기도하다 |
| 嬉 | 기쁘다 |
| 寄 | 기부하다, 접근하다 |
| 綺 | 비단, 아름답다 |
| 幾 | 얼마, 몇 |
| 揮 | 휘두르다 |
| 汽 | 증기 |
| 飢 | 굶주리다 |
| 騎 | 기병, 타다 |
| 亀 | 거북이 |
| 己 | 자기, 자신 |
| 樹 | 나무 |
| 碁 | 바둑 |
| 伎 | 재주, 기예 |
또한, 야행 문자를 뒤따르게 하여 열린 요음을 구성하며, 이때 뒤따르는 야행 문자는 일반적으로 작게 쓴다.
가타카나 'キ'는 히라가나 'き'의 이체자 또는 약자가 원형이 되었다는 설도 있으며, 자형·필순으로 보면 자연스럽다.[1] 히라가나 'き'는 3획째와 4획째를 잇는 것과 떼는 것이 존재하지만 어느 쪽이든 취급에 차이는 없다.[1]
'き'라는 문자는 일본어의 중요한 요소로서 한자 '木'이나 '氣'의 읽는 법으로도 사용되어 왔다.[1]
6. 1. 철도 차량 기호
일본 철도에서 'キ'는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1]6. 2. 일본 제국 육군 항공기
일본 제국 육군은 항공기 시제품 명칭(계획 명칭)에 기종이나 제조사 구별 없이 '키○○'(키 번호, 예: 키100)와 같은 일련번호를 사용했다. 이는 1933년(쇼와 8년)에 제정된 육군기 시제품 명칭으로, '키'는 기체(키타이)를 의미한다.[1]6. 3. 날씨 기호
일본식 날씨 기호에서 가타카나 'キ'는 '키리사메(이슬비)'의 약자로, 비 날씨 기호의 오른쪽에 붙으면 이슬비를 나타낸다.[1]참조
[1]
웹사이트
Shift-JIS to Unicode
https://www.unicode.[...]
2015-12-02
[2]
웹사이트
EUC-JP-2007
https://raw.githubus[...]
[3]
서적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https://archive.org/[...]
2005-11-18
[4]
웹사이트
IBM-970
https://raw.githubus[...]
[5]
웹사이트
cp949 to Unicode table
https://www.unicode.[...]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2000-01-01
[6]
웹사이트
BIG5 to Unicode table (complete)
https://www.unicode.[...]
2015-12-02
[7]
웹사이트
big5
https://encoding.spe[...]
WHATWG
[8]
웹사이트
Unicode Named Character Sequences
https://www.unicode.[...]
[9]
웹사이트
Shift_JIS-2004 (JIS X 0213:2004 Appendix 1) vs Unicode mapping table
http://x0213.org/cod[...]
2009-05-03
[10]
웹사이트
EUC-JIS-2004 (JIS X 0213:2004 Appendix 3) vs Unicode mapping table
http://x0213.org/cod[...]
2009-05-03
[11]
웹인용
Shift-JIS to Unicode
https://www.unicode.[...]
2015-12-02
[12]
웹인용
EUC-JP-2007
https://raw.githubus[...]
[13]
서적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https://archive.org/[...]
2005-11-18
[14]
웹인용
IBM-970
https://raw.githubus[...]
[15]
웹인용
cp949 to Unicode table
https://www.unicod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2000-01-01
[16]
웹인용
BIG5 to Unicode table (complete)
https://www.unicode.[...]
2015-12-02
[17]
웹인용
big5
https://encoding.spe[...]
WHATWG
[18]
웹인용
Unicode Named Character Sequences
https://www.unicode.[...]
[19]
웹인용
Shift_JIS-2004 (JIS X 0213:2004 Appendix 1) vs Unicode mapping table
http://x0213.org/cod[...]
2009-05-03
[20]
웹인용
EUC-JIS-2004 (JIS X 0213:2004 Appendix 3) vs Unicode mapping table
http://x0213.org/cod[...]
2009-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