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は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は행은 일본어 음운의 한 종류로, 'は, ひ, ふ, へ, ほ'의 다섯 음절로 구성되며, 각 음절은 [ha], [çi], [ɸɯ], [he], [ho]로 발음된다. 이 외에도 탁음 '바행', 반탁음 '파행', 요음, 외래어 표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고대 일본어에서는 자음 '*p*'에서 시작되었으며, 음운 변화를 거쳐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십음 - あ행
  • 오십음 - や행
    や행은 일본어 가나의 한 행으로, 'や', 'ゆ', 'よ'를 포함하며 자음 y 또는 j와 모음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역사적으로 음운 변화와 요음 형성의 특징을 가지며, 현대 일본어에는 'え'에 해당하는 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は행
음운
종류자음
조음 방법
분류유성음
조음 위치양순음
치음
성문음
문자
문자
일본어 로마자 표기ha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ha
발음/ha/ (は)
/pa/ (ぱ, 반탁점)
기타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글 자모
종류자음
발음
발음/h/
문자
문자
한국어 로마자 표기h
한국어 개정 로마자 표기h

2. 청음

は행의 청음은 'は, ひ, ふ, へ, ほ'로 표기되며, 각각 [ha], [çi], [ɸɯ], [he], [ho]로 발음된다.[5] 조사 'は'와 'へ'는 와행 음으로 발음한다.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문절 처음 이외에는 와행 음으로 발음되는데, 이는 하행 전호 이전의 체계에 따른 것이다.

2. 1. 음운사

먼 고어 시대에는 'は행'의 자음이 '*p*' 음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된다.[5]

이 음은 어두나 어중에 관계없이 자주 나타났지만, 출현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른 변화를 겪었다.

# '''어두에서는'''

#: 정설에 따르면, 나라 시대에는 '*ɸ*' 음(ファ, フィ, フ, フェ, フォ와 같은 음)이 되었다고 한다.[6] 나라 시대에 '*p*'음, 헤이안 시대부터 '*ɸ*'음으로 변했다는 설도 있다.[6] '*ɸ*'음은 그 후 오랫동안 이어졌다. 17세기 초 포르투갈인들이 편찬한 『일포사전』에는 「母」를 'faua' 또는 'fafa'[7], 「人」을 'fito', 「花」를 'fana'와 같이 'f'를 사용하여 하행을 표기하여, '*ɸ*' 음이었음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 중 하나가 되었다.

#: 그 후, 에도 시대 전기에는 순음퇴화 현상이 일어나 'フ'(후)를 제외하고는 순음성을 완전히 잃고, 'ハ'(하), 'ヒ'(히), 'フ'(후), 'ヘ'(헤), 'ホ'(호)가 [ha], [çi], [ɸɯ], [he], [ho]와 같이 현재의 소리로 변화했다.

# '''발음(ん)이나 촉음(っ) 뒤에서는'''

#: 헤이안 시대에 한자음을 표기하기 위해 발음 'ん'과 촉음 'っ'이 일본어에 들어왔다. 이후, 발음이나 촉음 뒤에 'は행' 음이 오는 경우(예: 憲法(켄포), 説法(셋포))에는 자연스럽게 '*p*'음으로 발음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 이 '*p*'음은 처음에는 '*ɸ*'의 이음이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점차 독립된 음소 '*p*', 즉 반탁음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했다. 특히 '촉음+は행음' 형태는 일본어에 널리 퍼져, '葉っぱ'(핫빠, 잎사귀), 'しょっぱい'(숏빠이, 짜다), 'ひっぱる'(힛빠루, 잡아당기다), 'すっぽり'(슷뽀리, 푹), '~っぽい'(~ப்போ이, ~같다) 등 일상어에서 폭넓게 사용되게 되었다.

#: 예를 들어, 'あはれ'(아와레, 슬픔) 라는 단어는 처음에는 [aɸare]와 같이 발음되었지만, 촉음이 일반화되면서 감동했을 때 나타나는 소리의 "모음"이 촉음으로 고정되고, 그 환경에서 [ɸ]에서 변화한 후속음 [p]가 독립하여, 'あっぱれ'(압빠레, 훌륭함) 라는 새로운 어형이 정착되었다.

# '''그 외의 장소에서는'''

#: 어두와 마찬가지로 나라 시대 즈음에 '*ɸ*'음으로 바뀌었지만, 헤이안 시대부터 가마쿠라 시대에 걸쳐 '''하행 전호'''라는 대규모 약화 현상이 일어나 와행으로 합류했다. 그 후 와행에서 일어난 변화를 거쳐, 'は'(하) [wa] 및 'ふ'(후) [*wu] > [u]는 형태를 유지했지만, 'ひ'(히) [wi], 'へ'(헤) [we], 'ほ'(호) [wo]는 순음을 잃고 'イ'(이), 'エ'(에), 'オ'(오)에 합류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 하행 전호 발생 이후에도 철자 상에는 오랫동안 'は행' 음이 남아 있었다. 이것은 역사적 가나 표기법이라고 불리는데, 예를 들어 '障り'(사와리, 지장), '思う'(오모우, 생각하다), '前'(마에, 앞), '遠し'(토오시, 멀다)를 'さはり', 'おもふ', 'まへ', 'とほし' 등으로 쓴 것은 'は행' 음을 사용했던 흔적이다. 오늘날에도 조사인 'は'(하), 'へ'(헤)에만 'は행' 글자가 남아 있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 현재 일본 고유어에서는 'は행' 음이 기본적으로 어두에만 나타나게 되었다.[8]

3. 탁음

하행에 탁점(゛)을 붙인 바행(ば행)은 유성음이며, 'ば, び, ぶ, べ, ぼ'로 표기된다. 바행의 두자음 음소는 '*b*'이며, 음성학상 발음은 문절의 머리 및 발음(ん) 뒤에서는 유성 양순 파열음([b]), 그 외에는 유성 양순 마찰음([β]) 또는 그에 가까운 음(폐쇄 밀착도가 약한 유성 양순 파열음)이다. 'び'의 두자음은 문절의 머리 및 발음(ん) 뒤에서는 유성 양순 경구개 파열음([bʲ]), 그 외에는 유성 양순 경구개 마찰음([βʲ]) 또는 그에 가까운 음이다.

탁음 '바행'은 외래어의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문서를 참조.

3. 1. 음운사

바행은 하행과 달리 안정적으로 음을 유지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다만, 일부 어휘에서는 바행과 마행 사이의 동요가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さびしい(사비시이, 쓸쓸하다)'에 대해 'さみしい(사미시이)', 'かぶる(카부루, 쓰다)'에 대해 'こうむる(코-무루, 입다)', '蛇(뱀)'에 대한 방언인 'へみ(헤미)', '薔薇(장미)', '茨(가시나무)'의 옛말인 'うまら(우마라)' 등이 있다.[1]

4. 반탁음

반탁음 'ぱ행'음의 두자음 음소는 /p/이고, 음성학상의 발음은 'ぱ', 'ぷ', 'ぺ', 'ぽ'의 두자음은 무성 양순 파열음 [p]이고, 'ぴ'의 두자음은 무성 양순 경구개 파열음 [pʲ]이다. 'ぱ행'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 헵번식 모두 pa pi pu pe po이다.[1]

5. 요음

하행, 바행, 파행의 이단(예: 히, 비, 피) 음을 1음으로 하는 요음(拗音)에는 'ひゃ행', 'びゃ행', 'ぴゃ행'이 있다. 각각의 두자음은 ç|햐일본어, bʲ|뱌일본어, pʲ|퍄일본어이며, 실제 발음은 '히', '비', '피'의 두자음과 동일하다. 'ひゃ행', 'びゃ행', 'ぴゃ행'의 로마자 표기는 일본식, 헵번식 모두 hya hyu hyo, bya byu byo, pya pyu pyo이다.

6. 외래어 표기

일본어의 외래어 표기에서 「ファ」「フィ」「フェ」「フォ」는 제1표에 표시되는 가나로, 주로 양치 마찰음 의 음역에 사용된다. 일본어에서는 「ふ」의 두자음 와 모음 「」「」「え」「」를 조합한 음으로 발음된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파」「피」「페」「포」는 제1표에 제시된 가나로, 주로 순치 마찰음 의 음역에 사용된다. 「퓌」는 외래어 표기법 제2표에 제시된 가나로, 의 음역에 사용된다. 일본어에서 「퓌」는 화자에 따라 「햐행」의 초성 이나, 구개음화된 「후」의 초성 등과 「」를 조합한 소리로 발음된다.

7. 음성학적 분류

하행, 바행, 파행의 음성학적 분류
style="background:#ffdead;" |



무색은 무성음, 주황색은 유성음이다. 유성 자음은 문두(文頭) 및 받침 소리 뒤의 경우 파열음, 그 외에는 독특한 마찰음이 된다.

참조

[1] 문서 先島方言
[2] 문서 浅川哲也
[3] 문서 ハ행전호
[4] 문서
[5] 문서 先島方言
[6] 서적 知らなかった!日本語の歴史 東京書籍 2011-08-01
[7] 문서 ハ행전호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