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ヴ는 일본어에서 /v/ 음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나 문자이다. 후쿠자와 유키치가 처음 제안했으며, 1991년 국어 심의회에서 ヴ 표기를 허용하면서 국어 표기의 근거를 갖게 되었다. ヴ는 フ에 탁점을 붙여 /v/ 음을 나타내며, 요음을 붙여 va, vi, vu, ve, vo 음을 표기할 수 있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바행을 주로 사용하며, ヴ는 상표 등 일부에서 가끔씩 사용된다. 과거에는 바행으로 표기하거나 와행을 사용하여 [v] 음을 표기하기도 했다. 미디어에서는 ヴ 표기의 사용 여부에 대한 구분이 있으며, NHK는 특정 인명 표기에 ヴ를 사용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나 (문자) - 히라가나
    히라가나는 일본어 표기 문자 중 하나로, 한자의 초서에서 유래된 음절 문자이며, 48개의 기본 문자와 청음, 탁음, 반탁음, 요음 등으로 확장되어 일본 고유어 표기나 한자 표기가 어려운 단어 대체, 그리고 부드러운 이미지 연출에 사용된다.
  • 가나 (문자) - 가타카나
    가타카나는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문자 체계 중 하나로, 한자의 일부를 간략화하여 불경 훈독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외래어, 의성어, 의태어, 학술 용어 등을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가나 문자 정보
문자
유니코드U+30F4
일본어 이름ヴ (부)
로마자 표기vu
히라가나 해당 문자ゔ
유니코드 (히라가나)U+3046 + U+3099
문자 코드JIS: 1-6-86
Shift-JIS: 83 BF
EUC-JP: A6 F4
설명
개요ヴ는 일본어의 가나 중 하나이다. 우(ウ, う)에 탁점을 붙인 글자이다.
주로 외래어 표기에 사용되며, 일본어 고유어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발음원칙적으로 /v/ 발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대 일본어에서는 /v/ 발음이 /b/ 발음으로 대체되는 경향이 있어, 실제 발음은 /b/로 나는 경우가 많다.
사용가타카나로만 존재하며, 히라가나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외래어 표기 시 /v/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바이올린"은 일본어로 "ヴァイオリン" (vairorin)으로 표기된다.
기타
참고가타카나 'ウ'에 탁점을 붙여서 'ヴ'를 만든 것은 후쿠자와 유키치이다.
아이누어 가나에서는 'ヷ, ヸ, ヹ, ヺ'에도 탁점을 추가한 문자가 사용된다.

2. 역사

후쿠자와 유키치1860년에 출판된 <<증정화영통어>>(増訂華英通語)와 <<후쿠자와전집서언>>(福澤全集緒言)을 통해 /v/ 음을 표기하는 ヴ를 처음 제안했다.[2] [3] ヴ와 같은 음을 가졌던 ワ゛(ヷ)도 후쿠자와 유키치가 제안했다.[2]

과거에는 ワ행의 , , , 에 탁점을 붙여 [v] 음을 표현하는 ヷ, ヸ, ヹ, ヺ도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1954년 일본 국어심의회는 /v/음은 가능한 한 バ(ba)행을 사용하여 표기하도록 권장하였다. 그러나 1991년 2월 7일 국어심의회는 <외래어의 표기>에서 원어에 최대한 가깝게 표기하고자 하는 경우 /v/ 음을 ヴ로 표기하는 것을 허용했다. 같은 해 6월 28일 공포된 일본 내각 고시 2호에 의해 ヴ 표기는 국어 표기의 근거를 갖게 되었다. 같은 날 일본 문부성은 <학교교육에서의 외래어 취급에 관하여>에서 초등학교에서는 ヴ 표기를 지양하고, 중학교에서는 バ행 표기를 기본으로 하되 ヴ 표기도 교육하여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지도 지침을 발표했다.

3. 특징

ヴ는 후(フ)에 탁점을 붙여 /v/ 음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フ와 마찬가지로, 요음(ァ, ィ, ェ, ォ)을 붙여 va, vi, vu, ve, vo 음을 나타낼 수 있다.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 ヷ(va), ヸ(vi), ヹ(ve), ヺ(vo)는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지만, 실제로 쓰이지는 않는다. 현대 일본어에서는 バ행(바, 비, 부, 베, 보)을 주로 사용하며, ヴ는 상표 등 일부에서 가끔씩 사용된다. 히라가나로는 입력할 수 없다.

3. 1. v음으로서의 사용

フ(fu)와 같은 원리로 요음(ァ, ィ, ェ, ォ)을 붙여 va, vi, vu, ve, vo 음을 나타낸다. 쓰이고 있지는 않으나, わ행에 탁음을 붙여 /v/ 음절을 표기하는 ヷ(va), ヸ(vi), ヹ(ve), ヺ(vo)가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2]

현대 일본어에서는 주로 バ(바), ビ(비), ブ(부), ベ(베), ボ(보)를 사용하며, 거의 쓰이지 않으나 일부 상표 등에는 가끔씩 사용된다.

  • 예: ヴァイオリン(바이올린) - 바이올린


v 음을 나타내는 데 "ヴ"를 사용하는 것은 후쿠자와 유키치의 발안이다. 에도 시대 말기인 1860년(만연 원년)에 출판된 『증정 화영 통어』에 용례가 보인다.[3]

과거에는 와행의 , , , 에 탁점을 붙여 [v] 음을 표현하는 것(ヷ, ヸ, ヹ, ヺ)도 행해졌지만, 일반적으로는 쓰이지 않게 되었다.

1954년(쇼와 29년) 국어 심의회 보고에서 [v] 음은 가능한 한 "바행"으로 표기하도록 권장했지만, 1991년(헤이세이 3년) 2월 7일 국어 심의회가 답신한 「외래어 표기」에서는 원어에 최대한 가깝게 표기하고자 하는 경우 [v] 음을 "ヴ"로 표기하는 것을 용인했고, 같은 해 6월 28일 공포된 내각 고시 2호에 의해 국어 표기의 근거가 되었다. 또한 같은 날 문부성이 발표한 「학교 교육에서의 외래어 취급에 관하여」에서는 초등학교에서는 교육적 배려에서 "ヴ" 표기를 피하도록 하고, 중학교에서는 일반적으로 "바행"으로 표기하지만 필요할 경우 "ヴ"로 표기하는 것을 가르쳐, 쌍방의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지침이 제시되었다.

「ヴ」의 사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은 법칙을 따른다.

# 뒤에 모음을 동반하지 않는 [v]는 "ヴ"로 표기된다.

# [va], [vi], [vu], [ve], [vo]는 각각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로 표기된다.

# 일본어에 음소가 존재하는 /a/, /i/, /u/, /e/, /o/ 이외의 모음을 동반하는 [v]는, 일본어에 존재하는 모음 중 일본어 모어 화자에게 가장 가까운 음으로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 중 하나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영어의 ''valley''는 /a/로 간주하여 "ヴァレー"로 표기한다.

# "ヴァ", "ヴィ", "ヴ", "ヴェ", "ヴォ"의 발음은 바, 비, 부, 베, 보라는 일본어에 본래 있는 음으로 해도 무방하다.[4]

3. 2. V와 ヴ의 대응 관계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중 [v] 소리를 가진 언어는 영어, 프랑스어처럼 [v]를 V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독일어, 폴란드어, 상소르브어 등에서는 W로 [v]를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v/ 소리를 갖지 않고 V를 유성 양순 파열음 /b/로 발음하는 스페인어(예: 베라크루스=Veracruz)나 V 문자가 유성 양순 접근음(반모음) [w]를 나타내는 라틴어[5], W를 유성 순치 마찰음 /v/로 하고 V를 무성 순치 마찰음 /f/로 하는 독일어처럼, 반드시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모든 언어에서 V가 [v]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V 문자를 기계적으로 ヴ에 적용할 수는 없다. 또한, 앞서 언급한 W로 [v]를 나타내는 언어의 경우에도 무성 순치 마찰음 /f/로 발음하는 경우(예: 하노버=Hannover)가 있으므로, 이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3. 3. ヴ 이외의 가나로 [v]를 음역하는 경우

메이지 시대 이후 일본어에 많은 외래어를 제공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은 유성 순마찰음 [v]을 포함하고 있다. 과거에는 ヴ 표기가 권장되지 않아, [v] 음을 バ행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6] 다음은 그러한 음역 표기의 예이다.

}

|

| 리버풀

| 영어

|-

| vacance||프랑스어

|

| 바캉스

| 프랑스어

|-

| Valois||프랑스어

|

| 발루아

| 프랑스어

|-

| violin||영어

|

| 바이올린

| 영어

|}

현재는 ヴ 표기가 많아졌지만, バ행 표기와 혼용되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7]

독일어 어두의 W는 [v]로 발음되지만, ワ행(와, 위, 우, 웨, 워)으로 음역되는 경우가 많았다.

원어발음한국어 표기비고
{{lang|en|Liverpool}
}

|

| 와이마르

|

|-

| Wagner||de

|

| 바그너

|

|-

| Wien||de

|

| 빈

|

|}

ヴ를 사용한 [v] 표기가 널리 정착된 후에는 "바이마르", "바그너", "빈" 대신 "ヴァイマル(바이마르)", "ヴァーグナー(바그너)", "ヴィーン(빈)" 등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러시아어 등의 в [v]를 전사할 때도, バ행 대신 ワ행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필수는 아니다.

원어발음일반적인 가나 표기비고
{{lang|de|Weimar}
}

|

| 모스크바

| 러시아어

|-

| Иван||ru

|

| 이반

| 러시아어

|-

| Владивосток||ru

|

| 블라디보스토크

| 러시아어

|}

원어발음가나 표기 (ワ행)비고
{{lang|ru|Москва}
}

|

| 소비에트

| 러시아어

|-

| Волга||ru

|

| 볼가 강

| 러시아어

|}

4. 미디어에서의 ヴ

출판, 인쇄 업계에서는 ヴ 표기를 '우탁'(うだく) 또는 '우텐', バ행 표기를 '하탁'(はだく)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9].신문, 방송 등 보도 관련 업계에서는 원칙적으로 バ행 표기를 사용한다. NHK는 バ행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ヴ 표기와 혼재되는 경향을 보인다.

4. 1. NHK에서의 ヴ 표기 사례

1995년 (헤이세이 7년) NHK 스페셜・영상의 세기 오프닝 영상에서는 스트라빈스키를 "스트라빈스키"로 표기했지만, 이후 "스트라빈스키"로 바뀌었다. 1957년 (쇼와 32년) 카라얀의 방일 공연 영상에서는 베토벤[10]도 "베토벤"이 아닌 "베토벤"으로 표기되었다.

NHK 교향악단 명예 지휘자였던 로브로 폰 마타치치 (1971년 (쇼와 46년) 이탈리아 오페라단 공연 영상), 페루초 탈리아비니 등, NHK에서도 과거에는 "ヴ"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루치아노 파바로티처럼 NHK에서는 "ヴ" 표기인데, 일부 민영 방송 등에서는 "파바로티"로 표기가 다른 경우도 있다. NHK가 표기를 변경한 이유와 기준은 불분명하다.

원어발음가나 표기 (バ행)비고
{{lang|ru|совет}
종전 표기현재 표기
뷔외탕뷰탕
볼프강 자발리쉬볼프강 자발리쉬
베토벤[10]베토벤
반트귄터 반트
바이올린바이올린


5. 공식 명칭의 ヴ

외무성은 국가와 지명 표기에 있어 "재외공관이 위치한 국가의 이름 및 도시는 가능한 한 현지 발음에 가까운 표기로 한다"는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재외공관의 공식 명칭이 정해졌으며, 과거에는 공식 명칭에 "ヴ(v)"를 포함하는 재외공관(예: 베트남)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후 "우리나라에서 관용으로 상당 정도 정착되어 있는 표기가 있다고 인정될 경우에는 그 표기에 따른다"는 단서 조항에 근거하여 명칭이 변경되었고, 2013년 1월 기준으로 공식 명칭에 "ヴ(v)"를 포함하는 일본의 재외공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2019년 재외공관 설치법 개정에 따라 세인트키츠 네비스카보베르데의 표기에서 ヴ가 사라졌다.

5. 1. 밴쿠버와 ヴァンクーヴァー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주 밴쿠버에 있는 일본의 재외공관은 2002년에 정식 명칭을 "주 밴쿠버 일본국 총영사관"에서 "주 밴쿠버 일본국 총영사관"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같은 시기 동계 올림픽 개최지 후보에서 개최 결정에 이르기까지 해당 지역의 지명이 일본 미디어에 노출되는 기회가 급증했다.

하지만 글자 수가 더 많은 "밴쿠버" 표기는 일본 미디어에 전혀 정착되지 않았고[13], NHK나 민간 방송, 신문사 등 대부분의 일본 국내 주요 미디어가 기존의 "밴쿠버" 표기를 채택하여 더욱 관용화가 진행되었다. 그 때문에 뉴스 기사 등에서 해당 영사관을 정식 명칭으로 표기해야 할 경우, 지명 표기의 통일성을 해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해당 지역의 일본어 신문 "밴쿠버 신보"는 해당 총영사관 명칭을 보도하는 기회가 많아, 지명 "밴쿠버"와 당시 공관의 정식 명칭 "주 밴쿠버 일본국 총영사관"이 동시에 포함된 기사가 당시 많이 있었다.

결국, 해당 관은 2003년에 원래의 "주 밴쿠버 일본국 총영사관"으로 다시 명칭을 변경했다[12]

6. 소설의 소재

아리스가와 아리스단편 소설 「우천 결행」은 ヴ를 소재로 한 작품이다. 작품 속 피해자 여성은 변사하기 직전 "우텐켓코요"라고 말했는데, 이는 사실 ヴ(우)를 의미했다.

참조

[1] 서적 JIS漢字字典 http://www.webstore.[...] 日本規格協会
[2] 인용
[3] 인용
[4] 서적 NHK ことばのハンドブック https://www.nhk-book[...] 日本放送出版協会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웹사이트 ことばの話2808「ミラ・ジョヴォヴィッチ」 http://www.ytv.co.jp[...] 讀賣テレビ放送 2007-02-14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当館の名称変更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vancouve[...]
[1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