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산명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산 명사(Count noun)는 문법적 개념으로, 셀 수 있는 명사를 의미하며 복수형을 가질 수 있다. 가산 명사는 부정관사(a/an)나 수량 형용사(many, few)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컵, 펜, 책 등과 같이 형태가 정의되어 있어 사물 자체가 단위가 된다. 영어에서 단수 불특정 가산 명사는 "a/an + 단수형"으로, 복수 불특정 가산 명사는 무관사 복수형으로 나타낸다. 가산 명사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셀 수 없는 명사인 불가산 명사가 있다. 언어에 따라 명사의 가산성 구분이 다르며, 중국어는 모든 명사를 불가산 명사로 취급하고, 터키어는 모든 명사를 가산 명사로 취급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형태별 명사 - 고유명사
    고유명사는 특정 사물이나 개념을 다른 것과 구별하는 이름으로, 대한민국이나 김철수처럼 유일한 대상을 가리키며 인명, 지명, 국명, 단체명 등으로 나뉜다.
  • 형태별 명사 - 관계명사
    관계명사는 명사 간의 공간적,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로, 아이슬란드어의 'baki'나 일본어의 '頭'처럼 사용되며, 구대륙 언어보다 신대륙 언어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가산명사
개요
종류명사
하위 분류구체 명사
수량이산량
보통 정수

2. 문법적 구별

불가산명사는 문법적 개념이며, 그 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의 원래 성질에 기초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even chairs"와 "some furniture"는 정확히 동일한 물건을 지칭할 수 있다. "seven chairs"는 개별 물건의 집합을, "some furniture"는 이들을 개별로 구분할 수 없는 단위로 지칭한다. 그러나 "fun"이나 "hope"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은 가산명사로 지칭하기 어렵다.[2]

분류사는 화자의 초점을 불가산명사의 특징에서 멀어지게 하기 위해 불가산명사 앞에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here's some furniture in the room"를 "There are some pieces of furniture in the room"로, "let's have some fun"를 "Let's have a bit of fun"로 다시 표현할 수 있다.

영어에서 어떤 명사는 분류사 유무와 관계없이 불가산명사로 주로 쓰인다. ("Waiter, I'll have some coffee" 또는 "Waiter, I'll have a cup of coffee" 처럼) 빈도는 적지만, 가산명사로도 사용된다. ("Waiter, we'll have three coffees." 처럼)[3]

2. 1. 가산 명사

셀 수 있는 명사로, 일반적으로 복수형을 가질 수 있다. 부정관사(a/an)나 수량 형용사(many, few)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 복수형으로의 사용 예시

경우문장설명
가산 명사 단수There is a chair in the room.정확함
가산 명사 복수There are chairs in the room.정확함
불가산 명사 (단수 취급)There is furniture in the room.정확함
가산 명사를 불가산 명사처럼 사용There is chair in the room.오류
불가산 명사에 부정관사 사용There is a furniture in the room.오류
불가산 명사를 복수형으로 사용There are furnitures in the room.오류


경우문장설명
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Every chair is man made.정확함
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There are several chairs in the room.정확함
불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 (오류)Every furniture is man made.오류
불가산 명사와 함께 사용 (오류)There are several furnitures in the room.오류



"some", "a lot (of)", "no"를 포함한 일부 한정사는 불가산 명사와 가산 명사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정사는 사용할 수 없다. "few"와 "many"는 가산 명사에 사용되고, "little"과 "much"는 불가산 명사에 사용된다. 반면에 "fewer"는 가산 명사에만 사용되고 "less"는 불가산 명사에만 사용된다 (Fewer vs. less 참조). 그러나 "more"는 "many"와 "much" 모두에 대한 올바른 비교급이다.

영어의 경우, 명사에는 순수 가산 명사, 순수 불가산 명사, 문맥에 따라 가산 명사이기도 하고 불가산 명사이기도 한 것의 3가지 유형이 있다[2]. 일반적으로 영어 사전에서는 가산 명사에는 [C] (countable의 약자), 불가산 명사에는 [U] (uncountable의 약자) 등과 같은 기호가 붙어 있다.

소위 "사물"(물체)은 형태로 정의되며, 그것을 셀 때 사물 자체가 단위가 된다.


  • 컵, 펜, 책 등


영어의 경우, 단수의 불특정 가산 명사는 "부정 관사 ''a'' / ''an'' +단수형", 복수의 불특정 가산 명사는 무관사의 복수형으로 나타낸다.

또한, "가산 명사+ of +불가산 명사"의 형태로 불가산인 것이 가산화된 것을 세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이며 불가산인 커피는 컵에 담겨 형태가 있는 것이 되어, 1잔, 2잔 등으로 셀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산화된 "커피 1잔"을 a cup of coffee 로 표현한다. 2잔이라면 two cups of coffee 가 된다. 레스토랑에서 커피를 주문할 때 a coffee 나 two beers 라고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3]

앞서 언급한 아스파라거스나 브로콜리를 세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사용된다.

  • a spear of asparagus (아스파라거스 한 줄기)
  • a head of broccoli (브로콜리 한 덩어리)


순수 불가산 명사의 구체적인 성과나 구성 요소 등을 나타낼 때는 a piece of 를 사용한다.

  • a piece of technology made recently (최근 개발된 어떤 분야의 기술)
  • a piece of information (단편적인 정보)
  • a piece of furniture (의자 등의 특정 가구)
  • a piece of wood (나무 조각)


프랑스어의 경우 가산 명사 un bœuf(소)의 부정 관사를 부분 관사로 바꾸면, 불가산 명사 du bœuf(쇠고기)가 된다(원래 있던 동물로서의 유계성에서 물질로서의 비유계적인 관점으로의 전환).

2. 2. 불가산 명사

"불가산명사"는 문법적인 개념으로, 그 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의 원래 성질과는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2] 예를 들어, "seven chairs"와 "some furniture"는 정확히 동일한 물건을 지칭할 수 있지만, "seven chairs"는 개별 물건의 집합을, "some furniture"는 개별 구분이 불가능한 단위로 지칭한다. 그러나 "fun"이나 "hope"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은 가산명사로 지칭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일부 한정사는 "some", "a lot (of)", "no"와 같이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반면 "few", "many"는 가산명사에, "little", "much"는 불가산명사에 사용된다. "fewer"는 가산명사에, "less"는 불가산명사에 사용되지만, "more"는 "many"와 "much" 모두의 비교급으로 사용된다.[2]

분류사는 불가산명사의 특징에서 초점을 옮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ere's some furniture in the room"는 "There are some pieces of furniture in the room"로, "let's have some fun"는 "Let's have a bit of fun"로 표현할 수 있다.

영어에서 어떤 명사는 분류사 유무와 관계없이 불가산명사로 주로 쓰인다. ("Waiter, I'll have some coffee" 또는 "Waiter, I'll have a cup of coffee" 처럼) 빈도는 적지만, 가산명사로도 사용된다. ("Waiter, we'll have three coffees." 처럼)[3]

다음은 불가산 명사 "가구"에는 적용되지 않는 가산 명사의 속성 예시이다.

속성예시
복수형
가산 한정사



영어의 경우, 명사에는 순수 가산 명사, 순수 불가산 명사, 문맥에 따라 가산/불가산 명사인 것의 3가지 유형이 있다.[2] 영어 사전에서는 가산 명사에 [C], 불가산 명사에 [U]와 같은 기호가 붙어 있다. 형태, 단위성, 수의 관계가 없는 것은 "○○라는 것"을 일반적으로 표현한다. (예: information [정보], knowledge [지식], equipment [설비])

영어에서 단수 불특정 가산 명사는 "부정 관사 ''a'' / ''an'' +단수형", 복수 불특정 가산 명사는 무관사 복수형으로 나타낸다. 불특정 불가산 명사는 무관사(단수형)로 나타낸다. 정해진 것은 가산/불가산, 단수/복수에 관계없이 "정관사 the +명사" 형태로 나타낸다.

"가산 명사+ of +불가산 명사" 형태로 불가산 명사를 세기도 한다. (예: a cup of coffee, two cups of coffee) 레스토랑에서 a coffee, two beers 와 같이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3]

순수 불가산 명사의 구체적인 성과나 구성 요소를 나타낼 때는 a piece of 를 사용한다. (예: a piece of technology, a piece of information, a piece of furniture, a piece of wood)

프랑스어의 경우, 부정 단수형은 부정 관사 un/une, 복수형은 des, 불가산은 부분 관사 du/de la/de l'을 붙인다.


  • 가산 명사 un bœuf(소) → 불가산 명사 du bœuf(쇠고기)
  • 가산 명사 un professeur(선생님) → 불가산 명사 du professeur(교사다움)
  • 불가산 명사 du café(커피) → 가산 명사 un café(한 잔의 커피)


프랑스어 사전에는 가산/불가산 명사 구별 기호가 붙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2. 3. 한국어 화자를 위한 영어 가산/불가산 명사 학습 조언

한국어는 명사의 가산성을 문법적으로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한국어 화자들은 영어의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예: fun, hope)나 물질 명사(예: coffee, rice)는 문맥에 따라 가산 명사로도, 불가산 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2]

예를 들어, 'furniture'는 불가산 명사이지만, 'seven chairs'는 가산 명사로, 동일한 대상을 지칭할 수 있다. 'fun'이나 'hope'과 같은 추상 명사는 가산 명사로 사용하기 어려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영어에서는 명사가 순수 가산 명사, 순수 불가산 명사, 문맥에 따라 가산/불가산 명사로 쓰이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2] 영어 사전에서는 가산 명사를 [C](countable), 불가산 명사를 [U](uncountable)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rope'는 "시작과 끝이 있는 1개의 로프"라는 의미에서는 가산 명사 'a rope'로, 막연하게 "로프라는 것"이라는 의미에서는 불가산 명사 'rope'로 사용된다. 'smoke'는 "연기"이지만 'a smoke'는 "담배 한 모금"을 의미하며, 'wood'는 "목재"이지만 'woods'는 "숲"을 의미한다.

일본어와 달리, 영어에서는 셀 수 있는 명사가 불가산 명사로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아스파라거스(asparagus)나 브로콜리(broccoli)는 불가산 명사로 취급되는 반면, 광선(ray)이나 일광욕으로 생긴 그을음(tan)은 가산 명사로 취급된다.[2] 가구(furniture) 역시 초심자를 혼란스럽게 하는 불가산 명사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따라서 개별 단어의 가산/불가산 여부는 사전을 참고하는 것이 좋다.

영어에서 단수 불특정 가산 명사는 "a/an + 단수형", 복수 불특정 가산 명사는 무관사 복수형으로 나타낸다. 불특정 불가산 명사는 무관사(단수형)로 나타낸다. 정해진 것은 가산/불가산, 단수/복수에 관계없이 "the + 명사" 형태로 나타낸다.

불가산 명사를 세는 경우 "가산 명사 + of + 불가산 명사" 형태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불가산 명사인 커피는 컵에 담겨 'a cup of coffee'(커피 한 잔), 'two cups of coffee'(커피 두 잔)와 같이 셀 수 있게 된다. 레스토랑에서 'a coffee', 'two beers'와 같이 주문하는 것도 가능하다.[3]

아스파라거스나 브로콜리를 세는 경우에는 'a spear of asparagus'(아스파라거스 한 줄기), 'a head of broccoli'(브로콜리 한 덩어리)와 같은 표현을 사용한다. 순수 불가산 명사의 구체적인 성과나 구성 요소를 나타낼 때는 'a piece of'를 사용하여 'a piece of technology'(어떤 분야의 기술), 'a piece of information'(단편적인 정보), 'a piece of furniture'(의자 등의 특정 가구), 'a piece of wood'(나무 조각)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영어 학습 시에는 명사의 가산/불가산 여부를 사전을 통해 확인하고, 다양한 예문을 통해 문맥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

3. 언어별 차이

언어마다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를 구별하는 방식은 다를 수 있다. 중국어는 모든 명사를 덩어리 명사로 취급하고, 터키어는 모든 명사를 셀 수 있는 명사로 취급한다.[1] 반면 영어는 순수 가산 명사, 순수 불가산 명사, 문맥에 따라 가산/불가산 명사로 쓰이는 명사 3가지 유형이 있다.[2] 프랑스어는 사물을 볼 때 경계선의 유무에 따라 가산/불가산 명사 여부가 결정되며, 관사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명사도 있다.

"우유"나 "쌀"처럼 명확히 셀 수 없는 개체는 영어중국어 모두에서 "우유 ''한 잔''", "쌀 ''한 숟가락''"과 같이 적절한 측정 단위를 사용하여 셀 수 있다.[4]

3. 1. 중국어

중국어는 모든 명사를 덩어리 명사로 취급하며, 수사와 다른 양화사를 추가하기 위해 명사 분류사(중국어 분류사 참조)를 사용해야 한다. 겉보기에는 분명히 셀 수 있지만, 여전히 덩어리 명사로 취급되는 명사들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那个人'''吃完了/'''那個人'''吃完了 ('''nà gè rén''' chī wán le) – "'''그 단위(의) 사람''' 먹었다", "그 사람이 먹었다"
  • '''那三个人'''吃完了/'''那三個人'''吃完了 ('''nà sān gè rén''' chī wán le) – "'''그 세 단위(의) 사람''' 먹었다", "그 세 사람이 먹었다"[1]
  • 她有'''七本书'''/她有'''七本書''' (tā yǒu '''qī běn shū''') – "그녀는 '''일곱 권(의) 책'''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일곱 권의 책을 가지고 있다."[2]


따라서 분류사는 화자가 수량에 관계없이 단일 단위로 간주하기보다는 열거하려는 의미에서 참조된 객체가 셀 수 있음을 의미한다. 분류사는 세는 단위가 변경됨에 따라 변경된다.[3]

"우유" 또는 "쌀"과 같은 단어는 그렇게 분명히 셀 수 있는 개체는 아니지만 영어와 중국어 모두에서 적절한 측정 단위를 사용하여 셀 수 있다 (예: "우유 ''한 잔''" 또는 "쌀 ''한 숟가락''").[4]

분류사의 사용은 영어에서 객체 ''그룹''을 세기 위해 단위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지만 동일하지는 않다. 예를 들어, "책 세 ''선반''"에서 "선반"이 측정 단위로 사용된다.

3. 2. 일본어

일본어는 명사의 가산성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지만, 영어와 유사하게 가산/불가산 명사의 개념이 존재한다.[2] 영어와 마찬가지로, 문맥에 따라 가산 명사로도, 불가산 명사로도 사용될 수 있는 명사들이 있다.[2] 예를 들어, 'rope'(rope|로프영어)는 "시작점과 끝점이 있는 1개의 로프"라는 인식이 있으면 가산 명사 'a rope'로, 막연하게 "로프라는 것"이라는 인식이 있으면 불가산 명사 'rope'로 사용된다.[2] 'Smoke'(smoke|연기영어)는 '연기'이지만 'a smoke'는 '담배 한 모금'이며, 'Wood'(wood|우드영어)는 목재이지만 'woods'는 '숲'이다.[2] 아스파라거스(asparagus)나 브로콜리(broccoli)처럼 한국어에서는 셀 수 있는 명사로 여겨지는 것이 영어에서는 불가산 명사로 취급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2]

3. 3. 터키어

터키어와 같은 일부 언어는 (분명히 셀 수 없는 것들조차도) 모든 명사를 셀 수 있는 명사로 취급한다.[1]

  • Pirinçler|피린츨레르|쌀 (문자 그대로 ''쌀들'')tr daha tam pişmemiş. – 아직 잘 익지 않았다.[1]
  • Sütler|쉬틀레르|우유 (문자 그대로 ''우유들'')tr hep yerlere|예를레레|바닥 (문자 그대로 ''바닥들'')tr döküldü. – 전체에 쏟아졌다.[1]
  • Nehirlerin|네히를레린|강tr suları|술라르|물 (문자 그대로 ''물들'')tr çok güzel akıyor. – 매우 아름답게 흐르고 있다.[1]
  • Parasız kişiler|키실레르|사람tr için kitaplar|키타플라르|책tr dağıtıyorlar. – 그들은 돈이 없는 들을 위해 을 배포하고 있다.[1]


그럼에도 불구하고 터키어에서는 분명히 셀 수 있는 명사에서도 숫자와 함께 측정 단위를 사용할 수 있다.[1] 터키어 명사는 숫자와 측정 단위 뒤에 복수 접미사를 사용할 수 없다.[1]

  • Beş bardak süt|베슈 바르다크 쉬트|우유 다섯 잔tr[1]
  • İki kaşık dolusu pirinç|이키 카시크 돌루수 피린치|쌀 두 숟가락tr[1]
  • Üç tane kişi|위치 타네 키시|사람 세 단위tr[1]
  • Dört metrekare yer|되르트 메트레카레 예르|바닥 4m2tr[1]
  • Yedi raf kitap|예디 라프 키타프|책 일곱 선반tr[1]

4. 이론적 배경

고데하르트 링크와 만프레트 크리프카 같은 논리학자와 언어학자들은 누적성 및 양자화 같은 개념을 사용하여 가산/불가산 명사의 구분을 수학적으로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다. 1993년 배리 셰인은 복수 논리라는 새로운 논리적 틀을 사용하여 가산 명사와 불가산 명사의 의미론을 특징지었다.[1]

참조

[1] 논문 Mass nouns and plural logic http://hal.archives-[...] 2009-12-27
[2] 서적 続日本人の英語 岩波新書
[3] 웹사이트 Ma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4] 간행물 フランス語の隠れたしくみ 8. 冠詞は意味をどのように区切るか http://lapin.ic.h.ky[...] 白水社 2004-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