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와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와지는 아랍어로 "정복자"를 의미하며,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1834년 오스만 제국 총독 무함마드 알리에 의해 상이집트 지방으로 추방되기 전까지, 춤과 공연을 선보였다. 가와지는 엉덩이의 빠른 움직임과 핑거 심벌즈, 핸드 캐스터네츠 사용이 특징이며, 19세기 초 유럽에 알려지면서 벨리댄스의 기원이 되기도 했다. 현대에는 룩소르의 바나트 마진, 나일강 삼각주의 숨바티 가와지 등이 가와지 춤을 계승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무용 - 알마 (무용가)
    알마는 1920년대 바디아 마사브니의 무용단에서 활동하며 이집트 댄스, 서양 댄스, 연극 등이 결합된 공연을 선보이는 무대 경험을 쌓은 무용가이다.
  • 이집트의 무용 - 카왈
    카왈은 이집트에서 여성 무용가인 가와지를 모방하여 춤을 추던 여장 남자 무용가를 지칭하며, 중동 사회에서 여성의 공공장소 춤이 금지되면서 등장하여 결혼식 등에서 공연했다.
  • 벨리댄스 - 알마 (무용가)
    알마는 1920년대 바디아 마사브니의 무용단에서 활동하며 이집트 댄스, 서양 댄스, 연극 등이 결합된 공연을 선보이는 무대 경험을 쌓은 무용가이다.
  • 벨리댄스 - 쾨체크
    쾨체크는 오스만 제국 궁정 하렘에서 유래한 소년 무용수이자 음악가로, 춤과 음악 공연으로 궁정의 오락을 담당하며 17세기부터 19세기 초까지 인기를 누렸으나, 19세기 중반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공연이 금지되었고 현대 터키에서는 민속 무용으로 이어진다.
가와지
가와지 소개
장 레옹 제롬의 그림
장 레옹 제롬의 그림 "알메와 가와지 춤" (1870)
어원아랍어 "가자" (정복하다)에서 유래
정의이집트의 여성 무용 공동체
특징공개적인 거리 공연과 사적인 행사에서 춤, 노래, 악기 연주를 제공
종교적 관련성특정 종교와 관련 없음
역사적 배경18세기와 19세기에 번성
19세기 중반에 일시적으로 추방
현대적 의미이집트 무용의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
춤 스타일
특징즉흥적인 동작
골반 움직임 강조
캐스터네츠 사용
음악다양한 악기 사용 (미즈마르, 타블, 리크)
지역적 색채가 강함
사회적 역할
과거사회적 행사에서 엔터테인먼트 제공
여성 공동체의 문화적 표현
현재전통 무용의 보존
관광 산업에 기여
관련 용어
알메교육받은 여성 엔터테이너, 가와지와 구별됨
라크스 샤르키현대 이집트 벨리댄스의 한 형태, 가와지의 영향을 받음
역사적 논쟁
논란일부 종교 지도자와 사회 보수주의자들의 비판
추방19세기 중반에 상이집트 지역으로 추방
현대적 재조명
중요성이집트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
영향현대 이집트 무용과 문화에 큰 영향
기타 정보
다른 이름الغوازي (알-가와지, 아랍어)
بنات مازن (바나트 마진)
غوازي السنباطي (가와지 엘-손바티)

2. 역사

가와지는 이집트에서 특정 집의 궁정, 거리, 문 앞에서 공연을 했고 하렘에서 축제가 열린 경우에도 공연을 했다.[7] 가와지는 하렘에 들어간 적이 없었지만 파티에 참석한 남자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동원되었다. 여자와 남자 모두 오락을 즐겼지만, 종교적이거나 높은 계급을 가진 많은 사람들은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많은 이집트 사람들은 가와지의 춤을 좋아했지만, 여성들이 성적이고 관능적인 춤을 추는 것이 부적절하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카왈이라고 부르는 젊은 여장 남자 무용가들이 가와지의 춤을 따라했다. 1834년에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이었던 무함마드 알리카이로에서 활동하던 가와지들이 저속한 춤을 춘다는 사실에 불만을 품고 상이집트 지방으로 추방시켰다. 이에 따라 가와지는 알마라는 용어로 바뀌게 되었다.[7] 19세기 초반부터 유럽에서는 가와지 무용가들에 대한 오리엔탈리즘 묘사가 유명했는데, 이는 유럽에서 벨리댄스가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2. 1. 기원과 발전

가와지(غوازيar)는 아랍어로 "정복자"를 의미하는데, 이는 관객들의 마음을 '정복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처음에는 무료로 춤을 추기를 거부했던 소수의 이집트 출신 집시들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러한 생각은 널리 퍼져 이집트의 시골 주민들인 펠라힌(Fellahin) 사이에서 발전되었는데, 이들은 이집트의 전통적인 시골 노래에 화려한 드레스를 접목시켰다.[7]

가와지는 이집트에서 특정 집의 궁정, 거리, 문 앞에서 공연을 했고 하렘에서 축제가 열린 경우에도 공연을 했다. 가와지는 하렘에 들어간 적이 없었지만 파티에 참석한 남자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동원되었다. 여자와 남자 모두 오락을 즐겼지만 보다 종교적이거나 높은 계급을 가진 많은 사람들의 반대를 사기도 했다.

많은 이집트 사람들은 가와지의 춤을 좋아했지만, 이 춤이 이처럼 노출해서는 안 되는 여성들에 의해 추어졌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느꼈다. 이 때문에 카왈이라고 불리는 소수의 젊은 여장 남자 무용가들이 가와지 여성과 그들의 춤을 흉내 냈다. 1834년에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이었던 무함마드 알리카이로에서 활동하던 가와지들이 저질스러운 춤을 춘다는 사실을 못마땅하게 여기면서 상이집트 지방으로 추방시켰다. 이에 따라 가와지는 알마라는 용어로 바뀌게 되었다.[7] 19세기 초반부터 유럽에서는 가와지 무용가들에 대한 오리엔탈리즘 묘사가 유명했는데, 이는 유럽에서 벨리댄스가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된다.

2. 2. 오스만 제국 시기

가와지는 이집트에서 특정한 집의 궁정, 거리, 문 앞에서 공연을 했고 하렘에서 축제가 열린 경우에도 공연을 했다.[7] 가와지는 하렘에 들어간 적이 없었지만 파티에 참석한 남자들을 즐겁게 하기 위해 동원되었다.[7] 여성과 남성 모두 이들의 공연을 즐겼지만, 종교적이거나 높은 계급을 가진 많은 사람들은 가와지의 춤을 성적이고 관능적이라 여겨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7]

2. 3. 카왈의 등장

이슬람교에서는 여성이 사람들 앞에서 살갗을 드러내는 것을 기본적으로 금지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가와지의 춤을 좋아했음에도 불구하고 점차 여성 무용수가 문제시되어 공서양속에 반하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9] 이 때문에 카왈이라고 불리는 소수의 젊은 남성 공연자들이 가와지 여성과 그들의 춤을 흉내 내기 시작했다. 카왈은 춤과 캐스터네츠 사용을 포함하여 여성의 모든 측면을 흉내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왈'이라는 단어는 현대 이집트에서 수동적인 게이 성행위에 참여하는 남자를 비하하는 속어로 사용된다.

2. 4. 무함마드 알리의 추방령

1834년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 무함마드 알리카이로에서 활동하던 가와지들이 저속한 춤을 춘다는 이유로 상이집트 지방으로 추방했다.[7] 이로 인해 가와지는 알마라는 용어로 바뀌었는데, 이는 "배운 여자"를 의미한다. 추방될 무렵 가와지라는 용어는 미즈마르와 묵직한 베이스 라인, 그리고 다른 전통적인 이집트 음악을 배경으로 하는 상이집트 및 시골 지역의 모든 전통 춤과 민속 춤을 포함하는, 모든 무용수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가 되었다.[7]

2. 5. 오리엔탈리즘과 벨리댄스

19세기 초반부터 유럽에서는 가와지 무용가들에 대한 오리엔탈리즘 묘사가 유행했으며, 이는 유럽에서 벨리댄스가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7] 1860년대부터 이 스타일은 'danse de ventre'(당스 드 방트르) 또는 벨리 댄스로 묘사되었다. 프랑스 오리엔탈리즘에서 알마라는 용어는 벨리댄서와 동의어로 사용되었다.

3. 특징

상이집트 지방 주민들은 수년 동안 미즈마르 플루트, 케나·아시우트의 전통 직물인 텔리로 만든 전통 여성복과 함께 상이집트 지방만의 춤을 연마하고 발전시켰다. 이집트에서 공연되는 전통적인 벨리댄스인 라크스 샤르키(Raqs Sharqi)는 고전 발레나 라틴 댄스와 같이 보다 형식적이고 고전적인 서양 스타일의 영향을 받은 춤인 반면에, 가와지라는 용어는 18세기부터 19세기까지 이집트의 시골 지방에서 전통적인 스타일을 보존해 온 무용가들을 가리킨다.

3. 1. 춤 스타일

가와지 무용은 엉덩이의 빠른 움직임, 핑거 심벌즈(사가트)나 핸드 캐스터네츠 사용이 특징이다.[9] 이러한 전통적인 연예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찾기 힘들어지고 있다. 현대 이집트에서 발견되는 가장 인기 있는 가와지 그룹으로는 룩소르 지방의 바나트 마진(بنات مازن|바나트 마진arz), 나일강 삼각주 지방의 숨바티 가와지(غوازي السنباطي|숨바티 가와지arz)가 있다. 바나트 마진은 상이집트의 전통적인 빈티지 스타일을 가진 의상으로 유명하다. 사가트라고 부르는 핑거 심벌즈는 선택적이지만 상이집트 스타일에서 권장하고 있다.

가와지의 춤은 황동으로 만든 캐스터네츠를 손에 들고 추는 것이 특징이다.[9] 가와지 무용수로는 돔족에 의한 여행 무용수(여성)들이 잘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나와라족(Nawar or Nawara) 등 다른 소수 민족의 무용수도 있었다.

3. 2. 음악

상이집트 지방의 무용가들은 미즈마르 플루트 연주자, 가수와 함께 상이집트 아랍어로 민요를 노래하고 해설을 하면서 동네에서 인기 있는 사랑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와지 무용가들은 이집트의 토착 전문 무용가들 가운데 하나로서 엉덩이의 빠른 움직임, 핑거 심벌즈·핸드 캐스터네츠 사용이 특징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연예인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찾기 힘들어지고 있다. 현대 이집트에서 발견되는 가장 인기 있는 가와지 그룹으로는 룩소르 지방의 바나트 마진(بنات مازن|바나트 마진arz), 나일강 삼각주 지방의 숨바티 가와지(غوازي السنباطي|숨바티 가와지arz)가 있다. 바나트 마진은 상이집트의 전통적인 빈티지 스타일을 가진 의상으로 유명하다. 사가트라고 부르는 핑거 심벌즈는 선택적이지만 상이집트 스타일에서 권장하고 있다.[1]

3. 3. 복식

가와지 무용가들은 케나아시우트의 전통 직물인 텔리로 만든 전통 여성복을 입는다.[1] 바나트 마진은 상이집트의 전통적인 빈티지 스타일 의상으로 유명하다.[2] 핑거 심벌즈(사가트)는 선택적이지만 상이집트 스타일에서 권장된다.[2]

서구 벨리댄스에 영향을 준 가와지 복장은 오스만 코트(옐렉 또는 엔타리)와 터키식 하렘 바지로 구성된다.[4] 코트는 일반적으로 발목까지 오지만, 일부 현대 가와지 단체는 무릎 길이의 풀 스커트 위에 더 짧은 버전을 입는다.[4] 가와지 댄서들은 종종 머리에 화려한 머리 장식을 한다.[4]

이집트인의 가와지 의상은 시골과 상류 이집트인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더 화려한 색상을 띤다.[5] 시골 이집트에서 전통적인 여성 댄스 드레스는 꽃무늬가 있고 푹신하며, 댄서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선택하고, 각 댄서는 일반적으로 옆에 있는 댄서와 다른 색상을 입는다.[5]

상 이집트 스타일에서는 댄서들이 인기 있는 사이다 텔리 드레스, 검은색과 반짝이는 전통적인 이집트 드레스를 입는다.[6]

4. 현대의 가와지

시간이 지날수록 전통적인 가와지 무용가를 찾기 힘들어지고 있다. 케나 지역의 가와지는 다양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나와르(나와라), 할라브, 바흘라웬과 같은 소수 민족 출신이다. 특히 유명한 것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촬영된 룩소르에 정착한 나와르족인 바나트 마아진 가문이다. 많은 사람들은 마아진 가문을 원래 가와지 무용수 혈통에서 유일하게 남아있는 가문으로 여긴다.

참조

[1] 웹사이트 شفيقة القبطية... أبرع راقصات عصرها https://www.annahar.[...] 2023-07-16
[2] 웹사이트 https://cairoscene.c[...]
[3] 웹사이트 RAQ-ON DANCE 2017 BELLY DANCE AND FOLKLORIC RETREAT WITH INTERNATIONAL DANCERS LEILA FARID, TAMALYN DALLAL, AND SAHRA SAEEDA http://journeythroug[...]
[4] 서적 Debating Orientalism https://books.google[...] Anna Bernard, David Attwell 2013-06-13
[5] 서적 Lippincott's Monthly Magazine, Volume 27 J. B. Lippincott and Company 1881
[6] 서적 Dancing Fear and Desire: Race, Sexuality, and Imperial Politics in Middle Eastern Dance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006
[7] 웹사이트 The Dancer of Esna http://williamhpeck.[...] William H. Peck 2003
[8] 서적 アラビアンナイト バートン版 千夜一夜物語拾遺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