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함마드 알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함마드 알리는 1769년 오스만 제국령 마케도니아 카발라에서 태어난 알바니아 출신으로, 이집트의 맘루크 세력을 몰아내고 1805년 이집트 총독에 취임했다. 그는 이집트의 근대화를 목표로 행정, 재정, 농업, 공업, 군사,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특히, 군사력을 강화하고, 서구식 교육 제도를 도입하는 등 이집트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대외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시리아를 점령하고 독립을 시도했으나, 열강의 개입으로 실패했다. 그는 '근대 이집트의 아버지'로 평가받지만,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 인력과 자원을 착취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2. 생애

무함마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마케도니아카발라(오늘날의 카발라)에서 알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4][5][6][7][8]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숙부 밑에서 자랐으며, 카발라의 징세관으로 활동했다. 나폴레옹의 프랑스군이집트를 침공했다가 철수하자, 이집트 재점령을 위해 파견된 알바니아인 용병 부대의 부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이집트에서 알리는 권모술수를 발휘하여 권력을 장악했고, 1805년 셀림 3세로부터 이집트 태수로 임명받았다. 이후 맘루크들을 숙청하고 독재권력을 강화하여 사실상 국왕으로 군림했으며, 총독직 세습을 위해 오스만 제국과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또한 이집트의 근대화에 힘썼다.

당시 이집트는 맘루크 왕조 멸망 이후에도 맘루크들이 반자치적으로 다스리던 지역이었다. 1760년대 알리 베이 엘 케비르 등이 실권을 장악했고, 1768년에는 러시아와의 전쟁 중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침공과 영국군의 철수 이후 권력 공백이 발생하자, 알리는 알바니아인 용병을 이용하여 이집트를 장악할 기회를 잡았다. 맘루크 숙청 과정에서 울라마, 상인, 민중을 선동하고, 제국 행정부가 임명한 태수를 허수아비로 만들었다. 알바니아인 부대를 통해 이집트 전역에 조세행정을 설치하고 반란을 진압했다. 맘루크들에게 환영식을 열어준다는 명목으로 카이로에서 학살을 일으켜 절대권력을 구축했다.

이집트 태수가 된 알리는 혈족과 가신 중심으로 정권을 다지고, 이집트의 사회와 경제를 재조직했다. 나일강을 정비하고 농민을 동원해 면화와 곡물 재배에 투입했으며, 무역 독점으로 발생한 차익을 인프라, 교육, 산업 등에 투자했다. 서유럽에서 무기를 수입하고 장교를 초빙해 이집트군을 근대화했다. 콥트어 부흥 운동을 지원하는 등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의 이면에는 강압적인 정책이 있었다. 나일강 정비 과정에서 많은 노동자들이 죽었고,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강제동원되었다. 의무교육을 위해 아이들을 강제로 부모와 분리시켰고, 비인간적인 징병으로 군사력을 강화했다.

알리는 이집트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실력 행사에 나섰다. 1805년 사우드 가문의 반란을 진압하라는 무스타파 4세의 명을 받들어 와하브파 반란 진압에 나섰다. 1807년에는 영국의 공격을 격퇴했다. 1811년 이브라힘 파샤를 사령관으로 한 진압군을 헤자즈에 파견해 헤자즈를 수복하고, 사우드 가문을 철저히 진압했다. 1820년에는 수단을 침공하여 센나르 술탄국을 멸망시키고 이집트의 영향권으로 편입시켰다.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의 지원 요청에 크레타모레아를 얻고 총독직 세습을 조건으로 지원군을 파견했다. 그러나 영국, 프랑스, 러시아의 개입으로 나바리노 해전에서 패배하고 그리스에서 철수했다.

알리는 시리아를 요구하며 1831년 반란을 일으켰다. 이집트군은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점령하고 콘야까지 진출했으나, 러시아, 영국, 프랑스의 개입으로 1833년 휴전했다. 오스만 제국은 이집트를 형식적인 속령으로 남겼지만, 크레타, 시리아, 헤자즈 등을 알리에게 내주었다.

1839년 오스만 제국이 다시 전쟁을 일으켰으나, 네지브 전투에서 패배하고 해군이 알리에게 투항했다. 영국 등 열강의 개입으로 알리는 시리아 등을 반환하고 군대를 축소했지만, 이집트 태수직 세습 목표는 달성했다.

이후 이집트는 형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속령이었지만 사실상 분리 독립했다. 알리와 후손들은 1956년까지 이집트를 다스렸으며, 태수 칭호를 사용했지만 독립군주나 다름없었다. 이집트는 1880년대까지 오스만 제국에 세금을 납부했다.

1848년 장남 이브라힘 파샤에게 태수 자리를 양위했으나 이브라힘 파샤가 먼저 사망하고, 손자 압바스 파샤에게 자리가 돌아갔다. 1849년 8월 2일 알리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망하여 카이로의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무함마드 알리의 출생지인 카발라, 현재는 그리스 북동부에 위치


무함마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마케도니아카발라(오늘날의 카발라)에서 알바니아인 가족에게서 태어났다.[4][5][6][7][8] 그는 담배 및 해운업자이자 베크타시 신자였던 알바니아인 이브라힘 아가의 차남이었다. 이브라힘 아가는 고향에서 소규모 부대의 오스만 제국 지휘관으로도 복무했다.[4][5][6][7][8] 그의 어머니는 카발라의 또 다른 무슬림 알바니아인 명사인 초르바치 후사인 아가의 딸 제이네프였다.[9]

무함마드는 아버지가 젊은 나이에 사망한 후 삼촌 후사인 아가와 사촌들에게 양육되었다.[9] 무함마드 알리의 헌신적인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삼촌은 그에게 카발라 마을의 세금을 징수하는 "볼루크바시" 지위를 부여했다.[6] 그 후 무함마드 알리는 부유한 미망인이었던 사촌 아미나 하님과 결혼했다. 그녀는 알리 아가와 카드리예(제이네프의 여동생)의 딸이었다.

무함마드는 세금 징수에서 성공적인 활약을 하여,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집트를 침공했다가 실패하고 철수하자 이집트를 재점령하기 위해 파견된 알바니아인 용병 부대인 카발라 자원 봉사대의 사레체스메 할릴 아가의 사촌 아래에서 부지휘관의 지위를 얻었다.[6] 1801년, 그의 부대는 이집트 원정으로 맘루크 왕조의 지배가 무너진 후 프랑스 점령이 잠시 있었던 이집트 에야레트를 재점령하기 위한 더 큰 규모의 오스만 제국 군대의 일부로 파견되었다. 제벡을 타고 떠난 이 원정대는 1801년 봄에 아부키르에 상륙했다.[10]

2. 2. 권력 장악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집트를 침공했다가 실패하고 철수한 후, 무함마드 알리는 혼란스러운 이집트 상황에서 권모술수를 발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1805년 울라마를 비롯한 이집트인들의 요구로 아흐마드 후르시드 파샤가 물러나고 무함마드 알리가 새로운 왈리(총독)가 되자, 셀림 3세는 이를 승인했다.[14]

무함마드 알리는 민중의 지지를 얻기 위해 신중하게 행동하며 권력을 강화했다.[13] 1809년에는 자신의 권력 장악 의도를 알아챈 우마르 마크람을 다미에타로 추방했다.[13]

오라세 베르네의 1819년 작품 ''맘루크의 학살''. 이 그림은 1811년 카이로 시타델에서 발생한 맘루크 학살을 묘사한다.


맘루크는 600년 이상 이집트를 지배해 온 세력으로, 무함마드 알리에게 가장 큰 위협이었다. 무함마드 알리는 1811년 3월 1일, 카이로 시타델에서 열린 아들 투순 파샤의 군사 원정을 기념하는 축하 행사에 맘루크 지도자들을 초대한 후, 군대를 동원하여 그들을 학살했다.[15][16] 이후 이집트 전역에 군대를 파견하여 맘루크 잔여 세력을 제거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를 오스만 제국의 뒤를 이을 지역 강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나는 (오스만) 제국이 날마다 멸망을 향해 가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그 폐허 위에 나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까지 이르는 거대한 왕국을 건설할 것이다."라고 말했다.[17]

2. 3. 근대화 개혁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의 사회와 경제를 전면적으로 재조직하기 위해 여러 개혁을 추진했다. 주요 수자원인 나일강을 정비하고 농민을 동원해 면화와 곡물 재배에 투입했다. 무역 독점을 통해 발생한 차익은 인프라, 교육, 산업, 보건, 국방에 투자하여 이집트를 변화시켰다.[29] 또한 서유럽에서 무기를 수입하고 장교를 초빙해 훈련을 실시하면서 이집트군을 근대화했다. 콥트어 부흥 운동을 지원하는 등 오스만 제국 중앙정부와는 다른 독자적인 행보를 보였다.[29]

하지만 이러한 성과의 이면에는 강압적인 정책이 있었다. 나일강 정비 과정에서 수많은 노동자들이 죽음으로 내몰렸고,[29] 관세로 이집트 산업을 보호하며 성장시켰으나 대부분의 노동자들은 강제 동원된 이들이었다.[29] 의무교육을 위해 아이들을 강제로 부모와 떨어뜨렸으며, 인구의 약 2.6%를 열악한 처우의 군대에 강제로 징집하는 비인간적인 징병제를 실시했다.[29] 징병에 저항하는 이들은 유혈 진압했으며, 병역을 피하고자 스스로 불구가 된 이들을 모아 불구자 부대를 편성하기도 했다.[29]

무함마드 알리가 추진한 개혁은 행정, 재정, 세제 분야에서도 이루어졌고, 그 결과 정부 세입은 크게 증가했다.[29] 그는 "생산을 늘리고 통상을 강화하여 재정 수입을 확대하고, 강력한 군대를 편성하여 영토적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경제 정책의 목표로 삼았다.[29] 영토 확장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국내 산업을 위한 시장과 원자재 공급원의 획득 및 홍해, 동지중해에서의 통상 루트 확보라는 냉철한 경제적 타산"에 의한 것이었다.[29]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 일본메이지 유신이나 청나라양무운동과 같이 개발도상국의 경제 자립 및 공업화 정책을 앞서가는 획기적인 시도로 평가받는다.[29] 또한 화혼양재의 정신에 기초한 것으로 평가받기도 한다.[29]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유럽 경제에 대한 종속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있다.[29]

무함마드 알리는 개혁을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국외 전문가를 초빙했다. 프랑스인오스만 제국 내 소수 민족인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시리아인 기독교도 등이 중심이었다.[29] 동시에 유학생을 유럽에 보내 기술을 습득하도록 했다.[29]

그는 농작물, 공업 제품의 전매제를 통해 막대한 세입을 얻었다. 군사 지출도 막대하여 자주 재정난에 빠졌지만, 타국으로부터의 차관에 의존하지 않았다.[29] 이는 유럽 제국의 침략에 대한 경계에서 비롯된 방침이었다.[29]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은 이집트에 큰 인구 증가를 가져왔고, 이후 이집트 발전의 기초를 다졌다고 평가받는다.[29] 19세기 초 246만 명 정도였던 인구는 1847년에는 447만 명에 달했다.[29] 그러나 통상 산업, 특히 공업 분야에서의 정책은 실패로 끝났다는 평가도 있다.[29] 이는 제2차 이집트-터키 전쟁에서 패배하여 이집트가 정치적 자립을 잃은 것에 기인한다.[29] 패배로 인해 저율의 수입 관세를 정하고 전매제를 금지하는 통상 협정을 실시해야 했으며, 유럽 제품과의 자유 경쟁에 노출된 이집트 공업은 쇠퇴했다.[29]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 근대적인 면모와 함께 전제적이고 강압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었다.[29]

2. 4. 대외 원정

무함마드 알리는 자신의 개혁을 통해 재조직한 이집트의 군사력을 바탕으로 활발한 대외 원정을 펼쳤다.

1805년, 와하브파를 신봉하며 훗날 사우디아라비아를 세우는 네지드의 사우드 가문이 아라비아 반도에서 반란을 일으켜 메카메디나를 점거하자, 오스만 제국의 술탄 무스타파 4세는 무함마드 알리에게 반란 진압을 명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이 명령을 기회로 삼아, 중앙 정부의 호의를 얻고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한편, 세력을 확장하려 했다. 1811년, 장남 이브라힘 파샤를 사령관으로 한 진압군을 헤자즈에 파견하여 1년여 만에 헤자즈를 수복했다. 이후 2년간의 추격전 끝에 사우드 가문의 구성원 대부분을 처형하고, 19세기 말까지 사우드 가문이 세력을 회복하지 못하도록 철저히 진압했다.[44]

1820년에는 수단 정복에 나섰다. 수단은 자원과 , 노예가 풍부했지만, 분열되어 있어 침공하기 좋은 목표였다. 무함마드 알리는 5천여 명의 군대를 파견하여 센나르 술탄국을 멸망시키고 수단을 이집트의 영향권 아래 두었다. 이후 수단은 1956년까지 이집트의 보호를 받게 된다.[45] 그러나 수단에서의 가혹한 통치는 1881년 무함마드 아흐마드의 독립 투쟁을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46]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오스만 제국은 무함마드 알리에게 지원을 요청했다. 알리는 크레타모레아를 얻고 이집트 총독직을 세습직으로 바꾸는 조건으로, 이브라힘 파샤를 사령관으로 한 지원군을 파견했다. 이집트군은 그리스에서 대대적인 학살과 약탈을 자행하며 그리스 독립군을 진압 직전까지 몰고 갔다.[47] 그러나 영국, 프랑스, 러시아가 그리스를 지원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이집트 연합 함대는 궤멸되었고, 이집트는 그리스에서 철수해야 했다.

무함마드 알리 파샤와 그의 아들 이브라힘, 그리고 솔리만 파샤 알-파란사위.


그리스에서의 손실에 대한 보상으로 무함마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에 시리아를 요구했다. 술탄이 이를 거부하자, 1831년 이집트는 시리아를 침공하여 제1차 투르크-이집트 전쟁이 시작되었다. 이집트군은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을 점령하고, 오스만 제국의 수도 콘스탄티니예로 진격했다.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지원을 요청했고, 영국과 프랑스도 개입하여 1833년 휴전이 이루어졌다. 이집트는 시리아, 크레타, 헤자즈 등을 얻었지만, 형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속령으로 남았다.[53]

1839년, 오스만 제국은 시리아를 되찾기 위해 다시 전쟁을 일으켰다. 그러나 네지브 전투에서 이집트군에게 대패하고, 오스만 해군은 이집트에 투항했다. 오스만 제국이 붕괴될 위기에 처하자,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등 열강이 개입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의 지원을 기대했지만, 프랑스는 결국 물러섰다. 결국 무함마드 알리는 열강의 요구를 받아들여 시리아, 크레타, 헤자즈를 반환하고 군대를 축소해야 했다. 그러나 이집트 태수직의 세습이라는 목표는 달성했다.[58]

''알렉산드리아의 궁전에서 메흐메트 알리와의 인터뷰'' (1839), 가운데에 패트릭 캠벨이 있다. 데이비드 로버츠의 작품, 성지, 시리아, 이두메아, 아라비아, 이집트, 누비아

2. 5. 만년

1848년 무함마드 알리는 장남 이브라힘 파샤에게 태수 자리를 물려주었으나, 이브라힘 파샤는 결핵으로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했다. 결국 차남 투순 파샤의 아들인 손자 압바스 파샤에게 태수 자리가 돌아갔다.[59] 1849년 8월 2일 알리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사망했고, 시신은 카이로의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에 안장되었다.

카이로 무함마드 알리 모스크


카이로의 알라바스터 모스크에 있는 무함마드 알리의 무덤


1843년, 시리아에서의 실패와 발타 리만 조약으로 이집트 정부가 수입 장벽을 철폐하고 독점권을 포기하게 되면서 무함마드 알리의 정신은 점점 더 흐려지고 편집증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것이 진정한 노령 때문인지, 아니면 수년 전 이질 치료를 위해 투여받았던 질산은의 영향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59]

1844년, 이집트의 부채가 8천만 프랑(240만파운드)에 달하고, 체납된 세금이 총 추정 세금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는 보고가 올라왔다. 이 소식을 접한 무함마드 알리는 크게 분노했고, 며칠이 지나서야 겨우 진정되었다.

1846년, 이브라힘이 류머티즘 통증과 결핵으로 몸져눕자, 무함마드 알리는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술탄에게 자신의 두려움을 표명하고 화해를 청했다. 그는 자신의 가족의 세습 통치를 확보한 후, 1848년까지 왈리(총독)로 통치했지만, 노령으로 인해 더 이상의 통치가 불가능해졌다.[61]

얼마 지나지 않아, 병세가 악화된 이브라힘은 콘스탄티노플로 가서 술탄에게 자신을 이집트와 수단의 통치자로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고향으로 돌아오는 길에 이브라힘은 발작과 환각에 시달렸고, 결국 6개월 만에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조카인 압바스 1세가 통치하게 되었다.

무함마드 알리는 아들의 죽음을 알지 못한 채 몇 달 더 살다가 1849년 8월 2일 알렉산드리아의 라스 엘-틴 궁전에서 사망했다. 그의 장례식은 새로운 왈리 압바스 파샤의 무관심 속에 초라하게 치러졌다.[62]

영국의 영사 존 머레이는 무함마드 알리가 모든 결점에도 불구하고 훌륭한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다.[62]

3.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의 근대화를 위해 행정, 재정, 세제, 농업, 공업, 군사,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개혁은 중앙 집권화, 세입 증대, 산업 진흥, 군사력 강화 등을 목표로 했다.[29]

메이지 유신이나 청나라의 양무운동과 같이 비서구 세계가 자립적인 근대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빠른 시도 중 하나로 평가받는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29] 전제적이고 강압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백성들에게 과중한 세금, 징병, 강제 노역 등의 부담을 안겨주었다.[29]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 중 중앙 집권화는 알리 베이가, 군대 근대화는 셀림 3세가, 세제 개혁과 산업 진흥책은 프랑스 점령군이 이미 구상하거나 실행했던 것이다. 야마구치 나오히코는 무함마드 알리가 "선인의 다양한 시도를 취사선택하고 이집트, 그리고 그 시대의 실정에 맞게 잘 적응했다"는 점에서 뛰어난 정치가였다고 평가한다.[29]

무함마드 알리는 유럽, 특히 프랑스의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근대 기술을 도입하고, 유학생을 파견하여 기술을 습득하게 했다. 주요 외국인 전문가로는 군사 분야의 옥타브 조제프 앙셀름 세브, 의료·위생 분야의 앙투안 바르텔레미 클로, 통상·외무 분야의 보고스 유스피안 등이 있다.[29]

3. 1. 개요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의 근대화를 위해 행정, 재정, 세제, 농업, 공업, 군사, 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개혁을 추진했다. 그의 개혁은 중앙 집권화, 세입 증대, 산업 진흥, 군사력 강화 등을 목표로 했다.[29]

개혁 결과, 정부 세입은 크게 늘어 1798년의 15배 이상에 달했고, 프랑스 영사는 "이집트의 세입은 프랑스와 거의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라고 평가했다.[29] 늘어난 세입은 다양한 분야의 근대화 정책 추진에 사용되었다.[30]

무함마드 알리는 유럽, 특히 프랑스의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근대 기술을 도입하고, 유학생을 파견하여 기술을 습득하게 했다. 주요 외국인 전문가로는 군사 분야의 옥타브 조제프 앙셀름 세브, 의료·위생 분야의 앙투안 바르텔레미 클로, 통상·외무 분야의 보고스 유스피안 등이 있다.[29]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 메이지 유신이나 청나라의 양무운동과 같이 비서구 세계가 자립적인 근대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빠른 시도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9] 그의 경제 정책은 장기적으로 유럽 경제에 대한 종속을 초래했지만, 이집트의 인구 증가와 발전을 위한 기초를 다졌다.[29]

그러나 그의 개혁은 전제적이고 강압적인 성격을 띠었으며, 백성들에게 과중한 세금, 징병, 강제 노역 등의 부담을 안겨주었다.[29] H.A. 리블린은 "무함마드 알리 치하에서 국민 소득은 증가했지만, 농민의 생활 수준 개선은 보이지 않았다. 그는 민중의 복지를 입에 올렸지만, 사회적 관심을 실행에 옮길 때는 민중에게 새로운 부담과 압살적 착취를 더할 뿐이었다"라고 지적했다.[30]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 중 중앙 집권화는 알리 베이가, 군대 근대화는 셀림 3세가, 세제 개혁과 산업 진흥책은 프랑스 점령군이 이미 구상하거나 실행했던 것이다. 야마구치 나오히코는 무함마드 알리가 "선인의 다양한 시도를 취사선택하고 이집트, 그리고 그 시대의 실정에 맞게 잘 적응했다"는 점에서 뛰어난 정치가였다고 평가한다.[29]

3. 2. 행정 및 사법 개혁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를 모델로 삼아 행정 기구를 중앙집권화했다.[27] 중앙 정부의 기능은 초기에 총독 관방과 내무성의 두 기관에 집중되었으나, 1837년에는 행정 기능 확대를 위해 재무, 외무 등 8개 부처가 설치되었다.[27]

지방 행정 기관은 주, 현, 군, 구의 4단계로 구성되었고, 각 기관에는 중앙 정부에서 관리가 파견되었다. 이들은 중앙 정부의 정책을 실행하기 위한 기관이었으며, 자치는 허용되지 않았다. 주와 현의 지사는 정책 시행에 앞서 중앙 정부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했고, 정기적으로 보고해야 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지방 농촌 지역의 행정을 "국부의 원천"으로 중요하게 여겨 1년에 두 번 지방을 순회했으며, 감독 기관인 "감찰총국"을 설치했다.[28]

1828년에는 정부 공문서관이 설치되어 각지에 흩어져 있던 행정 문서가 한곳에 모였다.[28] 행정에 사용되는 언어는 초기에는 터키어와 아랍어가 함께 사용되었지만, 아랍계 이집트인 관리가 등용되면서 점차 아랍어가 주된 언어가 되었다.[28]

무함마드 알리는 1829년 최초의 형사 법률을 통과시키는 등 형법 개정에 힘썼다.[28] 그는 경찰력을 강화하여 공공 질서 유지와 기소 기능을 통합했다.[28] 엄격했던 샤리아 증거 규칙이 완화되면서, 부검 보고서와 같은 현대적 증거가 수사와 재판에서 점차 중요하게 활용되었다.[28]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이집트 내 기독교인들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법과 질서" 상태를 만들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유럽으로부터 영향력을 얻고자 했다.[28]

3. 3. 재정 및 세제 개혁

무함마드 알리는 총독 취임 당시, 정치적 혼란으로 악화된 이집트 경제를 재건하고 재정 건전성을 확보해야 했다. 이는 권력 유지를 위한 최우선 과제 중 하나였다.[14]

이를 위해 무함마드 알리는 농지 세제 개혁에 착수했다. 이전까지 이집트에는 수많은 면세지가 존재했고, 과세 대상 농지에 대해서는 징세청부인과 그 대리인이 징세를 담당하여 세입의 상당 부분이 이들에게 돌아갔다. 또한 다양한 명목의 세금이 불규칙적으로 징수되었다.[14]

무함마드 알리는 면세지를 축소하고 20개 이상이던 과세 사유를 하라지로 일원화하는 한편, 정부 관리가 정기적으로 직접 징세하도록 제도를 개편했다.[14] 세율은 농지 측량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으며,[14] 1810년부터 하이집트, 1813년부터 상이집트에서 측량이 시작되었다.[15] 맘루크 제거에 성공하면서 징세청부인들의 저항을 이겨내고 개혁을 추진할 수 있었다.[14]

이러한 세제 개혁 결과, 징세 효율이 향상되어 세입이 증가했다.[14]

연도세입
1805년
1821년


3. 4. 농업 진흥

무함마드 알리는 농업 생산 증대를 위해 나일강 유역에 운하, 제방, 배수로 등 관개 시설을 정비했다.[41] 재위 중 32개의 운하와 42개의 댐이 건설되었으며, 운하와 제방 등에 관한 토목 공사 총량은 약 7187만 9000에서 약 7911만 5000에 달했다.[41] 1843년 착공, 1861년 완공된 델타 바라주 댐은 건설 당시 세계 최대 규모였다.[41] 농업 정책 실행 전 약 321만 8700 فدّان|페단ar(1페단은 약 420㎡[41])이었던 과세 대상 경작지 면적은 1863년에는 약 439만 5300 페단으로 확대되었다.[41]

관개 방식도 개선하여, 홍수 때 저수지를 이용하는 방식(저수지식 관개)에서 용수로를 활용하여 연중 경작이 가능한 방식(통년식 관개)으로 전환을 시도했다.[42] 통년식 관개는 19세기 말에는 이집트 전역에 보급되었다.[42] 이는 훗날 이집트가 농업 국가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42] 다만, 용수로에 쌓인 흙을 제거하는 작업은 농민에게 큰 부담이 되었으며, 1825년 이후 매년 35만 명의 농민이 4개월 동안 동원되었다.[42]

통년식 관개 도입으로 면화, , 인디고, 사탕수수 등 환금 작물 대규모 재배가 가능해졌다.[43] 특히 이윤이 높은 면화 생산을 장려하여, 면화 전매로 인한 수입은 전체의 10분의 1에서 4분의 1을 차지했다.[43] 면화는 이후에도 이집트 주요 수출품으로 남았다.[43] 1820년 프랑스인 루이 알렉스 주멜이 개발한 장섬유 면화 품종 '주멜'은 이집트 주요 면화 중 하나가 되었다.[43]

또한, 농지에 관한 세제 개혁과 더불어 국가가 농지를 관리하고 재배 작물을 지정하여 수확물을 공정 가격으로 매입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농업을 국영화했다.[40] 주요 농산물 전매제를 통해 국내 판매 및 수출을 국가가 관리했으며,[40] 전매제 수입은 1836년 기준 전체의 22.4%를 차지하는 등 국가 재정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40] 그러나 농업 국영화는 단기적으로는 효율적이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농민의 생산 의욕을 저하시켜 재위 후기에는 민영화가 추진되었다.[40]

3. 5. 공업 진흥

무함마드 알리는 농업뿐만 아니라 공업 분야에서도 국가 주도의 진흥책을 시행했다. 1800년대 말부터 조병창을 건설하기 시작하여, 1810년대에는 면방적, 주트 가공, 비누, 견직물, 제당, 모직물, 유리 공장을, 1820년대에는 유리, 피혁 공장을, 1830년대에는 제지 공장을 건설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영 공장을 설립했다. 1833년에는 전체 노동 인구의 약 9%에 해당하는 11만 명 정도가 국영 공장에서 일했다.

무함마드 알리는 무기 제조 시설에도 힘을 쏟았다. 1816년에 조병창을 확장하고 주조 공장을 건설했으며, 1820년에는 대형 제철 공장을 건설했다. 1820년에 건설된 국영 인쇄소는 이집트 최초의 인쇄소였으며, 2000년대에도 "중동 최대 규모의 정부 인쇄소"로 불렸다. 이 인쇄소에서는 1828년 11월 중동 최초의 아랍어 신문 알 와카이 알 미스리야|ar가 발행되었다.

대부분의 공장은 수입을 줄이기 위해 건설되었지만, 면 산업과 같은 섬유 산업은 장기적으로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집트산 면제품은 국가 전매제가 시행된 국내 시장에서 영국산 수입품과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고, 이는 제2차 이집트-튀르크 전쟁에서 영국의 개입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60]

그러나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의 대부분은 원가 이하로 판매되었다. 자금 부족으로 충분한 기술자를 고용할 수 없어 원료 낭비와 기계 고장이 잦았고, 공장 가동을 위해 징용된 농민들은 기술과 의욕이 부족했다. 연료비가 비싸고 기술자도 부족하여 증기 기관을 동력으로 사용할 수 없었고, 소, 노새, 낙타를 사용해야 했다. 게다가 기계 고장을 수리할 능력도 충분하지 않아 도입한 설비의 생산성은 곧바로 떨어졌다. 원가 계산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 원가가 수입품보다 비싸졌다. 무함마드 알리는 근대적인 공장을 통해 세입 증가를 기대했지만, 이 계획은 실패로 끝났다.

공업에서도 농업과 마찬가지로 국가가 생산자에게 원자재를 판매하고 제품을 정해진 가격에 구매하는 제도를 도입하여 실질적인 전매가 이루어졌다. 이 제도는 수공업에서 정부가 제조업체로부터 싸게 사들인 제품을 상인에게 비싸게 판매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고, 단기적으로는 생산 효율성을 높였다.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제조업체의 생산 의욕을 떨어뜨렸다.

제2차 이집트-튀르크 전쟁에서 패배한 후, 무함마드 알리는 1838년 영국과 오스만 제국이 체결한 통상 협정인 '발타 리만 협정'을 시행해야 했다. 발타 리만 협정은 낮은 수입 관세를 정하고 전매제를 금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체결 당시 무함마드 알리는 자신의 지배 영역 내에서 협정 적용을 거부했었다. 이 협정을 수용하면서 이집트의 전매제는 거의 붕괴되었고, 이집트 공업 제품은 유럽 제품과의 자유 경쟁에 놓이게 되었다. 자유 경쟁으로 인해 이집트산 제품은 영국 및 인도 제품에 밀려났다. 게다가 군축으로 군수 수요도 감소했다. '발타 리만 협정'으로 인해 이집트 공업은 큰 타격을 입고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이집트는 유럽 국가에 면화 등의 원자재를 수출하고 공업 제품을 수입하는 식민지형 국제 분업 체제에 편입되었다.

3. 6. 군사 개혁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를 모범으로 하는 근대적인 군대 창설을 목표로 군사 개혁을 단행했다. 1822년 농민에 대한 징병제를 도입하고, 나폴레옹 전쟁 패배로 실직한 프랑스 전직 군인을 군사 고문으로 초빙했다. 1830년대 후반에는 70명이 넘는 군사 고문이 고용되었다.[38] 기자에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군인의 자질이 있는 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다.

1807년 영국군의 상륙에 따라 해군력 강화에도 착수하여 유럽에서 함선 건조를 한 것 외에도 카이로 북부와 알렉산드리아에 해군 조선소를 건설했다.[41] 나바리노 해전에서 많은 함선을 잃자 정밀한 항해 기기와 대포를 제외한 모든 것을 자력으로 제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조선소를 건설했다. 이집트 해군은 나바리노 해전에서 프리깃코르벳 총 43척을 잃었지만, 1837년에는 전함 8척, 순양함 7척으로 전력을 회복했다. 1830년 시점의 해군력은 세계 7위 규모였지만,[41] 제2차 이집트-터키 전쟁 패전 후 취역 함선은 모두 오스만 제국에 매각되었다.

이집트에는 농민이 병역에 복무하는 관습이 없었고, 농민들은 징병제에 공포를 느꼈다.[38] 농촌에서는 탈주자가 잇따랐고, 1831년에는 상이집트 농민의 4분의 1이 도망쳤다고 보고되었다. 무함마드 알리는 징병을 거부하거나 도망친 자에게는 친족의 연대 책임을 수반하는 처벌을 부과했다. 일부 농민들은 고의로 신체의 일부를 훼손하여 징병을 피하려 했으며,[38] 이러한 자들은 공장 노동에 종사하게 되었다. 1830년대 후반에는 건강한 인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어 징병 실시 지역을 시리아 및 칸디야로 확대하고 맹인 부대를 설치했다. 징병은 강압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군대가 마을을 포위하고 농민을 쇠사슬로 묶어 연행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농민들의 반발을 초래하여 1820년대 전반에는 대규모 반란이 일어났다. 도시에서도 제례에 참가하기 위해 모인 상인을 군대가 포위하여 연행하는 등 강압적인 방법이 사용되었다. 기독교도 징병은 유럽 국가들의 비난을 초래했다.

징병제는 농촌 생산력에 악영향을 미쳤지만, 병사들에게 기본적인 교육을 제공하고 농촌 단위의 귀속 의식을 넘어선 국민적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효과도 있었다. 군은 우라비 혁명 이후 이집트 민족 운동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38] 1837년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식 지원병 제도 도입을 결정했지만 실행되지 않았고, 프랑스 국민병제를 본뜬 병제가 실시되었다.

무함마드 알리의 병력은 수단 원정 시작 시 1만 6000명이었다. 그리스 독립 전쟁 중 증강되어 1829년 6만 2150명, 제1차 이집트-터키 전쟁 후인 1832년 12만 5000명, 제2차 이집트-터키 전쟁 직전인 1838년 15만 7000명으로 증가했지만, 제2차 이집트-터키 전쟁 패전 후 1만 8000명으로 감축되었다. 일반 병졸은 모두 이집트인이었지만, 무함마드 알리는 이집트인을 신뢰하지 않아 상급 장교로 등용하지 않았다. 장교 대부분은 터키인, 체르케스인, 알바니아인, 쿠르드인 등 터키-체르케스계였다.[39]

3. 7. 교육 개혁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식 초등 교육 제도와 유럽의 기술 습득에 중점을 둔 이공계 중심의 고등 교육 제도를 도입했다.[29] 이집트 최초의 고등 공업 전문 학교인 무한데스하네는 프랑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를 모델로 하였으며, '고위 관료 등용문'이 되었다.[29] 군사성의 관할 아래 의학, 약학, 수의학, 광물학, 응용 화학, 농업, 통신, 공예, 외국어 등 각종 전문 학교도 설립되었다.[29]

1820년대에 무함마드 알리는 최초의 이집트 유학생 교육 "사절단"을 유럽으로 파견했다. 이는 나흐다로 알려진 아랍 문학 르네상스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무함마드 알리는 산업과 군대의 근대화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분야에서 프랑스어 텍스트를 연구하는 학교들을 설립했다. 리파 알-타흐타위는 사회학 및 역사에서 군사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에 대해 프랑스어를 아랍어로 번역하는 것을 감독했다.

4. 대외 관계

무함마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의 신하로서 이집트 태수직을 수행하면서도 주변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근대화를 추진하여 여러 국가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술탄의 명령에 따라 아라비아 반도의 와하브파 반란을 진압하고, 그리스 독립 전쟁에 군대를 파견하기도 했다.[43][44][47] 그러나 나바리노 해전에서 이집트 해군이 전멸하면서 그리스에서 철수해야 했고, 이후 시리아 영토 문제로 오스만 제국과 갈등을 빚으며 두 차례 전쟁을 치렀다.

영국과는 초기에는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 그리스 독립 전쟁 개입 이후 영국의 경계를 받기 시작했다. 영국의 인도 항로 확보 정책과 무함마드 알리의 세력 확장 정책이 충돌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고, 결국 영국은 제2차 이집트-오스만 전쟁에 개입하여 무함마드 알리에게 점령지 포기를 요구했다.[49]

프랑스와는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군사 고문 파견 등 이집트 근대화에 도움을 받았다. 제2차 이집트-오스만 전쟁에서 프랑스의 지원을 기대했으나, 프랑스는 다른 열강과의 충돌을 우려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결국 무함마드 알리는 영국의 압력에 굴복해야 했다.[55][57]

4. 1.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

무함마드 알리는 초기에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술탄의 명령에 따라 군사 활동을 수행했다. 1811년 아라비아 반도에서 와하브파의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아들 투순을 파견하여 1812년 헤자즈를 탈환했다.[43] 이후 1818년에는 또 다른 아들 이브라힘 파샤를 보내 사우드 가문을 격파하고, 가문의 지도자 압둘라 빈 사우드를 처형했다.[44]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이 발발하자 오스만 제국의 요청으로 이브라힘 파샤가 이끄는 군대를 파견하여 그리스군을 진압했다.[47] 그러나 1827년 나바리노 해전에서 유럽 연합 함대에 의해 이집트 해군이 전멸하면서 그리스에서 철수해야 했다.

나바리노 해전에서의 손실을 보상받기 위해 무함마드 알리는 시리아 영토를 요구했으나, 오스만 제국은 거부했다. 이에 1831년 무함마드 알리는 시리아를 침공, 제1차 투르크-이집트 전쟁을 일으켰다. 이집트군은 시리아 대부분을 점령하고 아나톨리아까지 진격했으나, 유럽 열강의 개입으로 1833년 쿠타히야 협약을 체결하고 크레타와 히자즈를 얻는 대가로 아나톨리아에서 철수했다.

1838년 무함마드 알리가 독립을 선언하려 하자, 오스만 제국은 1839년 다시 전쟁을 일으켰다. 이집트군은 네지브 전투에서 오스만 군대를 격파했으나, 유럽 열강의 압력으로 1840년 런던 조약을 체결하고 시리아, 크레타, 히자즈를 반환해야 했다.

4. 2. 영국과의 관계

무함마드 알리는 초기에는 영국과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려 했다. 1834년 영국 동인도 회사유프라테스강을 조사하려는 움직임에 반발하여 조사를 막고 요충지를 점령하기도 했지만, 대체로 협력적인 관계였다.[49] 그러나 그리스 독립 전쟁에 개입하면서 영국은 무함마드 알리의 세력 확장을 경계하기 시작했다.

1827년 나바리노 해전에서 이집트 해군이 유럽 연합 함대에 의해 전멸당하면서, 이집트는 그리스에 있는 병력을 지원할 수 없어 철수해야 했다.[47] 이 사건으로 무함마드 알리는 해군력을 잃었고, 실질적인 이득도 얻지 못했다.

이후 영국의 인도 항로 확보 정책과 무함마드 알리의 세력 확장 정책이 충돌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 영국은 증기선의 실용화로 지중해에서 인도양으로 가는 경로로 유프라테스강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무함마드 알리는 1834년 영국의 조사 시도를 막고 요충지를 점령했다.[49]

1839년에는 이집트군이 페르시아만 연안까지 세력을 확장하면서 영국과 충돌했다. 이집트군 사령관은 영국 해군 제독에게 바레인을 무력 제압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고, 무함마드 알리는 영국의 반발을 사 양보해야 했다.[49] 같은 해 영국은 아덴을 점령하여 무함마드 알리의 모카 커피 무역 독점권을 빼앗고, 홍해와 인도양에 대한 영향력을 약화시켰다.[49]

영국은 중동 지역을 면제품의 주요 시장으로 간주했기에, 면제품 수입을 규제하고 섬유 산업을 국유화한 무함마드 알리를 "국익에 대한 명백한 위협"으로 여겼다.[49]

1838년 영국은 오스만 제국과 통상 협정을 체결하여 오스만 제국 옹호 자세를 강화했고, 무함마드 알리에게 경고를 보냈다.[49] 팜스턴 자작 영국 외무대신은 무함마드 알리를 오스만 제국의 신하로만 인식하고, 그의 군사력 확충을 불법으로 간주했다.[49]

제2차 이집트-오스만 전쟁에서 영국은 오스만 제국을 지원하며 개입했다. 1840년 런던 조약을 통해 무함마드 알리에게 시리아 등 점령지 포기를 요구했다.[49] 영국 해군은 시리아 연안 도시들을 함락시키고, 찰스 네이피어가 이끄는 함대가 알렉산드리아에 나타나자 무함마드 알리는 항복했다. 결국 무함마드 알리는 영국의 압력에 굴복하여 이집트와 수단에 대한 세습 통치권을 얻는 대신 다른 영토에 대한 권리를 포기해야 했다.[49]

4. 3. 프랑스와의 관계

무함마드 알리는 프랑스와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프랑스는 알리의 개혁을 지원하고 군사 고문을 파견하는 등 이집트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특히 솔리만 파샤 알-파란사위는 이집트 군대 훈련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제2차 이집트-오스만 전쟁에서 알리는 프랑스의 지원을 기대했다. 프랑스는 알리에게 호의적이었으며, 알리가 종신 총독권을 얻을 수 있도록 중재를 시도하기도 했다.[55] 그러나 루이 필리프 국왕은 다른 열강과의 전쟁 및 고립을 우려하여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57] 결국 프랑스는 알리에 대한 지원을 철회했고, 알리는 영국을 비롯한 유럽 열강의 압력에 굴복해야 했다.

5. 유산과 평가

무함마드 알리는 근대 이집트의 기틀을 마련한 지도자로 평가받는다.[63] 그는 1517년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 이집트에서 섭정의 권력을 영구적으로 박탈한 최초의 통치자였다. 그는 군대 건설을 통해 중앙 관료 체제, 교육 시스템, 면화와 군사 기반 제조업을 포함하는 경제 기반을 구축하여 근대 이집트 국가의 기반을 다졌다.[63] 그의 노력으로 그의 후손들은 거의 150년 동안 이집트와 수단을 통치했고, 이집트는 사실상 독립 국가가 되었다.[63]

그러나 무함마드 알리를 건설자가 아닌 정복자로 보는 시각도 있다.[64] 그는 알바니아 출신이었고, 통치 기간 동안 오스만 튀르크어가 궁정의 공식 언어였다. 그는 이집트의 인력과 자원을 자신의 개인적인 목적을 위해 착취했으며, 이집트인들에게 부과한 인력 요구 사항이 가혹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64] 이러한 관점에서는 무함마드 알리를 기원전 525년 페르시아 점령 이후 외세 정복자들의 계보를 잇는 인물로 묘사한다.[64]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대다수 이집트 및 아랍 역사가들과 이집트 여론과는 상반된다.[65]

무함마드 알리에 대한 역사적 논쟁은 20세기 이집트의 정치적 투쟁을 반영한다. 푸아드 1세는 1930년대에 왕립 기록 보관소를 설립하여 무함마드 알리를 민족주의자이자 자비로운 군주로 묘사했다.[67] 이후 나세르는 무함마드 알리를 민족주의적 창시자이자 야심 찬 군주로 묘사하는 대안적 서사를 장려했다.[67]

무함마드 알리는 행정, 재정, 세제 분야의 개혁을 통해 정부 세입을 크게 증가시켰다. 그의 경제 정책은 생산 증대, 통상 강화, 재정 수입 확대를 통해 강력한 군대를 편성하고 영토 확장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야마구치 나오히코는 무함마드 알리를 "경제 감각이 있는 지도자", "상인의 재능을 가진 정치가"로 평가했다.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이나 청나라의 양무운동에 앞서는 획기적인 시도로 평가받는다. 가토 히로시는 "비서구 세계가 자립적인 근대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한 가장 빠른 시도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 화혼양재 정신에 기초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근대적 국영 공장 경영에 실패한 점이 메이지 유신과의 차이점으로 지적된다. 그의 경제 정책은 장기적으로 유럽 경제에 대한 종속을 초래했다.

증가한 세입은 국민의 복지를 위해 사용되지 않았고, 과중한 세금, 징병, 강제 노역이 부과되었다. 무함마드 알리는 민중의 복지를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새로운 부담과 압제를 가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무함마드 알리는 개혁을 위해 유럽 전문가들을 초빙하고, 유학생을 파견하여 기술을 습득하게 했다. 주요 외국인 전문가로는 프랑스인 옥타브 조제프 앙셀름 세브(군사), 앙투안 바르텔레미 클로(의료·위생), 아르메니아인 보고스 유스피안(통상·외무) 등이 있다. 대표적인 유학생으로는 계몽사상가 리파아 라피 알 타흐타위, 알리 무바라크 등이 있다.

무함마드 알리는 농작물, 공업 제품의 전매제로 거대한 세입을 얻었지만, 타국으로부터의 차관에 의존하지 않았다. 이는 유럽 제국의 침략에 대한 경계에서 비롯된 방침이었다. 이와나가 히로시는 "국가의 독립성 유지를 위해 귀중한 한계를 지켰다"고 평가했다.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은 이집트의 인구 증가를 가져왔고, 1847년에는 인구가 447만 명에 달했다. 그러나 통상 산업, 특히 공업 분야의 정책은 실패로 끝났다는 평가도 받는다. 이는 제2차 이집트-터키 전쟁에서 패배하여 이집트가 정치적 자립을 잃은 것이 최대 원인이었다. 패배로 인해 무함마드 알리는 저율의 수입 관세를 정하고 전매제를 금지하는 통상 협정을 실시해야 했으며, 이집트의 공업은 쇠퇴했다.

무함마드 알리의 정책은 근대적인 반면 전제적·강압적인 요소도 가지고 있었다.

무함마드 알리의 개혁 중 중앙 집권화는 알리 베이가, 군대의 근대화는 셀림 3세가, 세제 개혁과 산업 진흥책은 프랑스 점령군이 이미 구상했거나 실행했던 것이다. 야마구치 나오히코는 무함마드 알리가 "선인의 다양한 시도를 취사선택하고 이집트와 그 시대의 실정에 맞게 잘 적응했다"고 평가했다.

참조

[1] 논문 Mohammed Ali https://books.google[...] 1841-01-01
[2]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Dangerous Gifts: Imperialism, Security, and Civil Wars in the Levant, 1798-1864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Ottoman Wars, 1700–1860: An Empire Besieged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서적 The Ott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7
[6]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Albanian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7] 서적 Ottoman Architecture in Albania, 1385–1912 https://books.google[...] Research Centre for Islamic History, Art and Culture
[8] 서적 Islam and Nationalism in Modern Greece, 1821–194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9]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SAGE 2012
[10]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11] 서적 Mahmud Sami al-Barudi: Reconfiguring Society and the Self Syracuse University Press
[12] 서적 Egypt Frederick A. Praeger
[13] 서적
[14] 서적 The History of Egypt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5] 서적
[16] 서적 Pharaoh to Farouk John Murray
[17] 서적 Une Mission militaire francaise aupres de Mohamed Aly, correspondance des Generaux Belliard et Boyer Société Royale de Geographie d'Egypte
[18]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2016
[19]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Westview Press
[20] 서적
[21]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Parting the desert: the creation of the Suez Canal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2003
[26] 논문 Did Muhammad Ali foster industrialization in early nineteenth-century Egypt? 2015-02-01
[27]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28] 논문 The Anatomy of Justice: Forensic Medicine and Criminal Law in Nineteenth-Century Egypt 1999-01-01
[29] 서적 Lives at Risk: Public Health in Nineteenth-Century Egypt http://ark.cdlib.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0] 서적 L’Egypte Contemporaine de Mehemet-ali a Said Pacha Librarie Internationale
[31] 서적 Souvenirs d'une fille du peuple: ou, La Saint-Simonienne en Egypte F. Maspero
[32] 서적 Policing Egyptian Women: Sex, Law, and Medicine in Khedival Egypt Syracuse University Press
[33] 서적 Women, Medicine, and Power in Nineteenth-Century Egypt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논문 The Publications of the Būlāq Press under Muhammad 'Alī of Egypt http://www.ghazali.o[...] 2014-05-22
[35]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36]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37]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Cambridge
[38]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Cambridge
[39]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Cambridge
[40]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Cambridge
[41]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42] 서적 All the Pasha's Men: Mehmed Ali, his Army and the Making of Modern Egypt
[43]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45]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46] 논문 Muhammad Ali´s Conquest of Sudan (1820–1824)
[47]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48] 문서
[49] 서적 Egypt in the reign of Muhammad Ali University of Cambridge
[50]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51]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52] 서적
[53] 서적 Power in Transition: The Peaceful Change of International Order https://archive.org/[...]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54]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55] 서적
[56]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l ‘Ali
[57] 서적
[58] 서적 Military Elite and Social Change: Egypt Since Napoleon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59] 서적 Egypt in the reign of Muhammad Ali Cambridge Press
[60] 서적 Egypt in the reign of Muhammad Ali Cambridge Press
[61] 서적 Memoirs
[62] 문서
[6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presidenc[...] 2009-04-12
[64] 웹사이트 Year's Lesson http://www.internati[...] UCLA Center for Near East Studies 2008-10-29
[65] 서적 Origins of Establishment
[66] 서적 The Founder of Modern Egypt: A Study of Muhammad 'Ali Cambridge University Press
[67] 서적 Mehmed Ali: From Ottoman Governor to Ruler of Egypt Oneworld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