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토 미쓰야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토 미쓰야스는 1537년 미노국에서 태어나,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무장이다. 아사이 나가마사 격퇴, 야마자키 전투 기여 등의 공을 세웠으며, 1590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가이국 24만 석 영지를 받았다.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영토 경영에 대한 조언을 했으나, 1593년 조선 서생포에서 병사했다.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이시다 미쓰나리에 의한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토씨 - 오즈성
    오즈성은 에히메현 오즈시에 위치하며 1331년 축성되어 여러 주인을 거쳐 현재의 방어 시설이 구축되었고, 에도 시대에는 가토 씨가 다스렸으며 메이지 시대에 해체되었으나 천수가 복원되었고 일부 망루는 중요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 가토씨 - 가토 야스쓰네
    가토 야스쓰네는 17세기 일본 다이묘로, 영지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재정 악화에 대응했으며 예술적 재능도 뛰어났으나, 통치 방식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있는 인물이다.
  • 가이국 사람 - 오쿠보 나가야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케다 가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아 막부 운영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부정 축재 의혹으로 실각하고 가문이 몰락했다.
  • 가이국 사람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1537년 출생 - 권율
    조선 중기의 문관이자 무장인 권율은 안동 권씨 출신으로,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 생활을 시작,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에서 승리하는 등 활약하여 도원수에 올랐으며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에도 기여,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고 선무공신 1등에 녹훈된 인물이다.
  • 1537년 출생 - 사나다 노부쓰나
    사나다 노부쓰나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가문을 섬긴 사나다 유키타카의 아들로, 다케다 신겐을 섬기며 공을 세우고 가독을 계승했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가토 미쓰야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토 미쓰야스
가토 미쓰야스 (모사, 도쿄 대학 사료편찬소 소장)
일본어 이름加藤 光泰
로마자 표기Katō Mitsuyasu
가명작내, 권병위, 원강수
생애
출생1537년
사망1593년 9월 24일
사망 장소미노국
묘소야마나시현고후시 선광사 가이젠코사
소속
소속 세력사이토 씨, 오다 씨, 도요토미 씨
관직
관위도토미노카미 (遠江守)
가족 관계
아버지가토 가게야스
어머니미상
형제히토쓰야나기 가유실, 미쓰야스, 미쓰마사
배우자히토쓰야나기 가유의 여동생
자녀사다야스, 다케나카 시게카도 정실, 미쓰나오, 미쓰요시(실제 아버지는 히토쓰야나기 가유)
경력
주요 전투나가라가와 전투 (1556년)
야마자키 전투 (1582년)
임진왜란 (1592년)

2. 생애

1537년(덴분 6년) 가토 가게야스의 장남으로 태어난 가토 미쓰야스는, 사이토 도키타츠를 섬겼으나 사이토 씨가 몰락한 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이 되었다.

1571년 (겐키 2년) 아사이 나가마사를 격퇴하고, 1582년 (덴쇼 10년) 야마자키 전투에서 아케치 미쓰히데를 공격하는 등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단바국 슈잔성[3] 1만 5천 석, 오미 다카시마성(오미조성[5]의 별칭)을 거쳐 오와리 이누야마성까지 영지를 넓혔다. 1583년 (덴쇼 11년) 시즈가타케 전투1584년 (덴쇼 12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도 활약하여 1585년 (덴쇼 13년) 미노 오가키성 4만 석의 성주가 되었으나, 구라이치 관리 문제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미움을 사 영지를 몰수당하고 칩거하기도 했다.

1587년 (덴쇼 15년) 사면된 후 1590년 (덴쇼 18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야마나카성 공략 등의 공을 세워 가이국 24만 석을 받아 다이묘 반열에 올랐다. 가이국 통치 시기에는 검지를 실시하고 고후성 축성을 시작하는 등 영지 경영에 힘썼다.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나, 1593년 (분로쿠 2년) 9월 서생포[6] 진중에서 병을 얻어 향년 57세로 사망했다. 유해는 가이 젠코지에 매장되었다. 아들 사다야스는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에 가담하여 이요국 오즈번 초대 번주가 되었다. 일설에는 이시다 미쓰나리에게 독살되었다는 설도 있다.[7]

2. 1. 초기 생애

1537년(덴분 6년), 미노국 다기군 이마이즈미촌 하시즈메에서 가토 가게야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처음에는 사이토 도키타츠를 섬겼지만, 이나바산성이 함락되어 사이토 씨가 몰락하자, 미쓰야스는 낭인이 되어 일단 오미국으로 도망쳤다. 오와리국오다 노부나가는 미노의 무사들과의 전투에서 미쓰야스의 활약을 눈여겨보고 있었다. 기노시타 히데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중재로 배알이 허락되어 등용되었고,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소속되었다.

1571년(겐키 2년), 아사이 나가마사가 요코야마 토리데를 공격했을 때 이를 격퇴하는 공을 세워 히데요시로부터 오미국 사카타군 이소노촌에서 700관의 영지와 요리키 10명을 받았다.

1578년(덴쇼 6년), 하리마국 미키성 공격에서는 하리마 국내에 5000석을 받았고, 1582년(덴쇼 10년) 야마자키 전투에서는 이케다 쓰네오키 등과 함께 엔묘지강을 도하하여 쓰다 노부하루를 기습했다. 적의 혼란을 틈타 아케치 미쓰히데의 본대에 덮쳐 총공세의 계기를 만들어 히데요시 군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 공으로 영지는 3배인 단바국슈잔성[3] 1만 5000석으로 증봉되었다. 그 후, 오미 가이즈 성[4]으로 전봉되었고, 또한 2만 석이 가증되어 오미 다카시마성(오미조성[5]의 별칭)으로 옮겨졌으며, 다시 오와리 이누야마성으로 이봉되었다.

1583년(덴쇼 11년), 시바타 가쓰이에와의 시즈가타케 전투에서는 군무 봉행을 맡았고, 1584년(덴쇼 12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이누야마 성을 지킨 후, 사사 나리마사 토벌전에서도 군공을 세워, 1585년(덴쇼 13년) 미노 오가키성 성주 4만 석으로 가증되었다. 동시에 구라이치 2만 석의 관리도 맡았지만, 이를 자신의 큐닌 토지로 삼았기 때문에 히데요시의 미움을 받아, 그 해 9월 영지를 몰수당하고, 도요토미 히데나가에게 맡겨져 야마토국고리야마성에 칩거했다.

1587년(덴쇼 15년)에는 사면되어, 사와야마성 2만 석에 봉해져 종5위하 도토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종종 엔슈 태수를 칭했다.

2. 2. 오다 가신 시대

겐키 2년(1571년), 아사이 나가마사가 요코야마 토리데를 공격했을 때 이를 격퇴하는 공을 세워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오미국 사카타군 이소노촌에서 700관의 영지와 요리키 10명을 받았다.[3]

덴쇼 6년(1578년), 하리마국 미키성 공격에서는 하리마 국내에 5,000석을 받았다. 덴쇼 10년(1582년) 야마자키 전투에서는 이케다 쓰네오키 등과 함께 엔묘지강을 도하하여 쓰다 노부하루를 기습, 적의 혼란을 틈타 아케치 미쓰히데의 본대에 덮쳐 총공세의 계기를 만들어 히데요시 군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 공으로 영지는 3배인 단바국슈잔성 1만 5,000석으로 증봉되었다. 그 후, 오미 가이즈 성으로 전봉되었고, 2만 석이 가증되어 오미 다카시마성(오미조성의 별칭)으로 옮겨졌으며, 다시 오와리 이누야마성으로 이봉되었다.

덴쇼 11년(1583년) 시바타 가쓰이에와의 시즈가타케 전투에서는 군무 봉행을 맡았고,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이누야마 성을 지킨 후, 사사 나리마사 추토전에서도 군공을 세워 덴쇼 13년(1585년) 미노 오가키성 성주 4만 석으로 가증되었다. 동시에 구라이치 2만 석의 관리도 맡았지만, 이를 자신의 큐닌 토지로 삼았기 때문에 히데요시의 미움을 받아 그 해 9월 영지를 몰수당하고, 도요토미 히데나가에게 맡겨져 야마토국고리야마성에 칩거했다.

덴쇼 15년(1587년)에는 사면되어, 사와야마성 2만 석에 봉해져 종5위하·토토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종종 엔슈 태수를 칭했다.

2. 3. 도요토미 가신 시대

사이토 도키타츠를 섬겼지만, 이나바산성이 함락되어 사이토 씨가 몰락하자, 미쓰야스는 낭인이 되어 일단 오미국으로 도망쳤다. 오와리국오다 노부나가는 미노의 무사들과의 전투에서 미쓰야스의 활약을 눈여겨보고 있었다. 기노시타 히데요시(후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중재로 배알이 허락되어 등용되었고, 히데요시의 가신으로 소속되었다.[3]

겐키 2년(1571년), 아사이 나가마사가 요코야마 토리데를 공격했을 때 이를 격퇴하는 공을 세워 히데요시로부터 오미국 사카타군 이소노촌에서 700관의 영지와 요리키 10명을 받았다.

덴쇼 6년(1578년), 하리마국 미키성 공격에서는 하리마 국내에 5,000석을 받았고, 덴쇼 10년(1582년) 야마자키 전투에서는 이케다 쓰네오키 등과 함께 엔묘지강을 도하하여 쓰다 노부하루를 기습했다. 적의 혼란을 틈타 아케치 미쓰히데의 본대에 덮쳐 총공세의 계기를 만들어 히데요시 군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 공으로 영지는 3배인 단바국슈잔성 1만 5,000석으로 증봉되었다. 그 후, 오미 가이즈 성[4]으로 전봉되었고, 또한 2만 석이 가증되어 오미 다카시마성(오미조성[5]의 별칭)으로 옮겨졌으며, 다시 오와리 이누야마성으로 이봉되었다.

덴쇼 11년(1583년), 시바타 가쓰이에와의 시즈가타케 전투에서는 군무 봉행을 맡았고,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이누야마성을 지킨 후, 사사 나리마사의 추토전에서도 군공을 세워, 덴쇼 13년(1585년) 미노 오가키성 성주 4만 석으로 가증되었다. 동시에 구라이치 2만 석의 관리도 맡았지만, 이를 자신의 큐닌 토지로 삼았기 때문에 히데요시의 미움을 받아, 그 해 9월 영지를 몰수당하고, 도요토미 히데나가에게 맡겨져 야마토국고리야마성에 칩거했다.

덴쇼 15년(1587년)에는 사면되어, 사와야마성 2만 석에 봉해져 종5위하 도토미노카미에 서임되었다. 이후, 종종 엔슈 태수를 칭했다.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는 슨푸에 재번했지만, 여러 장수와 공동으로 야마나카성을 공략한 군공과, 그 전투에서 오가키 성주였던 이치류 나오스에가 전사했기 때문에, 하시바 히데카쓰의 미노국 기후로의 국替え에 따라 가이국 24만 석을 받는 파격적인 발탁을 받았다.

가이국은 간토 8개국을 영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국경에 해당하며, 미쓰야스는 입국하면 국내, 가와치 지배에는 적남 사쿠지로(가토 사다야스)와 친동생 미쓰마사, 군나이 지방에는 양자 미쓰요시를 임명하고, 분로쿠 원년(1592년)까지 사찰령의 안도나 기진, 여러 역 면제 등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검지를 실시했다. 이 시기의 검지는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에 대비하여 여러 장수에게 부담시키는 군역의 근원이 되는 어전장 징수에 응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고후성의 축성을 시작했다.

분로쿠의 역에서는 자원하여 직접 출진했으며(이요 오즈번 가토가 번사 『호쿠토로쿠』), 진중에서도 루스이 역할의 미쓰요시 등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며, 영토 경영에 대한 조언을 했다고 한다.

2. 4. 가이 국주 시대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여러 장수와 함께 야마나카성을 함락한 공을 세웠다. 같은 전투에서 오가키성 성주였던 이치류 나오스에가 전사했기 때문에, 하시바 히데카쓰미노국 기후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국 24만 석을 받는 파격적인 발탁을 받았다.

가이국은 간토 8개국을 영지로 하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국경에 해당한다. 미쓰야스는 입국 후 국내와 가와치 지배에는 장남 사쿠지로와 친동생 미쓰마사를, 군나이 지방에는 양자 미쓰요시를 임명했다. 1592년까지 사찰령의 안도나 기진, 여러 역 면제 등을 집중적으로 실시하고, 검지를 실시했다. 이 시기의 검지는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에 대비하여 여러 장수에게 부담시키는 군역의 근원이 되는 어전장 징수에 응한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고후성의 축성을 시작했다.

분로쿠의 역에서는 자원하여 직접 출진했으며(이요 오즈번 가토가 번사 『호쿠토로쿠』), 진중에서도 루스이 역할의 미쓰요시 등과 긴밀한 연락을 취하며 영토 경영에 대한 조언을 했다고 한다. 1593년 9월에는 귀국 예정이었지만, 서생포(서평포)[6]의 진중에서 발병하여 병사했다.

2. 5. 임진왜란과 죽음

겐키 2년(1571년), 아사이 나가마사가 요코야마 토리데를 공격했을 때 이를 격퇴하였다.[3]

덴쇼 6년(1578년), 하리마국 미키성 공격에 참여했고, 덴쇼 10년(1582년) 야마자키 전투에서는 쓰다 노부하루를 기습하여 아케치 미쓰히데의 본대를 공격, 히데요시 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이 공으로 단바국슈잔성 1만 5,000석으로 영지가 늘어났다.[4] 이후 오미 가이즈 성을 거쳐 오미 다카시마성(오미조성)으로 옮겼으며, 다시 오와리 이누야마성으로 옮겨졌다.[5]

덴쇼 11년(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는 군무 봉행을 맡았고, 덴쇼 12년(1584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는 이누야마 성을 지켰으며, 사사 나리마사 토벌전에서도 공을 세웠다. 덴쇼 13년(1585년) 미노 오가키성 성주로 4만 석을 받았으나, 구라이치 2만 석을 자신의 큐닌 토지로 삼아 히데요시의 미움을 사 영지를 몰수당하고 도요토미 히데나가에게 맡겨져 야마토국고리야마성에 칩거했다.

덴쇼 15년(1587년) 사면되어 사와야마성 2만 석을 받고 종5위하·토토미노카미에 임명되었다.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서 야마나카성을 함락한 공으로 가이국 24만 석을 받았다.

가이국 통치 시기, 검지를 실시하고 고후성 축성을 시작했다. 조선 출병(임진왜란)에 자원하여 참전했으나, 분로쿠 2년(1593년) 9월 서생포[6] 진중에서 병을 얻어 향년 57세로 사망했다. 유해는 가이 젠코지에 매장되었다.

3. 독살설

『호토로쿠』에 따르면, 미쓰야스는 조선 출진 중에 이시다 미쓰나리와 대립하여, 미쓰나리의 권유로 미야베 나가후사의 진에서 접대를 받은 후 발병하여 유언장을 쓰고 급사했으며, 미쓰나리에 의한 독살이라는 설이 있다. 독살설에 신빙성을 인정하는 연구가 있다.[7] 동시대에는 독살설이 어느 정도 믿어졌던 듯하며, 아들에게 영지 상속을 인정하지 않은 것도 봉행의 사주가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다. 다만, 도요토미 정권 하에서는 어린 자녀의 가독 상속 시 경영에 어려움이 있다 하여 감봉이나 요충지에서의 전봉(轉封)이라는 예는 일반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수의 사례가 있다.

4. 가계


  • 아버지: 가토 가케야스
  • 어머니: 불명
  • 부인: 이치야나기 가유의 여동생
  • 차남: 가토 사다야스(1580년 ~ 1623년)
  • 생모 불명의 자녀
  • * 여자: 다케나카 시게카도의 정실
  • * 남자: 가토 미쓰나오(1584년 ~ 1633년) - 통칭은 헤이치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지만,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따랐다. 게이초 7년의 지행은 3600석이었다. 간에이 3년에는 사용인이 되었고, 이듬해 간에이 4년 정월에는 종5위하 도토미노카미에 임명되었다. 간에이 10년에 사망하였다.
  • 양자
  • * 남자: 가토 미쓰요시 - 이치야나기 가유의 아들로, 미쓰야스 부인의 조카에 해당한다. 젊은 시절, 가토 미쓰야스에게 아들이 없어, 미쓰요시를 사위 양자로 맞이했다. 그 후, 친아들 사다야스가 태어났기 때문에 가로가 되었다. 미쓰야스가 가이국 24만 석을 얻었을 때에는 4만 석을 받았다. 미쓰야스 사망 후, 이요국 오즈로 전봉된 후에도 가로로서 섬기며, 2000석을 지행했다.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1998
[2] 웹사이트 Rekishi no Meguri—Shiroato Meguri http://www.city.gifu[...] 2008-05-26
[3] 문서 京都府京都市右京区
[4] 문서 所在地不明
[5] 문서 滋賀県高島市高島勝野
[6] 문서 日本外史では「西生浦」と誤記されており、それに従ってこの表記を用いる書籍がある
[7] 논문 濃尾武士団と豊臣政権『大洲加藤文書』の世界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