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야마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누야마성은 아이치현 이누야마시에 위치한 일본의 성으로, 1469년 오다 히로치카가 도리데를 쌓은 것이 시초이다. 1537년 오다 노부야스가 현재 위치에 성곽을 조성했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등을 거쳐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오와리 번에 귀속되었다. 폐번치현 이후 개인 소유로 넘어갔다가 2004년 공익재단법인 이누야마 성 백제문고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이누야마성 천수각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1580년대에 건축된 것으로 확인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누야마성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이누야마성 |
| 원어 이름 | ja(이누야마-조) |
| 별칭 | 백제성 (白帝城) |
| 국가 | 일본 |
| 위치 | 주부 지방(도카이) 아이치현(아이치) 이누야마시(이누야마) |
![]() | |
| 높이 | 19m |
| 문화재 지정 | 국보 (천수) 국가 지정 사적 |
| 역사 | |
| 축성 연도 | 1537년 |
| 축성자 | 오다 히로치카 |
| 주요 인물 | 오다 씨(織田氏) 나루세 씨(成瀬氏) 이케다 쓰네오키(池田恒興) 오다 노부야스(織田信康) |
| 주요 사건 | 해당 사항 없음 |
| 해체 | 1871년 |
| 구조 | |
| 성곽 종류 | 평산성 |
| 천수 구조 | 복합식 망루형 3층 4계 지하 2층 (1601년 축조, 1620년 개축) |
| 주요 건축물 | 현존 천수, 석벽, 토루 |
| 재건 건축물 | 망루, 문 (모의) |
| 관리 | |
| 소유 | 공익재단법인 이누야마성 하쿠테이 문고 |
2. 역사
이누야마 성은 기소강 연안에 위치한 평산성으로, 오와리국과 미노국의 경계에 자리 잡고 있다. 에도 시대 유학자 오규 소라이는 이백의 시 「조발백제성」에서 영감을 받아 이누야마 성을 '''백제성(白帝城)'''이라고도 불렀다.[3]
이누야마 성의 기원은 헤이안 시대의 『延喜式(엔기시키)』에 기록된 針綱神社(하리쓰나 신사) 이전과 관련이 있으며, 무로마치 시대에 여러 차례 재건되었다. 현재의 모습은 오다 노부카쓰, 오다 노부나가 등의 영향을 받았다. 과거에는 천수각의 낡은 건축 양식 때문에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천수각으로 여겨졌으나, 건축 자재의 나이테를 통해 1580년대에 지어졌음이 확인되었다.[3] 건축과 개보수는 1620년까지 계속되었다.[4]
오다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시카와 사다키요를 이누야마 성주로 임명했고, 이시카와는 성의 방어 시설을 재건하여 현재의 망루 모습을 갖추게 했다.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시카와 씨를 축출하고 성을 오와리 번에 넘겼다.
도쿠가와 막부 시대에는 나루세 씨(成瀬氏)가 오와리 도쿠가와 씨의 가신으로서 이누야마 번을 통치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1895년 성을 반환받아 1935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2004년까지 일본에서 유일하게 개인이 소유한 성이었다.
2004년 이후에는 아이치현 교육위원회가 설립한 비영리 재단에 성의 소유권이 이전되었다.[5]
1961년부터 1965년까지의 대규모 보수 공사를 통해, 이누야마 성의 천수각이 1599년 가나야마 성에서 옮겨졌다는 오랜 믿음은 사실이 아님이 증명되었다.[6]
2. 1.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1469년 오다 히로치카가 이 지역에 도리데[31]를 쌓은 것이 이누야마 성의 시초라고 전해진다. 1537년 오다 노부야스는 거성 기노시타 성을 폐성시키고 현재 위치에 성곽을 조성해 이주했는데, 지금 존재하는 천수의 2층까지는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노부야스가 사이토 도산과의 전투에서 전사하고 그의 아들 노부키요가 성주가 되지만, 오다 노부나가와 대립한 끝에 1564년 노부나가에게 공격받아 성을 빼앗긴다.[3] 이후, 이케다 쓰네오키, 오다 가쓰나가 등이 성주를 역임했다.혼노지의 변 후에는 오다 노부카쓰의 지배하에 있던 가신 나카가와 사다나리가 성주가 되었지만, 1584년 전(前) 이누야마 성 성주였던 이케다 쓰네오키가 기습하여 성을 빼앗았다. 이는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의 전초전이었다. 전투 후 다시 오다 노부카쓰의 성이 되지만, 그가 실각한 후에는 미요시 요시후사 등이 성주를 역임했다.
도요토미 정권 시기에는 이시카와 사다키요가 성주가 되었고, 미노국 가나야마성의 천수를 이축해 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1961년 해체 수리 결과, 이축의 흔적을 찾을 수 없어 현재 이 이축설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6]
헤이안 시대의 『延喜式(엔기시키)』에 따르면, 신사인 針綱神社(하리쓰나 신사)가 성을 짓기 위해 옮겨졌다고 한다. 무로마치 시대에 여러 차례 재건되었으며, 현재의 모습은 주로 오다 노부카쓰(織田信勝), 오다 노부나가의 아들의 업적이다. 천수각(天守) 꼭대기에 있는 낡은 건축 양식 때문에 과거 많은 역사가들은 이것이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천수각이라고 믿었는데, 건축 자재의 나이테를 통해 1580년대에 지어졌다는 것이 확인되었다.[3] 건축과 개보수는 1620년까지 계속되었다.[4]
이누야마 성은 오다 노부나가의 오와리(尾張) 통일을 막는 마지막 장애물이었다. 노부나가가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이마가와 씨(今川氏)를 패배시킨 후, 그의 사촌인 오다 노부키요(織田信清)는 미노(美濃)의 사이토 요시타쓰의 지원을 받아 이누야마 성을 점령했다. 노부나가는 1564년에 성을 탈환했다.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이시카와 사다키요(石川貞清)를 이누야마 성주로 임명했다. 이시카와는 당시의 설계에 따라 성의 방어 시설을 재건했고, 현재의 망루 모습은 이 재건의 결과이다. 세키가하라 전투 후,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시카와 씨를 축출하고 성을 오와리 번에 넘겼다.
2. 2. 에도 시대
1601년 오가사와라 요시쓰구가 성주가 되었고, 1607년에는 히라이와 지카요시가 성주가 되었다. 지카요시가 사망한 후 6년간 공백기를 거쳐, 1617년 나루세 마사나리가 성주가 되면서 천수에 가라하후[32]가 증축되었다. 이후 에도 시대를 거쳐 나루세씨 9대의 거성이 되었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했던 이전 성주 이시카와 사다키요는 몰락하였고,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시카와 씨를 축출하고 성을 오와리 번에 넘겼다.[3]도쿠가와 막부 시대에는 나루세 씨가 오와리 도쿠가와 씨의 가신으로 이누야마 번의 다이묘로서 메이지 유신까지 통치했다.
2. 3. 메이지 시대 이후 ~ 현재
1871년 8월 29일(일본식 연호: 메이지 4년 7월 14일) 폐번치현으로 이누야마성은 폐성되었다. 전국적으로 폐번치현이 단행되면서, 이누야마성은 천수각을 제외한 망루, 성문 등 대부분이 철거되었다.[10]1891년 10월 28일, 노우비 지방에서 노우비 지진이 발생하여 이누야마성 천수각의 남동쪽 모서리의 부속 망루가 무너졌다.[10] 1895년, 아이치현은 옛 이누야마 번주인 나루세 마사미쓰에게 성을 보수하는 조건으로 무상 양도하였다.[10]
1935년(쇼와 10년), 이누야마성 천수각은 당시의 국보보존법에 기반하여 당시의 국보(구 국보, 현행 법제하에서는 중요문화재에 해당)로 지정되었다. 1952년 3월 29일에는 문화재보호법에 기반하여 다시 국보(신국보, 현행 법제하의 국보)로 지정되었다.[10]
1959년 9월 27일, 이세만 태풍으로 이누야마성도 큰 피해를 입었다. 1961년부터 1965년까지 천수각 해체를 포함한 대규모 보수 공사가 진행되었다.[6]
2004년 4월 1일, 이누야마 성의 소유주가 개인에서 재단법인 이누야마 성 하쿠테이 분코(犬山城白帝文庫)로 변경되었다. 이누야마 성은 나루세 가(이누야마 번)의 당주가 성주로서 개인 소유하는 문화재였으나, 유지의 어려움으로 인해 나루세 마사히로의 여동생인 나루세 준코가 재단법인을 설립하고 이사장에 취임하면서 법인 소유가 되었다.[11]
2006년 4월 6일, 이누야마 성은 일본성곽협회 주최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다.
2013년 4월 1일, 재단법인 이누야마성 백제문고는 공익재단법인 이누야마성 백제문고로 전환되었다.[12]
2017년 7월 12일, 천수각의 샤치호코 파손이 확인되었는데, 당일 낙뢰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2018년 2월 26일에 수리가 완료되었다.[13] 2020년 3월 하순에는 2017년 낙뢰로 파손된 샤치호코 몸통 부분이 천수각 북동쪽 약 30미터 지점에서 발견되었다.[14]
2018년 2월 13일, 이누야마 성터가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3] 2019년에는 내진 공사가 진행되었다.
2021년 7월부터 이누야마성 남쪽에서 발굴 조사를 실시한 결과, 그림에 그려져 있던 해자 등이 지하에 양호한 상태로 남아 있었던 것이 확인되었다.
3. 건축 구조
(2012년 11월)]]
3. 1. 천수각
센고쿠 시대의 천수가 현존하고 있으며, 1935년 국보보존법에 의해 국보(舊국보)로 지정되었고, 1952년 문화재보호법으로 개정되어 다시금 국보(新국보)로 지정되었다.[2] 마쓰모토 성, 히코네 성, 히메지 성도 마찬가지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이누야마 성의 천수각은 외관은 3층, 내부는 4층이며, 지하에는 춤추는 장소를 포함한 2층이 있다. 천수각 남쪽과 서쪽에는 평집의 부속 망루가 딸린 복합식으로, 이리저리 기와를 얹은 2층 2단 건물 위에 3칸×4칸의 전망대 부분을 올린 전망대식 천수각이다. 창문은 솟을대문과 화등창, 양쪽으로 열리는 창문 등이 있으며, 지하 1층, 2층 출입구를 포함하여 총 연면적은 698.775m2에 달한다. 천수대 석축은 산쌓기 방식으로 쌓았으며, 높이는 5m이다. 천수각의 높이는 19m이다.
나리세가(成瀬家) 7대 당주 마사토시(正壽)가 네덜란드 상관장과 친분이 있었기 때문에, 천수각 최상층에 카펫을 깔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쇼와 시대 수리 때 재현되었다.
2017년 7월 12일 16시경, 샤치호코가 몸통에서 꼬리에 걸쳐 크게 파손된 것이 발견되었다. 천수각 북쪽에 있는 피뢰침이 구부러져 있었고, 이날 오후부터 뇌우가 왔기 때문에, 이누야마시(犬山市)는 낙뢰가 원인으로 보고 있다.[17] 샤치호코는 기와로 만들어졌으며, 2018년 2월 26일에 천수각에 설치되었다.[18] 같은 해 3월 17일에 기념식이 열렸다.[19]
1961년(쇼와 36년)부터 1965년(쇼와 40년)에 걸쳐 실시된 이누야마성 천수각 해체 수리와 고문헌 등을 통해, 이 천수각은 아래 2중 2층의 본채가 1537년(덴분(天文) 6년)[23] 또는 1601년(게이초 6년)에 건립되었고, 1620년(겐와(元和) 6년)경에 3, 4층이 증축된 후, 그 뒤로는 겹처마 지붕 추가 등이 이루어져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고 여겨졌다.[24]
2019년부터 이누야마시(犬山市)의 의뢰로 나고야공업대학 대학원 등이 실시한 건축 자재의 나이테 연대 측정법에 의한 조사에서는, 기둥은 물론이고 바닥판 등 천수각의 주요 건축 자재가 1585년부터 3년 사이에 벌채된 것으로 판명되어, 처음부터 1층부터 4층까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건축된 것으로 보인다는 보고가 있었다.[25]
3. 2. 천수각 외 유구
폐번치현에 따른 폐성 처분 전후, 이누야마성의 건축물 대부분은 매각되어 파괴되거나 이축되었지만, 일부는 현재까지 남아 있다. 이축되어 현존하는 건축물들은 다음과 같다.| 건축물 | 이축 연도 | 이축 위치 및 용도 |
|---|---|---|
| 야라이 문 | 1876년 | 센슈인(다나하군 후소정 카시와모리 소재) 동문으로 재활용 |
| 구로 문 | 1876년 | 도쿠린지(다나하군 오구치정 요노 소재) 산문으로 재활용 (소토이가 병설됨) |
| 마쓰노마루 문 | 1868년 | 조렌지(아이치현 이치노미야시 센슈정 호즈미즈카혼고 소재) 산문으로 재활용 |
| 우치다 문 | 1876년 | 스이센지(이누야마시 이누야마스이센지 소재) 산문으로 재활용 (원래 미노 긴잔성의 오테몬이었다는 전승) |
어디에 있던 문인지 불명확하지만, 옛 성문이라고 전해지는 문이 운젠지(이치노미야시 아사이정 다이히비노 소재)로 이축되어 산문으로 재활용되었다. 이 문은 1891년 노우비 지진으로 붕괴된 후 다른 형태로 개수되었으나, 1993년 수리로 초기 모습에 가까운 형태로 재개수되었다. 또 다른 옛 성문이라고 전해지는 문은 개인 주택으로 이축되었다.
운젠지 산문은 이치노미야시, 센슈인 동문은 후소정, 도쿠린지 산문은 오구치정의 지정 문화재이다.[10][26]
4. 역대 성주
미와 고로에몬
메이지 28년 - 메이지 36년 (서력: 1895년 - 1903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