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요토미 히데나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1540년 오와리국에서 태어나, 형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보좌하며 그의 천하통일에 기여한 무장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재정과 행정을 담당하며 형의 주요 전략을 지원했고,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1585년 시코쿠 정벌에서 공을 세워 야마토국을 하사받아 고리야마성을 거점으로 삼았으며, 1587년 규슈 정벌에서 별동대 총대장으로 활약했다. 1590년부터 병으로 오다와라 정벌에 참가하지 못했고, 1591년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히데나가는 온화한 성격으로 히데요시의 결점을 보완하며 도요토미 정권의 안정을 도왔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이국 사람 - 스즈키 마고이치
    스즈키 마고이치는 스즈키 씨 일족이 주로 계승한 사이카슈의 두령 칭호로, 여러 인물이 존재하며 그들의 행적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중 이시야마 합전에서 활약한 스즈키 시게히데가 가장 유명하며, 스즈키 시게자네, 스즈키 요시카네, 스즈키 시게토모 등도 관련 인물로 여겨진다.
  • 기이국 사람 - 스기와카 우지무네
    스기와카 우지무네는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가덕 왜성의 성주를 지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해 오사카성 방어 및 오쓰성 전투에 참여했지만, 패배 후 개역되었다.
  • 1591년 사망 - 교황 인노첸시오 9세
    교황 인노첸시오 9세는 조반니 안토니오 파키네티라는 본명으로, 니카스트로 주교, 베네치아 교황 대사, 추기경을 거쳐 1591년 짧게 교황으로 재임하면서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펠리페 2세와 가톨릭 동맹을 지지했다.
  • 1591년 사망 - 호조 우지나오
    호조 우지나오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고 호조 씨의 제5대 당주였으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다와라 정벌로 가문이 몰락하는 과정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사위였기에 목숨을 건져 다이묘로 복귀했으나 곧 병사하여 호조 종가는 단절되었다.
  • 야마토국 사람 - 쇼토쿠 태자
    쇼토쿠 태자는 일본 아스카 시대의 인물로, 불교 장려, 17조 헌법 제정, 수나라 외교 등 고대 일본 국가 형성에 기여했으며, 여러 일화와 지폐 도안으로 유명하지만, 업적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 야마토국 사람 - 야마다 사부로
    야마다 사부로는 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으며 국제사법 권위자로 한·프랑스 문화 교류에 기여한 일본의 법학자이자 관료이다.
도요토미 히데나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요토미 히데나가
도요토미 히데나가
본명고이치로 (小一郎)
다른 이름하시다 고이치로 (羽柴 小一郎)
하시다 히데나가 (羽柴 秀長)
출생일1540년 4월 8일
사망일1591년 2월 15일
사망 장소고리야마, 야마토 국
묘소나라현야마토코리야마시 (다이나곤즈카)
교토시기타구다이토쿠지다이코인
별명미노노카미
야마토노다이나곤
계명다이코인덴젠아소슈가쿠쇼에이다이코지 (大光院殿前亜相春岳紹栄大居士)
관직
관직이즈미 국, 기이 국, 야마토 국의 태수
임기 시작1585년
임기 종료1591년
최종 관위다이나곤
소속
가문도요토미 씨
군사 복무주코쿠 캠페인 (1577-1582)
야마자키 전투 (1582)
시즈가타케 전투 (1583)
고마키·나가쿠테 전투 (1584)
시코쿠 침공 (1585)
규슈 정벌 (1587)
가족 관계
아버지다케아미
어머니오만도코로
형제자매도요토미 히데요시 (이복형)
아사히노가타 (누이)
조카도요토미 히데쓰구
도요토미 히데요리
배우자지운인
자녀고이치로 (요절)
다이젠인 (모리 히데모토 부인)
오미야 (도요토미 히데야스 부인)
양자도요토미 히데야스
센마루
이와
기타
도요토미 히데나가 서명
도요토미 히데나가 서명

2. 생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동생인 히데나가는 형을 도와 오다 정권과 도요토미 정권에서 중책을 맡았다. 1587년(덴쇼 15년) 규슈 정벌에서 공을 세워 종 2위 다이나곤에 임명되어 야마토 다이나곤(大和大納言)이라고 불렸다.[5]

히데나가는 형 히데요시를 도와 내정과 외교 등 다방면에서 활약했다. 특히 1585년(덴쇼 13년) 시코쿠 정벌에서는 총대장으로 조소카베 모토치카를 항복시키는 큰 공을 세웠다. 이후 야마토, 기이, 이즈미 등 116만 석의 영지를 다스리며 내정에도 힘썼다.

히데나가는 온화한 성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토모 소린은 히데요시가 "사적인 일은 센 리큐에게, 공적인 일은 히데나가에게 문의하라"라고 말했다고 기록했다. 히데나가는 형에게 조언과 간언을 아끼지 않았으며, 히데요시는 동생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고 한다.

히데나가는 임진왜란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그는 "외국과의 싸움은 손실만 클 뿐 얻는 것이 없으니, 화친을 맺고 교역을 하는 것이 부국강병의 지름길이다"라고 주장했다.

1590년(덴쇼 18년) 1월부터 병을 앓기 시작하여 오다와라 정벌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1591년(덴쇼 19년) 1월 22일, 야마토국 고리야마 성에서 5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 아들이 없었기에 조카 히데야스를 양자로 삼아 가문을 이었다. 히데나가의 장례는 성대하게 치러졌으며, 많은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8]

히데나가의 죽음은 도요토미 정권에 큰 손실이었다. 그의 죽음 이후 센 리큐 할복, 도요토미 히데쓰구 처벌 사건 등 여러 사건이 발생했고, 도요토미 정권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일각에서는 히데나가가 더 오래 살았다면 히데요시의 실정을 막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정권 찬탈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묘소「대납언塚」(나라현 야마토고리야마시)

2. 1. 출생과 초기 생애

덴쇼 9년(1540년) 오와리국 나카무라 촌에서, 미카와국 출신의 몰락한 다인(茶人) 치쿠아미(竹阿彌)와 히데요시의 친어머니 나카(なか, 후일의 오만도코로) 사이에 태어났다. 나카는 첫 남편 야에몬과 사이에서 히데요시를 낳았으나 오와리국아시가루(일개 병졸)였던 남편의 전사 후 재혼했다. 그래서 히데나가와 히데요시는 아버지가 다르다(친동생이라는 설도 있다).[5] 동복 형 히데요시는 친모의 재혼 후 어린 나이에 절에 맡겨져 집과 연이 끊어졌고, 히데나가의 친아버지인 치쿠아미는 생활력이 없어 히데나가는 친모 나카와 함께 농사일 등 집안 일을 도맡아야 했다. 형 히데요시가 이마가와의 부하 마츠시다 집안에 취직했으나 실수를 저질러 쫓겨난 후 낙향하자 본격적으로 둘의 인연이 시작됐다. 형이 오다 노부나가에게 고용돼 점점 출세를 시작하면서 비록 아버지가 다르다곤 하나 동복 동생인 그도 형 일을 돕기 위해 사무라이가 됐다. 당시 히데요시의 벼슬은 아시가루 소두(小頭)였다.

그의 일은 형이 정무와 전투 등에 몰두할 수 있도록, 재정과 행정 일에서 형을 보좌하는 일이었다. 형이 욕심이 많아 일을 많이 벌리는 통에 뒷수습에 애를 많이 먹었다고 하며 재정 뒷받침을 위해 분투했다고 한다. 평민 출신으로 형과 전혀 다를 것이 없는 히데나가가 어떻게 글을 배웠고 셈에 밝았는가는 알려진 바가 적다. 히데요시의 직필 중 한자를 쓴 것은 도장이나 수결(사인)이 많고 대부분은 히라가나이다. 심지어 가신의 녹봉을 손수 정할 때도 한자가 아닌 히라가나로 적는 등 배움이 없었던 반면, 히데나가는 각종 행정일을 무리없이 원만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있었다.

겐키(元龜) 원년(1570년) 에치젠(越前 ; 아사쿠라 씨(朝倉氏)의 본거지) 토벌 도중 노부나가의 매제 아자이 나가마사(淺井長政)의 배신을 보고받은 오다군은 퇴각을 결정하고, 히데요시는 후위군을 맡아 후퇴전을 치렀다.(가네가사키 탈출전). 히데나가는 제1부대장으로서 하치스카 마사카쓰(蜂須賀正勝)와 마에노 나가야스(前野長康) 등과 전력을 다해 아자이 아사쿠라 군의 맹추격으로부터 오다 도쿠가와 연합군 본대의 뒤를 지켰다.

1573년(덴쇼 원년) 오다니 성 함락 및 노부나가의 친동생 오이치를 생환시킨 공로로 형 히데요시가 오다니 성주(영지 규모 10만여 석)가 되면서 히데나가도 1만 2천 석을 형으로부터 분봉받았다. 히데요시는 곧 이마하마에 새로 성을 신축하고 나가하마 성으로 이름을 고쳐 거성을 옮겼고, 히데나가가 성주 대리를 맡았으며 같은 시기 하시바 성을 창씨한 형과 함께 하시바로 성을 고치고 이름도 히데나가(秀長)라고 개명했다. 오다 집안의 역대 4중신 중 하나였던 니와 나가히데(丹羽長秀)의 이름을 땄다.

1574년(덴쇼 2년) 히데요시가 에치젠 잇코잇키(一向一揆 ; 일종의 농민반란)와 대치하여 출진했기 때문에 형의 대리로써 나가시마(長島) 잇코잇키 토벌에 출진했다. 이 일은 《신초코키》(信長公記 ; 노부나가의 생애를 적은 서적)에도 기록되어 있어, 이미 무장으로서도 역량을 발휘하고 있었다고 여겨진다.

1576년(덴쇼 4년) 히데나가는 이 때 중요한 가신 하나를 얻는데, 곧 히데나가의 오른팔로 성장한 도도 다카토라를 등용했다. 도도는 아자이의 아시가루였으나 오다에게 멸망된 후에는, 오다에 항복한 아자이 가신들, 아쓰지 사다유키(阿閉 貞征), 이소노 가쓰마사(礒野 員昌) 등을 섬겼고, 오다 노부즈미 역시 섬긴 적이 있으나 사관 기간은 하나같이 짧았었다. 이 탓에 경제적으로 곤궁해 사무라이 신분에 무전취식을 하다 주인한테 맞은 에피소드가 있을 정도다. 이 주종 관계는 히데나가의 양자였던 히데야스(秀保)가 일찍 세상을 떠나고 도도가 다이묘로 성장할 때까지 계속됐다.

2. 2. 오다 노부나가 시대

오다 노부나가에게 고용된 형 히데요시가 점점 출세하기 시작하면서, 아버지는 다르지만 동복 동생인 히데나가도 형을 돕기 위해 사무라이가 되었다. 당시 히데요시의 벼슬은 아시가루 소두(小頭)였다.[5]

히데나가는 형이 정무와 전투 등에 몰두할 수 있도록 재정과 행정 면에서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다. 히데요시는 욕심이 많아 일을 많이 벌이는 편이었고, 히데나가는 그 뒷수습과 재정 지원을 위해 분투했다. 평민 출신인 히데나가가 어떻게 글을 배우고 셈에 밝았는지는 알려진 바가 적다. 히데요시는 직필 중 한자를 쓴 것은 도장이나 수결(사인)이 대부분이고 나머지는 히라가나로 작성했다. 심지어 가신의 녹봉을 정할 때도 한자 대신 히라가나를 사용할 정도로 학식이 부족했던 반면, 히데나가는 각종 행정 업무를 원만하게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겐키(元龜) 원년(1570년) 에치젠(越前 ; 아사쿠라씨의 본거지) 토벌 도중 노부나가의 매제 아자이 나가마사(淺井長政)가 배신하자 오다 군은 퇴각을 결정했다. 이때 히데요시는 후위군을 맡아 퇴각전을 치렀다.(가네가사키 탈출전). 히데나가는 제1부대장으로서 하치스카 마사카쓰(蜂須賀正勝)와 마에노 나가야스(前野長康) 등과 함께 아자이, 아사쿠라 연합군의 맹추격으로부터 오다, 도쿠가와 연합군 본대를 지켜냈다.

1573년(덴쇼 원년) 오다니성 함락 및 노부나가의 친동생 오이치를 생환시킨 공로로 히데요시가 오다니 성주(영지 규모 10만여 석)가 되면서 히데나가도 1만 2천 석을 분봉받았다. 히데요시는 이마하마에 새 성을 짓고 나가하마성으로 개명하여 거성을 옮겼고, 히데나가는 성주 대리를 맡았다. 같은 시기 하시바 성을 사용한 형을 따라 히데나가도 하시바 성으로 개명하고, 이름도 히데나가(秀長)로 바꾸었다. 이는 오다 가문의 4중신 중 하나였던 니와 나가히데(丹羽長秀)의 이름을 딴 것이다.

1574년(덴쇼 2년) 히데요시가 에치젠 잇코잇키(一向一揆 ; 일종의 농민반란)와 대치하여 출진했기 때문에, 히데나가는 형을 대신하여 나가시마(長島) 잇코잇키 토벌에 나섰다. 이 내용은 《신초코키》(信長公記 ; 노부나가의 생애를 기록한 서적)에도 기록되어 있어, 히데나가가 이미 무장으로서도 역량을 발휘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1576년(덴쇼 4년), 히데나가는 훗날 자신의 오른팔이 될 도도 다카토라를 등용했다. 도도는 아자이 가문의 아시가루였으나 오다 가문에 멸망된 후, 오다에 항복한 아자이 가신 아쓰지 사다유키(阿閉 貞征), 이소노 가쓰마사(礒野 員昌) 등을 섬겼고, 오다 노부즈미를 섬기기도 했지만, 모두 짧은 기간이었다. 이 때문에 경제적으로 어려워 사무라이 신분임에도 무전취식을 하다 주인에게 맞는 일화가 있을 정도였다. 이 주종 관계는 히데나가의 양자 히데야스(秀保)가 요절하고 도도가 다이묘로 성장할 때까지 이어졌다.

1577년(덴쇼 5년), 히데요시가 산요 가도 방면 주고쿠 총사령관이 되면서 하리마국(현 효고현) 공략이 시작되었다. 고데라 마사모토(小寺 政職)가 오다 가문에 종속을 결심하고 거성인 히메지성을 넘기자, 히데요시는 히메지 성에 공략 본부를 설치했다. 하리마와 단바 사이에 위치한 다지마국 다케다성(竹田城)이 사이무라 마사히로(齋村政廣)에 의해 함락되자 히데나가는 다케다 성주 대리에 임명되었고, 영지는 4만 석으로 늘었다. 다지마는 은광으로 유명했는데, 히데나가는 은광 관리를 맡아 주고쿠 공략의 재정을 담당했다. 처음에는 은 생산으로 재정 문제가 해결되는 듯했지만, 모리와 모리 가문에 의탁한 전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 등이 히메지 방면으로 진출하면서 인부들이 떠나 재정 위기를 겪게 된다.

1580년(덴쇼 8년), 벳쇼 나가하루의 배반을 진압하고 다지마 이즈시성(出石城)을 함락시켜 다지마 평정을 완료했다. 히데나가는 이즈시 성으로 거처를 옮기고 다지마 7군(郡) 10만 5천 석을 다스리는 다이묘가 되었으며, 이쿠노(生野) 은광 관리도 겸했다.

1582년(덴쇼 10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히데요시를 따라 야마자키 전투에 참전했다. 구로다 요시타카와 함께 덴노산(天王山) 수비를 맡았다.

2. 3. 도요토미 히데요시 시대

덴쇼 9년(1540년) 히데나가는 오다 노부나가에게 고용되어 출세하기 시작한 형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돕기 위해 사무라이가 되었다. 당시 히데요시는 아시가루(足軽) 소두(小頭)였다. 히데나가는 재정과 행정 분야에서 형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다. 평민 출신인 히데나가가 어떻게 글을 배우고 셈에 밝았는지는 알려진 바가 적지만, 각종 행정일을 무리 없이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2]

겐키(元亀) 원년(1570년), 히데나가는 에치젠 토벌 도중 아자이 나가마사의 배신으로 퇴각하는 오다군을 엄호하는 후위부대의 제1부대장으로서 하치스카 마사카쓰, 마에노 나가야스 등과 함께 오다-도쿠가와 연합군 본대를 지켰다.

1573년(덴쇼 원년), 오다니 성 함락 및 오다 노부나가의 친동생 오이치를 생환시킨 공로로 히데요시가 오다니 성주(영지 규모 10만여 석)가 되면서 히데나가도 1만 2천 석을 분봉받았다. 히데나가는 나가하마 성의 성주 대리를 맡았으며, 하시바(羽柴)로 성을 바꾸고 히데나가(秀長)로 개명했다. 이는 오다 가문의 중신이었던 니와 나가히데의 이름을 딴 것이다.

1574년(덴쇼 2년), 히데요시는 에치젠 잇코잇키(一向一揆)와 대치하여 출진했기 때문에 히데나가는 형을 대신하여 나가시마(長島) 잇코잇키 토벌에 출진했다. 이 일은 《신초코키》(信長公記)에도 기록되어 있다.

1576년(덴쇼 4년), 히데나가는 도도 다카토라를 등용했다. 도도 다카토라는 이후 히데나가의 오른팔로 성장했으며, 히데나가의 양자였던 히데야스(秀保)가 사망하고 다이묘로 성장할 때까지 주종 관계를 이어갔다.

1577년(덴쇼 5년), 히데요시가 주고쿠 지방 총사령관이 되면서 하리마국 공략이 시작되었다. 다지마국 다케다 성(竹田城)이 함락되자 히데나가는 다케다 성주 대리에 임명되었고, 영지는 4만 석으로 늘었다. 히데나가는 다지마의 은광 관리를 맡아 주고쿠 공략의 재정을 담당했다.

1580년(덴쇼 8년), 벳쇼 나가하루의 배반을 진압한 후 다지마 이즈시 성(出石城)을 함락시킨 히데나가는 다지마 평정을 완료하고 7군(郡) 10만 5천 석을 다스리는 다이묘가 되었다. 이쿠노(生野) 은광 관리도 겸했다.

덴쇼 10년 6월 2일 혼노지의 변으로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히데나가는 히데요시를 따라 야마자키 전투에 참전했다. 구로다 요시타카와 함께 덴노 산(天王山)의 수비를 맡았고, 전투 후 종 5위하 미노노카미(美濃守)에 임명되었다.

덴쇼 11년, 시즈가타케 전투에 참전하여 시바타 가쓰이에군과 대치했다. 오다 노부타카가 거병하자 히데요시는 그를 제압하러 갔고, 그 사이 사쿠마 모리마사가 본진을 침공했다. 나카가와 기요히데가 전사했으나, 히데요시 군의 원군에 힘입어 전투에서 승리했다.

덴쇼 12년,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히데나가는 오다 노부카쓰를 감시했다. 조카 하시바 히데쓰구가 히데요시에게 질책을 받았지만, 이후 히데나가는 히데쓰구를 데리고 종군하며 시코쿠 정벌(四國)에서 전공을 세우게 하여 히데요시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도록 도왔다.

덴쇼 13년, 기이국 사이가 씨(雜賀氏) 공격에서 히데쓰구와 함께 히데요시의 부관으로 임명되었다. 정벌 후 기이, 이즈미 등 64만 석의 영지를 받았다. 같은 해 와카야마 성 축성 시 도도 다카토라를 보청부교(普請奉行)에 임명했다.

같은 해 6월, 시코쿠 정벌에서 10만이 넘는 대군의 총대장을 맡아 조소카베 모토치카를 항복시킨 공으로 야마토를 하사받아 고리야마 성을 거성으로 삼아 약 116만 석의 대 다이묘가 되었다. 야마토, 이즈미, 기이는 신사와 사찰의 세력이 강했지만, 히데나가는 가혹한 처벌을 피하며 문제를 해결하여 내정 면에서도 큰 공적을 남겼다.

덴쇼 15년 규슈 정벌에서는 별동대의 총대장으로 출진하여 무공을 세웠고, 8월에 종 2위 다이나곤에 임명되었다.

2. 4. 다이나곤(大納言) 임명과 죽음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동생인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덴쇼 15년(1587년) 규슈 정벌에서 별동대 총대장으로 출진하여 무공을 세웠고, 그 공적으로 8월에 종 2위 다이나곤에 서임되었다. 그리하여 사람들에게 야마토 다이나곤(大和大納言)이라고 불렸다.[5] 그러나 덴쇼 18년(1590년) 1월경부터 병으로 쓰러져 오다와라 정벌에는 참가할 수 없었다. 히데요시는 동생을 걱정하여 오다와라 정벌 이전에도 병문안을 갔고, 나라의 신사에 동생의 병이 낫기를 기원했다.

덴쇼 19년(1591년) 1월 22일 야마토국 고리야마성에서 병으로 사망했다. 향년 52세였다.[7]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가문은 조카 도요토미 히데야스를 양자로 들여 대를 이었다. 히데나가의 장례는 같은 달 29일 대덕사 고계화상의 인도로 성대하게 치러졌다. 고서에서는 “들과 산에 사람들이 가득 찼다”라고 말할 정도로 추모객이 모여들었다고 전한다.

계명(戒名)은 “대광원전전아상춘악소영대거사(大光院殿前亞相春岳紹榮大居士)”이다. 현재 야마토코리야마시에 [다이나곤무덤(大納言塚)]이 전해지고 있다.[8] 또한 오사카시 중앙구 호코쿠 신사(豊國神社)에는 형 히데요시와 조카 도요토미 히데요리도 함께 제사를 지내고 있다.

3. 평가

도요토미 히데나가는 온화한 성격으로, 형인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보좌하여 그의 위업 달성에 기여했다. 또한 관대하고 너그러운 인물로 히데요시의 결점을 잘 보완했다. 그 때문에 여러 다이묘들이 히데요시에게 중재를 부탁했고, 많은 이들이 자신의 지위를 지킬 수 있었다.[7]

히데나가는 사찰이 많은 야마토를 다스렸지만 큰 다툼이 없었던 것으로 보아 실무 능력도 높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만약 수명이 길었다면 도요토미 정권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7]

동시대의 『다문원일기』 저자인 영준은 히데나가의 죽음을 다음과 같이 평했다.

> 쌀과 돈, 금은이 가득 차 있었다(야마토고리야마성 내에). 번영하는 자는 반드시 쇠퇴하지만, 그것은 재물을 많이 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히데나가가 죽어서) 나라의 앞날은 어떻게 될까. 걱정이다.

4. 일화


  •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른팔로서 문무 양면에서 활약하며 천하통일에 공헌했다. 온후한 인품으로 형을 보좌했으며, 다이묘들로부터 깊은 신뢰를 받은 인격자였다. 오토모 소린은 히데나가를 두고 “사적인 일은 센 리큐에게, 공적인 일은 히데나가에게 문의하라”라는 히데요시의 말을 기록하기도 했다.[1]

  • 오다 가신 시절부터 내정과 대인 관계 조정에 능력을 발휘하여, 불협화음이 많았던 도요토미 정권의 주춧돌 같은 역할을 했다. 히데요시의 천하통일 후에도 신사와 사찰 세력이 강성했던 야마토, 사이가 무리의 본거지였던 기이, 이즈미를 평화롭게 다스린 것은 히데나가의 공적이었다.[1]

  • 항상 형을 생각하며 동생의 신분을 넘지 않고 조언과 간언을 아끼지 않았다. 히데요시는 훌륭한 동생 덕에 높은 지위에 올랐다고 생각하여 동생의 말에 항상 귀를 기울였다.[1]

  • 히데나가는 임진왜란에 반대했다. 병석에서 “지금까지 외국과의 싸움에서 인마와 병량을 소비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다. 손실은 크나큰데, 어느 것도 얻은 것은 없다. 화친을 맺고 교역을 하는 것만이 부국으로 가는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 센 리큐 할복, 도요토미 히데쓰구 처벌 사건 등은 히데나가의 사후에 일어났다.[1]

  • 히데나가가 진행하던 체제 정비는 그의 죽음으로 미완성으로 끝나, 문치파 관료와 무공파 무장의 대립을 불렀다. 히데나가가 더 오래 살았다면 히데요시 만년의 실정이 없었을 수도 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찬탈을 막았을 가능성도 있다.[1]

  • 히데나가의 죽음은 도요토미 정권을 뒤흔든 큰 손실이었다. (단, 조선 출병 반대에 대한 출처는 “무공야화”이기에 진실성에는 의문이 있다.)[1]

  • 1588년(덴쇼 16년) 기이국 사이가에서 대관에게 명령했던 목재 2만 개를 팔아 자금을 착복하는 등 축재에 열을 올리기도 했다. (다문원일기)[1]

5.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치쿠아미미카와국 출신의 몰락한 다인(茶人)
어머니오만도코로1516년 ~ 1592년
형제자매도요토미 히데요시
형제자매아사히노카타
형제자매토모소에다 진베와 결혼
아내치운인
양자도요토미 히데야스히데나가의 누이인 토모와 미요시 요시후사의 둘째 아들. 히데나가의 친딸인 오미야를 정실로 맞이하여 히데나가의 후계자가 됨.
양자후지도우 타카요시니와 나가히데의 셋째 아들 센마루. 히데요시의 명으로 조카인 히데야스가 후계자가 되었기 때문에, 히데나가의 가신인 후지도우 타카토라의 양자가 됨.
자녀고이치로(후에 요스케)
자녀키쿠히메도요토미 히데야스와 결혼
자녀다이젠인모리 히데모토와 결혼
정실지운원(智雲院)히데나가의 정실. 원호(院号)는 자운원방실소경(慈雲院芳室紹慶)[9]
측실흥준니(興俊尼)히데나가의 측실이라고 전해짐. 아키노 덴자에몬의 딸.
친아들하시바 쇼이치로기노시타 요이치로라고도 함. 혼노지의 변 전후에 요절.
장녀다이젠인(오키쿠)어머니는 고슈닌 또는 불명. 모리 히데모토의 정실이었으며 게이초 14년(1609년)에 사망.
차녀오미야덴쇼 19년(1591년) 1월에 어려서 사촌인 히데야스의 정실이 됨. 히데나가가 덴쇼 16년에 장곡사에 기증한 금등롱에 "와슈 다이나곤 히데나가 공주 삼팔녀"라고 새겨져 있는 인물로 추정.
양녀이와나고야 산자부로의 여동생. 히데나가의 친아들인 하시바 쇼이치로의 정실이 되어, 쇼이치로가 죽은 후 일시적으로 히데나가의 양녀가 됨. 그 후 모리 타다마사의 계실이 됨.


6. 주요 가신

이름석고비고
요코하마 이치안5만 석삼가로(三家老)
하타 마사치카4만 8천 석삼가로(三家老)
오가와 시모노카미3만 5천 석삼가로(三家老)
후지도 다카토라--
우타 요리타다1만 3천 석-
구와야마 시게하루--
고보리 마사쓰구5천 석-
요시카와 헤이스케7천 석-
스기와카 무심--
다가 히데타네--
혼다 도시마사1만 5천 석-
호리 히데무라--
이케다 히데오--
구로다 도시노리--
구로다 나오유키--
다마오키 나오카즈-국인(国人)
유카와 미쓰하루-국인(国人)
사쿠라이 이에카즈3천 석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일등창(一番槍)



[1][2]

나카이 마사키요, 고보리 마사카즈 등 축성, 조원에 능한 인물도 다수 등용되었다.[3] 이들은 히데나가 사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등용되어 출세, 근세 건축에 공헌했다.[4]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1
[2]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1998
[3] 웹사이트 もし秀長がもう少し生きていたら、うまく秀吉にブレーキをかけて、秀次の悲劇も朝鮮出兵も起こらなかったのではないか、とはよく言われるところです。 https://rekishikaido[...] Rekishi Kaido 2024-03-16
[4] 서적 豊臣秀吉 中央公論社 1985
[5] 학술지 羽柴氏下賜と豊臣姓下賜 1996
[6] 서적 誰も知らなかった江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2010
[7] 서적 豊太閤の私的生活 講談社 1980
[8] 서적 羽柴を名乗った人々 KADOKAWA 2016
[9] 웹사이트 高野山大学総合学術機構課長 木下浩良氏「高野山奥之院の『豊臣家墓所』について」 https://stone-c.net/[...] 株式会社石文社 2021-0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