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화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화천은 남강의 물길을 변경하려는 시도와 관련된 하천으로, 조선 시대부터 논의가 시작되었다. 1796년 장재곤은 남강 물을 사천만으로 돌려 홍수를 방지하고 농토를 확보하자는 제안을 했으나, 기술적 문제와 현실성 부족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후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이와 유사한 주장이 제기되었으며, 1936년에는 진양호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중단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62년에 재착공하여 1969년에 완공되었고, 이로 인해 가화천은 산경표의 원리에 위배되는 하천이 되었다. 현재 가화천은 홍수기에 남강의 배수로 역할을 하며, 하천변에는 공룡 화석이 발견되는 지질학적 특징을 갖는다.

2. 역사

가화천은 원래 낙남정맥의 산에서 발원해 남해로 흘러드는 하천이었으나, 남강의 홍수를 막기 위해 낙남정맥을 잘라 낙남정맥에서 북으로 흘러 남강으로 합류하던 삼계천을 합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가화천 물길 변경 아이디어는 조선 시대에 처음 등장했다. 1796년(정조 20년) 음력 5월 8일 정조실록에 장재곤이 남강 물을 사천만으로 흐르게 하여 홍수를 막고 농토를 확보할 것을 건의했으나, 당시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하다고 여겨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2] 이후 구한말 영남춘추에 관련 기록[4]이 있으며, 일제강점기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쳐 1969년에 완공되었다.[5]

이러한 물길 변경으로 인해 가화천은 산경표의 산자분수령 원리에 어긋나는 하천이 되었다. 원래 분수령은 유수교 자리에 있었으며, 산자분수령에 위배되는 또 다른 하천으로는 아라천이 있다.

진양호에서 흘러오는 수로가 생긴 이후로 가화천은 홍수기에 남강의 배수로 역할을 한다. 하천변에 드러난 경상 누층군 하산동층에는 공룡 화석이 분포하고 있다. 내동면 유수리의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는 천연기념물 390호로 지정되어 있다.

2. 1. 조선 시대의 논의

1796년(정조 20년) 음력 5월 8일 정조실록에는 장재곤(張載坤)이라는 사람이 남강 물을 사천만으로 흐르게 하여 홍수를 막고 농토를 확보할 것을 건의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2]

당시 장재곤은 남강 상류의 광탄과 지소두에서 물길을 뚫어 사천 바다로 흘려보내면, 13개 읍의 침수 지역이 훌륭한 농지로 바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곳이 바다와 가깝고(약 10.5km), 물길을 뚫을 곳도 한 마장에 지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3]

하지만 경상도 관찰사 이태영은 현지 조사 결과 장재곤의 주장과 다르다고 보고했다. 그는 광탄에 제방을 쌓아도 낙동강 하류는 그대로이고, 지소두에 물길을 뚫어도 지형 때문에 예전 포구의 침수 상황은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또한 두류산 남쪽에서 발원한 물이 광탄까지 오는 과정에서 물살이 매우 빨라져, 제방이 터질 위험이 크다고 보았다.[3]

결국 정조는 장재곤의 건의가 허황되다고 판단하고, 이러한 상소를 올리는 자를 벌하겠다고 공표했다.[1][2]

2. 2.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의 재논의

조선 시대에 제기되었던 남강 물을 사천만으로 돌려 홍수를 막고 농지를 확보하자는 주장은 구한말에 다시 나타났다. 영남춘추에는 '남강 홍수를 막는 데는 사천만으로 물길을 돌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는 홍수 조절과 8000정보의 비옥한 땅을 얻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가져다준다'라는 기록이 있다.[4]

일제강점기1936년에는 방수로를 포함한 진양호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중단되었고, 1949년에 다시 착공했다가 한국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1962년에 다시 공사를 시작하여 1969년에 완공했다.[5]

2. 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36년에 방수로를 포함한 진양호 공사를 착공했다가 중단했고, 1949년에 다시 착공했다가 한국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이후 1962년에 다시 착공하여 1969년에 완공했다.[5] 이 공사로 인해 가화천은 산경표의 산자분수령 원리에 위배되는 하천이 되었다. 원래 분수령은 유수교 자리에 있었다. 산자분수령에 위배되는 다른 하천으로는 아라천이 있다.

참조

[1] 뉴스 "[발언대]남강수계 물관리의 과거·현재·미래를 보다"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12-05-23
[2] 웹인용 200년 안목, 張載坤의 남강댐 건설건의 http://www.gnnews.co[...] 경남일보 2014-04-29
[3] 웹인용 장재곤이 경상도 13개 읍의 농지화 가능성을 말했으나, 거짓말이 드러나다 https://sillok.histo[...] 조선왕조실록 1796-05-08
[4] 뉴스 강은 산을 넘지 못한다 했거늘... http://www.news4000.[...] 뉴스사천 2008-12-01
[5] 뉴스 "[직장인 in 풀스토리] K-water 남강댐관리단" http://www.gnnews.co[...] 경남일보 2016-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