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혜황귀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각혜황귀비는 강희제의 후궁으로,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이며,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의 조카이다. 9세에 강희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었으며, 1701년 귀비에 책봉되었다. 옹정제 즉위 후 황귀비로, 건륭제 즉위 후에는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고, 1743년 75세로 훙거하여 숙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경릉의 쌍비원에 안장되었으며, 동국위의 딸이자 퉁기야 롱코도의 누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중국의 여자 - 심운영
심운영은 명나라 말기의 여성 군인이자 교육자로, 아버지의 전사 후 사병을 이끌고 야습을 감행하여 유격장군에 임명되었으며, 군직을 사임 후 고향에서 서당을 설립하여 자제들을 가르치며 여성의 권익 신장에 기여한 인물이다. - 17세기 중국의 여자 - 진양옥
진양옥은 명나라 말기 충정후에 봉해진 여성 군인으로, 쓰촨성 출신으로 석주를 다스리며 혼란한 시기에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충성심으로 명나라를 지켜 명사에 전기가 기록된 중국 역사상 대표적인 여성 영웅이다. - 퉁기야 할라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퉁기야 할라 - 효강장황후
효강장황후는 청나라 순치제의 후궁이자 강희제의 어머니이며, 강희제를 낳은 후 황태후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효릉에 부장되었다.
각혜황귀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각혜황귀비 |
한자 표기 | 愨惠皇貴妃 |
로마자 표기 | Quèhuì Huángguìfēi |
출생 | 1668년 (강희 7년 8월) |
사망 | 1743년 4월 24일 (건륭 8년 4월 1일) |
사망 장소 | 자금성 |
묻힌 곳 | 경릉 |
배우자 | 강희제 (1722년 사망) |
자녀 | 없음 |
가문 | 동가씨 (출생 시), 이후 아이신 교로 (결혼 후) |
아버지 | 국유 |
종교 | 불교 |
추증 시호 | 각혜황귀비(愨惠皇貴妃) |
가족 관계 | |
고모 | 효강장황후 |
언니 | 효의인황후 |
남동생 | 퉁기야 롱코도 |
2. 생애
효의인황후와 퉁갸 롱코도의 여동생이자, 강희제의 생모인 효강장황후의 동생인 동국위의 딸이다. 9세 시절이던 1677년 고종사촌 오빠 강희제의 후궁으로 간택되었으며, 강희제와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1743년 4월 1일 향년 75세로 훙서할 때까지 청 제국 황실 여인의 원로로서 예우되었다.
강희 39년 12월(서력 1701년), 귀비에 책봉되었다.
강희 61년 12월(1723년),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으로서 황고황귀비로 추존되었다. 건륭제의 즉위 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다. 건륭 8년(1743년) 4월 1일, 훙거하였다. “숙혜”라는 시호를 추서받아 경릉의 쌍비원에 안장되었다.
- 『청성조실록』
- 『청사고』권 214 열전 1
- 『존봉 동귀비 황귀비, 화비 귀비 상유』(강희 61년 12월) 짐은 황태후의 懿旨를 받들어, 효의황후께서 짐의 몸을 보살피셨고, 귀비는 효의황후의 친동생이므로 귀비를 황귀비로 봉할 것이다. 또 화비는 선제를 섬김에 가장 신중하였으므로 화비를 귀비로 봉할 것이다. 짐은 황태후의 성심이 지극히 자애롭고 두터우므로 이 뜻은 실로 마땅하다. 짐은 황태후의 懿旨를 받들어, 짐의 형제의 어머니는 마땅히 뜻을 더하여 대접해야 한다. 짐은 십이황자의 어머니가 여러 해 동안 황고를 섬김에 매우 신중하였고 오랫동안 빈의 자리에 있었으므로, 지금 비로 진봉한다. 십오황자, 십육황자의 어머니인 빈도 비로 진봉한다. 다시 현재 형제를 낳은 어머니로서 아직 봉작을 받지 못한 자는 모두 귀인으로 봉할 것이다. 육공주 어머니는 빈으로 봉할 것이다. 안에 나이가 이미 칠순인 상재가 있는데, 이 또한 귀인으로 봉할 것이다.
2. 1. 강희제 시대
그녀의 언니는 강희제의 후궁인 효의인황후이며, 고모는 강희제의 아버지 순치제의 후궁인 효강장황후이다. 남동생은 청나라의 중신 퉁갸 롱코도이다.미래의 각혜황귀비는 1668년에 태어났다. 동가씨(董佳氏)가 언제 자금성에 들어왔는지는 알 수 없으나, 역사 기록에 따르면 1697년에는 이미 후궁으로 있었다.[1] 그 해까지 효인황후, 문희귀비, 경민황귀비가 사망하여 황궁에는 법적으로 황후가 없었다. 강희제는 새로운 황후를 책봉하지 않고, 1701년 1월 동가씨에게 귀비(貴妃)의 칭호를 내렸다.[2] 그녀는 당시 유일한 귀비였기 때문에 별칭을 받지 못했다. 1706년에는 돼지고기 생선 150마리를 받았는데, 효혜장황후는 참깨기름 생선 50마리를 받았다. 1711년부터 동가씨와 둔의황귀비는 옹정제의 아들인 홍력(훗날의 건륭제)을 양육하는 임무를 맡았다.
강희 39년 12월(서력 1701년), 귀비에 책봉되었다.
강희 61년 12월(1723년),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으로서 황고황귀비로 추존되었다.
2. 2. 옹정제 시대
옹정제 즉위 후, 통씨(佟佳氏)는 황귀비(皇贵妃)로 책봉되었으나, 국가 애도 기간으로 인해 책봉식은 1724년 7월까지 연기되었다.[3]2. 3. 건륭제 시대
건륭제 즉위 후, 1736년에 "수기황귀비(寿祺皇贵妃; 수기는 '장수하고 상서롭다'는 뜻)"라는 칭호를 받았다. 수기황귀비는 네 명의 대비 황귀비들과 함께 녕수궁에 거주했다.[4]1743년 4월 24일, 수기황귀비는 자신의 거처에서 사망했다. 향년 75세였다. 그녀에게는 "각혜황귀비(悫惠皇贵妃; 각혜는 '정직하고 친절하다'는 뜻)"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4]
강희제의 후궁이었던 언니 효의인황후와 퉁갸 롱코도의 여동생이자, 효강장황후의 동생인 동국위의 딸이었다. 강희 39년(1701년) 12월, 귀비에 책봉되었다.
강희 61년(1723년) 12월, 효의인황후의 여동생으로서 황고황귀비로 추존되었다. 건륭제 즉위 후, “황조수기황귀태비”로 추존되었다. 건륭 8년(1743년) 4월 1일, 훙거하였다. “숙혜”라는 시호를 추서받아 경릉의 쌍비원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동국위 | 1등 시위내대신(侍衛內大臣), 1등 공(一等公) |
외조부 | 동도뢰(佟圖賴) | 1등 도통(都統), 1등 공(一等公) |
외조모 | 혁저씨(赫舍里氏) | |
고모 | 효강장황후 | 강희제의 어머니 |
어머니 | 혁저리씨(赫舍里氏) | |
첫째 오빠 | 예격서(叶克书) | 순안언(順安言)의 아버지 |
둘째 오빠 | 덕격신(德克新) | 3등 시위(侍衛) |
셋째 오빠 | 롱코도 | |
넷째 오빠 | 홍선(洪善) | |
다섯째 오빠 | 경원(庆元) | |
여섯째 오빠 | 경복(庆復) | 1등 도통(都統), 양강총독(兩江總督), 운남총독(雲南總督), 광동광서총독(兩廣總督), 문화전대학사(文華殿大學士) 역임 |
언니 | 효의인황후 |
참조
[1]
서적
《為皇太后皇子公主等預備豬鵝雞等數目清單》/"List of persons attending to Empress Dowager, Imperial Princes and Princesses"
[2]
서적
《清实录·圣祖实录·卷之二百零二》/"Chronicles of Qing.Chronicles of Kangxi(Shengzu) Emperor.", volume 200
[3]
서적
《清實錄·清世宗憲皇帝實錄·卷之二十》/"The chronicles of Yongzheng Emperor", volume 20
[4]
서적
"清高宗實錄"/"Chronicles of the Qianlong Emperor"
[5]
서적
《愛新覺羅宗譜》/"The genealogy of Aisin-Gioro clan"
[6]
문서
康熙三十九年 十二月
[7]
문서
雍正二年 六月
[8]
문서
乾隆元年 十一月
[9]
문서
乾隆八年 五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