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사고는 1912년 청나라 멸망 후 중화민국 북양정부가 청나라의 정사를 편찬하기 위해 설립한 청사관에서 편찬한 역사서이다. 본기, 지, 표, 열전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나라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편찬 과정에서 재정난, 정치적 혼란 등으로 인해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으며, 신해혁명에 대한 편향적인 시각, 내용상 오류 등의 한계를 지닌다.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청사고를 대체할 새로운 청사 편찬을 시도했지만, 정치적 이유 등으로 인해 완성을 이루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의 문학 - 신원사 (역사서)
    신원사는 명나라에서 《원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편찬한 원나라 역사서로, 본기, 표, 지, 열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열전에는 다양한 인물 정보와 고려, 일본 등 외국 정보도 포함되어 있으나 오류와 자료 오인용의 한계도 가진다.
  • 1928년 책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1928년 책 - 세 뚱보
    유리 올레샤의 소설 세 뚱보는 혁명기의 국가를 배경으로 천연자원을 독점한 세 뚱보에 맞서는 총포 장인 프로스페로, 곡예사 티불, 그리고 소녀 수옥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 20세기 역사책 -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은 18세기 이후 서구 사회에서 권력이 공개적 고문에서 은밀한 감시 체계로 전환되며 개인을 통제하는 방식과 사회 통제의 새로운 메커니즘을 분석한 저서이다.
  • 20세기 역사책 - 제국의 시대
    《제국의 시대》는 에릭 홉스봄이 쓴 역사서로, 1880년대부터 1914년까지의 시기를 다루며, 경제 공황 이후 자본주의 세계 경제의 회복, 제국주의의 확산, 사회주의의 등장 등 다양한 주제를 통해 19세기 후반의 사회상을 종합적으로 조명한다.
청사고
개요
제목 (한자)清史稿
제목 (병음)Qīngshǐ Gǎo
제목 (한국어)청사고
유형역사서 (미완성)
언어한문
시대청나라
편찬 기간1914년 ~ 1927년
편찬 주체조이손 등
편찬 및 내용
설명청나라의 공식 역사서 편찬 시도 (미완성). 이십육사 중 하나로 간주됨.
권수536권
내용본기: 27권
지: 142권
표: 53권
열전: 314권
관련 정보
관련 서적청사 (자오얼쒼)
후속 프로젝트청사 (중화인민공화국)

2. 구성

《청사고》는 본기(本紀), 지(志), 표(表), 열전(列傳)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서 536권으로, 청 태조 누르하치가 건국한 1616년부터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1911년까지 296년 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다. 관외본은 일부 내용이 수정되어 529권으로 재편되었다.[1]

《청사고》는 이전의 공식 역사서 형식을 따르려 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


  • 본기(本紀): 황제의 치세를 연대순으로 기록.
  • 지(志): 청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별 제도를 기록.
  • 표(表): 주요 관직에 있는 중요한 인물 또는 왕실 계보 목록.
  • 열전(列傳): 황족, 후비, 주요 신하, 학자, 외국인 등 다양한 인물들의 전기를 기록.


특징적인 면으로, '방교지'는 일본이나 유럽 등 책봉 체제 밖의 국가들과의 관계를, '교통지'는 철도, 우편 등 근대 교통 및 통신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1]

편찬 당시의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내용에 부실한 부분이 있지만, 혁명 이후 자금성 등에 남아 있던 귀중한 내부 자료들을 인용하여 엇갈린 평가를 받고 있다.[1]

2. 1. 본기(本紀)

본기(本紀)는 청나라 황제들의 재위 기간 동안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기록한 부분이다. 태조부터 마지막 황제 선통제까지 총 12명의 황제에 대한 기록이 25권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각 황제별 재위 기간 및 연호는 다음과 같다.

황제시기(음력)비고
권1태조1583년 5월 ~ 1626년 8월
(계미년(癸未年) ~ 천명 11년)
천명가한(天命可汗)
권2태종 11626년 9월 ~ 1636년 4월
(천명(天命) 11년 ~ 천총 10년)
숭덕제(崇德帝)
천총가한(天聰可汗)
권3태종 21636년 4월 ~ 1643년 8월
(숭덕 원년 ~ 숭덕(崇德) 8년)
권4세조 11643년 8월 ~ 1650년 12월
(숭덕(崇德) 8년 ~ 순치 7년)
순치제(順治帝)
권5세조 21651년 1월 ~ 1661년 1월
(순치(順治) 8년 ~ 순치(順治) 18년)
권6성조 11661년 1월 ~ 1681년 12월
(순치(順治) 18년 ~ 강희 20년)
강희제(康熙帝)
권7성조 21682년 1월 ~ 1701년 12월
(강희(康熙) 21년 ~ 강희(康熙) 40년)
권8성조 31702년 1월 ~ 1722년 11월
(강희(康熙) 41년 ~ 강희(康熙) 61년)
권9세종1722년 11월 ~ 1735년 8월
(강희(康熙) 61년 ~ 옹정 13년)
옹정제(雍正帝)
권10고종 11735년 8월 ~ 1745년 12월
(옹정(雍正) 13년 ~ 건륭 10년)
건륭제(乾隆帝)
권11고종 21746년 1월 ~ 1755년 12월
(건륭(乾隆) 11년 ~ 건륭(乾隆) 20년)
권12고종 31756년 1월 ~ 1765년 12월
(건륭(乾隆) 21년 ~ 건륭(乾隆) 30년)
권13고종 41766년 1월 ~ 1775년 12월
(건륭(乾隆) 31년 ~ 건륭(乾隆) 40년)
권14고종 51776년 1월 ~ 1785년 12월
(건륭(乾隆) 41년 ~ 건륭(乾隆) 50년)
권15고종 61786년 1월 ~ 1799년 1월
(건륭(乾隆) 51년 ~ 가경 4년)
권16인종1796년 1월 ~ 1820년 7월
(가경(嘉慶) 원년 ~ 가경(嘉慶) 25년)
가경제(嘉慶帝)
권17선종 11820년 7월 ~ 1830년 12월
(가경(嘉慶) 25년 ~ 도광 10년)
도광제(道光帝)
권18선종 21831년 1월 ~ 1840년 12월
(도광(道光) 11년 ~ 도광(道光) 20년)
권19선종 31841년 1월 ~ 1850년 1월
(도광(道光) 21년 ~ 도광(道光) 30년)
권20문종1850년 1월 ~ 1861년 7월
(도광(道光) 30년 ~ 함풍 11년)
함풍제(咸豊帝)
권21목종 11861년 7월 ~ 1866년 12월
(함풍(咸豊) 11년 ~ 동치 5년)
동치제(同治帝)
권22목종 21867년 1월 ~ 1874년 12월
(동치(同治) 6년 ~ 동치(同治) 13년)
권23덕종 11874년 12월 ~ 1894년 12월
(동치(同治) 13년 ~ 광서 20년)
광서제(光緖帝)
권24덕종 21895년 1월 ~ 1908년 10월
(광서(光緖) 21년 ~ 광서(光緖) 34년)
권25선통제1908년 10월 ~ 1911년 12월
(광서(光緖) 34년 ~ 선통 3년)


2. 2. 지(志)

志|지중국어는 청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별 제도를 기록한 것이다. 천문, 재이, 시헌, 지리, 예, 악, 여복, 선거, 직관, 식화, 하거, 병, 형법, 예문, 교통, 방교 등 16개 분야를 다루며, 총 142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방교지'는 일본이나 서구 열강 등 책봉 체제 밖의 국가들과의 관계를, '교통지'는 철도, 우편 등 근대 교통 및 통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1]

청사고 지(志) 목록
제목목록제목목록
권26지1천문1권82지57예1
권27지2천문2권83지58예2
권28지3천문3권84지59예3
권29지4천문4권85지60예4
권30지5천문5권86지61예5
권31지6천문6권87지62예6
권32지7천문7권88지63예7
권33지8천문8권89지64예8
권34지9천문9권90지65예9
권35지10천문10권91지66예10
권36지11천문11권92지67예11
권37지12천문12권93지68예12
권38지13천문13권94지69악1
권39지14천문14권95지70악2
권40지15재이1권96지71악3
권41지16재이2권97지72악4
권42지17재이3권98지73악5
권43지18재이4권99지74악6
권44지19재이5권100지75악7
권45지20시헌1권101지76악8
권46지21시헌2권102지77여복1
권47지22시헌3권103지78여복2
권48지23시헌4권104지79여복3
권49지24시헌5권105지80여복4
권50지25시헌6권106지81선거1
권51지26시헌7권107지82선거2
권52지27시헌8권108지83선거3
권53지28시헌9권109지84선거4
권54지29지리1권110지85선거5
권55지30지리2권111지86선거6
권56지31지리3권112지87선거7
권57지32지리4권113지88선거8
권58지33지리5권114지89직관1
권59지34지리6권115지90직관2
권60지35지리7권116지91직관3
권61지36지리8권117지92직관4
권62지37지리9권118지93직관5
권63지38지리10권119지94직관6
권64지39지리11권120지95식화1
권65지40지리12권121지96식화2
권66지41지리13권122지97식화3
권67지42지리14권123지98식화4
권68지43지리15권124지99식화5
권69지44지리16권125지100식화6
권70지45지리17권126지101하거1
권71지46지리18권127지102하거2
권72지47지리19권128지103하거3
권73지48지리20권129지104하거4
권74지49지리21권130지105병1
권75지50지리22권131지106병2
권76지51지리23권132지107병3
권77지52지리24권133지108병4
권78지53지리25권134지109병5
권79지54지리26권135지110병6
권80지55지리27권136지111병7
권81지56지리28권137지112병8
권138지113병9
권139지114병10
권140지115병11
권141지116병12
권142지117형법1
권143지118형법2
권144지119형법3
권145지120예문1
권146지121예문2
권147지122예문3
권148지123예문4
권149지124교통1
권150지125교통2
권151지126교통3
권152지127교통4
권153지128방교1
권154지129방교2
권155지130방교3
권156지131방교4
권157지132방교5
권158지133방교6
권159지134방교7
권160지135방교8


2. 3. 표(表)

colspan="2"|제목목록비고
권161표1황자세표(皇子世表) 1
권162표2황자세표(皇子世表) 2
권163표3황자세표(皇子世表) 3
권164표4황자세표(皇子世表) 4
권165표5황자세표(皇子世表) 5
권166표6공주표(公主表)
권167표7외척표(外戚表)
권168표8제신봉작세표(諸臣封爵世表) 1
권169표9제신봉작세표(諸臣封爵世表) 2
권170표10제신봉작세표(諸臣封爵世表) 3
권171표11제신봉작세표(諸臣封爵世表) 4
권172표12제신봉작세표(諸臣封爵世表) 5-上
권173표13제신봉작세표(諸臣封爵世表) 5-下
권174표14대학사연표(大學士年表) 1
권175표15대학사연표(大學士年表) 2
권176표16군기대신연표(軍機大臣年表) 1
권177표17군기대신연표(軍機大臣年表) 2
권178표18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1-上
권179표19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1-下
권180표20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2-上
권181표21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2-下
권182표22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3-上
권183표23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3-下
권184표24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4-上
권185표25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4-下
권186표26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5-上
권187표27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5-下
권188표28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6-上
권189표29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6-下
권190표30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7-上
권191표31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7-下
권192표32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8-上
권193표33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8-下
권194표34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9-上
권195표35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9-下
권196표36부원대신연표(部院大臣年表) 10
권197표37강신연표(疆臣年表) 1
권198표38강신연표(疆臣年表) 2
권199표39강신연표(疆臣年表) 3
권200표40강신연표(疆臣年表) 4
권201표41강신연표(疆臣年表) 5
권202표42강신연표(疆臣年表) 6
권203표43강신연표(疆臣年表) 7
권204표44강신연표(疆臣年表) 8
권205표45강신연표(疆臣年表) 9
권206표46강신연표(疆臣年表) 10
권207표47강신연표(疆臣年表) 11
권208표48강신연표(疆臣年表) 12
권209표49번부세표(藩部世表) 1
권210표50번부세표(藩部世表) 2
권211표51번부세표(藩部世表) 3
권212표52교빙연표(交聘年表) 1
권213표53교빙연표(交聘年表) 2


2. 4. 열전(列傳)

《청사고》의 '열전'은 황족, 후비, 주요 신하, 학자, 외국인 등 다양한 인물들의 전기를 기록한 부분이다. 총 316권으로, 《청사고》 전체 분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속국전'에는 조선 등 청나라의 속국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열전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제목록
권214열전1후비(后妃)
권215 ~ 권221열전2 ~ 열전8제왕(諸王) 1 ~ 7
권222 ~ 권263열전9 ~ 열전50
권264 ~ 권313열전51 ~ 열전100
권314 ~ 권363열전101 ~ 열전150
권364 ~ 권413열전151 ~ 열전200
권414 ~ 권463열전201 ~ 열전250
권464 ~ 권475열전251 ~ 열전262
권476 ~ 권479열전263 ~ 열전266순리(循吏) 1 ~ 4
권480 ~ 권483열전267 ~ 열전270유림(儒林) 1 ~ 4
권484 ~ 권486열전271 ~ 열전273문원(文苑) 1 ~ 3
권487 ~ 권496열전274 ~ 열전283충의(忠義) 1 ~ 10
권497 ~ 권499열전284 ~ 열전286효의(孝義) 1 ~ 3
권500 ~ 권501열전287 ~ 열전288유일(遺逸) 1 ~ 2
권502 ~ 권505열전289 ~ 열전292예술(藝術) 1 ~ 4
권506 ~ 권507열전293 ~ 열전294주인(疇人) 1 ~ 2
권508 ~ 권511열전295 ~ 열전298열녀(列女) 1 ~ 4
권512 ~ 권517열전299 ~ 열전304토사전(土司傳) 1 ~ 6
권518 ~ 권525열전305 ~ 열전312번부(藩部) 1 ~ 8
권526 ~ 권529열전313 ~ 열전316속국전(屬國傳) 1 ~ 4


3. 편찬 과정

1912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후, 중화민국 북양정부는 청나라의 정사(正史) 편찬을 위해 1914년 청사관(淸史館)을 설립하고 자오얼쑨을 총재로 임명하였다. 자오얼쑨을 비롯한 100여 명의 학자들이 편찬 작업에 참여했으나, 재정난과 위안스카이 사후 정치적 혼란으로 작업이 지연되었다.[14] 1920년 초고가 완성되었으나 편집이 중단되었다가, 1926년부터 수정 작업이 재개되어 1927년에 탈고되었다. 1928년 출판 예정이었으나, 자오얼쑨의 사망과 국민정부의 북벌로 인해 출판이 금지되었다.[14]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화민국(북양 군벌) 국무원은 대총통 위안스카이에게 청나라 시대의 역사서를 편찬하도록 건의하였다. 신해혁명 이후 성립된 중화민국은 공화제 국가였지만, 이전 왕조의 정사를 편찬하는 형식을 취해 청나라의 정사를 편찬하는 문제가 논의되었다. 1914년 3월 9일, 위안스카이는 황제 즉위 의도를 포함하여 청사관 설립을 포고하였다. 9월 1일 청나라 유신인 자오얼쑨을 관장으로, 커샤오민 등을 편찬 주임으로 임명하여 정식으로 개관하고 "청사" 편찬을 시작하였다. 약 100여 명이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명사의 형식을 따르기로 결정되었다.[14]

1927년에 원고 초본이 완성되어 1,100부가 출판되었다. 베이양 정부는 원고 초본 400부를 북부 지역으로 옮겨 내용을 두 번 재편집하여 세 가지 다른 버전을 만들었다.

하지만 재정난과 위안스카이 사후의 정치적 혼란으로 편찬 작업은 지연되었고, 1920년 초고 완성 후 편집이 일시 중단되었다. 1926년부터 수정이 시작되어 1927년 탈고되었다. 자오얼쑨은 펑톈장쭤린 등의 협력을 얻어 1928년 출판하려 했으나, 발행 직전 자오얼쑨이 사망하면서 청사관은 내분 상태에 빠졌다.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정부의 북벌 군대가 베이징을 점령하면서, 국민정부는 "청사고"가 중국 국민당을 "적"으로 취급하고, 선통연호를 사용하는 점, 장쉰과 캉유웨이의 열전이 세워진 것에 반발하여 출판 금지 명령을 내렸다.

이후 외부로 반출된 판본을 토대로 진량만주에서 교정하여 만주국일본군 점령 지역에서 간행되었다. 처음 출판되어 국민정부에 압수된 판본은 "관내본", 만주에서 교정된 것은 "관외본"이라고 불린다.

4. 한계와 의의

《청사고》는 전서 536권(본기 25권, 지 142권, 표 53권, 열전 316권)으로, 청 태조 누르하치가 즉위한 1616년부터 신해혁명으로 청조가 멸망한 1911년까지 296년간의 역사를 다룬다. 방교지(邦交志)와 교통지(交通志)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편찬 당시 사회적 혼란으로 내용상 오류가 존재하지만, 혁명 직후 자금성 등에 남겨진 행정 자료와 귀중한 내부 자료를 인용하고 있어 평가가 엇갈린다. 특히 1912년 이후 국공내전, 만주사변, 중일전쟁, 문화대혁명 등으로 인해 청나라 기록이 많이 소실되어, 현재는 볼 수 없는 기록들이 수록되어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

4. 1. 한계

신해혁명에 편향되었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청나라 멸망 전에 태어난 혁명 관련 인물들의 기록이 없고, 청나라 멸망 후에 태어난 다른 여러 인물들의 전기는 포함되어 있다.[4] 청나라 충신이거나 동조자였던 역사학자들은 혁명가들을 악인으로 묘사하는 경향을 보였다.[4]

편찬 당시의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차분한 편찬이 이루어지지 못해 내용상 오류가 존재한다.

중화민국 성립 이후의 사건에 대해서는 중화민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청나라 선통제의 연호를 사용하여, 새로운 정권의 등장을 지지하기 위한 공식 역사서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4. 2. 의의

1912년 이후 국공내전, 만주사변, 중일전쟁, 문화대혁명 등으로 인해 청나라 기록이 많이 소실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볼 수 없는 청나라의 귀중한 행정 자료와 내부 자료들을 인용하고 있어 사료적 가치가 높다.[1] 청나라 1대(代) 전체를 다루는 정사 형식의 역사서로서 《청사고》를 대체할 만한 역사서가 존재하지 않아, 여전히 청나라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의 근대 시기와 맞물리는 청나라 말기의 역사를 담고 있어, 당시 조선과 청나라의 관계, 동아시아 정세 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5. 현대의 재평가 및 추가 연구

1961년, 중화인민공화국청나라 역사 완성을 시도했으나,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역사가들이 제대로 কাজ(일을) 할 수 없었다.

2002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시 한번 《청사》 완성을 발표했다.[6] 2003년에는 역사가 다이이를 주임으로 하는 국가 청사 편찬 위원회를 발족하여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7][8] 처음에는 10년 안에 완성될 예정이었으나,[9] 초고 완성 시기가 2016년으로 늦춰졌다.[10][11] 2023년 11월, 초고가 거부되었는데, 이는 제시된 서술 방식과 이른바 신청사학 학파의 영향에 대한 정부의 불만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3]

5. 1. 중화민국 (대만)

1961년, 중화민국 정부는 신해혁명 50주년을 기념하여 타이완에서 자체적인 《청사》를 출판했다. 이 책은 《청사고》에 21개의 부록을 추가하고 기존 내용의 많은 부분을 수정하여 공산당을 비판하고 신해혁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내용을 담았다.[5] 그러나 이 판본은 정치적 목적을 위해 급하게 출판되어 공식적인 《청사》로 인정받지 못했으며, 《청사고》의 많은 오류를 대부분 수정하지 못했다.[1]

전체 550권으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권수
본기25권
136권
53권
열전315권
보편21권
부록강목 색인, 인명 색인



정사 편찬을 표방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청사고(清史稿)》 관내본을 개정한 것이다. 신해혁명과 중국 국민당을 부정하는 기사가 삭제·수정되었고, 명백한 사실 관계의 오류·오식 등도 수정되었지만, 개정 기간이 짧아 연표 부분 수정에 그쳤다. 보편에는 남명 정권을 다룬 남명기(5권), 청에 저항한 명나라 구신들을 다룬 명유신열전(2권), 정씨 정권을 다룬 정성공 재기(2권), 태평천국을 다룬 홍수전 재기(2권), 청조에 저항한 혁명가들을 다룬 혁명당 열전(8권)이 편성되어, 청조에 대한 저항을 통해 신해혁명을 이룩했다는 중국 국민당의 역사관을 반영하고 있다.

1988년부터 2000년까지 새로운 자료와 역사 기술의 개선을 통합한 《신청사》 편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나, 계획된 500개 이상의 장 중 33개 장만이 출판되었다.[1] 《신청사》는 범록연맹의 부상으로 인해 중단되었는데, 이들은 타이완을 중국과 별개의 존재로 보았고, 따라서 이전 왕조의 공식 역사를 기록할 새로운 중국 정권으로 여기지 않았다.

타이완에서는 개정 시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있었지만, 불충분하다는 비판도 많았다. 이후, 타이완에서는 시간 경과나 경제 발전 등으로 『청사고』의 사료적 가치에 주목할 여유가 생겼다. 1978년부터 다시 『청사고』의 교정이 이루어졌고, 1987년, 『청사고교주』로서 서적화되었다.

이처럼 『청사고』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국사관은 1990년부터 다시 '''『신청사』'''[15]의 편찬에 착수했지만, 완성하지는 못했다. 이는 타이완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옮겨간 결과, 타이완사에 역점이 놓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신청사』는 본기 등 일부가 완성되었으며, 본기는 웹에서 열람할 수 있다.

5. 2. 중화인민공화국

1961년, 중화인민공화국 역시 청나라 역사 완성을 시도했으나,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역사가들이 제대로 কাজ(일을) 할 수 없었다.

2002년,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시 한번 《청사》 완성을 발표했다.[6] 2003년, 역사가 다이이를 주임으로 하는 국가 청사 편찬 위원회를 발족하여 편찬 작업을 시작했다.[7][8] 처음에는 10년 안에 완성될 예정이었으나,[9] 초고 완성 시기가 2016년으로 늦춰졌다.[10][11] 2023년 11월, 초고가 거부되었는데, 이는 제시된 서술 방식과 이른바 신청사학 학파의 영향에 대한 정부의 불만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3]

참조

[1] 논문 Last chapter unfinished: The making of the official Qing History and the crisis of Traditional Chinese Historiography https://phaidra.univ[...]
[2] 서적 One and All: The Logic of Chinese Sovereignt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4
[3] 서적 Qīngshǐ gǎo https://ctext.org/wi[...] Zhonghua shuju
[4] 서적 Chinese history : a new manual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12
[5] 웹사이트 http://big5.huaxia.c[...] 2018-04-12
[6] 뉴스 https://www.thepaper[...] 2019-04-03
[7] 논문 "Writing History in the Digital Age": The New Qing History Project and the Digitization of Qing Archives
[8] 뉴스 https://epaper.gmw.c[...] 2021-01-03
[9] 뉴스 http://mil.news.sina[...] 中新社网站 2003-08-26
[10] 뉴스 Xīn xiū "Qīng Shǐ" chūgǎo wánchéng http://paper.people.[...] 2016-01-01
[11] 뉴스 Guójiā Qīngshǐ Biānzuǎn Gōngchéng yǐ wánchéng chūgǎo http://www.chinanews[...] 2013-12-18
[12] 뉴스 Dai Yi speaks on Qing history national compilation project http://www.csstoday.[...] 2020-04-21
[13] 웹사이트 Zhōngguó guānchá: Wèi tōngguò zhèngshěn "Qīngshǐ" chùjiāo https://www.singtaou[...] 2023-11-18
[14] 문서 張永江「近百年来における中国の清史編纂事業と最新の進展状況(上)」 7頁
[15] 문서 アメリカ合衆国を中心に興った、{{仮リンク|新清史学派|zh|新清史學派}}とは無関係。
[16] 웹사이트 新修《清史》、清史工程与清史研究所 http://www.qinghisto[...] 朱滸 中華文史網
[17] 웹사이트 哲人其萎 風範長存 http://www.qinghisto[...] 戴逸 中華文史網
[18] 웹사이트 台湾 佛光大学 「第一届清史学術研討会」参加記 https://160.74.72.45[...] 華立 中国・アジア研究論文データベース
[19] 뉴스 『清史』編纂プロジェクト、総体的な枠組みと目録が原則的に確定 http://japanese.chin[...] 中国網
[20] 뉴스 戴逸:修清史的第十年 http://guoxue.zhyww.[...] 365뉴스 2012-12-29
[21] 뉴스 国家清史編纂工程已完成初稿 http://www.bj.xinhua[...] 新華社|新華網北京頻道 2013-12-18
[22] 뉴스 新修《清史》初稿完成 http://paper.people.[...] 人民日報海外版
[23] 뉴스 中外両個清史学家的握手 http://paper.people.[...] 人民日報海外版
[24] 뉴스 清史編委会開展新修《清史》稿件通読工作 https://www.mct.gov.[...] 中華人民共和国文化観光部 2019-03-27
[25] 뉴스 牢牢把握清史研究話語権 http://opinion.peopl[...] 人民日報
[26] 뉴스 新修《清史》已進入稿件通読階段,預計今年出版問世 https://www.thepaper[...] 2019-04-03
[27] 뉴스 清史大家戴逸逝世,曾以“勤、苦、乐、迷”总结为学之道 https://www.thepaper[...]
[28] 뉴스 熬夜写作已成常態 http://xmwb.news365.[...] 新民晩報 2013-04-28
[29] 웹사이트 丹青難写是精神 ——戴逸先生談清史研究及相関問題 http://his.cssn.cn/l[...] 2020-12-25
[30] 뉴스 【思享家】警惕歴史虚無主義的“塔西佗陥阱” http://theory.gmw.cn[...] 光明日報 2019-06-24
[31] 뉴스 習近平が仕掛ける「清朝」歴史戦争 Streamrolling Its own History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 2019-02-16
[32] 웹사이트 Academic news of the day: the Qing History Project at Renmin University and CASS (this is the government sponsored attempt to formally write a comprehensive and authoritative history of the Qing) has now been put on ice because higher authorities deemed the draft it produced to be politically unacceptable—“failing to honor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 which is an extraordinarily negative verdict. Specifically, the project “was overly influenced by the New Qing History.” This is quite the shocking claim, as most of the project leaders have spent their entire careers vehemently attacking the New Qing History. https://twitter.com/[...] X 2024-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