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봉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정봉행(勘定奉行)은 에도 막부 시대에 간조소(勘定所)를 이끌며 재정을 담당한 직책이다. 노중의 지휘를 받아 막부 직할령의 세금 징수, 재정 관리, 광산 관리, 화폐 주조, 물가 조절, 상업 통제 등 경제 전반을 관할했다. 겐로쿠 시대부터는 도중봉행을 겸임하여 교통과 운송 업무도 담당했으며, 나가사키 무역, 경찰, 재판, 치수 사업 등에도 관여했다. 1635년 이후 사사봉행, 정봉행과 함께 삼봉행으로 불리며 평정소를 구성하여 사법 기능도 수행했으며, 정원은 약 4명이었다. 각 번(藩)에도 감정봉행이 존재하여 번의 재정을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도 막부 간조부교 - 오쿠보 나가야스
오쿠보 나가야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다케다 가신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행정 능력을 인정받아 막부 운영에 기여했으나, 말년에 부정 축재 의혹으로 실각하고 가문이 몰락했다. - 에도 막부 간조부교 - 마쓰이 야스히데
마쓰이 야스히데는 에도 시대 말기의 일본 무사로, 다나쿠라 번과 가와고에 번의 다이묘를 역임하고 외국 봉행, 유럽 사절단 참여 등 막부의 요직을 거쳐 로주에 임명되었으며, 보신 전쟁 이후 은퇴했다. - 에도 막부의 직제 - 군함봉행
군함봉행은 에도 막부 말기에 해안 방어, 군함 건조 및 관리, 해군 인력 양성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막부 해군력 강화에 기여한 해군 담당 직책으로, 외국과의 문제 처리도 담당했다. - 에도 막부의 직제 - 정이대장군
정이대장군은 에미시 정벌을 위해 임명된 일본 열도 태평양 방면 군 통솔 직책으로, 무사 정권의 시작과 함께 쇼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하며 일본을 통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감정봉행 | |
---|---|
직위 개요 | |
유형 | 막부 관직 |
관할 | 막부 재정 |
창설 시기 | 1603년 (에도시대) |
폐지 시기 | 1868년 (메이지 유신) |
관련 직책 | 다이칸 고가시라 간조구미 |
역할 및 기능 | |
주요 업무 | 막부 재정 관리 조세 징수 및 관리 회계 감사 화폐 주조 및 관리 막부 직할령 관리 재판 (일부) |
추가 설명 | 에도 막부의 재정을 총괄하는 중요 직책 |
임명 및 구성 | |
정원 | 4명 (시기별 변동) |
임명 자격 | 하타모토 출신 |
임명 방식 | 막부의 재정 담당 최고 책임자 |
구성 | 간조가시라 간조구미 고야부기 가시키 |
역사 | |
배경 |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막부를 세우면서 재정 기반 강화 필요 |
연혁 | 1603년: 직책 창설 에도시대: 막부 재정 운영의 핵심 역할 1868년: 메이지 유신으로 폐지 |
참고 | |
관련 용어 | 미노고시 오사카 가시키 나가사키 가시키 |
기타 | |
관련 인물 | 오기하라 시게히데 다다 미쓰나리 |
2. 에도 막부의 간조부교
노중의 지배를 받는 직책으로, 간조소의 최고 책임자였다.[1] 간조소는 정확한 설치 시기가 불분명하지만, 사료상 1605년에는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 에도 막부 성립 직후에는 이에야스의 슨푸 정권과 히데타다의 에도 정권으로 나뉘어 각각 간조소가 설치되었으나, 1616년 슨푸 정권이 해체되면서 에도의 간조소로 통합되었다.[1] 겐로쿠 연간까지는 '''간조가시라'''(勘定頭)라고도 불렸다.[1]
2. 1. 개요 및 역할
노중의 지휘를 받아 간조소라는 기관을 이끌었다.[1] 초기에는 간조가시라(勘定頭)로 불리기도 했다.[1]이에미쓰 시대에는 막부 직할령이나 다이칸(代官)의 지배, 금은 출납 등은 요리아이슈(노중)나 루스이의 직무로 여겨졌지만, 1642년에는 이들 또한 간조가시라의 직무가 되었다.[1]
재정 외에도 금융, 경제, 교통, 운송(1698년부터 도중봉행 겸임), 나가사키 무역, 경찰, 재판, 치수 사업도 담당했다.[1] 막부 말기에는 해방계의 일원으로서 국방에도 관여했다.[1]
정원은 약 4명이었으며, 1723년에 역료는 3000석으로 정해졌다.[1] 1754년부터는 어역 입용금으로서 연 300량이 지급되었다.[1]
1721년에 간조소는 연공(年貢)이나 지행할(知行割) 등을 취급하는 캇테가타(勝手方)와 공사(公事)나 소송 등을 취급하는 쿠지가타(公事方)로 나뉘었고, 이듬해인 1722년부터는 간조 봉행 및 막부 재정의 감사・감찰을 담당하는 간조 음미역(勘定吟味役)도 캇테가타와 쿠지가타를 분담하게 되었다.[1]
1635년 이후, 감정봉행은 사사봉행과 정봉행과 함께 삼봉행(三奉行)으로 지정되었으며, 이들은 평정소(評定所)를 구성하여 사법 기능도 수행했다.[1] (삼봉행을 주된 구성원으로 하는 모임은 후에 "평정소일좌"라고 칭해졌다).
1722년 이후에는 의식일에 참석하는 것은 공사방(公事方) 감정봉행으로 한정되었지만, 이와는 별도로 삼봉행이 각각 월번(月番)의 역택(役宅)에 모여 심의하는 내리기합(内寄合)이 있었다.[1]
2. 2. 조직 및 구성
노중의 지배를 받는 직책으로, 간조소의 최고 책임자였다.[1] 간조소는 정확한 설치 시기가 불분명하지만, 사료상으로는 게이초 10년(1605년)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1] 겐로쿠 연간까지는 '''간조가시라'''(勘定頭)라고도 칭했다.[1]정원은 약 4명이었다.[1] 교호 8년(1723년)에 간조소는 연공(年貢)이나 지행(知行) 등을 취급하는 캇테가타(勝手方)와 공사(公事)나 소송 등을 취급하는 쿠지가타(公事方)로 나뉘었다.[1] 간조부교 아래에는 간조긴미야쿠(勘定吟味役)가 있어 막부 재정의 감사 및 감찰을 담당했다.[1]
2. 3. 간조부교 목록
임명 연도 | 이름 | 비고 |
---|---|---|
1702년 | 나카야마 도키하루 | |
1705년 | 이시오 우지노부 | |
1708년 | 히라이와 치카요시 | |
1708년 | 오쿠보 타다카 | |
1712년 | 미즈노 타다요리 | |
1713년 | 미즈노 노부후사 | |
1714년 | 이세 사다토키 | |
1716년 | 오쿠보 타다이 | |
1719년 | 코마키네 마사카타 | |
1720년 | 카케히 마사야스 | |
1723년 | 히사마츠 사다모치 | |
1723년 | 이나오 마사타케 | |
1729년 | 마츠나미 마사하루 | |
1731년 | 호소다 토키모치 | |
1731년 | 스기오카 요시츠라 | |
1732년 | 마츠다이라 마사즈미 | |
1734년 | 카미야 히사타카 | |
1734년 | 이시노 노리타네 | |
1736년 | 코노 미치타카 | |
1737년 | 카미오 하루오 | |
1738년 | 사쿠라이 마사히데 | |
1738년 | 미즈노 타다노부 | |
1739년 | 키노시타 노부나 | |
1743년 | 하기와라 요시마사 | |
1744년 | 잇켄 타다에 | |
1746년 | 마츠우라 노부마사 | |
1748년 | 마가리부치 히데모토 | |
1749년 | 엔도 야스츠구 | |
1749년 | 미이 료류 | |
1752년 | 나가이 나오카타 | |
1752년 | 잇시키 마사미 | |
1753년 | 마츠다이라 타다미치 | |
1753년 | 오이 미츠히데 | |
1754년 | 오하시 치카요시 | |
1755년 | 나카야마 토키야스 | |
1756년 | 호소다 토키토시 | |
1757년 | 스기누마 사다히데 | |
1758년 | 이나오 마사히데 | |
1758년 | 오바타 카게토시 | |
1759년 | 이시야 세이쇼 | |
1760년 | 츠보우치 사다오 | |
1761년 | 안도 코레카네 | |
1761년 | 마키노 나리마사 | |
1762년 | 오노 잇키치 | |
1765년 | 이나 타다히로 | |
1768년 | 마츠다이라 타다사토 | |
1771년 | 카와이 히사타카 | |
1773년 | 오타 마사후사 | |
1775년 | 신미 마사사카 | |
1776년 | 쿠와바라 모리카즈 | |
1778년 | 야마무라 요시오 | |
1779년 | 마츠모토 히데모치 | |
1782년 | 아카이 타다아키 | |
1784년 | 쿠제 히로타미 | |
1786년 | 츠게 마사자네 | |
1786년 | 아오야마 나리토시 | |
1787년 | 네기시 시게모리 | |
1788년 | 쿠보타 마사쿠니 | |
1788년 | 야규 히사미치 | |
1788년 | 마가리부치 카게츠구 | |
1792년 | 사하시 요시유키 | |
1794년 | 마미야 노부요시 | |
1797년 | 나카가와 타다히데 | |
1797년 | 이시카와 타다후사 | |
1797년 | 스기누마 사다요시 | |
1798년 | 마츠다이라 타카요시 | |
1800년 | 오가사와라 나가유키 | |
1802년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 |
1806년 | 미즈노 타다미치 | |
1810년 | 나가타 마사미치 | |
1810년 | 히다 요리쓰네 | |
1811년 | 아리타 사다카쓰 | |
1812년 | 마가리 후미아키라 | |
1812년 | 고나가야 마사요시 | |
1812년 | 오가사와라 나가유키 | |
1814년 | 이와세 우지노리 | |
1815년 | 사카키바라 타다유키 | |
1816년 | 핫토리 사다카쓰 | |
1816년 | 쓰치야 이에나오 | |
1816년 | 후루카와 우지키요 | |
1818년 | 무라가키 사다유키 | |
1819년 | 도야마 가게요시 | |
1819년 | 이시카와 타다후사 | |
1820년 | 마쓰우라 타다시 | |
1823년 | 소가 스케히 | |
1828년 | 도카타 가쓰마사 | |
1829년 | 나이토 노리요시 | |
1832년 | 묘라쿠 시게무라 | |
1835년 | 오쿠사 다카요시 | |
1836년 | 가미오 모토타카 | |
1836년 | 야베 사다아키 | |
1837년 | 후카야 모리후사 | |
1838년 | 도야마 가게모토 | |
1840년 | 사하시 요시토미 | |
1840년 | 가지노 료자이 | |
1841년 | 타구치 요시유키 | |
1841년 | 토키 요리무네 | |
1841년 | 마쓰다이라 마사치카 | |
1841년 | 아토베 료히쓰 | |
1842년 | 토가와 야스기요 | |
1842년 | 오카모토 나루 | |
1842년 | 이노우에 히데에 | |
1843년 | 사사키 이치요 | |
1843년 | 도리이 타다테루 | |
1843년 | 이시카와 마사히라 | |
1843년 | 사카키바라 타다모토 | |
1844년 | 나카보 히로카제 | |
1844년 | 마쓰다이라 지카나오 | |
1844년 | 구스미 스케아키 | |
1845년 | 마키노 나리쓰나 | |
1848년 | 이케다 요리카타 | |
1850년 | 이나 타다아키 | |
1850년 | 잇시키 나오야스 | |
1852년 | 혼다 야스히데 | |
1852년 | 가와지 도시아키라 | |
1853년 | 타무라 겐쇼 | |
1854년 | 미즈노 타다노리 | |
1855년 | 이시타니 무세이 | |
1857년 | 토키 아사마사 | |
1857년 | 나가이 나오유키 | |
1858년 | 사사키 아키라쓰 | |
1858년 | 타츠타 마사아키 | |
1858년 | 오사와 노리테쓰 | |
1859년 | 야마구치 나오노부 | |
1859년 | 마쓰다이라 치카아키라 | |
1859년 | 호리코시 모토쿠니 | |
1859년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 |
1859년 | 다케다 시스이 | |
1860년 | 사카이 타다유키 | |
1860년 | 오가사와라 나가토키 | |
1861년 | 잇시키 나오아쓰 | |
1861년 | 다케우치 야스노리 | |
1861년 | 네기시 에이분 | |
1862년 | 오구리 다다후사 | |
1862년 | 가와카쓰 히로유키 | |
1862년 | 쓰다 마사미치 | |
1862년 | 즈즈키 미네테루 | |
1863년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 |
1863년 | 타츠타 마사나오 | |
1863년 | 기무라 가쓰노리 | |
1864년 | 사이토 산리 | |
1864년 | 아리마 노리쓰구 | |
1864년 | 스즈키 시게네 | |
1864년 | 오쿠보 타다히로 | |
1864년 | 마쓰다이라 마사유키 | |
1864년 | 고마이 아사하루 | |
1864년 | 이노우에 기요나오 | |
1864년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 |
1865년 | 쓰치야 마사나오 | |
1865년 | 오가사와라 마사타미 | |
1865년 | 이노우에 요시야 | |
1865년 | 오구리 마사야스 | |
1866년 | 오가사와라 히로나리 | |
1866년 | 핫토리 쓰네즈미 | |
1866년 | 아사히나 마사히로 | |
1866년 | 아사노 우지스케 | |
1866년 | 쓰카하라 마사요시 | |
1866년 | 호시노 나루미 | |
1867년 | 미조구치 가쓰유키 | |
1867년 | 가와즈 스케쿠니 | |
1867년 | 구리모토 콘 | |
1867년 | 오다 노부시게 | |
1867년 | 고이데 히데미 | |
1867년 | 하네다 마사미 | |
1867년 | 오노 히로토요 | |
1867년 | 오카다 다다요시 | |
1867년 | 사토 세이고로 | |
1868년 | 가토 요주로 | |
1868년 | 기쿠치 류키치 | |
1868년 | 마쓰다이라 노부토시 | |
1868년 | 마쓰모토 주타유 | |
1868년 | 히라오카 준 | |
1868년 | 하라 야주로 | |
1868년 | 기무라 요시키 |
2. 3. 1. 17세기
이름 | 재임 기간 | 비고 |
---|---|---|
오쿠보 나가야스 | 1603년 - 1613년 |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 초기 막부 재정 기반 마련 |
마쓰다이라 마사쓰나 | 1609년 - 1648년 | |
이나 다다쓰구 | ? | |
이타미 야스카쓰 | 1632년 - 1659년 | |
오코치 히사쓰나 | ? | |
이나 타다하루 | ? | |
스기우라 마사토모 | 1632년 - 1634년 | |
사카이 타다요시 | 1632년 - 1635년 | |
소네 요시쓰구 | 1642년 - 1661년 | |
무라코시 요시카쓰 | 1651년 - 1659년 | |
오카다 요시마사 | 1660년 - 1670년 | |
이타미 가쓰나가 | 1662년 | |
쓰마키 시게나오 | 1662년 - 1670년 | |
마쓰우라 노부사다 | 1666년 - 1673년 | |
스기우라 마사테루 | 1668년 - 1680년 | |
도쿠야마 시게마사 | 1670년 - 1681년 | |
가이쇼 마사치카 | 1672년 - 1680년 | |
오카베 요시마사 | 1675년 - 1678년 | |
오카오카 기요시게 | 1680년 - 1687년 | |
다카기 모리조 | 1680년 - 1682년 | |
히고사카 시게하루 | 1680년 - 1687년 | |
나카야마 노부히사 | 1682년 - 1685년 | |
마쓰다이라 타다후유 | 1685년 | |
센고쿠 마사카쓰 | 1685년 - 1687년 | |
고스게 마사타케 | 1687년 - 1688년 | |
사노 마사치카 | 1687년 - 1688년 | |
마쓰다이라 시게요시 | 1688년 - 1698년 | |
토다 나오타케 | 1688년 - 1689년 | |
이나오 마사테루 | 1689년 - 1699년 | |
이도 요시히로 | 1694년 - 1702년 | |
오기와라 시게히데 | 1696년 - 1712년 | 겐로쿠 시대 경제 정책 주도, 화폐 개혁 실패로 실각 |
구가이 마사카타 | 1699년 - 1705년 | |
토가와 야스히로 | 1699년 - 1708년 |
2. 3. 2. 18세기
이름 | 재임 기간 |
---|---|
나카야마 도키하루 | 1702년 - 1714년 |
이시오 우지노부 | 1705년 - 1708년 |
히라이와 치카요시 | 1708년 - 1713년 |
오쿠보 타다카 | 1708년 - 1716년 |
미즈노 타다요리 | 1712년 - 1719년 |
미즈노 노부후사 | 1713년 - 1723년 |
이세 사다토키 | 1714년 - 1721년 |
오쿠보 타다이 | 1716년 - 1723년 |
코마키네 마사카타 | 1719년 - 1732년 |
카케히 마사야스 | 1720년 - 1734년 |
히사마츠 사다모치 | 1723년 - 1729년 |
이나오 마사타케 | 1723년 - 1731년 |
마츠나미 마사하루 | 1729년 - 1736년 |
호소다 토키모치 | 1731년 - 1737년 |
스기오카 요시츠라 | 1731년 - 1738년 |
마츠다이라 마사즈미 | 1732년 - 1734년 |
카미야 히사타카 | 1734년 - 1749년 |
이시노 노리타네 | 1734년 - 1737년 |
코노 미치타카 | 1736년 - 1742년 |
카미오 하루오 | 1737년 - 1753년 |
사쿠라이 마사히데 | 1738년 - 1739년 |
미즈노 타다노부 | 1738년 - 1744년 |
키노시타 노부나 | 1739년 - 1746년 |
하기와라 요시마사 | 1743년 - 1745년 |
잇켄 타다에 | 1744년 - 1748년 |
마츠우라 노부마사 | 1746년 - 1753년 |
마가리부치 히데모토 | 1748년 - 1757년 |
엔도 야스츠구 | 1749년 - 1751년 |
미이 료류 | 1749년 - 1751년 |
나가이 나오카타 | 1752년 - 1753년 |
잇시키 마사미 | 1752년 - 1765년 |
마츠다이라 타다미치 | 1753년 - 1754년 |
오이 미츠히데 | 1753년 - 1756년 |
오하시 치카요시 | 1754년 - 1758년 |
나카야마 토키야스 | 1755년 - 1757년 |
호소다 토키토시 | 1756년 - 1759년 |
스기누마 사다히데 | 1757년 - 1758년 |
이나오 마사히데 | 1758년 - 1760년 |
오바타 카게토시 | 1758년 - 1761년 |
이시야 세이쇼 | 1759년 - 1779년 |
츠보우치 사다오 | 1760년 - 1761년 |
안도 코레카네 | 1761년 - 1782년 |
마키노 나리마사 | 1761년 - 1768년 |
오노 잇키치 | 1762년 - 1771년 |
이나 타다히로 | 1765년 - 1769년 |
마츠다이라 타다사토 | 1768년 - 1773년 |
카와이 히사타카 | 1771년 - 1775년 |
오타 마사후사 | 1773년 - 1778년 |
신미 마사사카 | 1775년 - 1776년 |
쿠와바라 모리카즈 | 1776년 - 1788년 |
야마무라 요시오 | 1778년 - 1784년 |
마츠모토 히데모치 | 1779년 - 1786년 |
아카이 타다아키 | 1782년 - 1786년 |
쿠제 히로타미 | 1784년 - 1797년 |
츠게 마사자네 | 1786년 - 1788년 |
아오야마 나리토시 | 1786년 - 1787년 |
네기시 시게모리 | 1787년 - 1798년 |
쿠보타 마사쿠니 | 1788년 - 1792년 |
야규 히사미치 | 1788년 - 1817년 |
마가리부치 카게츠구 | 1788년 - 1797년 |
사하시 요시유키 | 1792년 - 1794년 |
마미야 노부요시 | 1794년 - 1797년 |
나카가와 타다히데 | 1797년 - 1806년 |
이시카와 타다후사 | 1797년 - 1806년 |
스기누마 사다요시 | 1797년 - 1802년 |
마츠다이라 타카요시 | 1798년 - 1799년 |
오가사와라 나가유키 | 1800년 - 1812년 |
2. 3. 3. 19세기
임명 연도 | 이름 |
---|---|
1802년 | 마쓰다이라 노부유키 |
1806년 | 미즈노 타다미치 |
1810년 | 나가타 마사미치 |
1810년 | 히다 요리쓰네 |
1811년 | 아리타 사다카쓰 |
1812년 | 마가리 후미아키라 |
1812년 | 고나가야 마사요시 |
1812년 | 오가사와라 나가유키 |
1814년 | 이와세 우지노리 |
1815년 | 사카키바라 타다유키 |
1816년 | 핫토리 사다카쓰 |
1816년 | 쓰치야 이에나오 |
1816년 | 후루카와 우지키요 |
1818년 | 무라가키 사다유키 |
1819년 | 도야마 가게요시 |
1819년 | 이시카와 타다후사 |
1820년 | 마쓰우라 타다시 |
1823년 | 소가 스케히 |
1828년 | 도카타 가쓰마사 |
1829년 | 나이토 노리요시 |
1832년 | 묘라쿠 시게무라 |
1835년 | 오쿠사 다카요시 |
1836년 | 가미오 모토타카 |
1836년 | 야베 사다아키 |
1837년 | 후카야 모리후사 |
1838년 | 도야마 가게모토 |
1840년 | 사하시 요시토미 |
1840년 | 가지노 료자이 |
1841년 | 타구치 요시유키 |
1841년 | 토키 요리무네 |
1841년 | 마쓰다이라 마사치카 |
1841년 | 아토베 료히쓰 |
1842년 | 토가와 야스기요 |
1842년 | 오카모토 나루 |
1842년 | 이노우에 히데에 |
1843년 | 사사키 이치요 |
1843년 | 도리이 타다테루 |
1843년 | 이시카와 마사히라 |
1843년 | 사카키바라 타다모토 |
1844년 | 나카보 히로카제 |
1844년 | 마쓰다이라 지카나오 |
1844년 | 구스미 스케아키 |
1845년 | 마키노 나리쓰나 |
1848년 | 이케다 요리카타 |
1850년 | 이나 타다아키 |
1850년 | 잇시키 나오야스 |
1852년 | 혼다 야스히데 |
1852년 | 가와지 도시아키라 |
1853년 | 타무라 겐쇼 |
1854년 | 미즈노 타다노리 |
1855년 | 이시타니 무세이 |
1857년 | 토키 아사마사 |
1857년 | 나가이 나오유키 |
1858년 | 사사키 아키라쓰 |
1858년 | 타츠타 마사아키 |
1858년 | 오사와 노리테쓰 |
1859년 | 야마구치 나오노부 |
1859년 | 마쓰다이라 치카아키라 |
1859년 | 호리코시 모토쿠니 |
1859년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
1859년 | 다케다 시스이 |
1860년 | 사카이 타다유키 |
1860년 | 오가사와라 나가토키 |
1861년 | 잇시키 나오아쓰 |
1861년 | 다케우치 야스노리 |
1861년 | 네기시 에이분 |
1862년 | 오구리 다다후사 |
1862년 | 가와카쓰 히로유키 |
1862년 | 쓰다 마사미치 |
1862년 | 즈즈키 미네테루 |
1863년 | 마쓰다이라 야스나오 |
1863년 | 타츠타 마사나오 |
1863년 | 기무라 가쓰노리 |
1864년 | 사이토 산리 |
1864년 | 아리마 노리쓰구 |
1864년 | 스즈키 시게네 |
1864년 | 오쿠보 타다히로 |
1864년 | 마쓰다이라 마사유키 |
1864년 | 고마이 아사하루 |
1864년 | 이노우에 기요나오 |
1864년 | 마쓰다이라 야스마사 |
1865년 | 쓰치야 마사나오 |
1865년 | 오가사와라 마사타미 |
1865년 | 이노우에 요시야 |
1865년 | 오구리 마사야스 |
1866년 | 오가사와라 히로나리 |
1866년 | 핫토리 쓰네즈미 |
1866년 | 아사히나 마사히로 |
1866년 | 아사노 우지스케 |
1866년 | 쓰카하라 마사요시 |
1866년 | 호시노 나루미 |
1867년 | 미조구치 가쓰유키 |
1867년 | 가와즈 스케쿠니 |
1867년 | 구리모토 콘 |
1867년 | 오다 노부시게 |
1867년 | 고이데 히데미 |
1867년 | 하네다 마사미 |
1867년 | 오노 히로토요 |
1867년 | 오카다 다다요시 |
1867년 | 사토 세이고로 |
1868년 | 가토 요주로 |
1868년 | 기쿠치 류키치 |
1868년 | 마쓰다이라 노부토시 |
1868년 | 마쓰모토 주타유 |
1868년 | 히라오카 준 |
1868년 | 하라 야주로 |
1868년 | 기무라 요시키 |
번(藩)에도 감정봉행이 있었으며, 막부의 감정봉행과 마찬가지로 번의 재정 및 세금 징수 등의 업무를 담당했다. 감정소의 최고 책임자는 간조 부교였으며, 번의 재정적 책임을 위해 비교적 상위 계급의 사무라이가 가문 내에서 임명되었다. 또한, 간조 부교 아래에는 업무를 담당하는 회계 담당 관리가 있었다.[1]
3. 각 번(藩)의 간조부교
4. 간조부교 관련 역직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