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릉시의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릉시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문진읍, 성산면,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사천면, 연곡면으로 이루어진 읍면과 홍제동, 중앙동, 옥천동, 교동, 포남동, 초당동, 송정동, 내곡동, 강남동, 성덕동, 경포동 등의 행정동으로 나뉜다. 강릉시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서 깊은 도시로, 삼국 시대에는 고구려와 신라의 각축장이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명주도독부가 설치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강릉대도호부가 설치되었고, 1955년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을 통합하여 강릉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에는 명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의 행정 구역 - 주문진읍
    주문진읍은 강릉시에 있는 읍으로, 과거 지산현, 신리면을 거쳐 일제강점기 주문진면으로 개칭된 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5개의 리와 강원도립대학교 등의 교육기관, 복지시설, 그리고 다양한 관광지와 축제가 있는 곳이다.
  • 강릉시의 행정 구역 - 옥계면
    옥계면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최남단에 위치하며 동해와 접하고 두리봉, 석병산을 경계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동해시와 이웃하며 예국 땅에서 신라 우계현, 조선 강릉현 우계면을 거쳐 1941년 개칭된 곳으로 금진리, 낙풍리, 남양리 등 9개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면사무소와 옥계초등학교가 있는 현내리가 면소재지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동해시의 행정 구역
    동해시의 행정 구역은 2024년 현재 6개의 행정동(북삼동, 북평동, 묵호동, 발한동, 삼화동, 천곡동)과 31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지역 주민에게 다양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한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시군별 행정 구역 - 삼척시의 행정 구역
    삼척시의 행정 구역은 강원특별자치도에 속하며, 2개의 읍(도계읍, 원덕읍), 6개의 면(근덕면, 하장면, 노곡면, 미로면, 가곡면, 신기면), 4개의 행정동(남양동, 성내동, 교동, 정라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구역은 법정동과 리로 나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강릉시의 행정 구역
개요
국가대한민국
광역 자치 단체강원특별자치도
기초 자치 단체강릉시
하위 행정 구역
종류읍, 면, 동
개수1읍 7면 13동
행정 구역 현황
주문진읍
강동면
구정면
사천면
성산면
연곡면
왕산면
옥계면
홍제동
중앙동
옥천동
교1동
교2동
포남1동
포남2동
초당동
송정동
내곡동
강남동
성덕동
성유동

2. 행정 구역

강릉시한국어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 13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표는 강릉시의 읍면동별 인구, 면적, 세대 수를 나타낸 것이다.

읍·면·동한자면적(km2)인구세대
주문진읍注文津邑60.52km219,2999,098
성산면城山面80.28km23,3051,488
왕산면王山面245.28km21,682881
구정면邱井面42.72km23,9901,661
강동면江東面112.48km25,0902,435
옥계면玉溪面148.83km24,4522,039
사천면沙川面70.89km24,2551,971
연곡면連谷面202.45km26,9203,090
홍제동弘濟洞3.76km28,6783,601
중앙동中央洞0.99km26,4473,281
옥천동玉泉洞0.58km24,2462,162
교1동校1洞2.73km229,99511,122
교2동校2洞2.57km29,7234,078
포남1동浦南1洞1.3km212,0575,213
포남2동浦南2洞2.58km216,6946,727
초당동草堂洞2.89km25,9212,413
송정동松亭洞3.45km27,5612,838
내곡동內谷洞4.96km211,9705,066
강남동江南洞16.09km221,5158,450
성덕동城德洞11.41km229,35711,043
경포동鏡浦洞23.02km24,8292,234
강릉시江陵市1040km2217,98690,891



강릉시 지도


강릉시내 지도

2. 1. 읍면

강릉시는 1개의 읍과 7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주문진읍동해안 어업 전진 기지이며, 수산물 가공업이 발달했다. 성산면대관령 기슭에 위치하며 고랭지 채소 재배가 활발하다. 왕산면태백산맥 자락에 위치하며 산림 자원이 풍부하다. 구정면에는 굴산사지 당간지주를 비롯한 여러 문화 유적이 있다. 강동면정동진 해돋이 명소와 안보 공원이 있다. 옥계면은 석회석 광산과 동해안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사천면에는 사천진 해변과 경포호가 인접해 있다. 연곡면은 오대산 국립공원과 소금강 계곡이 유명하다.[1]

읍·면한자면적(km2)인구세대
주문진읍注文津邑60.52km219,2999,098
성산면城山面80.28km23,3051,488
왕산면王山面245.28km21,682881
구정면邱井面42.72km23,9901,661
강동면江東面112.48km25,0902,435
옥계면玉溪面148.83km24,4522,039
사천면沙川面70.89km24,2551,971
연곡면連谷面202.45km26,9203,090


2. 1. 1. 주문진읍

주문진읍동해안 어업 전진 기지이며, 수산물 가공업이 발달했다. 면적은 60.52km2이며, 2023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 및 세대수는 다음과 같다.[1]

인구세대
19,299명9,098세대


2. 1. 2. 성산면



성산면대관령 기슭에 위치하며, 고랭지 채소 재배가 활발하다. [1]

한자면적(km2)인구세대
城山面80.28km23,3051,488


2. 1. 3. 왕산면

태백산맥 자락에 위치하며, 산림 자원이 풍부하다. 면적은 245.28km2이고, 2023년 12월 말 기준으로 인구는 1,682명, 881세대이다.

면적(km2)인구세대
245.28km21,682881


2. 1. 4. 구정면

강릉시 구정면(邱井面)은 면적이 42.72km2이며, 2023년 12월 말 기준으로 인구는 3,990명, 1,661세대이다. 굴산사지 당간지주를 비롯한 여러 문화 유적이 있다.

2. 1. 5. 강동면

강동면강릉시의 면으로, 정동진 해돋이 명소와 안보 공원이 있다. 면적은 112.48km2이며, 2023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5,090명, 2,435세대이다.

2. 1. 6. 옥계면

옥계면은 석회석 광산과 동해안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면적은 148.83km2이고, 인구는 4,452명이다.

2. 1. 7. 사천면

사천면(沙川面)은 면적 70.89km2에 인구는 4,255명, 1,971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사천진 해변과 경포호가 인접해 있다.

2. 1. 8. 연곡면

오대산 국립공원과 소금강 계곡이 유명하다. 면적은 202.45km2이며, 인구는 6,920명이고 3,090세대가 거주한다.

2. 2. 행정동

강릉시에는 13개의 행정동이 있다.

행정동한자면적(km2)인구세대
홍제동弘濟洞3.76km28,6783,601
중앙동中央洞0.99km26,4473,281
옥천동玉泉洞0.58km24,2462,162
교1동校1洞2.73km229,99511,122
교2동校2洞2.57km29,7234,078
포남1동浦南1洞1.3km212,0575,213
포남2동浦南2洞2.58km216,6946,727
초당동草堂洞2.89km25,9212,413
송정동松亭洞3.45km27,5612,838
내곡동內谷洞4.96km211,9705,066
강남동江南洞16.09km221,5158,450
성덕동城德洞11.41km229,35711,043
경포동鏡浦洞23.02km24,8292,234


3. 법정동·리

읍·면·행정동법정동·리
주문진읍주문리, 교항리, 장덕리, 삼교리, 향호리
성산면구산리, 관음리, 금산리, 위촌리, 송암리, 보광리, 어흘리, 오봉리, 산북리
왕산면도마리, 목계리, 왕산리, 고단리, 송현리, 대기리
구정면여찬리, 학산리, 구정리, 금광리, 어단리, 덕현리, 제비리
강동면상시동리, 모전리, 안인리, 안인진리, 임곡리, 하시동리, 정동진리, 심곡리, 산성우리, 언별리
옥계면현내리, 천남리, 주수리, 도직리, 조산리, 남양리, 북동리, 낙풍리, 금진리, 산계리
사천면미노리, 노동리, 석교리, 판교리, 사천진리, 덕실리, 방동리, 산대월리, 사기막리
연곡면방내리, 영진리, 동덕리, 송림리, 행정리, 신왕리, 유등리, 삼산리, 퇴곡리
홍제동홍제동
중앙동금학동, 남문동, 명주동, 성남동, 성내동, 용강동, 임당동
옥천동옥천동
교1동교동
교2동교동
포남1동포남동
포남2동포남동
초당동강문동 (일부), 초당동
송정동견소동, 송정동
내곡동내곡동, 회산동
강남동노암동, 담산동, 박월동, 신석동, 운산동, 월호평동, 유산동, 장현동
성덕동남항진동, 두산동, 병산동, 입암동, 청량동, 학동
경포동강문동(일부), 난곡동, 대전동, 안현동, 운정동, 유천동, 저동, 죽헌동, 지변동


4. 역사

1906년 강릉군 관할 임계·도암면이 정선군으로, 진부·봉평·대화면을 평창군으로, 내면이 인제군으로 각각 이관되었다.[3]

1914년 4월 1일 북1리면, 북2리면, 남1리면을 합쳐 군내면(郡內面)으로, 남2리면을 성남면(城南面)으로, 가남면을 하남면으로 개편하였다.

1916년 10월 1일 군내면을 강릉면으로, 자가곡면을 강동면으로 개칭하였다.

1917년 11월 1일 상구정면을 왕산면으로, 하구정면을 구정면으로 개칭하였다.

1920년 11월 1일 성남면, 덕방면을 성덕면으로 합면하고, 성남면에서 나뉜 일부를 정동면에 편입하였다.

1931년 4월 1일 강릉면을 강릉읍으로 승격하였다.[4]

1937년 4월 1일 신리면을 주문진면으로 개칭하였다.

1938년 9월 1일 정동면을 경포면으로 개칭하였다.

1940년 11월 1일 주문진면을 주문진읍으로 승격하였다.[5]

1942년 10월 1일 망상면을 묵호읍으로 승격하였다.[6]

1945년 양양군 현남면과 현북면, 서면 일부를 강릉군으로 편입하였다.

1954년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시행에 따라 현북면과 서면을 양양군에 편입하였다.

1955년 9월 1일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을 통합하여 강릉시로 승격하고, 강릉군을 명주군으로 개칭하였다.[7]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강릉군 강릉읍, 성덕면, 경포면강릉시 일원
강릉군 주문진읍, 묵호읍, 성산면, 왕산면, 구정면, 강동면, 옥계면, 사천면, 연곡면, 현남면명주군 일원



1963년 1월 1일 현남면이 양양군에 편입되었다.

1965년 4월 옥포동을 옥천동과 포남동으로, 입암동을 두산동으로 분동하였다.

1973년 7월 1일 왕산면 남곡리, 구절리가 정선군 북면으로 편입되었다.[8]

1980년 4월 1일 명주군 묵호읍과 삼척군 북평읍을 합쳐 동해시로 승격하였다.

1983년 2월 15일 구정면 언별리가 강동면으로, 산북리가 성산면으로 편입되었다.[9]

1983년 10월 1일 남문동과 성남동을 중앙동으로 합동하고, 교동을 교1동과 교2동으로 분동하였다.

1989년 1월 1일 강동면 운산리를 월호평동으로 편입하였다.

1995년 1월 1일 강릉시와 명주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강릉시가 설치되었다.[10] 이 통합은 도시와 농촌 지역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95년 3월 2일 포남동을 포남1동과 포남2동으로 분동하였다.

1998년 10월 1일 중앙동과 임당동을 중앙동으로, 장현·노암·월호평동을 강남동으로, 입암동과 두산동을 성덕동으로, 유천·죽헌·운정·저동을 경포동으로 합동하였다.

참조

[1] 문서 2011년 9월 30일 기준
[2] 웹사이트 강릉시 월별 주민등록 인구현황 https://www.gangneun[...] 2012-04-17
[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21호 1940-10-23
[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7] 법률 법률 제369호 강릉시설치에관한법률 1955-08-13
[8]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9]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0]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