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영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영우는 14세에 시각 장애를 갖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유학을 통해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물이다. 그는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분과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췌장암 투병 중 전 재산을 기부하고 2012년 사망했다. 강영우는 맹인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 연세대학교에 입학했으며, 이후 미국에서 학위를 받고 국가 장애 위원회 정책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장애인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그는 또한 세계 장애 위원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국제 장애인상 제정을 주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각 장애 정치인 - 호아킨 발라게르
호아킨 발라게르는 도미니카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작가로서, 라파엘 트루히요 정권에서 요직을 거쳐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장기간 집권하며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나 권위주의적인 통치와 인권 침해 논란에 휩싸였고,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시각 장애 정치인 - 김예지 (1980년)
김예지는 선천성 시각장애를 가진 피아니스트이자 장애인 음악 교육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국회의원으로서 장애인 권익 보호와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에 힘쓰고 있다. - 조지 W. 부시 - 토니 블레어
토니 블레어는 1997년부터 2007년까지 영국 총리를 지낸 노동당 정치인으로, '제3의 길' 노선을 추구하며 북아일랜드 평화 협정 체결에 기여했으나 아프가니스탄 및 이라크 전쟁 참전 결정으로 논란을 겪었고 퇴임 후 국제적인 활동과 자선 활동을 이어가며 경제적 성공과 사회 개혁, 이라크 전쟁 책임에 대한 복잡한 평가를 받고 있다. - 조지 W. 부시 - 2003년 이라크 침공
2003년 이라크 침공은 2003년 미국, 영국 등의 연합군이 이라크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 등을 명분으로 침공하여 사담 후세인 정권을 무너뜨렸지만, 이후 이라크는 혼란과 종파 분쟁에 휩싸인 사건이다. - 한국계 미국인 정치인 - 영 김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영 김은 캘리포니아주 하원 의원을 거쳐 현재 캘리포니아 제40선거구의 미국 연방 하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하원 외교위원회 인도-태평양 소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미국의 정치인이다. - 한국계 미국인 정치인 - 신호범
신호범은 한국전쟁 중 미국으로 입양되어 미국에서 성장했으며, 워싱턴 주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역임하다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사임하고 사망했다.
강영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강영우 |
원래 이름 | Young Woo Kang |
출생일 | 1944년 1월 6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경기도 양평 |
사망지 |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사망일 | 2012년 2월 24일 |
거주지 | 미국 워싱턴 D.C. 미국 뉴욕주 뉴욕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직책 | |
직책 |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행정정책정책차관보 |
임기 시작 | 2001년 12월 27일 |
임기 종료 | 2006년 3월 9일 |
대통령 | 조지 W. 부시 |
부통령 | 딕 체니 |
경력 | |
경력 | 미국 시카고 대학교 객원교수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위원회 대표상무정책위원 미국 공화당 복지교육특임고문 |
학력 | |
학력 |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 대학원 |
정치 | |
정당 | 미국 공화당 |
개인 정보 | |
종교 | 개신교 |
배우자 | 석은옥 |
자녀 | 슬하 2남 |
2. 이력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에서 태어난 강영우는 14세(1957년)에 축구 경기 중 공에 맞아 시력을 잃었다.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장애인 최초로 미국 유학길에 올라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부름으로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역임했다. 그는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국제 장애인상 제정을 주도했고, 국제 연합의 장애인 참여 확대 목표 달성에 기여했다.[8] 또한, 전국 장애 위원회 정책 자문위원으로서 장애인의 비상 계획 포함, 문화적 차이, 장애인 권한 부여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으며, 장애인을 위한 6가지 종류의 전자 장치 연구 개발을 지원했다.[5][9]
2011년 췌장암 투병 중 전 재산을 국제로터리재단 평화센터에 평화장학금으로 250000USD를 기부했으며, 2012년 2월 23일 6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11][12]
강영우는 케이(Kay)로도 알려진 굥(Kyoung)과 결혼하여 두 아들 폴과 크리스토퍼를 두었다. 장남 폴은 워싱턴 D.C.에서 안과 의사로, 차남 크리스토퍼는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 부보좌관 겸 부고문으로 재직했다.[6]
2. 1. 어린 시절과 시련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에서 태어난 그는 후천성 소아 녹내장을 앓았는데, 14세(1957년 중학교 2학년) 때 축구에서 골키퍼를 하다가 공에 눈을 맞아 시각 장애를 앓았다.[11][12] 이 사고가 나기 얼마 전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이 소식을 들은 어머니도 갑자기 숨지고 말았다. 그의 누나도 강영우와 어린 동생들을 위해 열심히 일했지만, 과로로 죽고, 이와 동시에 세 남매는 서로 뿔뿔이 흩어져야 했다.[11][12] 당시에는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만연해 있었는데, 전통적인 한국 문화에서는 시각 장애인을 보는 것이 불운을 가져온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었다. 시각 장애인들은 실제로 침을 뱉는 등 소외된 사람으로 취급받았다.[4][5]맹인학교에 들어간 강영우는 점쟁이나 안마사가 자신의 미래라고 생각했다. 삶을 포기하고 싶던 시절도 있었다. 하지만 그는 사회적 편견과 인식을 깨고 싶었다. 학문을 갈망했던 그는 점자를 배우며 대학을 목표로 공부하게 된다. 자원봉사자로 왔던 여대생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 중 한 명이 나중에 강영우의 아내가 된 석은옥 여사였다. 그는 시각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대학 원서접수를 거부당하는 수모를 겪었지만 결국 연세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낮은 체육 학점에도 불구하고 차석으로 졸업했다.[11][12]
2. 2. 학업과 결혼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에서 태어난 그는 후천성 소아 녹내장을 앓았는데, 14세(1957년) 때 축구를 하다가 공에 눈을 맞아 시각 장애를 앓았다. 맹인학교에 들어간 강영우는 점자를 배우며 대학을 목표로 공부했다. 자원봉사자로 왔던 여대생 중 한 명이 훗날 강영우의 아내가 된 석은옥 여사였다. 그는 시각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대학 원서접수를 거부당했지만, 결국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차석으로 졸업했다.석은옥 여사와 결혼 후, 한국 장애인 최초로 미국 유학길에 올라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조지 W. 부시 행정부에서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차관보를 역임했다.[11][12]
연세대학교에 입학한 최초의 시각 장애인이었던 강영우는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펜실베이니아 피츠버그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했다. 1976년, 한국인 최초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한 시각 장애인이 되었다. 로타리 재단 장학생으로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특수 교육 및 재활 상담 분야 석사 학위와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 3. 미국 유학과 췌장암 투병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에서 태어난 그는 후천성 소아 녹내장을 앓았는데, 14세(1957년 중학교 2학년) 때 축구를 하다가 공에 눈을 맞아 시각 장애를 앓았다. 이 사고가 나기 얼마 전에는 아버지가 돌아가셨고, 이 소식을 들은 어머니도 갑자기 숨지고 말았다. 그의 누나도 영우와 어린 동생들을 위해 열심히 일했지만, 과로로 죽고, 이와 동시에 세 남매는 서로 뿔뿔이 흩어져야 했다. 맹인학교에 들어간 강영우는 점쟁이나 안마사가 자신의 미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는 사회적 편견과 인식을 깨고 싶었다. 학문을 갈망했던 그는 점자를 배우며 대학을 목표로 공부하게 된다. 자원봉사자로 왔던 여대생의 도움을 받았는데 그 중 한 명이 나중에 강영우의 아내가 된 석은옥 여사였다. 그는 시각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대학 원서접수를 거부당하는 수모를 겪었지만 결국 연세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고, 낮은 체육학점에도 불구하고 차석으로 졸업했다. 그리고 석은옥 여사와 결혼하고 한국 장애인 최초로 미국 유학길에 오르면서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1][12]2001년부터 2009년까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부름으로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분과위원장(차관보 해당 보직급)를 역임했다.
2011년부터 췌장암으로 투병 생활을 하면서 자신의 전 재산을 국제로터리재단 평화센터에 평화장학금으로 250000USD를 기부하였다. 2012년 2월 23일 향년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1][12]
3. 교육 배경
강영우는 서울 연세대학교에 입학한 최초의 시각 장애인이었으며,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 후 펜실베이니아에 있는 피츠버그 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진학했다.[1] 1976년, 한국인 최초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모두 취득한 시각 장애인이 되었다.[1] 피츠버그 대학교 재학 중 로타리 재단 장학생이었으며, 특수 교육 및 재활 상담 분야에서 석사 학위를,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4. 경력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에서 태어난 강영우는 후천성 소아 녹내장을 앓았으며, 14세(1957년)에 축구공에 눈을 맞아 시각 장애를 갖게 되었다.[11][12] 어린 시절 아버지와 어머니, 누나를 잃고 맹인학교에 들어갔으나, 사회적 편견을 깨고자 학업에 정진했다. 자원봉사자였던 석은옥 여사의 도움으로 연세대학교에 입학, 차석으로 졸업했다.
졸업 후 석은옥 여사와 결혼하고 한국 장애인 최초로 미국 유학길에 올라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1년 췌장암 투병 중 전 재산을 국제로터리재단 평화센터에 평화장학금으로 기부하고, 2012년 2월 23일 6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11][12]
4. 1. 국제 장애 위원회 활동
강영우는 세계 장애 위원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국제 장애인상 제정을 주도했다. 1995년에 제정된 이 상은 국제 연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의 참여를 확대하는 국가의 진전을 인정하고 장려한다.[8]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강영우를 전국 장애 위원회의 정책 자문위원으로 임명했다. 전국 장애 위원회는 대통령과 의회에 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권고를 하는 독립적인 연방 기관이다. 상원 인준을 거쳐 강영우는 장애인의 비상 계획 포함, 문화적 차이, 장애인 권한 부여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다. 또한 그는 휴대 전화 및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포함하여 장애인을 위한 6가지 종류의 전자 장치의 연구 개발을 지원했다.[5][9]
4. 2. 미국 정부 활동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부름으로 미국 국무부 국가장애위원회 정책분과위원장(차관보급)을 역임했다.[11][12]2002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강영우를 전국 장애 위원회 정책 자문위원으로 임명했다. 전국 장애 위원회는 대통령과 의회에 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권고를 하는 독립적인 연방 기관이었다. 상원 인준을 거쳐 강영우는 장애인의 비상 계획 포함, 문화적 차이, 장애인 권한 부여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문제에 관여했다. 또한 그는 휴대 전화 및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포함하여 장애인을 위한 6가지 종류의 전자 장치의 연구 개발을 지원했다.[5][9]
세계 장애 위원회 부회장으로 활동하며, 프랭클린 D. 루스벨트 국제 장애인상 제정을 주도했다. 1995년에 제정된 이 상은 국제 연합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장애인의 참여를 확대하는 국가의 진전을 인정하고 장려한다.[8]
5. 가족 관계
강영우는 케이(Kay)로도 알려진 석은옥 여사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장남 폴 강은 워싱턴 D.C.에서 안과 의사로 일하고 있으며, 차남 크리스토퍼 강은 오바마 대통령의 백악관 부보좌관 겸 부고문으로 재직하였다. 크리스토퍼 강은 이전에 미국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리처드 더빈 보좌관으로 헌법, 형사 사법 및 노동 문제를 감독했다.[6] 석은옥 여사는 거의 30년 동안 교사로 재직하며 인디애나주 게리 공립학교에서 시각 장애 학생들을 가르쳤다.[6]
6. 사회 공헌 및 수상
강영우는 로터리 재단 공로상,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군 인권 위원회 인권상 등을 수상하며 사회에 공헌했다.[11][12] 2011년에는 전 재산 25만 달러(한화 약 2.9억원)를 국제로터리재단 평화센터에 평화장학금으로 기부하였다.
7. 저서
- 강영우. ''나의 두 번째 시련: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7가지 삶의 원리'', 아빙돈 출판사, 2004년.
- 강영우. ''지혜로운 삶: 성공적인 삶을 위한 7가지 열쇠'', 아빙돈 출판사, 2007년.
- 강영우. ''내 마음의 빛: 장애인, 믿음, 희망'', 생명의 말씀사, 2003년.
참조
[1]
웹사이트
Success Stories: Dr. Young-Woo Kang
http://www.ntac.hawa[...]
Ntac.hawaii.edu
2011-02-05
[2]
웹사이트
Bicheun nae gaseume (1995) - IMDb
https://www.imdb.com[...]
[3]
웹사이트
Commemorative Chairs: Young Woo Kang
http://newdeal.feri.[...]
Newdeal.feri.org
2011-02-05
[4]
서적
The Rotarian
https://archive.org/[...]
Rotary International
1996-02
[5]
웹사이트
Pitt Chronicle » Young-Woo Kang Gives Gift to Thornburgh Forum for Law and Public Policy
http://www.chronicle[...]
Chronicle.pitt.edu
2011-01-18
[6]
웹사이트
Political transition also taking place at Kang's family
http://www.bostonkap[...]
Bostonkap.com
2009-02-04
[7]
간행물
Global Alumni Service to Humanity Award
http://www.rotary.or[...]
The Rotary Foundation
2011-02-05
[8]
웹사이트
World Programme of Action Concerning Disabled Persons
http://www.un.org/di[...]
[9]
웹사이트
Remarks by Young Woo Kang, Ph.D., Saving Lives: Inclu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in Emergency Planning New Conference - April 15, 2005
http://www.ncd.gov/n[...]
Ncd.gov
2005-04-15
[10]
뉴스
Ex-White House adviser dies of cancer at 68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2-02-24
[11]
뉴스
"내 장애는 축복이었다"던 그... 양평사람 고(故)강영우
http://www.ypsori.co[...]
2018-12-15
[12]
뉴스
시각장애인 강영우 前백악관 차관보, 별세
http://news.chosun.c[...]
2018-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