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개구리 단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개구리 단추는 전통적인 중국 매듭 공예에서 유래한 의복 잠금 장치로, 수천 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중국 의상에 처음 등장하여 잠금 장치 및 장식으로 사용되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다양한 형태와 스타일로 발전했다. 개구리 단추는 중국 패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만다린 칼라와 같은 중국식 칼라의 등장에도 기여했다.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에서는 군복, 특히 기병 부대의 장식 요소로 사용되었으며, 군사 작전을 통해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확산되었다. 개구리 단추는 중국 매듭 또는 장식 매듭이 있는 부분과 고리로 구성되며, 다양한 스타일로 제작될 수 있다. 치파오의 핵심 요소로, 직선형, 꽃 모양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숙련된 장인이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의상 - 한푸
    한푸는 중국 전통 의상으로, 4천 년의 역사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시대별로 다양한 스타일과 문화적 영향을 받아 변화해 왔다.
  • 중국의 의상 - 치파오
    치파오는 만주족 기마복에서 유래되어 서양 의복의 영향을 받아 현대적인 형태로 변화한 중국 여성의 대표적인 전통 의상으로, 몸에 꼭 맞는 실루엣과 옆트임이 특징이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전해왔고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중국 문화를 상징하는 의상으로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고 있다.
개구리 단추

2. 역사

개구리 단추는 오랜 역사를 지닌 중국 매듭 공예에서 유래했으며,[2][11] 옷을 여미는 잠금 장치의 형태로 중국 의상에 처음 등장했다.[6][12] 그 기원은 천을 땋아 고리와 중국 매듭 단추를 만들었던 송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3] 명나라 시대에는 금속으로 만든 子母扣|자모구중국어라는 맞물리는 버클이 등장했는데, 이는 후대 직물 개구리 단추의 원형이 되었다.[13] 이러한 단추는 단순한 잠금 기능을 넘어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담기도 했다.[13] 개구리 단추는 동양뿐 아니라 서양으로도 전파되어,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 군복, 특히 후사르 기병 복식의 중요한 장식 요소로 사용되었다.[15][16]

2. 1. 중국에서의 발전

명나라 시대의 금속 잠금쇠(子母扣|자모구zho)는 직물 개구리 단추의 전신이다.

개구리 단추는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온 전통적인 중국 매듭 공예의 최종 산물이며, 이는 Laozi|노자zho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2][11] 개구리 단추는 잠금 장치의 형태로 전통적인 중국 의상에 처음 등장했으며,[6][12] 천을 땋아 고리와 중국 매듭 단추를 만드는 송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3]

송나라 시대의 땋은 버클은 원나라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13] 그러나 명나라 시대에 금과 은으로 만들 수 있는 子母扣|자모구zho(child mother button),[14] 즉, 자모구라고 알려진 맞물리는 버클이 처음 등장하여 다양한 모양과 스타일로 나타났다.[13] 자모구는 또한 명나라 시대 중국 여성들이 가장 좋아하는 패션 액세서리 품목 중 하나가 되었다.[13]

이러한 맞물리는 버클은 의복 잠금 장치나 의복 장식으로 기능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소망과 영감을 표현하고 상징했다. 예를 들어, 더 나은 삶에 대한 갈망, "나비와 꽃"(蝶采花|뎨차이화zho) 테마를 통한 달콤하고 사랑스러운 결혼 관계에 대한 소망, "이중 은괴"(双银锭|솽인딩zho)를 사용하여 풍요롭고 부유한 삶을 바라는 소망, 그리고 "부용 꽃과 수(Shou)"(芙蓉捧寿|푸룽펑서우zho) 테마를 통해 장수와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 이 테마는 부용 꽃과 한자 수(shou)(壽|수zho)를 사용하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번영장수"를 의미하는 한자 복(fu)수(shou)(福壽|푸서우zho)의 동음이의어이다.[13]

명나라 시대 자모구의 발전은 중국 패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이후에 다양한 종류의 개구리 단추가 대량으로 사용되는 기반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개구리 단추를 사용하는 만다린 칼라를 포함한 중국식 높은 칼라의 등장과 대중화, 그리고 그 이후 수세기 동안 개구리 단추를 앞쪽에 사용하는 다양한 대금(duijin) 의(yi) (앞 중심 잠금 방식의 상의)의 출현으로 이어졌다.[13]

개구리 단추는 명나라 시대의 전신인 자모구와 마찬가지로 모든 종류의 스타일과 형태로 나타나며, 전통적인 중국 디자인과 문화적 의미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에는 다산을 상징하는 석류, 한자 수(shou)(壽|수zho)와 같은 길상 상징이 포함된다.[2]

2. 2. 유럽에서의 수용과 변형

''기병 복장을 한 귀족의 초상화'', 미클로시 바라바시 (1833년)


개구리 단추는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군복의 중요한 장식 요소가 되었다.[15] 이는 특히 위엄 있는 부대, 특히 기병 또는 후사르 부대에서 두드러졌으며, 개구리 단추를 통칭하는 독일어 용어인 Husarentressende의 기원이 되었다. 이 돌먼 재킷은 몸에 꼭 맞는 스타일이었으며, 금, 은 또는 황동 금속 코드나 브로케이드와 같은 고급 소재로 된 광범위한 개구리 단추로 장식되었다.[16] 나폴레옹의 광범위한 군사 작전으로 프랑스 군대는 다양한 문화와 스타일과 광범위하게 접촉했다. 헝가리 군대와 다른 동부 문화권에서 개구리 단추를 사용하는 것을 관찰한 프랑스 군대는 자국의 군복에 이를 채택했다. 프랑스는 유럽 전역과 아메리카 대륙으로 개구리 단추를 확산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6][17]

미국에서는 1812년 전쟁 동안 개구리 단추가 채택되었지만, 군대 규정에서 유럽식 스타일을 덜 따르도록 장려하려 하면서, 정교하고 복잡한 개구리 단추는 더 단순한 면 끈 고리로 대체하기로 결정했다.[6]

개구리 단추는 잠금 기능 이상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어떤 경우에는 개구리 단추가 기능하지 않게 되기도 했는데, 그 아래에 숨겨진 여밈이 있고 원래의 재킷 여밈은 장식적인 세부 사항으로 바뀌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우편 배달부, 전신 소년, 호텔 페이지와 같은 하급 제복의 경우, 개구리 단추 끈은 장식으로 유지되었지만, 이에 해당하는 토글이나 여밈은 없었다.[18]

드레스의 보디스 여밈에 사용된 개구리 단추

3. 제작

개구리 단추 또는 빤커우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한쪽에는 중국 매듭 또는 다른 장식 매듭 (혹은 토글)이 있고, 반대쪽에는 고리가 부착되어 있어 매듭이 통과하며 제자리에 고정된다. 매듭은 남성적인 요소로 인식되는 반면, 짝을 이루는 고리는 여성적인 요소로 여겨진다.[2]

기성품 개구리 단추는 구입할 수 있지만, 스타일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좁다.[5] 재봉사들은 다양한 스타일로 직접 만들 수 있으며, 최종 사용 목적에 맞게 맞춤 제작할 수 있다.[5] 땋은 끈, 심이 있는 바이어스 튜브 또는 천으로 덮인 와이어를 사용하여 맞춤형 개구리 단추 또는 빤커우를 제작한다. 자체 원단으로 일치시켜 만들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 대비되는 색상을 선택한다. 이는 의복에 장식적인 구조 요소 역할을 한다.[5]

개구리 단추는 끈이나 천 튜브를 원하는 디자인으로 고리 모양으로 만들고 서로 얽은 다음, 끈이 닿는 부분을 손바느질로 고정하여 만들 수 있다. 그런 다음 개구리 단추를 의복에 바느질하는데, 보통 손으로 한다. 천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 천은 바이어스로 재단한다. 이렇게 하면 천 튜브가 부드러움을 유지하고 곡선으로 구부릴 때 쉽게 유연해진다.[5]

4. 종류 (Pankou)



개구리 단추는 수천 년에 걸쳐 발전해 온 전통적인 중국 매듭 공예의 한 형태로, Lào zi|라오쯔중국어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2][11] 처음에는 옷을 여미는 잠금 장치의 형태로 전통적인 중국 의상에 등장했으며,[6][12] 그 기원은 천을 땋아 고리와 중국 매듭 단추를 만들었던 송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13]

송나라 시대의 땋은 단추는 원나라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13] 그러나 명나라 시대에 이르러 금이나 은으로 만든 子母扣|자모구중국어라는 맞물리는 형태의 단추가 처음 등장하여 다양한 모양과 스타일로 제작되었다.[13][14] 이 자모구는 명나라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 있는 패션 액세서리가 되기도 했다.[13]

자모구는 단순히 옷을 잠그거나 장식하는 기능을 넘어, 착용자의 소망과 염원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역할도 했다. 예를 들어, '나비와 꽃'(蝶采花|접채화중국어) 문양은 달콤하고 사랑스러운 결혼 생활을, '이중 은괴'(双银锭|쌍은정중국어) 문양은 풍요롭고 부유한 삶을, '부용꽃과 수(壽)'(芙蓉捧寿|부용봉수중국어) 문양은 장수와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특히 芙蓉捧寿|부용봉수중국어는 부용꽃과 한자 壽|수중국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번영장수'를 의미하는 福壽|복수중국어와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13]

명나라 시대 자모구의 발전은 중국 패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이후 다양한 종류의 직물 개구리 단추가 널리 사용되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만다린 칼라를 포함한 중국식 높은 옷깃의 등장과 대중화, 그리고 앞 중심을 개구리 단추로 여미는 다양한 형태의 상의(對襟衣|두이진 의중국어)가 출현하는 계기가 되었다.[13]

현대의 개구리 단추는 명나라의 자모구처럼 다양한 스타일과 형태로 제작되며, 전통적인 중국 디자인과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다산을 상징하는 석류나 장수를 기원하는 한자 壽|수중국어와 같은 길상 상징이 디자인에 활용된다.[2]

개구리 단추는 특히 치파오의 핵심적인 요소로 여겨지며, 치파오에 독특한 중국적 특성을 부여하는 '혼'으로 간주된다.[2] 주로 만다린 칼라의 중앙 부분이나 비스듬한 트임(S자형) 부분에 달린다.[4] 또한 탕좡, 과(재킷, 예를 들어 췬과), 창산 등 다른 종류의 중국 전통 의복에도 널리 사용된다.

4. 1. 주요 형태

개구리 단추는 모양과 정교함에 따라 다양하게 나뉜다.[4] 크게 직선 개구리 단추(直盤扣|zhípánkòu중국어)와 꽃 개구리 단추(襻花盤扣|pànhuāpánkòu중국어)의 두 가지 주요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19] 직선형은 가장 단순하고 일반적인 형태로 한쪽에 매듭, 다른 쪽에는 고리로 구성되며,[19] 꽃 개구리 단추는 직선형보다 더 정교하고 장식적인 형태를 일반적으로 일컫는다.[19]

4. 1. 1. 직선 개구리 단추 (直盤扣, zhipankou)

직선 개구리 단추(Zhipakou, 중국어 간체: 直盘扣, 정체: 直盤扣, 병음: zhípánkòu)는 가장 단순하고 일반적인 형태의 개구리 단추이다.[19] zikou(중국어: 字扣, 병음: zìkòu)라고도 불린다.[19] 한쪽에는 매듭이 있고 다른 한쪽에는 고리가 있어 서로 여미는 방식으로 사용된다.[19]

4. 1. 2. 꽃 개구리 단추 (襻花盤扣, panhuapankou)

襻花盘扣|판화판커우중국어라고도 불리는 꽃 개구리 단추는 직선 개구리 단추보다 더 정교한 형태의 개구리 단추를 일반적으로 일컫는 용어이다.[19] 이러한 정교한 모양을 만들기 위해 구리선 등을 사용하는 "와이어링" 기법이 동원되기도 한다.[4] 치파오 등에서 장식적인 잠금쇠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꽃 개구리 단추는 그 모양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눌 수 있다.[19][4]

꽃 개구리 단추의 유형[19][4]
이름중국어 이름설명
나비 개구리 단추蝴蝶扣|후뎨커우중국어나비 모양을 한 꽃 개구리 단추의 한 종류이다.
비파 개구리 단추琵琶扣|피파커우중국어비파 모양을 한 꽃 개구리 단추의 한 종류이다.
봉황 꼬리 개구리 단추중국 전통 혼례복에 자주 사용되는 인기 있는 형태의 개구리 단추이다.


4. 2. 제작 과정 (베이징 스타일 치파오)

베이징 스타일의 치파오에 사용되는 개구리 단추는 주로 숙련된 장인이 손으로 직접 만든다. 제작 과정은 복잡하여 완성까지 며칠이 걸리기도 한다.[7] 실크 천 조각을 단추로 만들기까지 최대 26단계의 공정을 거칠 수 있다.[7] 이 과정에는 실크에 풀을 네 번 칠해 굳히는 작업, 굳힌 실크를 조각으로 자르는 작업, 실크 조각을 꿰매는 작업, 구리선을 넣어 모양을 잡는 와이어링 작업, 그리고 마지막으로 고온에서 다림질하는 단계가 포함된다.[7]

참조

[1]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clothing through world history https://www.worldcat[...] Greenwood Press 2008
[2] 웹사이트 Evolution and revolution: Chinese dress 1700s–1990s - Cheungsam http://archive.maas.[...] 2021-07-04
[3] 간행물 "'La Cabine d'Essayage' ('The Fitting Room'): Cheryl Sim" https://brill.com/vi[...] 2015-02-24
[4] 웹사이트 Most Beautiful Pankou Knots (Chinese Frog Closures) to Wear on a Qipao https://eastmeetsdre[...] 2021-07-04
[5] 서적 101 sewing secrets https://archive.org/[...] Cy DeCosse Inc. 1989
[6]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clothing through world history https://www.worldcat[...] Greenwood Press 2008
[7] 웹사이트 The Beauty of Beijing-Style Cheongsam http://www.chinatoda[...] 2022-08-17
[8] 서적 Fashion in the Western world 1500–1990 https://archive.org/[...] B. T. Batsford 1992
[9] 웹사이트 Frogging https://fashionhisto[...] 2024-09-13
[10] 잡지 How the Hungarian Hussars Started a Fashion Craze https://www.historyn[...] 2023-08-07
[11] 웹사이트 Buckle knot and Chinese knot http://en.chinacultu[...] 2022-07-03
[12] 서적 Technical sourcebook for designers https://www.worldcat[...] Fairchild Books 2014
[13] 서적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rt Studies: Science, Experience, Education (ICASSEE 2020) Atlantis Press 2020
[14] 웹사이트 Zimu Kou - Exquisite Ming Style Hanfu Button - 2022 https://www.newhanfu[...] 2022-07-03
[15] 서적 The fashion encyclopedia: A visual resource for terms, techniques, and styles https://archive.org/[...] Barron's 2015
[16] 서적 Hinterland warriors and military dress: European empires and exotic uniforms Berg 1999
[17] 서적 Brassey's book of uniforms Brassey 1998
[18] 웹사이트 Dressed to Deliver: How postal workwear has changed over time https://www.postalmu[...]
[19] 웹사이트 The Pankou (盘扣/盤扣): the qipao knot button « The Pankou http://www.thepankou[...] 2021-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