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거문고자리 베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거문고자리 베타는 요한 바이어가 명명한 별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셸리아크(Sheliak)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이 별은 분광형 B6-8의 주성과, 주성과 같은 B형으로 추정되는 반성으로 이루어진 반분리형 쌍성계이다. 두 별은 질량 교환을 통해 강착원반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하는 식쌍성 현상을 보인다. 1784년 존 구드릭에 의해 밝기 변화가 처음 관측되었으며, 12.9414일의 공전 주기에 걸쳐 겉보기 등급이 변한다. 또한 전파원으로도 관측되며, 여러 동반 천체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형 밝은 거성 - 미르잠
    미르잠은 큰개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큰개자리 베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약 6시간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이자 태양 질량의 약 12~13배에 달하는 청백색 거성이며, 국부 거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미르잠 터널과 관련되어 있으며, 브라질 국기에서 아마파 주를 상징하고 미국 해군 화물선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B형 밝은 거성 - 아다라
    아다라는 큰개자리 엡실론 A별의 이름으로, 밝은 청색 거성이자 극자외선원이며, 쌍성계를 이루고 있고, 과거에는 더 밝았으며, 브라질 국기와 미국 해군 화물선 이름에 사용되었다.
  • 거문고자리 베타형 변광성 - 큰개자리 29
    큰개자리 29는 분광형 O9.7Ibe의 청색초거성으로, 태양 질량의 11~44배, 태양 반지름의 12~20배, 태양 광도의 170,000~450,000배의 광도를 가지며 표면 온도는 33,750 K에 이른다.
  • 거문고자리 베타형 변광성 - 궁수자리 입실론
    궁수자리 입실론은 137.939일의 궤도 주기를 가지며, 차가운 거성인 A와 뜨겁고 작은 별인 B로 구성된 겉보기 등급 4.5의 쌍성계로, 약 20일 주기로 밝기가 변동하는 변광성이다.
  • 다중성계 - 궁수자리 감마1
    궁수자리 감마1은 주성 Aa(궁수자리 W별), 반성 Ab(분광쌍성), 반성 B로 이루어진 삼중성계이며, 주성 Aa는 7.59일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고전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 다중성계 - 황소자리 세타
    황소자리 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된 황소자리의 이중성계로, 밝은 주성분은 델타 방패자리형 변광성인 백색 A형 거성 Aa와 동반성 Ab로, 어두운 구성 요소는 주황색 K형 거성 Ba와 동반성 Bb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야 신화에서 "Chamukuy"로, 중국 천문학에서 필수육(畢宿六)으로 불린다.
거문고자리 베타
명칭
이름거문고자리 베타별
영어 이름Beta Lyrae
별칭셸리아크, 셸야크, 실리아크
로마자 표기Sheliak
관측 정보
별자리거문고자리
겉보기 등급3.52 (3.25 – 4.36, 변광)
변광성 유형거문고자리 베타형 변광성 (β Lyr)
분광형B6-8II + B
위치 정보
거문고자리 별자리 지도
거문고자리 내 거문고자리 베타별의 위치
적색 편이0.000007
시선 속도A: −19.2 km/s
B: km/s
고유 운동적경:
A: 1.90 mas/yr
B: mas/yr
적위:
A: −3.53 mas/yr
B: mas/yr
연주 시차A: 3.39 ± 0.17 mas
B: 3.0065 ± 0.0542 mas
물리적 특징
B-V 색 지수+0.00
U-B 색 지수-0.56
질량Aa1: 태양 질량
Aa2: 태양 질량
반지름Aa1: 태양 반지름
Aa2: 태양 반지름
표면 중력Aa1: cgs
Aa2: cgs
광도Aa1: 26,300 태양 광도
Aa2: 6,500 태양 광도
표면 온도Aa1: 켈빈
Aa2: 13,300 켈빈
나이 (Aa2)2300만 년
궤도 요소 (Aa2 기준)
공전 주기12.9414 일
궤도 이심률0
궤도 경사
승교점 경도
식별 정보
기타 명칭거문고자리 10
BD +33 3223
FK5 705
HD 174638
HIP 92420
HR 7106
SAO 67451/2, SAO 67453
WDS 18501+3322

2. 명명법

요한 바이어가 1603년 우라노메트리아에서 창안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거문고자리 베타(β Lyrae)로 표기한다.[53] 셸리아크(Sheliak, 때로는 셸리야크 또는 실리아크)는 이슬람 천문학에서 거문고자리를 부르는 이름 중 하나인 아랍어 '실리야크' 또는 '알 실리야크'에서 유래했다.[54] 2016년 8월 21일, 국제천문연맹(IAU)은 거문고자리 베타 Aa1에 셸리아크(Sheliak)라는 이름을 공식 부여했다.[52]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거문고자리 베타는 점태(漸台)에 속하며, 점태2(漸台二)로 불렸다.[57]

3. 특징

카라 선열(CHARA array)을 이용하여 거문고자리 베타 계 구성원들을 분리한 모습.


거문고자리 베타 Aa는 별의 분류 B6-8형 주성과, 주성과 같은 B형으로 추정되는 반성으로 이루어진 반분리형 쌍성계이다. 과거 반성보다 질량이 컸던 주성은 먼저 주계열을 이탈하여 거성이 되었고, 가까이 붙어 있던 반성으로 질량 대부분을 넘겨주었다.

현재 주성보다 질량이 커진 반성은 질량 이동으로 생긴 강착원반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 원반은 반성을 가려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한다. 제트와 비슷한 쌍극분출이 원반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나타나고, 반성의 분광형을 정확히 알아내기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반성으로 이동하는 물질의 양은 대략 연간 배로, 공전 주기가 1년에 약 19초씩 길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거문고자리 베타의 별 스펙트럼에는 강착원반이 만드는 방출선들이 나타나며, 이 원반은 계 밝기의 약 20%를 차지한다.

3. 1. 물리적 특징



거문고자리 베타 Aa는 별의 분류 B6-8형 주성과, 주성과 같은 B형으로 추정되는 반성으로 이루어진 반분리형 쌍성계이다.[39] Aa 계에서 가벼운 쪽인 주성은 과거에 반성보다 질량이 컸으며 이로 인해 먼저 주계열을 이탈하여 거성이 되었다. 두 별은 가깝게 붙어 있기 때문에 거성이 된 별은 자신의 로슈엽을 채운 뒤 갖고 있던 질량의 대부분을 반성으로 넘겨줬다.

현 시점에서 주성보다 질량이 커진 반성은 이 질량 이동으로 생긴 강착원반에 둘러싸여 있으며 원반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제트 비슷한 쌍극분출을 보여주고 있다.[39] 이 강착원반은 반성을 가려 우리 눈에 보이지 않게 하며, 반성의 겉보기 광도를 낮춰 분광형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아내기 어렵게 만든다. 반성으로 이동하는 물질의 양은 대략 연간 배로(다르게 표현하면 5만 년 동안 태양 1 개와 맞먹는 물질이 이동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공전 주기가 1년에 약 19 초씩 길어지고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의 별 스펙트럼에는 강착원반이 만드는 방출선들이 나타난다. 이 원반은 계 밝기의 약 20 %를 만들어낸다.[39]

주성반성
R1915
M
L2500230
K130008000


3. 2. 밝기 변화

서로 가까이 붙어 있는 식쌍성계의 밝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모형.


1784년 영국 아마추어 천문학자 존 구드릭은 이 계의 밝기가 변화하는 것을 발견했다. 거문고자리 베타 계의 궤도면은 지구로부터의 시선 방향과 거의 일치하게 놓여 있기 때문에 계를 구성하는 두 항성은 주기적으로 서로를 가린다. 이 때문에 거문고자리 베타의 겉보기등급은 공전 주기 12.9414 일에 걸쳐 +3.2에서 +4.4까지 변화하며 타원체 '접촉' 식쌍성의 원형 별이기도 하다.[51]

두 항성은 매우 가까워서 광학 망원경으로 분리하여 관측할 수 없어 분광쌍성으로 분류된다. 2008년 카라 선열 간섭계와 미시간 적외선 결합기를 이용하여, 근적외선 H 대에서 계의 주성과, 반성에 둘린 강착원반을 분리 관측했으며 최초로 계의 궤도요소들을 계산해 냈다.

규칙적인 식현상 외에도 베타 계는 밝기에 보다 작고 느린 변화들이 나타나는데 이는 강착원반에서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분광선(특히 방출선)들의 프로파일과 강도가 변화하는 현상이 동반된다. 이 변화는 규칙적이지는 않으나 282 일 주기를 지닌다.[58]

3. 3. 전파원

1971년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의 R. M. Hjellming과 C. M. Wade는 거문고자리 베타가 전파원(電波星)임을 발견했다. 이는 별 사이의 물질 이동 때문으로 추정된다.[47]

쌍성계에서 한쪽 별에서 유출된 가스는 주성 주위에 강착 원반을 형성한다. 강착 원반에 모인 가스는 결국 주성으로 떨어지는데, 이때 전자기파가 방출된다. 이 전자기파는 강착 원반의 회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방출된다.[48]

4. 동반 천체

거문고자리 베타는 주성 외에 여러 동반 천체를 가지고 있다. 거문고자리 베타 B는 주성으로부터 각거리상으로 45.7" 떨어져 있으며, 분광형은 B7 V, 겉보기 등급은 +7.2로 쌍안경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다. B는 1962년에 공전주기 4.348 일의 분광쌍성으로 인식되었으나,[59] 2004년에 단독성으로 변경되었다.

거문고자리 베타 E와 F는 각각 67", 86" 떨어져 있으며, 겉보기 등급은 각각 10.1, 10.6이다. 두 별 모두 화학적으로 특이한 별로,[60] Ap 별로 등재되어 있으나, F는 Am 별로 분류되기도 한다.[63]

워싱턴 이중성 목록에는 더 어두운 반성 C와 D가 수록되어 있으며, 이들은 주성으로부터 각각 47", 64" 떨어져 있다.[61] C는 밝기가 1등급 넘게 변했지만, 변광 유형은 밝혀지지 않았다.[62]

A, B, F는 거의 같은 거리에 있고 함께 움직여 같은 성군(星群)의 구성원으로 추정된다.[63] 2차 가이아 데이터 방출(Gaia DR2) 자료 분석 결과, 거문고자리 베타 근처에 약 100개의 항성으로 이루어진 '가이아 8' 성군이 발견되었다. 이들은 모두 주계열성이며, 나이는 3천만 ~ 1억 년으로 추정된다.[65]

가이아 우주선이 제공한 거문고자리 베타 계 구성원들의 자료는 다음과 같다.

구성원[64]분광형겉보기등급 (G)고유운동시선속도 (km/s)연주시차 (mas)Simbad
||적경 (mas/yr)적위 (mas/yr)||
AB7Ve3.25 – 4.361.569 ± 0.582-2.523 ± 0.5942.20 ± 0.71.0851 ± 0.3398
BB7V7.194.373 ± 0.087-0.982 ± 0.098-14 ± 53.0065 ± 0.0542
CB213.07-1.936 ± 0.024-1.824 ± 0.030?0.2384 ± 0.0151
DK3V14.96-0.108 ± 0.062-17.792 ± 0.074?0.8378 ± 0.0368
EG59.771.649 ± 0.0510.719 ± 0.0531.41.6209 ± 0.0339
FG510.101.258 ± 0.047-3.793 ± 0.052-16.83 ± 1.413.5222 ± 0.0307


참조

[1] 논문 Physical properties of β Lyrae a and its opaque accretion disk
[2]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3]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4] 간행물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books.google[...]
[5] 서적 الموسوعة في علوم الطبيعة ، المجلد الثنين https://archive.org/[...] Dar El-Mashriq Publications
[6] 웹사이트 Al Moqatel - الظواهر الطبيعية في القرآن والسُّنة، النجوم http://www.moqatel.c[...] 2024-01-29
[7] 웹사이트 الكوكبات: كوكبة القيثارة https://www.startime[...] 2008-08-19
[8] 웹사이트 النجوم الثنائية https://saaa-sy.yoo7[...] Syrian Astronomical Association 2024-01-29
[9] 웹사이트 صورتهاي فلكي فصل تابستان https://www.aliazade[...] 2024-01-29
[10] 웹사이트 معرفی و رصد صورت فلکی شلیاق و ستاره ی نسرواقع http://nssri.ir/news[...] North Star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 2024-01-29
[11] 간행물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12] 웹사이트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13]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6-18
[14]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3 日 http://aeea.nmns.edu[...]
[15] 논문 Adaptive Optics Photometry and Astrometry of Binary Stars. II A Multiplicity Survey of B Stars 2006
[16] 논문 Search for duplicity in periodic variable Be stars
[17] 논문 The Visual Multiple System Containing Beta Lyrae 1961-09-20
[18]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
[19] 논문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20] 논문 A catalogue of variable-visual binary stars
[21] 논문 Visual multiples. III. ADS 11745 (beta Lyrae group)
[22] SIMBAD ADS 11745
[23] DR2
[24] 논문 Gaia 8: Discovery of a star cluster containing β Lyrae
[25] DR2
[26] DR2
[27] DR2
[28] DR2
[29] 간행물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11
[30] 간행물 XHIP: An extended hipparcos compilation
[31] 간행물 General catalogue of stellar radial velocities
[32] 간행물 bet Lyr -- Eclipsing binary of beta Lyr type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7-06
[33] 간행물 bet Lyr B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7-06
[34] 간행물 bet Lyr C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7-06
[35] 간행물 UCAC3 247-141831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7-06
[36] 간행물 BD+33 3222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7-06
[37] 간행물 BD+33 3225 -- Star http://simbad.u-stra[...] Centre de Données astronomiques de Strasbourg 2018-07-06
[38] 웹사이트 MAST: Barbara A. Mikulski Archive for Space Telescopes https://mast.stsci.e[...] Space Telescope Science Institute 2021-12-08
[39] 논문 First Resolved Images of the Eclipsing and Interacting Binary β Lyrae 2008-09
[40] 논문 First Results from the CHARA Array. II A Description of the Instrument 2005-07
[41] 논문 Michigan Infrared Combiner (MIRC): Commissioning results at the CHARA Array https://authors.libr[...]
[42] 논문 Photoelectric photometric Catalogue of homogeneous measurements in the UBV System
[43] 논문 Goodricke, Pigott and the Quest for Variable Stars
[44] 논문 On the accretion disc and evolutionary stage of β Lyrae
[45] DR2 2090687726329643392
[46] journal The Revision of the General Catalogue of Radial Velocities
[47] 웹사이트 Sheliak, Beta Lyrae https://web.archive.[...]
[48] 웹사이트 Jennifer L. Hoffman: beta Lyr https://web.archive.[...]
[49] 웹사이트 Volume 36 Abstracts: Emission-line Binary beta Lyr https://web.archive.[...]
[50] 저널 Physical properties of β Lyrae a and its opaque accretion disk
[51]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General Catalogue of Variable Stars (Samus+ 2007-2013)
[52] 웹인용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8-06-18
[53]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54] 인용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books.google[...]
[55] 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56] 웹인용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57]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3 日 http://aeea.nmns.edu[...]
[58] 저널 Search for duplicity in periodic variable Be stars
[59] 저널 The Visual Multiple System Containing Beta Lyrae 1961-09-20
[60] 저널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Spectral Classifications (Skiff, 2009-2016)
[61] 저널 The 2001 US Naval Observatory Double Star CD-ROM. I. The Washington Double Star Catalog
[62] 저널 A catalogue of variable-visual binary stars
[63] 저널 Visual multiples. III. ADS 11745 (beta Lyrae group)
[64] simbad ADS 11745
[65] 저널 Gaia 8: Discovery of a star cluster containing β Lyr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