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다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다라는 큰개자리에 있는 청색의 밝은 별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게 보인다. 지구에서 약 405광년 떨어져 있으며,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아다라 A는 분광형 B2의 주성으로, 태양보다 훨씬 밝고 뜨겁다. 아다라 B는 주성에서 7.5초각 떨어진 동반성이다. 아다라는 과거에는 태양에 더 가까워 밤하늘에서 더 밝게 보였으며, 앞으로는 초신성 폭발 또는 백색 왜성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다라는 아랍어 단어에서 유래된 이름이며, 브라질 국기에 등장하여 토칸칭스주를 상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B형 밝은 거성 - 미르잠
    미르잠은 큰개자리에서 네 번째로 밝은 큰개자리 베타별의 고유 명칭으로, 약 6시간 주기로 밝기가 변하는 세페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이자 태양 질량의 약 12~13배에 달하는 청백색 거성이며, 국부 거품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미르잠 터널과 관련되어 있으며, 브라질 국기에서 아마파 주를 상징하고 미국 해군 화물선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B형 밝은 거성 - 거문고자리 베타
    거문고자리 베타는 식쌍성으로 밝기 변화를 보이며, 셸리아크라는 고유 명칭과 함께 질량 이동, 강착 원반, 제트 분출, 세 번째 동반성 가능성, 불규칙한 밝기 변화 등 다양한 특징을 가진 분광쌍성이다.
  • 큰개자리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큰개자리 - 큰개자리 VY
    큰개자리 VY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극단적인 별 중 하나로, 태양의 수십만 배에 달하는 광도를 내며, 활발한 질량 손실을 보이다가 10만 년 내에 초신성으로 폭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 쌍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쌍성 - 스피카
    스피카는 지구에서 약 250광년 떨어진 처녀자리 α별로, "처녀의 밀 이삭"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분광쌍성이자 회전 타원체 변광성으로 두 개의 청색거성으로 이루어져 빠른 자전과 강한 상호 중력으로 인해 특이한 물리적 특성을 보이는 밝은 쌍성계이다.
아다라
위치 정보
큰개자리 성도
큰개자리의 ε Canis Majoris 위치 (원으로 표시)
명칭
이름아다라
다른 이름아다라즈
운다라
바이어 명명법큰개자리 엡실론 (ε CMa)
플램스티드 명명법큰개자리 21 (21 CMa)
기타 명칭ADS 5654
CD -28°3666
FK5 268
HD 52089
HIP 33579
HR 2618
SAO 172676
관측 정보
기점J2000
별자리큰개자리
겉보기 등급1.50
변광성 여부해당 없음
특징
분광형B2 II
B-V 색 지수-0.21
U-B 색 지수-0.93
항성 운동
시선 속도+27.3 km/s
고유 운동 (적경)+3.24 밀리초각/년
고유 운동 (적위)+1.33 밀리초각/년
연주시차7.57 밀리초각
절대 등급-4.8
물리적 특성
나이1750만 ~ 1900만 년
질량12 ~ 13.1 M☉
반지름10.5 R☉
표면 중력3.4 cgs
자전 속도25 km/s
광도22,400 L☉
표면 온도22,500 K
기타 정보
데이터베이스 링크SIMBAD

2. 관측

요한 바이어가 이 별에 엡실론 문자(ε)를 부여하였지만 아다라는 큰개자리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아다라는 시리우스 남쪽으로 십여 떨어진 곳에 있으며 청색으로 빛난다. 웨젠(큰개자리 델타, 겉보기 등급 1.83)과 알루드라(큰개자리 에타, 겉보기 등급 2.40)와 함께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아다라는 삼각형의 서쪽 꼭짓점을 이루며, 웨젠은 북쪽, 알루드라는 동쪽 꼭짓점에 해당된다.

아다라의 천구상 위치는 적위 -28° 58'로 남반구 하늘에 속해 있다. 이 위치 때문에 북반구 관측자가 볼 때 이 별은 지평선에 가까이 붙어 있거나 아래로 가려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남위 62°[17]보다 아래쪽에 해당되는 남극 영역에서는 주극성으로 보인다. 겉보기등급은 +1.51로 광공해의 정도가 그리 심하지 않다면 도심지 중심부에서도 볼 수 있다.

아다라를 관측하기에 가장 적합한 때는 북반구에서 겨울이다.(자연히 남반구에서는 같은 시기에 해당되는 여름이다.) 별의 적위로 볼 때 북반구보다는 남반구 관측자가 더 오랫동안 관측할 수 있다.

약 470만 년 전 아다라는 태양에서 약 34광년 떨어져 있었으며 겉보기 밝기는 –3.99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았다.( 금성과 비슷함) 이후 지금까지 이렇게 밝게 보이는 항성은 등장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최소 500만 년 이내에는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3. 은하에서의 위치

요한 바이어가 이 별에 엡실론 문자(ε)를 부여하였지만 아다라는 큰개자리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아다라는 시리우스 남쪽으로 십여 떨어진 곳에 있으며 청색으로 빛난다. 웨젠(큰개자리 델타, 겉보기 등급 1.83)과 알루드라(큰개자리 에타, 겉보기 등급 2.40)와 함께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아다라는 삼각형의 서쪽 꼭짓점을 이루며, 웨젠은 북쪽, 알루드라는 동쪽 꼭짓점에 해당된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제공한 측성학적 자료를 통해 아다라의 시차를 새롭게 계산했으며 그 값은 8.05 ± 0.14 밀리초각이 나왔다. 지구로부터 아다라까지의 거리는 1 / 0.00805 파섹 = 124.02 파섹 또는 405 ± 7 광년이다. 아다라와 태양은 우리은하 내 오리온 팔에 함께 위치해 있다. 아다라의 은하 좌표는 239.83°, -11.32°이다. 은경값 240°는 만약 은하면에 태양과 아다라를 잇는 가상의 선을 투사할 경우 이 선이 태양과 은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과 240° 각도를 이룬다는 뜻이다. 이는 아다라가 태양보다 은하 중심으로부터 조금 더 멀리 떨어져 있다는 뜻이다. 은위값 -11°는 태양과 은하 중심이 놓인 면보다 약간 남쪽으로 치우쳐 위치해 있다는 뜻이다.

태양으로부터 2000 광년 이내 항성과 성운들의 지도. 은하면을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을 가정했다. 그림의 위쪽과 아래쪽으로 갈수록 별의 밀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략 그림의 범위가 오리온 팔의 너비임을 알 수 있다. 아다라(εCMa)는 첫 번째 범위인 500 광년 안쪽에 있다.


아다라가 있는 방향의 하늘은 성간 가스의 농도가 특히 낮다. 따라서 항성이 복사하는 자외선 중 극소량만이 지구와 별 사이 이 얼마 되지 않는 가스에 흡수되어 흩어진다. 이 때문에 아다라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극자외선원이다.(504 ~ 760 Å 사이 대역) 아다라 방향의 성간매질이 이렇게 희박한 이유는 국부 거품이 확장되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 거품은 최소 길이 300 파섹, 폭 50 파섹 규모의 터널 구조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4. 물리적 특성

요한 바이어가 이 별에 엡실론 문자(ε)를 부여하였지만, 아다라는 큰개자리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아다라는 시리우스 남쪽으로 십여 떨어진 곳에 있으며 청색으로 빛난다. 웨젠(큰개자리 델타, 겉보기 등급 1.83)과 알루드라(큰개자리 에타, 겉보기 등급 2.40)와 함께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아다라의 천구상 위치는 적위 -28° 58'로 남반구 하늘에 속해 있다. 이 때문에 북반구 관측자가 볼 때 이 별은 지평선에 가까이 붙어 있거나 아래로 가려 보이지 않는다. 반대로 남위 62°[17]보다 아래쪽인 남극 영역에서는 주극성으로 보인다.

아다라 방향 하늘은 성간 가스 농도가 특히 낮다. 항성이 복사하는 자외선 중 극소량만이 지구와 별 사이의 얼마 되지 않는 가스에 흡수되어 흩어진다. 이 때문에 아다라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극자외선원이다.(504 ~ 760 Å 사이 대역) 아다라 방향의 성간매질이 희박한 이유는 국부 거품이 확장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이 거품은 최소 길이 300파섹, 폭 50파섹 규모의 터널 구조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국부 거품에서 성간 매질 밀도는 우리은하 평균보다 확연히 낮다.[18] 아다라에서 나오는 빛을 흡수하는 주 요인은 태양 가까이 확장되어 있는 국부 성간 구름이다. 이 구름 바깥 관측자와 아다라 사이 공간의 가스 밀도는 극도로 낮음을 알 수 있다. 아다라는 국부 성간 구름을 형성하는 수소 원자들을 이온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이 별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성간 구름의 이온화 상태와 형태학에 대한 중요 단서를 얻을 수 있다.[19]

아다라의 분광형은 B2로 표면 온도가 20,990 ± 750 켈빈[23]에 이르기 때문에 푸른 빛을 띤다. 표면 온도는 21,500 켈빈 또는 22,900 켈빈[24]으로 언급한 논문도 있다. 광도분류는 보통 II(밝은 거성)로 표기하지만, Iab(중간 정도 밝은 초거성)를 부여하기도 한다.

성간 기체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도와 스펙트럼 덕분에 아다라의 매개변수들은 정확도가 높다. 1974년 Hambury Brown 연구진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주 소재 내라브리 항성 강도 간섭계를 이용하여 아다라의 각지름을 0.80 ± 0.05 밀리초각으로 측정했다.[25]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거리를 대입하면 항성 반지름은 태양의 10.6 ± 0.7 배이다.[26]

4. 1. 항성계

아다라는 쌍성이다. 주성 아다라 A는 겉보기등급 1.5, 분광형 B2에 속하며, 표면 온도는 22,200K으로 청색 혹은 청백색으로 빛난다. 태양 38,700개에 맞먹는 에너지를 방출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극자외선원이다.[20] 국부 성간 구름의 이온화 상태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태양 근처 성간 가스의 수소 원자를 이온화하는 광자를 강력하게 방출하는 항성이기도 하다.[21]

+7.5 등급(절대 등급 +1.9)의 동반성 아다라 B는 주성에서 방위각 161° 위치에 7.5"만큼 떨어져 있다.[22] 두 별 사이 각거리는 상대적으로 크지만, 주성이 반성보다 광도가 250배 강해 최소 직경 75mm 이상 망원경이 있어야 분리하여 관측할 수 있다. 반성은 분광형 A~F 사이로 보이며, 주성과의 거리는 최소 900AU(약 1,350억 km)로 최소 7,500년에 걸쳐 주성을 1회 공전한다.

4. 2. 주요 특징

요한 바이어가 이 별에 엡실론 문자(ε)를 부여하였지만 아다라는 큰개자리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아다라는 시리우스 남쪽으로 십여 떨어진 곳에 있으며 청색으로 빛난다. 웨젠(큰개자리 델타, 겉보기 등급 1.83)과 알루드라(큰개자리 에타, 겉보기 등급 2.40)와 함께 삼각형 모양을 이룬다. 아다라는 삼각형의 서쪽 꼭짓점을 이루며, 웨젠은 북쪽, 알루드라는 동쪽 꼭짓점에 해당된다.

아다라의 겉보기등급은 +1.51로 광공해의 정도가 그리 심하지 않다면 도심지 중심부에서도 볼 수 있다. 아다라를 관측하기에 가장 적합한 때는 북반구에서 겨울이다.(자연히 남반구에서는 같은 시기에 해당되는 여름이다.) 별의 적위로 볼 때 북반구보다는 남반구 관측자가 더 오랫동안 관측할 수 있다.

약 470만 년 전 아다라는 태양에서 약 34 광년 떨어져 있었으며 겉보기 밝기는 –3.99로 밤하늘에서 가장 밝았다.( 금성과 비슷함) 이후 지금까지 이렇게 밝게 보이는 항성은 등장하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최소 500만 년 이내에는 등장하지 않을 것이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제공한 측성학적 자료를 통해 아다라의 시차를 새롭게 계산했으며 그 값은 8.05 ± 0.14 밀리초각이 나왔다. 따라서 지구로부터 아다라까지의 거리는 1 / 0.00805 파섹 = 124.02 파섹 또는 405 ± 7 광년이 나온다. 아다라와 태양은 우리은하 내 오리온 팔에 함께 위치해 있다. 아다라의 은하 좌표는 239.83°, -11.32°이다.

아다라가 있는 방향의 하늘은 성간 가스의 농도가 특히 낮다. 따라서 항성이 복사하는 자외선 중 극소량만이 지구와 별 사이 이 얼마 되지 않는 가스에 흡수되어 흩어진다. 이 때문에 아다라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극자외선원이다.(504 ~ 760 Å 사이 대역)

아다라의 분광형은 B2로 표면온도가 20,990 ± 750 켈빈[23]에 이르기 때문에 푸른 빛을 띤다. 아다라의 광도분류는 보통 II(밝은 거성)로 표기하지만 Iab(중간 정도로 밝은 초거성)를 부여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아다라의 각지름은 0.80 ± 0.05 밀리초각이다.[25]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거리를 대입하면 항성의 반지름은 태양의 10.6 ± 0.7 배이다.[26] 아다라의 광도는 대략

20,000 이다.

아다라의 예상 나이는 2250만 년이며, 중심핵에서 수소를 융합하는 작용을 멈추기 시작하여 주계열을 막 떠난 것으로 보인다. 아다라는 앞으로 수백만 년 동안 부피가 늘어나 적색거성으로 진화할 것이다. 팽창 단계에서 질량을 많이 잃지 않는다면 아다라는 II형 초신성 폭발로 최후를 맞을 것이며 반대로 질량을 많이 잃을 경우 흔치 않은 네온-산소 백색왜성으로 진화할 것이다.

ε 큰개자리 A는 +1.5의 겉보기 등급을 가지며, 분광형 B2에 속한다. 표면 온도가 22,200K이므로 푸른색 또는 청백색을 띤다. 태양의 38,700배에 달하는 총 복사량을 방출한다. 이 별은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극자외선원이다.[13]

태양 근처의 성간 가스에서 이온화할 수 있는 수소 원자의 가장 강력한 광자원이며, 국부 성간 구름의 이온화 상태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4]

+7.5등급(절대 등급은 +1.9)의 동반성인 ε 큰개자리 B는 주성으로부터 7.5" 떨어져 있으며 위치각은 161°이다. 비교적 큰 각거리에도 불구하고, 주성이 동반성보다 약 250배 더 밝기 때문에 대형 망원경에서만 분해할 수 있다.

4.91초각 떨어진 곳에 있는 9.3등급 별과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4. 3. 항성풍과 엑스선 방출

아다라는 연간 3×10-8 ~ 8×10-8 태양 질량의 질량을 우주로 방출하고 있다. 분광형 O와 B에 속하는 항성들이 그렇듯 아다라의 항성풍은 매우 빨라서 말단 속도는 초속 910 킬로미터에 이른다. 이 항성풍이 일으키는 섭동이 항성에서 나오는 엑스선의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분광형 O와 B에 속하는 항성들은 전체 복사량 중 1000만 분의 1 비율로 엑스선을 방출한다.[29] 이런 별들은 표면 가까이 대류층이 없어서 코로나도 없기 때문에 엑스선 방출의 다른 메커니즘을 고려해야 한다. 신뢰할 만한 가설들 중 하나로 이런 항성에서 나오는 복사가 불규칙한 이유는 항성 표면을 매우 빠른 속도로 탈출하는 항성풍이 난류를 일으키기 때문이라는 것이 있다.[30] 항성풍은 온도가 ~ 인 플라스마가 만드는 상대적으로 약한 엑스선과, ~ 의 플라스마가 만드는 강력한 엑스선으로 나뉜다.

4. 4. 진화

ε 큰개자리는 쌍성이다. 주성인 ε 큰개자리 A는 겉보기 등급 +1.5, 분광형 B2에 표면 온도가 22,200K로 푸른색 또는 청백색을 띤다. 총 복사량은 태양의 38,700배에 달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극자외선원이다.[13] 태양 근처 성간 가스의 이온화 가능한 수소 원자의 가장 강력한 광자원이며, 국부 성간 구름의 이온화 상태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14] 자전 주기는 약 5일로 추정된다.[15]

ε 큰개자리 B는 +7.5등급(절대 등급 +1.9)의 동반성으로, 주성에서 7.5" (위치각 161°) 떨어져 있다. 주성이 동반성보다 약 250배 더 밝아 대형 망원경으로만 분해 가능하다.

과거 ε 큰개자리는 현재보다 태양에 훨씬 가까워 밤하늘에서 훨씬 밝게 빛났다. 약 470만 년 전, 아다라는 태양에서 34광년 거리에 있었고, -3.99등급으로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이었다. 이후 이 정도 밝기에 도달한 별은 없으며, 앞으로 최소 5백만 년 동안은 없을 것이다.[2] 4.91초각 떨어진 곳에 9.3등급 별과 쌍성계를 이루고 있다.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만큼 질량이 크지만, 폭발하지 않을 경우 드문 산소-네온 백색 왜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5. 명명법 및 문화

요한 바이어는 이 별에 엡실론(ε) 문자를 부여했지만, 아다라는 큰개자리에서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아다라는 시리우스 남쪽으로 십여 떨어진 곳에 있으며 청색으로 빛난다. 웨젠(큰개자리 델타), 알루드라(큰개자리 에타)와 함께 삼각형 모양을 이루는데, 아다라는 삼각형의 서쪽 꼭짓점을, 웨젠은 북쪽, 알루드라는 동쪽 꼭짓점에 해당된다.[31]

아다라라는 이름은 아랍어 단어 عذارى (처녀)에서 유래했다.[31]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은 항성들의 고유 명칭을 표준화하고 목록화하기 위해 항성명칭 워킹그룹(WGSN)을 구성했다.[32] WGSN은 항성계 구성원이 둘 이상일 경우 계 전체가 아니라 개개의 별에 고유 명칭을 부여하는 규칙을 정했다.[33] 이에 따라 2016년 8월 21일, IAU는 아다라를 큰개자리 엡실론 A의 공식 명칭으로 승인했으며, 현재 IAU의 항성 명칭 목록에 수록되어 있다.

17세기 《알 악사시 알 무아케트 성표》에서 아다라는 '아오울 알 아드자리'(أول العذاري)로 수록되었으며, 이는 라틴어로 ''Prima Virginum'', 즉 '처녀들 중 첫 번째'라는 뜻이다.[34] 여기서 '처녀들'(''العذاري,'' 알 아다라)은 웨젠, 알루드라, 큰개자리 오미크론2(타니흐 알 아드자리)를 가리킨다.[31][35]

바이어 명명법에 따르면 이 쌍성계는 '''큰개자리 엡실론'''(ε CMa)으로 불린다. 이 계를 이루는 두 구성원은 워싱턴 다중성 성표(WMC)의 규칙에 따라 큰개자리 엡실론 '''A'''(아다라 '''A''')와 큰개자리 엡실론 '''B'''(아다라 '''B''')로 명명되었으며, 국제천문연맹도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36]

중화권에서 아다라는 정수(井宿)의 호시(弧矢, 활과 화살)에 속한다.[37] 호시는 아다라, 웨젠, 알루드라, 큰개자리 카파, 고물자리 오미크론, 고물자리 파이, 고물자리 카이, HD 63032, 고물자리 K로 구성되며, 이 중 아다라만을 부르는 이름은 호시7(弧矢七)이다.[38]

아다라는 브라질의 국기에 등장하며 토칸칭스주를 상징한다.[39] USS 아다라 (AK-71)는 이 별의 이름을 딴 미국 해군 크레이터급 화물선이다.

참조

[1] 논문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2002
[2] 논문 Once and Future Celestial Kings https://www.thefreel[...] 1998-04
[3]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4] 웹사이트 Naming Stars (including "List of IAU-approved Star Names as of January 1st, 2021") https://www.iau.org/[...] IAU.org 2021-02-28
[5]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6]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2018-07-05
[7] 간행물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8] 웹사이트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IAU.org 2018-07-14
[9] 논문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10] 문서 ε CMa as ''Aoul al Adzari'' or ''Prima Virginum'' (First of the Virgins), [[Omicron2 Canis Majoris|Omicron2 Canis Majoris]] as ''Thanih al Adzari'' or ''Secunda Virginum'' (Second of the Virgins) and [[Delta Canis Majoris]] as ''Thalath al Adzari'' or ''Tertia Virginum'' (Third of the Virgins). [[Eta Canis Majoris]] should be ''Rabah al Adzari'' or ''Quarta Virginum'' (Fourth of the Virgins) consistently, but it was given by the name ''Aludra'', meaning ''Virgin'' (same meaning with Adhara or ''Al ʽAdhārā'')
[11] 문서 弧矢 (Hú Shǐ) is westernized into ''Koo She''. R.H. Allen opined that ''Koo She'' refers to the asterism including [[Delta Velorum]] and [[Omega Velorum]]. AEEA opinion is, Delta Velorum is member of {{lang|zh|天社}} ({{lang|zh-Latn|Tiān Shè}}), meaning ''[[Well (Chinese constellation)|Celestial Earth God's Temple]]'' asterism and Omega Velorum is not a member of any asterisms. 天社 (Tiān Shè) is westernized into '''Tseen She''' and R. H. Allen used the term ''Tseen She'' for Chinese name of [[Eta Carinae|η Carinae]]. See [https://penelope.uchicago.edu/Thayer/E/Gazetteer/Topics/astronomy/_Texts/secondary/ALLSTA/Argo_Navis*.html Richard Hinckley Allen: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Argo Navis] and {{in lang|zh}} [http://aeea.nmns.edu.tw/2006/0607/ap060717.html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17 日]
[12]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17 日 http://aeea.nmns.edu[...]
[13] 논문 Extreme Ultraviolet Spectrum of ɛ Canis Majoris Between 600-920 Å 1996
[14] 논문 ''Epsilon Canis Majoris'' and the ionization of the local cloud
[15] 논문 Unveiling the Evolutionary State of Three B Supergiant Stars: PU Gem, ϵ CMa, and η CMa 2023
[16] 웹사이트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https://flagspot.net[...]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17] 문서 적위 28°S는 천구 남극으로부터 62° 떨어져 있으며, 62°N보다 북쪽 지역에서는 지평선 아래로 가려 보이지 않는다는 뜻이다.
[18] 웹인용 Local Chimney and Superbubbles http://www.solstatio[...] 2013-01-21
[19] 저널 인용 Epsilon Canis Majoris and the ionization of the local cloud http://adsabs.harvar[...] Astrophysical Journal 2013-01-30
[20] 저널 인용 Extreme Ultraviolet Spectrum of ɛ Canis Majoris Between 600-920 Å 1996
[21] 저널 인용 "''Epsilon Canis Majoris'' and the ionization of the local cloud"
[22] 웹인용 Catalogue of the Components of Double and Multiple Stars (CCDM) http://cdsarc.u-stra[...] 2013-01-29
[23] 저널 인용 Empirical effective temperatures and bolometric corrections for early-type stars http://adsabs.harvar[...] Astrophysical Journal 2013-01-22
[24] 저널 인용 http://adsabs.harvar[...] 2013-01-23
[25] 저널 인용 The angular diameters of 32 stars http://adsabs.harvar[...]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2013-01-22
[26] 문서 항성의 각반지름을 α, 항성까지의 거리를 D로 놓으면 항성의 실제 반지름은 \mathit{R}_* = {\tan \alpha} \cdot \mathit{D}로 나타낼 수 있다.
[27] 저널 인용 Stellar population models in the UV. I. Characterisation of the New Generation Stellar Library http://cdsads.u-stra[...] Astronomy & Astrophysics 2013-01-24
[28] 저널 인용 A catalogue of stellar rotational velocities http://cdsads.u-stra[...] Contributions dell'Osservatorio Astrofisico dell'Universita di Padova in Asiago 2016-01-26
[29] 저널 인용 Relations among stellar X-ray emission observed from Einstein, stellar rotation and bolometric luminosity http://adsabs.harvar[...] Astrophysical Journal 2013-01-28
[30] 저널 인용 X-ray emission from the winds of hot stars. II http://adsabs.harvar[...] Astrophysical Journal 2013-01-28
[31] 서적 인용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32] 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16-05-22
[33] 웹 인용 WG Triennial Report (2015-2018) - Star Names https://www.iau.org/[...] 2018-07-14
[34] 저널 인용 Al Achsasi Al Mouakket, on a catalogue of stars in the Calendarium of Mohammad Al Achsasi Al Mouakket 1895-06
[35] 문서 큰개자리 엡실론(ε CMa)은 ‘아오울 알 아드자리’ 또는 ''Prima Virginum''(처녀들 중 첫 번째), 큰개자리 오미크론2는 ‘타니흐 알 아드자리’ 또는 ''Secunda Virginum''(처녀들 중 두 번째), 큰개자리 델타는 ‘탈라스 알 아드자리’ 또는 ''Tertia Virginum''(처녀들 중 세 번째)로 부른다. 큰개자리 에타는 ‘라바 알 아드자리’ 또는 ''Quarta Virginum''(처녀들 중 네 번째)가 되어야 일관성이 있지만 ‘알루드라’(뜻: 처녀)로 불리며 그 의미는 아다라(Adhara) 또는 알 아다라(''Al ʽAdhārā'')와 같다.
[36] ArXiv On the naming convention used for multiple star systems and extrasolar planets 2010
[37] 문서 호시(弧矢)는 서구권에서 ''Koo She''로 표기하기도 한다. R.H. Allen은 ''Koo She''는 돛자리 델타와 돛자리 오메가를 포함하는 별자리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AEEA의 주장에 따르면 돛자리 델타는 천사(天社, 정수를 뜻함)의 일원이며 돛자리 오메가는 어떤 별자리에도 속해 있지 않다. 천사(天社)는 서구권에서 ''Tseen She''로 표기하며 R. H. Allen은 이 단어를 용골자리 에타의 중화권 명칭으로 사용했다. http://penelope.uchi[...]
[38] 간행물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7 月 17 日 http://aeea.nmns.edu[...]
[39] 웹인용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https://flagspot.net[...]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