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강영향평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강영향평가(HIA)는 정책, 프로그램, 프로젝트가 건강 결정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개인 및 지역 사회의 건강 결과를 예측하고 개선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론이다. HIA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며, 문헌 기반, 신속, 포괄적 평가 등 유형과 사전적, 동시적, 사후적 평가 시점으로 구분된다. HIA 실무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제영향평가협회(IAIA)와 건강영향평가 실무자 협회(SOPHIA) 등 관련 기구가 있다. HIA는 유럽, 북미, 호주 등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며, 세계 은행, 아시아 개발 은행 등 국제 기구에서도 대규모 개발 사업에 HIA를 적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향 평가 - CIPP 평가 모형
    CIPP 평가 모형은 Daniel L. Stufflebeam이 개발한 의사결정 지원 평가 모형으로, 프로그램의 단계와 활동 전반에 걸쳐 의사 결정자의 요구를 평가에 반영하며, 상황, 투입, 과정, 산출의 네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교육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트를 평가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과 의사 결정에 활용된다.
  • 영향 평가 - FMECA
    FMECA는 시스템의 잠재적 고장 모드를 식별하고 영향과 심각도를 평가하여 고장 위험을 줄이는 체계적인 분석 방법론으로, 고신뢰성 및 안전성 확보, 고장 예방 및 관리, 설계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며, 위험 우선순위 번호(RPN)를 계산하여 고장 위험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 의료의 질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 의료의 질 - 환자 안전
    환자 안전은 의료 서비스 과정에서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위해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활동이며,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 중심 의료를 실현하기 위해 의료 환경 개선, 안전 시스템 구축, 의료진 교육 등을 통해 환자 안전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인문지리학 - 나라
    국가는 주권, 영토, 정부, 외교적 능력을 갖춘 정치 실체이며, 몬테비데오 협약에 따라 국가의 요건을 갖추고 국기, 국가, 애국심 등의 상징을 통해 정체성을 나타낸다.
  • 인문지리학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건강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 개요
유형정책 및 프로그램의 잠재적 건강 영향 평가
목적의사 결정 지원, 건강 증진
관련 분야공중 보건, 환경 정책, 도시 계획
정의정책, 계획 및 프로그램이 인구의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평가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와 방법
목표긍정적인 건강 영향을 극대화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최소화
특징미래 지향적
인구 기반
다학제적
참여적
단계스크리닝
스코핑
평가
권고
보고
모니터링 및 평가
적용 분야환경
교통
주택
에너지
고용
교육
방법론문헌 검토
데이터 분석
전문가 의견
이해 관계자 참여
이점더 건강한 정책 결정
건강 불평등 감소
공중 보건 자원 효율성 증대
과제데이터 부족
방법론적 어려움
정치적 저항
역사1990년대에 발전
국제적 동향전 세계적으로 사용 증가
관련 기구세계 보건 기구 (WHO)
윤리적 고려 사항공정성, 투명성, 책임성
미래 방향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SDGs) 통합
법적 근거국가별 법률 및 규정
참고 문헌

2. 건강 결정 요인

건강영향평가(HIA)는 특정 정책, 프로그램, 프로젝트 등이 건강 결정 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생각에 기반한다. 이러한 건강 결정 요인의 변화는 결국 개인과 지역 사회의 건강 결과, 즉 건강 상태의 변화로 이어진다.

건강 결정 요인은 주로 사회 환경적인 특성을 가지며 사회적인 요인이 많기 때문에, 환경영향평가나 사회영향평가와 겹치는 부분이 많다.

또한, 건강영향평가는 정책, 프로그램, 프로젝트가 시행되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건강 불평등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도구로 인식되기도 한다.

3. 건강영향평가의 유형 및 절차

건강영향평가(HIA)는 증거에 기반한 권고안을 도출하여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제안된 정책, 프로그램 또는 프로젝트의 긍정적인 건강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건강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건강영향평가의 절차는 환경영향평가나 사회영향평가와 같은 다른 영향평가 방식과 유사하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지만, 실제 적용에서는 단계를 세분화하거나 다른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 '''선별''': 건강영향평가가 필요한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 '''범위 설정''': 평가에서 고려할 영향의 범위를 정하고 구체적인 평가 계획을 세우는 단계이다.

# '''영향 식별 및 평가''': 다양한 방법과 정보를 활용하여 잠재적 건강 영향의 규모, 특성, 범위, 발생 가능성 등을 파악하고 평가하는 단계이다.

# '''의사 결정 및 권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장단점을 명확히 하고, 증거에 기반한 권고안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 '''평가, 모니터링 및 후속 조치''': 건강영향평가 과정과 그 영향을 평가하고, 실제 건강 영향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관리하는 단계이다.

건강영향평가의 주요 목적은 건강 영향에 대한 기존 지식과 증거를 특정 사회 및 지역 사회 맥락에 적용하여, 지역 사회 건강과 안녕을 보호하고 개선하기 위한 의사 결정에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시간과 비용의 제약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새로운 연구나 독창적인 과학 지식 생산까지는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평가 결과, 특히 장기적인 모니터링 결과는 유사한 상황의 다른 건강영향평가에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권고안은 제안된 계획의 설계뿐만 아니라 운영 방식에도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건강영향평가는 제안된 정책, 프로그램 또는 프로젝트 시행 전에 잠재적인 건강 불평등 문제를 미리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된다.

건강영향평가는 목적과 가용 자원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유형주요 특징수행 기간정보 수준
문헌 기반 건강영향평가평가자 1명이 수행약 2~6주잠재적 건강 영향에 대한 개괄적 정보 제공
신속 건강영향평가평가자 1명이 수행약 12주잠재적 건강 영향에 대한 비교적 상세한 정보 제공
포괄적 건강영향평가평가자 1명이 수행약 6개월잠재적 건강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평가 제공



건강영향평가는 수행 시점에 따라 제안 시행 전(사전적), 시행 중(동시적), 시행 후(사후적)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동시적 평가는 모니터링 활동으로, 사후적 평가는 건강 영향 자체에 초점을 맞춘 평가 활동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전적 건강영향평가'''가 의사 결정 과정과 이후 발생할 수 있는 건강 영향에 가장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4. 건강영향평가 수행 주체

건강영향평가(HIA) 실무자는 민간 부문공공 부문에서 활동하지만, 그 수는 비교적 적다. 아직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능력 기준이나 인증 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건강영향평가를 주도하는 전문가는 건강 관련 분야의 폭넓은 교육과 훈련을 받고, 실제 건강영향평가 참여 경험을 쌓으며 관련 교육 과정을 이수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단순히 의학 또는 보건학 학위만으로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인식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관련 국제 기구 및 학회는 다음과 같다.

5. 세계의 건강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HIA)는 유럽,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아프리카, 태국 등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활용되고 있다.

세계 은행 그룹의 일원인 국제 금융 공사(IFC)는 2006년에 안전 관리 기준을 마련하였는데, 여기에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요구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준은 적도 원칙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주요 대출 은행들이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건강영향평가는 개발도상국의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진행되는 많은 대규모 개발 프로젝트에서 점차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대규모 댐 건설이나 관개 시스템 구축과 같은 수자원 개발 분야에서는 건강영향평가가 비교적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왔다.

지역 개발 은행 중에서는 아시아 개발 은행(ADB)이 건강영향평가와 가장 오랫동안 꾸준히 협력해 왔다. ADB는 1992년에 첫 건강영향평가 지침을 발표하며 협력을 시작했고, 이는 건강영향평가 발전 초기 단계에서 방법론과 절차의 최신 기술 동향을 반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10년 후인 2003년에는 개발 프로젝트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입문서를 출판하여, 각 부문별 관점에서 개발과 관련된 건강 위험 및 기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2015년부터 2018년까지 호주와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ADB는 메콩강 유역 국가(GMS)를 중심으로 말라리아 및 기타 전염병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역 말라리아 및 기타 전염병 위협 신탁 기금(RMTF)'을 운영했다. 이 기금은 여러 국가와 부문이 협력하여 국경을 넘나드는 전염병 위협에 대응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 주로 건강영향평가 역량 개발을 지원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2018년에는 "건강 영향 평가: 우수 사례 소스 북"이라는 새로운 지침서가 발간되었다.

5. 1. 대한민국의 건강영향평가

건강영향평가(HIA)는 제안된 정책, 프로그램 또는 프로젝트가 시행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건강 영향을 사전에 평가하여, 긍정적인 영향은 극대화하고 부정적인 영향은 최소화하기 위한 증거 기반의 접근 방식이다. 이는 의사 결정 과정에 건강 고려 사항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건강영향평가 도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관련 조례를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앙 정부 차원에서는 현행 환경보건법에 따라 환경영향평가 시 주민의 건강 영향을 고려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제도는 아직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건강영향평가는 정책이나 사업이 특정 집단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건강 불평등 문제를 미리 식별하고 이를 완화할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도구로 인식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더불어민주당을 포함한 진보 진영에서는 건강영향평가 제도의 본격적인 도입을 주장하고 있다. 제도가 마련되면 정책 결정 과정에서 건강 영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고려하여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정책 수립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대규모 개발 사업, 도시 계획, 교통 정책 등 국민 건강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큰 분야에서 건강영향평가 도입의 필요성이 높게 제기된다. 또한 국민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나 각종 건강 증진 사업 등 보건의료 정책 분야에서도 건강영향평가를 활용하여 정책 효과를 높이고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6. 참고 자료 (별도 처리)


  • ADB (1992). ''개발 프로젝트의 건강 영향 평가 지침''. ADB 환경 논문 11호. 마닐라, 아시아 개발 은행.
  • Birley, M. (1995). ''개발 프로젝트의 건강 영향 평가''. 런던: Her Majesty's Stationery Office.
  • Birley, M. (2011). ''건강 영향 평가: 원칙과 실천''. 런던: Earthscan.
  • Kemm, J. (2013). ''건강 영향 평가: 과거의 성과, 현재의 이해, 미래의 발전''. 옥스퍼드: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5601-1.
  • Kemm, J., Parry, J., & Palmer, S. (2004). ''건강 영향 평가: 개념, 이론, 기술 및 적용''. 옥스퍼드: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852629-2.
  • Peralta, G.M., & Hunt, J.M. (2003). ''개발 프로그램의 건강 영향 입문서''. 마닐라, 아시아 개발 은행.
  • Ross, C., Orenstein, M., & Botchwey, N. (2014). 미국의 건강 영향 평가. ''영향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 33(3), 233. 뉴욕: Springer.
  • Ståhl, T., Wismar, M., Ollila, E., Lahtinen, E., & Leppo, K. (2006). ''모든 정책의 건강: 전망과 잠재력''. 헬싱키: 핀란드 사회 복지 보건부. ISBN 978-952-00-1964-8. (HIA에 대한 여러 장 포함)
  • Bhatia, Rajiv, & Wernham, Aaron (2008). 환경 보건과 정의를 위한 실현되지 않은 기회인 환경영향평가에 인간의 건강 통합. ''환경 보건 관점'', 116(8), 991–1000.
  • Birley, Martin (2003). 건강영향평가, 통합 및 비판적 평가. ''영향 평가 및 프로젝트 평가'', 21(4), 313–321.
  • Dannenberg, AL, Bhatia, R, Cole, BL, Heaton, SK, Feldman, JD, & Rutt, CD (2008). 미국 내 건강영향평가의 활용: 27건의 사례 연구, 1999-2007. ''미국 예방 의학 저널'', 34(3), 241–256. https://www.cdc.gov/healthyplaces/publications/AJPM_HIAcasestudies_March2008.pdf
  • Douglas, MJ, Conway, L, Gorman, D, Gavin, S, & Hanlon, P (2001).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더 나은 건강 달성. ''건강 게시판'', 59(5), 300–305.
  • Harris-Roxas, Ben, & Harris, Elizabeth (2010). 다양한 형태, 다양한 목적: 건강영향평가의 유형. ''환경영향평가 검토'', 31(4), 396–403.
  • Haigh, F, Harris, E, Harris-Roxas, B, & Baum, F (2015). 건강영향평가를 성공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고소득 국가의 호주 및 뉴질랜드 건강 정책, 시스템 및 관리의 효과에 기여하는 요인. ''BMC 공중 보건'', 15, 1009.
  • Harris-Roxas, BF, & Harris, PJ (2007). 실행을 통한 학습: 건강영향평가 사례 연구의 가치. ''NSW 공중 보건 게시판'', 18(9–10), 161–163. http://www.publish.csiro.au/view/journals/dsp_journal_fulltext.cfm?nid=226&f=NB07110
  • Krieger, N, Northridge, M, Gruskin, S, Quinn, M, Kriebel, D, Davey Smith, G, Bassett, M, Rehkopf, DH, & Miller, C (2003). 건강영향평가 평가: 다학제적이고 국제적인 관점. ''역학 및 지역 사회 보건 저널'', 57(9), 659–662. http://jech.bmjjournals.com/cgi/content/full/57/9/659
  • Scott-Samuel, A (1996). 건강영향평가: 시대가 도래한 아이디어 (사설). ''영국 의학 저널'', 313(7051), 183–184. http://bmj.bmjjournals.com/cgi/content/full/313/7051/183
  • IJERPH (2020). 특별호 - 건강영향평가.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https://www.mdpi.com/journal/ijerph/special_issues/Health_Impact_Assessment
  • IUHPE (2017). 건강영향평가에 관한 특별호. ''Global Health Promotion'', 17(2). https://journals.sagepub.com/toc/pedb/24/2
  • 뉴사우스웨일스 보건부 (2007). 도시 환경에서의 HIA 특별호. ''NSW Public Health Bulletin'', 18(9–10). http://www.publish.csiro.au/nid/226/issue/4093.htm
  • 뉴질랜드 사회개발부 (2006). 뉴질랜드의 HIA 특별호. ''Social Policy Journal of New Zealand'', 29.
  • 뉴사우스웨일스 보건부 (2005). HIA 특별호. ''NSW Public Health Bulletin'', 16(7–8). http://www.health.nsw.gov.au/public-health/phb/HTML2005/julaug05html/contentsjulaug05.html
  • 세계보건기구 (2003). HIA 특별호.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1(6).
  • ICCM (2010). ''건강영향평가 우수 실무 지침''. 런던: 국제 광물 및 금속 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on Mining and Metals). http://www.icmm.com/document/792
  • Harris, P, Harris-Roxas, B, Harris, E, & Kemp, L (2007). ''건강영향평가: 실용 가이드''. 시드니: UNSW 및 NSW 보건부.
  • IHPI (2006). ''건강영향평가 지침''. 더블린: 아일랜드 공중 보건 연구소(Institute of Public Health in Ireland).
  • PHAC (2005). ''건강영향평가 가이드: 뉴질랜드를 위한 정책 도구'' (2nd ed.). 웰링턴: 공중 보건 자문 위원회(Public Health Advisory Committee).
  • Abrahams, D, Pennington, A, Scott-Samuel, A, Doyle, C, Metcalfe, O, den Broeder, Lea, Haigh, F, Mekel, O, & Fehr, R (2004). ''유럽 정책 HIA 가이드''. 리버풀: 국제 건강영향평가 컨소시엄(IMPACT) 리버풀 대학교.
  • Mahoney, M, Simpson, S, Harris, E, Aldrich, R, & Stewart Williams, J (2004). ''형평성에 초점을 맞춘 건강영향평가 프레임워크''. 오스트레일리아 뉴캐슬: 호주-아시아 보건 형평성 건강영향평가 협력.
  • enHealth Council (2001). ''건강영향평가 지침''. 캔버라: enHealth Council, 전국 공중 보건 파트너십.
  • Scott-Samuel, A, Birley, M, & Ardern, K (2001). ''머지사이드 건강영향평가 지침'' (2nd ed.). 리버풀: 국제 건강영향평가 컨소시엄(IMPACT) 리버풀 대학교.
  • Birley, M, Gomes, M, & Davy, A (1997). ''환경 평가의 건강 측면''. 워싱턴: 세계 은행 환경 부서.
  • Birley, M, & Peralta, G (1992). ''개발 프로젝트의 건강영향평가 지침''. 마닐라: 아시아 개발 은행 환경 논문.
  • Birley, M (1991). ''수자원 개발의 곤충 매개 질병 영향 예측 지침''. 제네바: 세계 보건 기구, WHO/CWS/91.1. PEEM 지침 시리즈 2.

7. 관련 주제


  • 환경영향평가
  • 사회영향평가
  • 건강 불평등
  • 건강 증진
  • 공중 보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