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안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안군은 중국 역사상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260년 오(吳)나라에 의해 회계군 남부를 분할하여 설치되었다. 양주에 속했으며, 진(晉)나라 시대에는 7개의 현을 관할했다. 강주로 전속되기도 했으며, 남조 시대에는 민주에 속하기도 했다. 수(隋)나라 시기에는 천주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건안군으로 변경되었으며, 당(唐)나라에 의해 천주로 개칭된 후 건주로 바뀌면서 명칭이 사라졌다.

2. 연혁

260년(영안 3년), 삼국시대 나라가 회계군 남부를 분할하여 건안군을 설치하였다.[1] 건안군은 양주에 속했다.

진 시대에 건안군은 건안, 오흥, 동평, 건양, 장락, 소무, 연평의 7개 현을 관할했다.[2] 291년(원강 원년), 양주를 분할하여 강주가 설치되자, 건안군은 강주로 전속되었다.

남조 송 시대에 건안군은 건안, 오흥, 장락, 소무, 건양, 수성, 사촌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제 시대에도 건안군은 남조 송과 동일하게 건안, 오흥, 장락, 소무, 건양, 수성, 사촌의 7개 현을 관할했다.[4]

남조 진 시대에 민주가 설치되면서 건안군은 민주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민주는 풍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건안군은 폐지되어 천주에 편입되었다. 606년(대업 2년), 천주는 민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민주는 건안군으로 개칭되었다. 건안군은 민, 건안, 남안, 용계의 4개 현을 관할했다.[5]

621년(무덕 4년), 당나라에 의해 건안군은 천주로 개칭되었고, 건안군 건안현에는 건주가 설치되었다. 742년(천보 원년), 건주는 건안군으로 개칭되었다. 758년(건원 원년), 건안군은 건주로 개칭되었고, 건안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6]

2. 1. 진, 전한

진나라가 민월을 정복한 이후 설치한 민중군(閩中郡)의 영역이었다가 진한 교체기에 민월이 독립하여 중국의 영역에서 제외되었다. 전한 무제가 민월을 정복한 이후 '동야(東冶)'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7]

2. 2. 후한대 후관도위

후한말 의 장군 하제가 구 민월 지역의 산월을 토벌한 이후 일부 현들에 회계군 후관도위(候官都尉)가 설치되었다.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建安縣건안현푸젠성 난핑시 젠어우 시 건안가도 강남쪽203년(건안 8년) 반란을 일으키자 하제가 반란 진압을 위해 이곳으로 내려와 도위부를 두었다.
侯官縣후관현푸젠성 푸저우시후한대 동아현(東冶縣)이 후한 말기에 후관현으로 개명되었다. 손오대 군의 치소 역할을 했다.
漢興縣한흥현난핑시 푸청현 만안향203년 건안현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260년 오흥현(吳興縣)으로 개명되었다.
南平縣남평현난핑시196년(건안 원년) 후관현의 북향에 신설되었다. 203년 건안현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建平縣건평현난핑시 젠양시203년 (건안 8년) 하제가 상요 일대의 산월을 토벌한 이후 상요의 남부에 신설한 현이었다. 서진 대에 건양현(建陽縣)으로 개칭되었다.


2. 3. 손오

260년(영안 3년), 삼국시대 나라가 회계군 남부를 분할하여 건안군을 설치하였다.[1] 건안군은 양주에 속했다.

손오 시기에 신설된 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邵武縣소무현난핑시 사오우시 고현촌260년(영안 3년) 신설됨
延平縣연평현난핑시260년 남평현에서 개명됨
將樂縣장락현싼밍시 장러현260년 신설됨
東安縣동안현취안저우 시 난안시 풍주진(豊州鎭)260년 건안군에서 신설됨. 서진대에 진안현(晉安縣)으로 개명됨
羅江縣나강현닝더시 푸안시 새기진 남안촌 일대오대에 신설됨
東平縣동평현난핑시 쑹시현 구현향260년 후관현에서 신설됨



564년 당시 건안군

2. 4. 서진, 동진

282년(태강 3년) 진안군이 신설되면서 푸젠 성 내륙 지역으로 축소되었다.[8] 동진 시기 강주가 신설되면서 강주로 소속이 옮겨졌다. 그리고 건평현은 젠양 구 숭락향 회담촌(回潭村)으로 치소가 옮겨졌다.

서진대 신설된 현(진안군에 이관된 현 포함)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原豐縣원풍현푸저우시282년 신설되었다.
新羅縣신라현룽옌시282년 신설되었다.
溫麻縣온마현닝더시 샤푸현 사강진283년(태강 4년)에 후관현 온마진에서 신설되었다.



진안군 분리 전후
진안군 분리 이전진안군 분리 이후 (진서 지리지 기준)
건안군건안현, 오흥현, 동평현, 건양현, 장락현, 소무현, 연평현건안군건안현, 오흥현, 동평현, 건양현, 장락현, 소무현, 연평현
원풍현, 신라현, 완평현, 동안현, 후관현, 나강현, 진안현, 온마현진안군원풍현, 신라현, 완평현, 동안현, 후관현, 나강현, 진안현, 온마현



진 시대에 건안군은 건안, 오흥, 동평, 건양, 장락, 소무, 연평의 7개 현을 관할했다.[2] 291년(원강 원년), 양주를 분할하여 강주가 설치되자, 건안군은 강주로 전속되었다.

2. 5. 유송

남조 시대에 건안군은 건안, 오흥, 장락, 소무, 건양, 수성, 사촌의 7개 현을 관할했다.[3] 이 군은 3,042호, 17,686명을 거느렸다.[9]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建安縣건안현변화없음군의 치소.
吳興縣오흥현
將樂縣장악현<태강지리지>에 기재되어 있다.
邵武縣소무현
建陽縣건양현
綏成縣수성현싼밍 시 젠닝 현 이심진(里心鎭)<영초국지>에서 등장한다.
沙村縣사촌현싼밍 시 사 현 고현촌379년(태원 4년)에 신설되었다.



2. 6. 남제

남조 제 시대에 건안군은 건안, 오흥, 장락, 소무, 건양, 수성, 사촌의 7개 현을 관할했다.[4]

2. 7. 남량, 남진

남조 진 시대에 민주가 설치되면서 건안군은 민주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민주는 풍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2. 8. 수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자 건안군은 폐지되어 천주에 편입되었다. 606년(대업 2년), 천주는 민주로 개칭되었다. 607년(대업 3년) 주가 폐지되고 군이 설치되자, 민주는 건안군으로 개칭되었다. 건안군은 민, 건안, 남안, 용계의 4개 현을 관할했다.[5]

남진 정복 이후 풍주(豊州)로 이관시키고 진안군, 남안군을 통폐합하여 푸젠 성 대부분 지역에 설치되었다. 주제를 실시했을 때엔 천주(泉州)로 했다가 대업 초기 민주로 바뀌었다. 4현, 12,420호를 거느렸다.[10]

수나라 시기 건안군의 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閩縣민현푸저우시진안군 후관현이었다. 진 정복 직후 원풍현(原豊縣)으로 개명했다. 600년(개황 20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대산(岱山), 비산(飛山)이 있다.
建安縣건안현난핑시 젠어우시건안군에 속했다. 진 정복 이후에 건안현을 설치했다.
南安縣남안현취안저우시 펑쩌구남안군이었다. 진 정복 이후 군을 폐지하고 현으로 개명했다.
龍溪縣용계현장저우 시 룽하이 시 안착진(顔厝鎭)507년 남량에서 설치했다. 592년(개황 12년) 난수현(蘭水縣)과 수안현(綏安縣)을 통폐합하였다.



2. 9. 당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건주(建州)'''로 개명되었고 수성현(綏城縣), 당흥현(唐興縣), 건양현(建陽縣), 사현(沙縣), 장락현(將樂縣), 소무현(邵武縣)을 관할했다. 742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건안군으로 복원되었으나 758년(건원 원년) 주현제로 복귀하면서 건주로 개명되었다. 초기에는 2현, 15,336호, 22,820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는 6현, 17,270호, 143,774명을 거느렸다.[11]

당나라 시기 건안군의 현
현명(한자)현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건안현建安縣난핑시 젠어우시군의 치소를 두었다.
소무현邵武縣난핑시 사오우시 고현촌수나라 때의 현으로 6현을 거느릴 때 복구되었다.
포성현浦城縣난핑시 푸청시690년(당 재초 원년) 건안현에서 당흥현을 신설했다. 691년(당 천수 2년) 당흥현은 무녕현에서 개명되었다. 705년(당 신룡 원년) 당흥현으로 복구했다가 742년 포성현이 되었다.
건양현建陽縣난핑시 젠양구688년(당 수공 4년), 건안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장락현將樂縣싼밍시 장러현688년 5월 소무현에서 분리되면서 복구되었다.
사현沙縣싼밍시 사현 고현촌655년(영휘) 건안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참조

[1] 서적 三国志
[2] 서적 晋書
[3] 서적 宋書
[4] 서적 南斉書
[5] 서적 隋書
[6] 서적 旧唐書
[7] 웹인용 권36 https://zh.wikisourc[...]
[8] 위키문헌 진서 권15, 지리지下 晉書/券15
[9] 서적 송서
[10] 서적 수서
[11] 서적 구당서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