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핑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핑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한나라 때 남평현으로 설치된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4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옌핑구, 젠양구 등 2개의 시할구, 3개의 현급시, 5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난핑시는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다양한 수출 지향형 산업이 발달해 있다. 교통으로는 우이산 싼구이 국제공항, 철도, 고속도로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난핑시 - 우이산
우이산은 중국 푸젠성과 장시성에 걸쳐 있는 산으로, 단샤 지형과 구곡계 강을 특징으로 하며,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고, 도교와 불교의 중심지이자 신유학의 발상지이며, 우롱차의 일종인 암차의 생산지로 유명하고, 199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푸젠성의 지급시 - 푸톈시
푸톈시는 푸젠성 연해 중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역사적으로 행정구역 변화를 거쳐 현재 4개의 시할구와 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아열대 몬순 기후와 푸셴어 사용, 신발 및 양조업 발달, 위조품 생산 문제, 그리고 마조의 탄생지인 메이저우섬을 포함한 독특한 문화를 지니고 있다. - 푸젠성의 지급시 - 장저우시
장저우시는 중국 푸젠성 남부에 위치하며 샤먼과 인접한 지급시로, 오랜 역사와 민남어를 사용하고 전통 및 현대 산업이 공존하며 다양한 교통망과 문화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난핑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난핑 시 |
별칭 | 민북 |
유형 | 지급시 |
위치 | 푸젠성 |
시 정부 소재지 | 옌핑구 (현재), 젠양구 (미래) |
로마자 표기 | Nanping |
역사적 명칭 | 옌핑 |
지역 방언 | 민북어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푸젠성 |
시장 | 쉬 웨이쩌 |
당 서기 | 위안 이 |
면적 | |
총 면적 | 26,278 제곱킬로미터 |
도시 면적 | 2,660 제곱킬로미터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2,680,645 명 |
도시 인구 (2020년) | 795,448 명 |
1인당 GDP | 74,903 CN¥ (11,763 US$) |
GDP (2021년) | 2010억 CN¥ (291억 US$) |
시간대 | |
시간대 | CST (+8) |
기타 | |
우편 번호 | 353000, 354000 |
지역 번호 | 0599 |
ISO 코드 | CN-FJ-07 |
웹사이트 | 난핑 시 정부 웹사이트 |
2. 역사
한나라 초기 민월의 땅이었던 난핑시는 196년에 남평현(南平县)이 설치되었다. 서진 280년에 연평현(延平县)으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때 연평군(延平军)이 설치되었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연평진(延平镇), 송나라 때는 검포현(剑浦县)으로 불렸으나 1302년에 남평현으로 복구되었다.[14][15]
1912년 현이 폐지되고 옌핑부(延平府)가 설치되었으나 1913년 난핑현으로 복구되었다. 1956년 난핑현에서 난핑시가 분리되었고, 1960년 1월 난핑현이 난핑시에 병합되었다. 1994년 지급시인 난핑시가 설립되었다.[14][15]
난핑시의 행정 구역 변천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하위 섹션 "행정 구역 연혁"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고대 ~ 중세
한나라 초기에는 민월의 땅이었고 196년에 남평현(南平县)이 설치되었다. 서진 때인 280년에 연평현(延平县)으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때 연평군(延平军)을 두었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연평진(延平镇), 송나라 때는 검포현(剑浦县)으로 불렸으나 1302년에 남평현으로 복구되었다.[14][15]2. 2. 근대 ~ 현대
한나라 초기에는 민월의 땅이었고 196년에 남평현(南平县)이 설치되었다. 서진 때인 280년에 연평현(延平县)으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때 연평군(延平军)을 두었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연평진(延平镇), 송나라 때는 검포현(剑浦县)으로 불렸으나 1302년에 남평현으로 복구되었다.[14][15]1912년에 현이 폐지되고 옌핑부(延平府)가 설치되었으나 1913년에 난핑현으로 복구되었다. 1956년에 난핑현에서 난핑시가 분리되었고 1960년 1월에 난핑현이 난핑시에 병합되었다. 1994년에 지급시인 난핑시가 설립되었다.[14][15]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푸젠성 난핑 전구가 성립되면서 난핑현, 순창 현, 유시 현, 사 현, 장러 현, 타이닝 현, 젠닝 현, 구톈 현, 핑난 현이 발족하였다. (9현)
1956년 3월 26일 젠양 전구의 젠양현, 젠어우현, 푸청현, 충안현, 광저현, 쑹시현, 정허현, 사오우현, 수이지현이 난핑 전구로 편입되었다.
1956년 11월 16일, 난핑현의 일부가 분리되어 난핑시가 발족하였다. (1시 19현)
1960년 1월 7일, 난핑현이 난핑시에 병합되었다. (1시 15현)
1970년 2월 17일, 유시현, 사현, 장러현, 타이닝현, 젠닝현이 싼밍 전구로 편입되었다.
1971년 4월 13일, 난핑 전구가 젠양 전구로 개칭되었다.
1988년 10월 24일, 젠양 지구가 난핑 지구로 개칭되었다.
1994년 9월 5일, 난핑 지구가 지급시인 난핑시로 승격되었고, 난핑시는 옌핑구가 되었다.
2. 3. 행정 구역 연혁
한나라 초기에는 민월의 땅이었고 196년에 남평현(南平县)이 설치되었다. 서진 때인 280년에 연평현(延平县)으로 개칭되었고 당나라 때 연평군(延平军)을 두었다. 오대십국시대에는 연평진(延平镇), 송나라 때는 검포현(剑浦县)으로 불렸으나 1302년에 남평현으로 복구되었다.[14][15]1912년에 현이 폐지되고 옌핑부(延平府)가 설치되었으나 1913년에 난핑현으로 복구되었다. 1956년에 난핑현에서 난핑시가 분리되었고 1960년 1월에 난핑현이 난핑시에 병합되었다. 1994년에 지급시인 난핑시가 설립되었다.[14][15]
난핑 시의 행정 구역 변화는 다음과 같다.
날짜 | 사건 | 비고 |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젠어우 전구 성립 | 젠양현, 젠어우현, 푸청현, 충안현, 광저현, 쑹시현, 정허현, 샤오우현, 수이지현 발족 (9개 현) |
1949년 10월 1일 |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난핑 전구 성립 | 난핑 현, 순창 현, 유시 현, 사 현, 장러 현, 타이닝 현, 젠닝 현, 구톈 현, 핑난 현 발족 (9현) |
1950년 9월 2일 | 젠어우 전구가 젠양 전구로 개칭 | |
1956년 3월 26일 | 젠양 전구에 여러 현 편입 | 젠양 현, 젠어우 현, 푸청 현, 충안 현, 광저 현, 쑹시 현, 정허 현, 샤오우 현, 수이지 현, 민칭 현, 싼위안 현, 밍시 현 편입 (21현) |
1956년 3월 26일 | 젠양현, 젠어우현, 푸청현, 충안현, 광저현, 쑹시현, 정허현, 사오우현, 수이지현이 난핑 전구에 편입 | |
1956년 7월 9일 | 수이지 현 분할, 싼밍 현 발족 | 수이지 현이 젠양 현, 젠어우 현, 푸청 현으로 분할 편입. 싼위안 현 및 밍시 현의 일부가 합병하여 싼밍 현 발족. 밍시 현 잔부는 룽옌 전구 닝화 현에 편입 (19현) |
1956년 11월 16일 | 난핑 시 발족 | 난핑 현의 일부가 분리 (1시 19현) |
1958년 3월 21일 | 저장 성 원저우 전구 칭위안 현 일부 편입 | 칭위안 현 일부가 정허 현에 편입 (1시 19현) |
1959년 7월 1일 | 쑹시 현, 정허 현 이동 | 쑹시 현, 정허 현이 푸안 전구에 편입 (1시 17현) |
1959년 8월 1일 | 민칭 현 이동 | 민칭 현이 민허우 전구에 편입 (1시 16현) |
1960년 1월 7일 | 난핑 현 병합 | 난핑 현이 난핑 시에 편입 (1시 15현) |
1960년 5월 26일 | 싼밍 시 발족 및 싼밍 현 병합 | 싼밍 현 일부가 분리되어 지급시 싼밍 시 됨. 싼밍 현이 싼밍 시에 편입 (1시 14현) |
1963년 9월 11일 | 구톈 현, 핑난 현 이동 | 구톈 현, 핑난 현이 민허우 전구에 편입 (1시 12현) |
1964년 6월 5일 | 젠시 현 발족 | 난핑 시, 젠어우 현, 순창 현 각 일부 합병 (1시 13현) |
1970년 2월 17일 | 여러 현 이동 및 쑹정 현 발족 | 푸안 전구 쑹시 현, 정허 현 편입. 유시 현, 사 현, 장러 현, 타이닝 현, 젠닝 현이 싼밍 전구에 편입. 젠시 현이 순창 현에 편입. 쑹시 현, 정허 현 합병하여 쑹정 현 발족 (1시 8현) |
1971년 4월 13일 | 난핑 전구가 젠양 전구로 개칭 | |
1971년 6월 17일 | 젠양 전구가 젠양 지구로 개칭 (1시 8현) | |
1974년 12월 6일 | 쑹정 현 분할 | 쑹정 현 분할, 쑹시 현, 정허 현 발족 (1시 9현) |
1983년 8월 17일 | 샤오우 시 승격 | 샤오우 현이 시로 승격 (2시 8현) |
1988년 10월 24일 | 젠양 지구가 난핑 지구로 개칭 | |
1989년 8월 21일 | 우이산시 승격 | 충안 현이 시로 승격 (3시 7현) |
1992년 10월 20일 | 젠어우시 승격 | 젠어우 현이 시로 승격 (4시 6현) |
1994년 3월 4일 | 젠양시 승격 | 젠양 현이 시로 승격 (5시 5현) |
1994년 9월 5일 | 난핑 지구가 지급시인 난핑시로 승격 | 난핑 시가 구제 시행하여, 옌핑 구가 됨 (1구 4시 5현) |
2014년 5월 2일 | 젠양 구 승격 | 젠양 시가 구제 시행 (2구 3시 5현) |
난핑시는 푸젠성 북부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닝더시, 남쪽으로 싼밍시, 북쪽과 서쪽으로 각각 저장성, 장시성과 접한다. 우이산맥의 일부분이 시에 위치해있다.
3. 지리
3. 1. 기후
난핑은 짧고 온화한 겨울과 길고 매우 덥고 습한 여름이 있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Cfa'')를 보인다. 월 평균 기온은 1월 9.7°C에서 7월 28.7°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19.5°C이다. 강수량은 3월부터 6월까지 매달 200mm 이상이며, 초겨울까지 점차 감소한다. 월별 일조율은 3월 24%에서 7월 57%까지이며, 연간 일조 시간은 1,721시간으로 여름이 가장 햇볕이 잘 드는 시기이다. 봄과 늦겨울은 특히 흐리고 습하다.[16][17][18]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4.8°C | 17°C | 20.1°C | 25.2°C | 28.8°C | 31.5°C | 34.8°C | 34.4°C | 31.5°C | 27.1°C | 22°C | 16.6°C |
평균 기온 (℃) | 10.2°C | 12.1°C | 15°C | 19.9°C | 23.7°C | 26.5°C | 29.1°C | 28.7°C | 26.4°C | 21.8°C | 16.8°C | 11.6°C |
평균 최저 기온 (℃) | 7.2°C | 8.9°C | 11.8°C | 16.2°C | 20.2°C | 23.2°C | 25°C | 24.9°C | 22.8°C | 18.1°C | 13.5°C | 8.4°C |
최고 기온 기록 (℃) | 22.3°C | 24.5°C | 30.8°C | 36°C | 38.3°C | 39.6°C | 42.1°C | 41.4°C | 39.2°C | 37.6°C | 34.3°C | 26.9°C |
최저 기온 기록 (℃) | -5.7°C | -6.3°C | -2.1°C | 3.8°C | 9.6°C | 14.8°C | 20.3°C | 20°C | 17.4°C | 10.5°C | 2.4°C | -4.2°C |
강수량 (mm) | 65.5mm | 97.8mm | 195.6mm | 195.4mm | 256.4mm | 322.1mm | 141.7mm | 158.8mm | 88.2mm | 62.7mm | 65.6mm | 50mm |
평균 강수일수 (≥ 0.1mm) | 10.9 | 13.2 | 17.5 | 16.6 | 18.0 | 17.6 | 12.5 | 14.0 | 9.9 | 7.0 | 7.8 | 8.7 |
상대 습도 (%) | 77 | 77 | 77 | 76 | 77 | 80 | 73 | 74 | 73 | 72 | 76 | 76 |
월간 일조 시간 | 97.3 | 94.8 | 98.9 | 122.1 | 141.0 | 146.9 | 242.1 | 217.2 | 183.8 | 171.2 | 129.0 | 117.5 |
월간 일조율 (%) | 29 | 30 | 27 | 32 | 34 | 36 | 58 | 54 | 50 | 48 | 40 | 36 |
4. 행정 구역
난핑시는 2개의 시할구, 3개의 현급시, 5개의 현을 관할한다.
5. 산업
난핑의 산업은 다양한 수출 지향형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푸젠 난핑 난푸 배터리 유한공사(Fujian Nanping Nanfu Battery Company Ltd.)는 중국 본토에서 가장 큰 알칼라인 배터리 제조업체이자 공급업체이다.[1]
6. 교통
난핑시는 우이산 공항을 통한 항공 교통과 난핑역, 난핑 북역, 난핑 남역을 거점으로 하는 철도 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6. 1. 항공
우이산 공항6. 2. 철도
- 난핑역
- 난핑 북역(중국철로고속 이용가능)
- 난핑 남역
- - 중국 국가 철로 집단
- 허푸 여객 전용선
- 南龙铁路|난룽선중국어
- 峰福铁路|펑푸선중국어
- 잉샤선
- 外南铁路|와이난선중국어
- 衢宁铁路|취닝선중국어
7. 자매 도시
도시 | 국가 | 체결일 |
---|---|---|
스탬퍼드 | Stamford|스탬퍼드영어 {{lang|ko|미국|} | } 코네티컷 주 || 1993년 7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