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복치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걸복치반은 오호 십육국 시대 서진의 군주로, 걸복건귀의 아들이다. 그는 400년 남량에 인질로 보내졌으나 탈출하여 아버지에게 돌아갔고, 409년 서진이 재건된 후 태자로 책봉되었다. 걸복치반은 남량을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진왕을 칭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나, 북량, 하 등 주변 국가들과의 전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428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걸복모말이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28년 사망 - 게이세리쿠스
게이세리쿠스는 5세기 중반 반달 왕국의 왕으로서, 서로마 제국의 쇠퇴기에 북아프리카를 정복하고 지중해를 장악했으며, 로마 약탈과 동·서 로마 연합 함대 격파 등의 업적을 통해 서로마 제국의 몰락에 영향을 미치고 "반달리즘"의 어원이 된 인물이다. - 428년 사망 - 군데리쿠스
군데리쿠스는 406년 이베리아 반도로 이동한 반달족의 왕으로, 마인츠 전투에서 사망한 고디기셀의 아들이며 갈라이시아에 왕국을 세우고 알라니족을 받아들여 반달족과 알라니족의 왕이 되었으며, 로마, 수에비족, 서고트족과 갈등을 겪다 428년 사망했다. - 서진 (오호 십육국)의 군주 - 걸복국인
걸복국인은 선비족 걸복부 출신으로 오호십육국 시대 서진을 건국하고, 농서에서 반란을 일으켜 용사성에 수도를 두었으며 388년에 사망했다. - 서진 (오호 십육국)의 군주 - 걸복건귀
걸복건귀는 오호십육국시대 서진의 창건자로, 선비족 걸복부 출신이며, 진왕을 자칭하며 외교와 군사적 능력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지만, 후진에 투항 후 서진을 재건하고 아들에게 암살당했다. - 송 (남조) 사람 - 풍홍
풍홍은 오호십육국시대 북연의 마지막 천왕으로, 형 풍발 사후 스스로 천왕에 올랐으나 북위의 압박과 고구려에서의 불손한 태도로 인해 장수왕에게 살해당했다. - 송 (남조) 사람 - 저거목건
저거목건은 북량의 제3대 군주로, 남조 송, 북조 북위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세력 균형을 꾀했으나 북위의 침공을 막지 못하고 북량이 멸망한 후 모반 혐의로 자결을 강요받았다.
걸복치반 | |
---|---|
기본 정보 | |
칭호 | 서진 문소왕 |
직위 | 서진의 군주 |
재위 기간 | 412년–428년 |
전임 | 걸복건귀 |
후임 | 걸복모말 |
시호 | 문소왕 (文昭王, "문명하고 뛰어난") |
묘호 | 태조 (太祖) |
성 | 걸복 (乞伏) |
이름 | 걸복치반 (熾磐) |
휘 | 걸복치반 (乞伏熾磐) |
생년 | 불명 |
몰년 | 428년 |
능묘 | 무평릉 (武平陵) |
부친 | 걸복건귀 |
통치 | |
연호 | 영강 (永康): 412년–419년 건홍 (建弘): 419년–428년 |
관직 | 대장군, 하남왕 (大將軍 河南王, 412년–414년) 진왕 (秦王, 414년–428년) |
2. 생애
걸복치반은 아버지 걸복건귀의 주요 참모로서 행정과 군사 양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407년, 걸복건귀가 후진의 요흥에게 억류되자 걸복치반이 그 뒤를 이어받았다. 그는 독발녹단이 보낸 사신들의 머리를 베어 장안으로 보내는 등 후진에 대한 충성을 과시했다. 408년, 후진이 약해지자 강랑산(지금의 란저우)에 성을 쌓아 방비를 강화했다. 409년, 걸복건귀가 탈출하여 돌아오자 걸복건귀는 다시 진왕(秦王)을 칭하고 걸복치반을 태자로 책봉했다.
걸복건귀는 걸복치반에게 학자 교이(焦遺)를 스승으로 삼아 아버지처럼 섬기도록 가르쳤다. 411년, 걸복건귀는 명목상 후진의 신하가 되었고, 요흥은 걸복건귀를 하남왕(河南王)으로, 걸복치반을 평창공(平昌公)으로 봉했다. 같은 해, 걸복치반은 남량 원정에 나서 독발여탄의 태자 독발호태를 상대로 대승을 거두고 10만 마리 이상의 가축을 포획하는 전과를 올렸다.
2. 1. 초기 생애와 남량 복속
걸복치반의 출생년도와 어머니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삼촌 걸복국인이 서진을 건국하기 전인 383년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며, 걸복건귀의 장남으로 어머니는 그의 부인 변비였을 가능성이 높다. 388년 걸복국인이 사망하자 걸복건귀가 태자가 되었다.걸복치반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393년 걸복건귀가 그를 태자로 책봉했을 때 나타난다. 당시 그는 이미 용맹하고 지혜로우며 아버지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곧 아버지 행정부의 핵심 관리가 되었다.
400년, 걸복건귀는 후진 황제 요흥에게 대패하여 영토 대부분을 빼앗겼다. 그는 국가 유지가 어렵다고 판단, 신하들에게 후진에 항복을 지시하고 자신은 남량 군주 독발리록고에게 귀순했다. 독발리록고는 그를 귀빈으로 대우했다. 독발리록고의 동생 독발구연은 걸복건귀를 의심하여 칭하이호 서쪽 이부 부족으로 유배 보낼 것을 제안했으나, 독발리록고는 거절했다. 그러나 걸복건귀의 재기를 우려하여 감시 병력을 배치했다. 처형을 두려워한 걸복건귀는 걸복치반, 형제들, 어머니를 남량 수도 서평에 인질로 보내 신뢰를 회복했다. 이후 남량의 경계가 느슨해지자 부한(지금의 린샤 후이족 자치주, 간쑤성)으로 도망쳐 후진에 항복했다.
당시 걸복치반은 독발리록고의 형제 독발유탄의 딸 저발씨와 결혼한 상태였다. 이후 걸복치반이 후진으로 도주하다 붙잡혔을 때, 독발유탄은 독발리록고의 처형 결정을 반대하며 목숨을 구걸했고, 독발리록고는 이를 받아들였다. 402년 독발리록고 사후 독발녹단이 즉위하자, 걸복치반은 탈출에 성공, 후진의 주요 장군이 된 아버지에게 합류했다. 독발녹단은 걸복치반의 아내와 자녀들을 그에게 보냈다.
2. 2. 통치 기간
412년 여름, 걸복건귀가 걸복국인의 아들 걸복공부에게 암살당하고, 걸복치반의 형제 10명 이상이 함께 살해되었다. 걸복공부는 대하(현재의 린샤)에서 방어 태세를 갖추었다. 걸복치반은 그의 형제 걸복지달과 걸복목혁간을 보내 걸복공부를 공격하게 하고, 수도를 부한(撫韓)으로 옮겼다. 걸복지달은 걸복공부를 격파하고 그와 그의 아들, 형제 걸복아채를 처형했다. 걸복치반은 명실상부한 후계자가 되어, 하남왕(河南王)의 칭호를 요구했다.걸복치반은 초기 통치 기간 동안 토욕혼, 남량, 후진을 공격하며 세력을 확장했고, 아버지의 지배를 받지 않던 지방 부족들을 복속시켰다.
414년, 남량을 합병한 후, 걸복치반은 더 높은 칭호인 진왕(秦王)을 칭했다. 416년, 동진 장군 유유의 공격을 받은 후진에 신하가 될 의사를 밝히고, 유유에게서 하남공(河南公)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417년, 유유는 후진을 멸망시켰지만, 서진을 공격하지 않았고, 서진은 국경에 있는 많은 후진의 도시를 장악했다.
420년, 걸복치반은 아들 걸복모말을 태자로 세웠다. 또한 유송을 건국한 유유로부터 명목상 대장군의 칭호를 받았다.
421년부터 북량과의 전쟁이 시작되어 서진을 쇠약하게 만들었다.
423년, 걸복치반은 북위의 제후가 되겠다고 선언하고, 북위에 하를 정복하는 방법에 대한 제안을 했다. 426년, 다시 북위에 하를 공격해 줄 것을 요청했다.
426년 후반, 하의 공격으로 수도를 정련(定連)으로 옮기고, 서평을 점령당하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427년, 수도를 다시 부한으로 옮겼고, 북위가 하의 수도 통만(統萬)을 점령했다는 소식을 듣고, 숙부 걸복악두(乞伏握頭)를 보내 북위에 조공을 바쳤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서진은 여전히 북량과 구지의 끊임없는 공격을 받고 있었다.
428년 여름, 걸복치반은 사망했고, 걸복모말이 뒤를 이었다.
3. 평가
걸복치반은 잦은 전쟁으로 국력을 소진시켰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3. 1. 부정적 평가
걸복치반은 재위 기간 동안 잦은 전쟁을 벌여 국력을 소진시켰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북량과의 끊임없는 전쟁은 서진을 쇠약하게 만들었다. 426년에는 하의 공격을 받아 수도를 옮기고 주요 도시를 잃는 등 큰 타격을 입었다. 또한, 북위에 복종하겠다고 선언하면서 하를 공격해 달라고 요청하는 등 외교적으로 일관성이 없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걸복강귀 | 읍원왕 |
부인 | 저거공주 | 저거구탄의 딸, 남량의 공주, 414년 책봉, 423년 처형 |
주요 후궁 | 좌첩 저거씨 | 저거구탄의 딸 |
자녀 | ||
걸복모말 | 태자(420년 책봉), 훗날 군주 | |
걸복원기 | ||
걸복가수라 | ||
걸복성룡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