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일어 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일어 연맹(Conradh na Gaeilge)은 1893년 더글러스 하이드를 중심으로 아일랜드어 보존과 부흥을 목표로 설립된 단체이다. 영국 식민 지배로 쇠퇴해 멸종 위기에 놓인 아일랜드어를 부활시키기 위해 아일랜드어 강좌, 출판, Gaeltacht에서의 활동을 조직했다. 초기에는 비정치적 입장을 유지하려 했으나, 민족주의 운동과 연관되어 아일랜드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아일랜드 자유국 성립 후에는 활동이 위축되었지만, 현대에는 아일랜드어의 법적 지위 향상과 사용 확대를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 아일랜드어 - 고대 아일랜드어
고대 아일랜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현대 아일랜드어 등의 조상이고, 4세기에서 6세기에 오검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자음과 모음의 변화, 융합어, VSO 어순, 5가지 격을 가진 명사, 시제와 상 등에 따라 활용되는 동사의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 1893년 설립 - 통제영학당
통제영학당은 1893년 조선 정부가 근대 해군 장교 양성을 위해 설립한 한국 최초의 해군사관학교였으나, 동학농민운동과 청일전쟁, 일본의 압력으로 1896년 폐교되었고 현재는 터와 영국인 교관 관사만 남아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이 복원을 추진 중이다. - 1893년 설립 - 스탠퍼드 법학대학원
스탠퍼드 법학대학원은 1893년에 설립된 스탠퍼드 대학교의 법학 전문 대학원으로, 낮은 학생 대 교수 비율과 실무 중심의 교육 과정을 통해 샌드라 데이 오코너와 윌리엄 렌퀴스트 등 법조인을 배출하며, 2023년 캘리포니아 변호사 시험에서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다.
게일어 연맹 | |
---|---|
개요 | |
![]() | |
약칭 | CnaG |
이전 명칭 | 게일 연맹 |
설립일 | 1893년 7월 31일 |
본부 | 6 Harcourt Street, 더블린 2, 아일랜드 |
유형 | 비정부 기구 |
분야 | 아일랜드어 진흥 게일 부흥 |
설립자 | 더글러스 하이드 |
회장 | 폴라 멜빈 |
사무총장 | 줄리안 데 스파인 |
자회사 | 라디오 리-라 |
웹사이트 | cnag.ie |
2. 설립 배경: "아일랜드 탈영국화"
울릭 버크의 게일 연합을 계승한 게일어 연맹(''Conradh na Gaeilge'')은 1893년 아일랜드어가 멸종 직전에 있던 상황에서 결성되었다. 188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19세기 초 아일랜드 출생자 중 최소 45%가 아일랜드어 사용자였으나,[1] 1891년에는 3.5%만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했다.[2] 아일랜드는 영어를 주로 사용하는 국가가 되었고, 아일랜드어는 서부의 가난한 농민과 농업 노동자들이 주로 사용했으며, 매튜 아놀드는 이를 "패배한 인종의 징표"로 표현했다.[3]
2. 1. 초기 목표
연맹의 초기 목표는 아일랜드어가 사용되는 주로 서부 지역인 Gaeltacht에서 언어를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의 ''Gaeilgeoir'' 활동가인 아오단 맥 포일린은 "언어 운동의 주요 이데올로기적 영향은 ''Gaeltacht''가 아니라 영어를 사용하는 민족주의자들 사이에 있었다"고 지적한다. 연맹은 "보존주의적 역할과 부흥주의적 역할"을 모두 개발했다.[4]2. 2. [[더글러스 하이드]]의 역할
초대 회장 더글러스 하이드는 로스커먼 주 출신의 아일랜드 교회 교구 사제의 아들이었다. 하이드는 초기에 여러 연합주의자들을 연맹에 끌어들이는 정신을 만들었다.[4] 여기에는 벨파스트 오렌지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이자 1892년 반자치 통치 대회의 조직자인 리처드 케인 목사도 포함되었다.[4] 그러나 처음부터 비정치적 수사학과 연맹의 부흥 프로젝트에 내포된 민족주의 사이에는 해결되지 않은 갈등이 있었다.[4]2. 3. "아일랜드를 탈영국화할 필요성"
유진 오그로니, 에인 맥네일, 토마스 오닐 러셀 등의 도움을 받아, 더글러스 하이드는 1892년 11월 25일 아일랜드 국립 문학 협회에서 "아일랜드를 탈영국화할 필요성"을 주제로 연설했다.[5] 주세페 마치니를 인용하며 하이드는 "우리가 전면적으로 영국화되면서 민족성에 대한 최고의 주장을 가볍게 버렸다"고 주장했다.[6]이는 가톨릭 해방 이후 발전해 온 민족 운동에 대한 비판이었다. 게일어 사용자였던 다니엘 오코넬은 아일랜드어의 "점진적인 포기"를 "충분히 실용적이어서 후회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7] 해방론자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들에게 아일랜드어와 영어 사이의 "긍정적이고 명백한" 차이점은 "종교에 의해 만들어진 차이점"이었다.[8] 하이드는 아일랜드인이 되는 것에 대한 새로운 배타적인 감각을 제시했다. 게일어를 "아일랜드어"라고 부르는 간단한 관행은 의식적이든 아니든 "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을 아일랜드인이 아닌 것으로 만들고, 심지어 그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을 비 아일랜드인으로 만들었다."[9]
3. 초기 활동
게일어 연맹은 게일 부흥을 이끄는 중심 단체로 빠르게 성장했다. 아일랜드어 강좌를 열고, 학생들이 Gaeltacht 지역에서 아일랜드어를 집중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지원했으며, 아일랜드어로 된 출판물을 펴냈다. 연맹에서 처음으로 발행한 신문은 ''안 클라이데아 솔루이스''(빛의 검)였으며, 패트릭 피어스가 이 신문의 가장 잘 알려진 편집자였다. 연맹은 ''Sinn Féin, Sinn Féin amháin''(우리 자신, 우리 자신만)이라는 표어를 내걸었다.[10]
초기에 연맹이 이룬 주목할 만한 성과로는 우체국에서 아일랜드어로 쓴 주소가 적힌 소포와 편지를 접수하도록 한 것과 성 패트릭 데이를 국경일로 지정받은 것이 있었다.[11]
보어 전쟁을 겪으면서 민족주의 감정이 높아져 1900년부터 연맹의 회원 수가 늘기 시작했다. 1897년 43개였던 지부 수는 1904년에 600개로 크게 증가했고, 회원 수는 5만 명에 이르렀다. 1904년에는 아일랜드어가 국립 학교의 교육 과정에 포함되는 더 큰 성과를 거두었다.[11]
하지만 초기에 가톨릭 교회는 연맹에 대해 우호적이지 않았다.[12] 성직자들은 국립 학교에서 아이들이 아일랜드어를 사용하면 벌을 주기도 했다.[13]
4. 민족주의 운동과의 관계
더글러스 하이드는 연맹이 "개신교도 아니고 가톨릭교도 아니며, 아일랜드 연합주의자도,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도 아니다"라고 선언했다.[15] 연맹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의 울프 톤 기념비 제막식 참여를 거부하는 등 비정치적 원칙을 고수하려 했다. 그러나 게일 운동 협회와 마찬가지로, 연맹은 민족주의적 모집을 위한 기회이자 은폐 역할을 했다. 숀 T. 오켈리는 ''안 클라이데아 솔루이스''(빛의 검)의 여행 관리자로서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IRB)을 위해 젊은이들을 모집했다.[4] 아일랜드 의용군(1913년)과 같은 단체의 토대가 연맹을 통해 마련되었다.
연맹이 학교에서 아일랜드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가톨릭 교회와 더욱 긴밀하게 협력하기 시작하면서 연합주의자들이 철수했다. 하이드가 연합주의자들을 위한 공간을 남겨두려는 노력은 실패했고, 그들은 아일랜드 문화적 정체성을 거부하는 독자적인 얼스터 연합주의로 나아갔다.[4]
4. 1. [[마이클 콜린스]]와 [[아서 그리피스]]의 관점
마이클 콜린스는 연맹이 "비정치적"이지만, "본질적으로"는 "강렬하게 민족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외세의 통치 아래 국민들이 "스스로를 돌아보기를 잊고, 자기 나라에 등을 돌리게" 만드는 상황에서, 연맹이 "다른 어떤 운동보다도 국가적 자긍심, 명예, 자존심을 회복하는 데 더 많은 역할"을 했다고 보았다.[16] 아서 그리피스 또한 연맹의 정치적 중립성에 대해 비슷한 견해를 보였다. 그는 아일랜드어 부활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아일랜드 국적의 표식으로서의 역할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주장했다.[17]4. 2. 공화주의자들의 입장
공화주의자들은 연맹이 민족주의 운동 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에 대해 솔직하게 이야기했다. 신문 ''아일랜드의 자유''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18]> 게일어 연맹의 역할은 아일랜드 민족이 영국 민족에 동화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 그 역할은 피니언주의나 아일랜드 연합 사회가 시도했던 일만큼이나 본질적으로 반 영국적이다 [...] 아일랜드어는 영국 침략에 맞서는 가장 중요한 정치적 무기이다.
1915년 던독에서 열린 연례 총회에서 연맹의 정치적 독립 문제가 결정되었다. 아일랜드 공화주의 형제단(IRB)의 디어미드 린치는 형제단 회원들을 동원하여 "IRB의 관점에서 안전한" 새로운 ''Coiste'' (집행부)를 임명하는 데 필요한 후보 지명과 투표를 확보했다.[18]
5. 북아일랜드 개신교도
얼스터 지부는 1895년 동 벨파스트에서 처음 결성되었다. 존 밥티스트 크로지어 목사, 존 세인트 클레어 보이드 박사, 리처드 루틀리지 케인 목사 등이 주도했다.[20][21][22] 1899년까지 연맹은 섕킬 구를 포함하여 벨파스트 내에 9개 지부를 가졌다.[22] 앨리스 밀리건, 하이드, 로저 카스먼트, 앨리스 스톱포드 그린, 스티븐 귄 등이 북부 개신교도 모집에 힘썼다.[23] 조지 A. 버밍엄이라는 필명의 소설가 제임스 오웬 해니는 연맹 전국 집행 기구에 공동 선출되었다.[24][25] 로버트 린제이 크로포드와 그의 독립 오렌지 오더는 잠재적 동맹자로 여겨졌다.[24][25] 어니스트 블라이스는 아일랜드 공화국 형제단과 오렌지 오더에 동시에 가입한 특이한 이력을 가졌다.[29]
6. 여성의 참여
앨리스 밀리건은 북부 출신 개신교도라는 점에서 예외적이었지만, 여성으로서는 연맹의 주요 활동가 중 한 명이었다. 여성들은 언어 부흥을 중심으로 전개된 아일랜드-아일랜드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연맹은 여성의 참여를 장려했고, 레이디 그레고리, 레이디 에스몬드, 메리 스프링 라이스 등이 지부를 설립하고 이끌었다.[31] 마이레 니 키네이드, 우나 니 파이르케알라, 마이레 드 빌테르 등이 집행 위원으로 활동했다.[32][33] 마이레 드 빌테르는 여성이 전통적인 역할을 포기하지 않고도 문화 부흥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34][35]
7. 비판
찰스 스튜어트 파넬의 몰락과 두 번째 자치법안의 패배 이후, 게일어 연맹은 선거 정치에 환멸을 느낀 세대로부터 지지를 얻었다.[36] 그러나 제임스 코놀리는 자본가, 지주, 금융가의 지배에 도전할 수 있는 신념 없이는 아일랜드어 운동의 민족주의가 별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비판했다.[37] 프레데릭 라이언은 연맹의 활동이 "정치적 자유에 대한 적극적인 욕망과 관련이 없다"고 지적했다.[38] 패트릭 피어스는 ''안 클레이브 솔루이스''에서 "비판적 전통주의"를 옹호하며, 연맹이 장려하는 문화적 자긍심이 "민족적 사고방식"을 요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36][39]
8. 아일랜드 자유국 시대
아일랜드 자유국 건국 이후, 많은 회원들은 게일어 연맹의 역할이 끝났다고 믿었다. 이들은 연맹 활동을 중단하고 새로운 정당, 육군, 경찰, 공무원과 같은 국가 기관과 아일랜드어를 의무화한 학교 시스템에 흡수되었다.[40][41] 연맹이 공공 생활에서 덜 두드러진 역할을 수행하면서, 1925년 상원 선거에서 부진한 결과를 보였다. 하이드를 포함한 연맹 지지 후보 전원이 낙선했다.[42]
1926년부터 정부의 게일타흐트 위원회 권고 사항 미이행에 대한 연맹 회원들의 불만이 커졌다. 연맹 출신 블라이드가 위원장을 맡았음에도, 재무부는 게일타흐트 어린이 대상 무상 중등 교육 제안에 반대했다(이는 1960년대까지 아일랜드 어디에서도 시행되지 않았다). 연맹은 국가 라디오의 영어화와 세계주의적 영향력에도 우려를 표명했으며, 특히 재즈 프로그램 편성에 큰 반대를 제기했다. 쿠만 나 가엘 정부가 아일랜드어 옹호, 진흥 및 보수적 민속 용어로 인식되는 문화 지원을 위한 포괄적인 프로그램에 전념하지 못한 것은 데 발레라의 반 조약 공화당인 피아나 페일 지지 결집에 기여했다.[40] 1937년 아일랜드 헌법에 따라, 하이드는 게일어 연맹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1938년 6월부터 1945년 6월까지 초대 아일랜드 대통령을 역임했다.
1927년, An Coimisiún Le Rincí Gaelacha(CLRG, 아일랜드 전통 춤 위원회)가 전통 아일랜드 춤 보급 조사를 위해 연맹 소위원회로 설립되었다. CLRG는 주로 독립적인 조직이 되었지만, 헌장에 따라 연맹과 세 명의 이사진을 공유해야 한다.[43]
9. 현대 언어권 운동
콘라흐 나 게일게(Conradh na Gaeilge)는 Gluaiseacht Chearta Sibhialta na Gaeltachta 등 다른 단체들과 연합하여 RTÉ Raidió na Gaeltachta(1972), Údarás na Gaeltachta(1980), TG4(1996) 설립에 기여한 지역사회 캠페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03년 공식 언어법 제정을 통해 아일랜드어 사용자를 법적으로 보호하고 An Coimisinéir Teangaga(언어 위원) 직책을 창설했으며, 유럽 연합의 공식 언어로 지정하기 위한 캠페인을 주도했다.[44]
2008년, 콘라흐 나 게일게는 1915년 이전의 비정치적 입장을 되살리고, Is í aidhm na hEagraíochta an Ghaeilge a athréimniú mar ghnáththeanga na hÉireannga(“조직의 목표는 아일랜드어를 아일랜드의 일상 언어로 복원하는 것입니다”)라는 목표를 재천명하며, 아일랜드 자유에 대한 언급을 삭제하는 새로운 헌법을 채택했다.
최근 콘라흐 나 게일게는 Gaeltacht 지역 투자 확대,[45] 아일랜드어를 통한 공공 서비스 제공 확대,[46] 도시 지역 아일랜드어 허브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9. 1. 북아일랜드 문제와 언어권
민주 연합당이 독립적인 아일랜드어법 제정에 반대하면서, 이는 북아일랜드 권력 공유 행정부 복원을 위한 협상을 3년간 지연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48] 2020년 새로운 10년, 새로운 접근 합의에서는 아일랜드어와 얼스터 스코트어 발전을 지원하고 강화할 새로운 위원을 임명하기로 약속했지만, 두 언어에 동등한 법적 지위를 부여하지는 않았다.[49]2022년, 영국 의회는 ''새로운 10년, 새로운 접근'' 합의의 언어 관련 조항을 정체성 및 언어(북아일랜드)법으로 제정하였다.[51][52] Conradh na Gaeilge(콘라흐 나 게일게) 회장 폴라 멜빈(Paula Melvin)[53]은 법안 통과를 환영하면서도, 법 시행과 강화를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54]
10. 지부
콘라드 나 게일게는 아일랜드와 전 세계에 여러 지부를 두고 있으며, 이 지부들은 지역적으로 조직되고 위원회에 의해 운영된다.[55]
10. 1. [[Ulster]] (''including County Louth'')
10. 2. [[Leinster]] (''excluding County Louth'')
10. 3. [[Munster]]
10. 4. [[Connacht]]
10. 5. [[United Kingdom|Britain]]
콘라드 나 게일게는 아일랜드와 전 세계에 걸쳐 여러 지부를 두고 있으며, 이 지부들은 지역적으로 조직되고 위원회에 의해 운영된다.[55] 영국(Britain)에는 다음과 같은 지부들이 있다.
11. 역대 회장
재임 기간 | 이름 |
---|---|
1893년–1915년 | 더글러스 하이드 |
1916년–1919년 | 에인 맥 네일 |
1919년–1922년 | 숀 우어 켈리 |
1922년–1925년 | 페더 맥 윈라오이흐 |
1925년–1926년 | 숀 P. 맥 엔리 |
1926년-1928년 | 코르막 브레스나흐 |
1928년–1933년 | 맥 지올라 브리드 |
1933년–1940년 | 페더 맥 윈라오이흐 |
1940년–1941년 | 리암 오 부아칼라 |
1941년–1942년 | 숀 오그 오 투아마 |
1942년–1945년 | 디어뮤드 맥 윈라오이흐 |
1945년–1946년 | 숀 맥 게랄트 |
1946년–1949년 | 리암 오 루나이흐 |
1949년–1950년 | 디어뮤드 맥 윈라오이흐 |
1950년–1952년 | 안라오이 오 리아틴 |
1952년–1955년 | 숀 맥 게랄트 |
1955년–1959년 | 토마스 오 무이르케아타이흐 |
1959년–1965년 | 미헐 맥 카르타이흐 |
1965년–1968년 | 카탈 오 페인네아다 |
1968년–1974년 | 마올세클라인 오 카올라이 |
1974년–1979년 | 파드라이그 오 스노다이흐 |
1979년–1982년 | 알버트 프라이 |
1982년–1985년 | 미헐 오 무르추 |
1985년–1989년 | 이테 니 키온나이흐 |
1989년–1994년 | 프로인시어스 맥 옹가사 |
1994년–1995년 | 아인 드 바로이드 |
1995년-1998년 | 게로이드 오 카이레알라인 |
1998년–2003년 | 토마스 맥 루아이리 |
2003년–2004년 | 세아흐 맥 시우르다인 |
2004년–2005년 | 놀릭 오 가드라 |
2005년–2008년 | 다이티 맥 카르타이흐 |
2008년–2011년 | 파드라이그 맥 페르후사 |
2011년–2014년 | 돈차드 오 하에다 |
2014년–2017년 | 코일린 오 케아르바일 |
2017년–2022년 | 니얼 코머 |
2022년–현재 | 파울라 멜빈 |
참조
[1]
간행물
Estimates for baronies on minimum level of Irish among successive decennial cohorts: 1771-1781 to 1861-1871
1984
[2]
서적
The Death of the Irish Language: A Qualified Obituary
Routledge
1990
[3]
서적
The Study of Celtic Literature
https://www.gutenber[...]
Smith, Elder & Co.
2021-03-10
[4]
서적
Our Tangled Speech: Essays on Language and Culture
Ulster Historical Foundation
2018
[5]
간행물
On the Necessity of De-Hydifying Irish Cultural Criticism
2000
[6]
서적
The Revival of Irish Literature
T.E.Unwin
[7]
간행물
Gaelic Ireland, Popular Politics and Daniel O'Connell
[8]
서적
The Making of Modern Ireland, 1603-1923
Faber & Faber
[9]
서적
The Partition: Ireland Divided, 1885-1925
Penguin
[10]
서적
The Catholic Bulletin and Republican Ireland: with special reference to J. J. O'Kelly ('Sceilg')
https://books.google[...]
Athol Books
[11]
서적
Ireland 1900-25
Colourpoint Educational
[12]
서적
An Irish-speaking Island: State, Religion, Community, and the Linguistic Landscape in Ireland, 1770-1870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3]
서적
The Catholics of Ulster, a History
Allen Lane, Penguin Press
[14]
웹사이트
'Language and Religion in Ireland 1800-1870'
http://cscs.academic[...]
2021-07-29
[15]
서적
The Last of the Celt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Path to Freedom: Articles and Speeches by Michael Collins
Mercier Press
[17]
간행물
Young Ireland, Arthur Griffith, and Republican Ideology: the Question of Continuity
1999
[18]
서적
The Irish and Irish: A Sociolinguistic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ople and their Language
Irish Provincial Franciscan Office
1994
[19]
서적
Presbyterians and the Ir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Ulster Historical Foundation
1996
[20]
웹사이트
The Gaelic Revival Movement in East Belfast – Great War Gaeilgeoirí of East Belfast
https://www.greatwar[...]
2021-03-14
[21]
웹사이트
Kane, Richard Rutledge {{!}}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https://www.dib.ie/b[...]
2022-12-19
[22]
서적
Hidden Ulster, Protestants and the Irish Language
Ultach Trust, Lagan Press
[23]
서적
Alice Milligan and the Irish Cultural Revival
Four Courts Press
2013
[24]
문서
J.O. Hannay to Lindsay Crawford, 29 May 1905, Lindsay Crawford Papers, National Library of Ireland, Ms.11,415
[25]
간행물
Lindsay Crawford's 'Impossible Demand'? The Southern Irish Dimension of the Independent Orange Project
http://mural.maynoot[...]
2020-12-15
[26]
간행물
"The 'Irish Protestant' under the editorship of Lindsay Crawford, 1901—6"
https://www.jstor.or[...]
2005
[27]
문서
Irish Protestant, April 1903
[28]
간행물
A Fenian Protestant in Canada: Robert Lindsay Crawford 1910-1922
1971
[29]
문서
Ernest Blythe: The Man from Magheragall
1979
[30]
서적
A Dictionary of Irish Biography, 3rd Edition
Gill and MacMillan
[31]
간행물
Women and Irish-Ireland: The Domestic Nationalism of Mary Butler
https://www.jstor.or[...]
2002
[32]
문서
New Hibernia Review. 6:1 Spring 2002. pp 57–62
[33]
뉴스
Irish Peasant
1906-08-18
[34]
웹사이트
Sinn Féin and Sinn Féin
http://republican-ne[...]
2016-01-19
[35]
문서
quoted in Biletz (2002), p. 68
[36]
서적
Handbook of the Irish Revival: An Anthology of Irish Cultural and Political Writings 1891-1922
Abbey Theatre Press
2015
[37]
간행물
Socialism and Nationalism
https://www.marxists[...]
2021-01-26
[38]
문서
"Is the Gaelic League a Progressive Force?"
Kiberd and Mathews eds.
2015
[39]
문서
"A Gaelic modernism"
Kiberd and Mathews eds.
2015
[40]
웹사이트
The Gaelic League in the Irish Free State in the 1920s and 1930s – The Irish Story
https://www.theirish[...]
2021-03-07
[41]
뉴스
The Gaelic League in the Irish Free State in the 1920s and 1930s
http://www.theirishs[...]
The Irish Story
2015-11-28
[42]
간행물
Ireland's Unique Electoral Experiment: The Senate Election of 1925
2005-09
[43]
서적
An Coimisiún Le Rince Gaelacha: its origins and evolution
Dr John P Cullinane
2003
[44]
웹사이트
"Cinneadh an AE: Céim fhíorthábhachtach stairiúil don Ghaeilge, go hidirnáisiúnta agus in Éirinn"
http://www.gaeilge.i[...]
2005-06-13
[45]
웹사이트
Plean Infheistíochta Le 1,160+ Post A Chruthú & Deiseanna Úsáidte Gaeilge don Phobal Á Nochtadh Inniu
https://cnag.ie/ga/n[...]
2017-09-30
[46]
웹사이트
Irish-Language Rights On The Elections' Agenda
https://cnag.ie/en/n[...]
2017-09-30
[47]
웹사이트
Irish-Language Act
https://cnag.ie/en/g[...]
2017-09-30
[48]
뉴스
Why is there no government in Northern Ireland?
https://www.independ[...]
2019-09-23
[49]
웹사이트
New Decade, New Approach
https://assets.publi[...]
2020-04-25
[50]
문서
New Decade, New Approach
2020
[51]
웹사이트
'Historic milestone' passed as Irish language legislation becomes law
https://www.irishnew[...]
2022-12-07
[52]
웹사이트
Language and identity laws could spell significant change
https://www.bbc.com/[...]
2022-12-11
[53]
웹사이트
Paula Melvin elected new President of Conradh na Gaeilge, bringing to close the 5 year term of Dr Niall Comer. Conradh na Gaeilge warmly welcomes first female President of the organisation since 1994-5. - Conradh na Gaeilge
https://cnag.ie/en/n[...]
2023-01-21
[54]
웹사이트
'Historic milestone' passed as Irish language legislation becomes law
https://www.irishnew[...]
2023-01-21
[55]
웹사이트
Branches
https://cnag.ie/en/m[...]
2021-01-20
[56]
웹사이트
Find Your Branch - Conradh na Gaeilge
https://cnag.ie/en/m[...]
2021-01-20
[57]
웹사이트
à Cearbhaill elected as President of Conradh na Gaeilge
http://www.gaelport.[...]
2015-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