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아일랜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 고이델어군에 속하며, 현대 아일랜드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만어의 조상이다. 원시 아일랜드어에서 유래되었으며, 4세기에서 6세기에 걸쳐 오검 문자로 기록된 비문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고대 아일랜드어는 자음과 모음의 광범위한 음운 변화를 겪었으며, 자음과 모음의 체계, 강세, 철자법, 문법적 특징을 갖는다. 문법적으로는 융합어, 주격-대격 언어, VSO 어순을 가지며, 명사는 5가지 격으로, 동사는 시제, 상, 법, 태에 따라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맨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 중세 아일랜드어 중세 아일랜드어는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아일랜드에서 사용된 게일어의 과도기적 단계로,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복잡한 문법과 독특한 음운 체계를 지니며 시가 등의 문헌을 통해 현대 아일랜드어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스코틀랜드 게일어 - 알바 (지명) '알바'는 스코틀랜드 게일어로 "스코틀랜드"를 의미하며, 스코틀랜드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문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활용되며, 스코틀랜드 독립을 지지하는 정당의 이름으로도 사용된다.
고대 아일랜드어의 초기 형태는 원시 아일랜드어로 알려져 있다. 원시 아일랜드어는 4세기에서 6세기경 오검 문자로 기록된 비문에서 주로 개인 이름의 형태로 단편적으로 발견된다. 원시 아일랜드어는 모든 켈트어의 조상인 원시 켈트어와 매우 유사하며, 다른 고대 인도유럽어와 많은 특징을 공유한다.[11]
4. 음운론
고대 아일랜드어는 원시 아일랜드어에서 상속된 음소와 역사적 변화로 인해 발생한 경음-연음, 넓음-가늒음(연구개음화 대 구개음화) 구분을 가진 복잡한 자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11] 켈트 조어로부터 자음과 모음 모두에서 광범위한 음운 변화를 겪었으며, 마지막 음절 소실, 전음운화,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의 모음 축약 및 삭제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 음절에 온다. 하지만 동사의 경우 첫 음절이 클리티크일 때 두 번째 음절에 온다 (예: 동사 접두사 as-sga in as·beir|아스베르sga "그가 말한다").
고대 아일랜드어의 몇 가지 음성학적 세부 사항은 알려져 있지 않다. 는 현대 아일랜드어와 같이 또는 로 발음되었을 수 있다. 는 또는 와 같은 소리였을 수 있다. 경 공명음 의 정확한 조음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현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 방언에서와 같이, 이러한 소리는 연음 대응 보다 더 길고, 더 긴장되었으며, 일반적으로 더 강하게 조음되었을 것이다. 이들 방언은 치경비음과 설측음에서 여전히 네 가지 구분을 가지고 있다. 와 는 각각 와 로 발음되었을 수 있다. 와 의 차이점은 전자는 전동음인 반면 후자는 탄음이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 는 원래의 경음-연음 쌍에서 파생되었다.
4. 2. 모음
고대 아일랜드어는 단모음과 이중모음 모두에서 뚜렷한 모음 길이를 가지고 있었다. 단음절 이중모음은 단음절이었으며, 단모음과 동일한 양의 시간을 차지했고, 장음절 이중모음은 양음절이었으며, 장모음과 동일했다.[6] 고대 아일랜드어의 장모음 목록은 시대에 따라 상당히 변화했지만, 단모음은 훨씬 적게 변화했다.
1단음절 이중모음 는 고대 아일랜드어 초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나중에 와 병합되었고, 많은 경우 패러다임적 평준화로 인해 로 대체되었다. 이는 뷔르츠부르크 주석의 ''prima manus''에 의해 i r'''ou'''th|이 루쓰sga라는 구절에서 한 번 증명되었다.[6]
는 구개음화 자음에 선행하는 에 의해 강세를 받은 의 u-감염에서 발생했다. 이 모음은 철자에 있어서 많은 일관성을 보였고, 이 모음을 포함하는 단어가 여러 증명에서 로 다양하게 철자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7][8]
1와 는 일반적으로 로 쓰였지만, 다른 기원을 가지고 있고, 후기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뚜렷한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다르게 발음되었음에 틀림없다. 는 원시 켈트어 *ē (< 인도유럽조어 *ei) 또는 라틴어에서 차용된 단어의 ''ē''에서 유래한다. 는 일반적으로 후속 자음 (특정 클러스터에서) 또는 하이아투스에서 직접 따라오는 모음의 손실로 인한 단모음 *e의 보상적 장음화에서 유래한다. 일반적으로 가 보다 높았다고 생각된다.2와 사이에도 유사한 구별이 존재했을 수 있으며, 둘 다 로 표기되고, 각각 이전 이중모음 (*eu, *au, *ou)과 보상적 장음화에서 유래한다.3는 초기 고대 아일랜드어 (700년 또는 그 이전)에만 존재했고, 이후 로 병합되었다.
1초기 고대 아일랜드어 와 는 후기 고대 아일랜드어에서 병합되었다. 필사자들이 병합된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와 를 계속 사용했기 때문에 결과적인 소리가 무엇인지는 불분명하다.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에서 단모음의 분포는 약간 복잡하다. 모든 단모음은 넓은 자음과 가는 자음 뒤의 절대적인 최종 위치 (단어의 맨 끝)에 나타날 수 있다. 전설 모음 와 는 넓은 자음 뒤에서 종종 와 로 철자되는데, 이는 여기서 후퇴된 발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아마도 와 와 같은 것일 것이다. 다음 예시에는 10가지 가능성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
강세는 일반적으로 단어의 첫 음절에 온다. 하지만 동사의 경우 첫 음절이 클리티크일 때 두 번째 음절에 온다 (예: 동사 접두사 as-sga in as·beir|아스베르sga "그가 말한다"). 이러한 경우, 강세를 받지 않는 접두사는 문법서에서 가운데 점으로 표시된다.
5. 문자
고대 아일랜드어 알파벳은 18개의 글자로 구성된다.[9]
: ''a, b, c, d, e, f, g, h, i, l, m, n, o, p, r, s, t, u,''
중세 언어의 특성상, 고대 아일랜드어의 철자법은 고정되어 있지 않다. 다양한 환경에서 자음 글자의 발음을 아래 표에 제시한다.
자음의 광범위한 음소
글자
단어 시작
단어 시작이 아닌 경우
무변이
이식
연음
단일
겹자음
b
colspan=2|
c
,
d
colspan=2|
—
f
—
g
colspan=2|
—
h
아래 설명 참조
l
—
colspan=2|
m
—
colspan=2|
n
—
colspan=2|
p
,
r
—
colspan=2|
s₁
—
—
s₂1
—
colspan=2|
—
t
,
자음 ''b, d, g''가 앞 단어에 의해 이식될 때 (항상 단어 시작 위치에서), 철자와 발음이 , , 로 변경된다.[9]
일반적으로 자음을 겹자음으로 만들면 무변이 소리가 보장된다. 글자 는 일부 단어의 끝에서 유성음 으로 발음될 수 있지만, 두 번 쓰여 로 표기되면 정규화된 텍스트에서는 항상 무성음 이 된다. 그러나 최종 조차도 종종 "cc"로 쓰였으며, "작은, 작은"이라는 의미의 ''bec'' / ''becc'' (현대 아일랜드어와 스코틀랜드어 ''beag'', 맨어 ''beg'')가 그 예이다.
나중 아일랜드어 필사본에서는 연음된 ''f''와 ''s''는 위점 , 을 사용하는 대신 문자 ''h'' , 로 표시된다.[9]
초기 ''s''가 원시 아일랜드어 ''*sw-''에서 파생된 경우, 그 연음 버전은 이다.
13개의 자음의 활음화된(구개음화된) 변이는 글자 로 표시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환경에서 발생한다.
쓰여진 ''e, é, i, í'' 앞에서
쓰여진 ''i'' 뒤에서, 모음 글자가 뒤따르지 않을 때 (그러나 이중 모음 ''aí, oí, uí'' 뒤에서는 제외)
고대 아일랜드어에는 소리 와 문자 ''h''가 모두 있지만, 둘 사이에는 일관된 관계가 없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때때로 발음되지 않는 ''h''로 쓰이는데, 특히 매우 짧은 경우 (고대 아일랜드어 전치사 i|sga "in"은 때때로 hi|sga로 쓰였음) 또는 강조해야 할 경우 (아일랜드의 이름 Ériu|sga는 때때로 Hériu|sga로 쓰였음). 반면에, 소리 로 시작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이것 없이 쓰입니다. a ór|sga "그녀의 금". 소리와 철자가 동시 발생하는 경우, 이는 우연의 일치이며, ní hed|sga "그것은 아니다"와 같다.
고대 아일랜드어의 무성 파열음은 ''c, p, t''이다. 이들은 유성 파열음 ''g, b, d''와 대조된다. 게다가 문자 ''m''은 모음 뒤에서 파열음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이 일곱 개의 자음은 단어의 첫머리가 아닐 때 종종 변이된다.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위치에서, 단일 문자 무성 파열음 ''c, p, t''는 각각 유성 파열음 , , 가 된다. 단, 이들이 이중으로 표기될 때는 예외이다. 이러한 문자의 발음의 모호성은 단일 자음이 ''l, n, r'' 뒤에 올 때 발생한다.[9] 약화된 파열음 ''ch, ph, th''는 각각 , , 가 된다.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무성 파열음 , ,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macc|}
}
|
| 아들
|-
|bec|sga 또는 becc|sga
|
| 작은
|-
|op|sga 또는 opp|sga
|
| 거절하다
|-
|bratt|sga
|
| 망토
|-
|brot|sga 또는 brott|sga
|
| 자극하다
|-
!colspan=3|약화된 자음 , ,
|-
|ech|sga
|
| 말
|-
|oíph|sga
|
| 아름다움
|-
|áth|sga
|
| 여울
|}
유성 파열음 ''b, d, g''는 각각 마찰음 , , 가 된다. 이들은 단어 첫머리에서 약화된 소리와 동일하다.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유성 파열음 , ,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dub|}
}
|
| 검은
|-
|mod|sga
|
| 일
|-
|mug|sga
|
| 노예
|-
|claideb|sga
|
| 칼
|-
|claidib|sga
|
| 칼들
|}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위치에서 문자 ''m''은 일반적으로 비음 마찰음 이 되지만, 경우에 따라 비음 파열음으로 변하며, 으로 표시된다. 파열음이 되는 경우, 모호성을 피하기 위해 ''m''이 종종 이중으로 표기된다.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자음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dám|}
}
|
| 회사
|-
|lom|sga 또는 lomm|sga
|
| 벌거벗은
|}
자음 (''c, g, t, d, p, b'')이 ''l, n,'' 또는 ''r'' 뒤에 올 때, 정지 자음의 발음에서 모호성이 발생합니다.
, , 을 포함하는 동형이의어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derc|}
}
|
| 구멍
|-
|derc|sga
|
| 붉은
|-
|daltae|sga
|
| 양자
|-
|celtae|sga
|
| 숨는 자
|-
|anta|sga
|
| 남은 것
|-
|antae|sga
|
| 남은 자
|}
''m'' 뒤에서는 문자 ''b''가 자연스럽게 정지음 입니다. ''d, l, r'' 뒤에서는 문자 ''b''가 마찰음 입니다.
자음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imb|}
}
|
| 버터
|-
|odb|sga
|
| 옹이 (나무의)
|-
|delb|sga
|
| 이미지
|-
|marb|sga
|
| 죽은
|}
''n'' 또는 ''r'' 뒤에서는 문자 ''d''가 정지음 입니다.
자음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bind|}
}
|
| 선율적인
|-
|cerd|sga
|
| 예술, 기술
|}
''n, l'', 또는 ''r'' 뒤에서는 문자 ''g''가 일반적으로 정지음 이지만, 몇몇 단어에서는 마찰음 가 됩니다.
자음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long|}
}
|
| 배
|-
|delg|sga or delc|sga
|
| 가시
|-
|argat|sga or arggat|sga
|
| 은
|-
|ingen|sga[10]
|
| 딸
|-
|ingen|sga[10]
|
| 손톱, 발톱
|-
|bairgen|sga
|
| 빵 한 덩어리
|}
문자 ''l, n, r''은 일반적으로 ''강한 유성음''을 나타낼 때 두 번 쓰고, ''약한 유성음''을 나타낼 때는 한 번 쓴다. 원래는 단일 자음과 중자음 간의 실제 차이를 반영했는데, 많은 위치(예: 모음 사이 또는 단어 종결)에서 강한 유성음은 중자음에서 발달했기 때문이다. 중자음이 사라지면서, 이중으로 쓰인 자음은 강한 유성음을 나타내기 위해 용도가 변경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이중 자음은 강한 유성음이 비중자음 원시 켈트 유성음에서 발달한 위치(예: 단어 시작 시 또는 자음 앞)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고대 아일랜드어
발음
영어
{{lang|sga|corr|}
}
|
| 두루미
|-
|cor|sga
|
| 놓기
|-
|coll|sga
|
| 개암나무
|-
|col|sga
|
| 죄
|-
|sonn|sga
|
| 말뚝
|-
|son|sga
|
| 소리
|-
|ingen|sga[10]
|
| 딸
|-
|ingen|sga[10]
|
| 손톱, 발톱
|}
중자음은 고대 아일랜드어 시대 초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시대 말에 단순화되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철자에 반영된다. 그러나 결국 ''ll, mm, nn, rr''은 특정 위치에서 해당 소리의 비연성화된 변형을 나타내기 위해 용도가 변경되었다.
6. 문법
고대 아일랜드어는 융합어, 주격-대격 언어, VSO 언어이다.[5]
명사는 주격, 대격, 소유격, 전치격, 호격의 5가지 격에 따라 활용된다.[5] 또한 남성, 여성, 중성의 3가지 성과 단수, 쌍수, 복수의 3가지 수를 가진다.[5]형용사는 명사와 격, 성, 수에 따라 일치한다.[5] 전치격은 관례적으로 여격이라고 불린다.[5]
동사는 과거 시제, 현재 시제, 미래 시제의 3가지 시제와, 단순상, 완료상, 불완료상의 3가지 상을 가진다.[5] 또한 직설법, 가정법, 조건법, 명령법의 4가지 법과, 능동태, 수동태의 2가지 태를 갖는다.[5] 동사는 독립형과 의존형, 그리고 단순형과 복합형 형태로 활용된다.[5]접미사를 통하거나 어간 모음 변화를 통해 시제, 상, 법, 태를 나타낸다.[5] 전철은 핵심 동사와 함께 동사 복합체를 이루며, 동사 복합체는 종종 동사 앞 입자(부정 표지 nísga, 의문 표지 insga, 완료 표지 rosga 등)에 의해 선행된다.[5] 직접 목적어 인칭 대명사는 전철과 동사 어간 사이에 나타난다.[5] 동사는 인칭과 수에서 자신의 주어와 일치한다.[5] 하나의 동사만으로도 완전한 문장이 될 수 있다.[5] -sa 및 -se와 같은 강조 입자는 동사 끝에 붙는다.[5]
전치사는 인칭과 수에 따라 굴절되며, 다른 전치사는 의도된 의미에 따라 다른 격을 지배한다.[5]
프레데릭 헤르만 헨리 코르틀란트, 《이탈리아-켈트어 기원과 아일랜드어의 선사시대》, 라이덴 인도유럽어족 연구 14권, 로도피, 2007.
R. P. M. 레만, 빈프레드 P. 레만 공저, 《고대 아일랜드어 입문》, 미국 현대어학회, 뉴욕, 1975.
란코 마타소비치, 《원시 켈트어 재구성에 대한 문제》, 파비아 인도유럽어족 언어학 여름 학교, 2011.
킴 매콘, 《초기 아일랜드어 동사》, 안 사가르트, 메이누스, 1987.
킴 매콘, 《첫 번째 고대 아일랜드어 문법과 독자》,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고대 및 중세 아일랜드어학과, 메이누스, 2005.
프레더릭 윌리엄 오코넬, 《고대 아일랜드어 문법》, 메인, 보이드 앤 선, 벨파스트, 1912.
E. G. 퀸, 《고대 아일랜드어 워크북》, 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더블린, 1975.
돈 링,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원시 게르만어로》, 2006.
앤드루 실러, 《그리스어와 라틴어의 새로운 비교 문법》,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1995.
데이비드 스티프터, 《센고이델크: 초보자를 위한 고대 아일랜드어》, 시러큐스 대학교 출판부, 시러큐스, 뉴욕, 2006.
존 스트라칸, 오스본 버진 개정, 《고대 아일랜드어 패러다임과 고대 아일랜드어 주해 발췌》, 네 번째 판, 왕립 아일랜드 아카데미, 더블린, 1949.
루돌프 투르네이젠, D. A. 빈치 및 오스본 버진 번역, 《고대 아일랜드어 문법》, 더블린 고등 연구소, 더블린, 1946.
빔 티헤스, 피어갈 오 베라 공저, 《고대 아일랜드어 프라이머》, 스칭팅 위트게베리 드 켈티셰 드라크, 네이메헌, 2006.
참조
[1]
웹사이트
CE3063: Introduction to Old Gaelic 1A - Catalogue of Courses
https://www.abdn.ac.[...] [2]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3]
서적
The Edinburgh History of the Scots Language
Edinburgh University Press
[4]
문서
It is difficult to know for sure, given how little [[Primitive Irish]] is attest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Ogham]] alphabet used to write it.
[5]
웹사이트
THE CANTOS OF MVTABILITIE: The Old Irish Verbal System
http://mvtabilitie.b[...]
2008-09-27
[6]
논문
The Diphthongs of Old Irish
[7]
논문
Old Irish ²fén 'bog'?
[8]
논문
Old Irish aue 'descendant' and its descendants
[9]
웹사이트
Old-Irish Spelling and Pronunciation
http://www.smo.uhi.a[...]
1998-12-11
[10]
문서
*''ingen'' {{IPA|/inʲɣʲən/}} "daughter" < Ogam {{sm|inigena}} < Proto-Celtic *eni-genā (cf. [[Latin]] ''indigenā'' "(female) native", [[Ancient Greek]] ''engónē'' "granddaughter"). *''ingen'' {{IPA|/iNʲɡʲən/}} "claw, nail" < Proto-Celtic *angʷīnā < PIE *h₃n̥gʷʰ- (cf. Latin ''unguis'').
[11]
서적
The Celtic Languages in Contact Papers from the Workshop Within the Framework of the XIII International Congress of Celtic Studies, Bonn, 26-27 July 2007
Potsdam University Press
2022-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