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기과학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과학고등학교는 1983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과학고등학교이다. 1981년 설립 초안이 확정되어 1983년 3월 개교했으며, 2008년 영재학교로 지정되어 2010년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었다. 과학과 교육 과정을 운영하며, 교과 및 연구 활동, PT 시스템, 계절 학교, AP 제도 등을 통해 교육을 실시한다. 졸업 요건은 172학점 이수, TEPS 650점 이상 획득, 단체 및 자율 활동 참여, 영어 논문 제출 등이며, 애국, 창조, 협동을 교훈으로 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영재학교 - 서울과학고등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는 과학영재학교로서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개인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며, 심화 과목 선택 수강, 학점 및 특별활동 이수, 국내외 과학올림피아드 수상, 명문 대학 진학 등의 특징을 가진다.
  • 과학영재학교 - 대전과학고등학교
    대전과학고등학교는 1984년 개교하여 1994년 유성구 구성동으로 이전했으며, 2014년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어 과학 인재 양성에 힘쓰고 있는 학교이다.
  • 영재학교 - 서울과학고등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는 과학영재학교로서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개인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며, 심화 과목 선택 수강, 학점 및 특별활동 이수, 국내외 과학올림피아드 수상, 명문 대학 진학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영재학교 -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는 2012년 설립 승인 후 2015년 개교한 6학급 규모의 과학예술영재학교로, 영재교육원과 천문대를 운영하며 매년 90명 내외의 신입생을 선발한다.
  • 과학고등학교 - 서울과학고등학교
    서울과학고등학교는 과학영재학교로서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개인별 맞춤 교육을 제공하며, 심화 과목 선택 수강, 학점 및 특별활동 이수, 국내외 과학올림피아드 수상, 명문 대학 진학 등의 특징을 가진다.
  • 과학고등학교 - 세종과학고등학교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2008년 개교한 세종과학고등학교는 훈민정음을 창제한 세종대왕의 이름을 딴 서울특별시 구로구 소재 과학고등학교로, 지역 사회 연계 프로그램 및 중학생 대상 교육 프로젝트를 운영한다.
경기과학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경기과학고등학교
한자 표기京畿科學高等學校
영문 표기Gyeonggi Science High School
모토애국, 창조, 협동
설립1983년
유형영재를 위한 과학 아카데미
학교장김혁
위치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수일로 135 (송죽동)
학생 수378명 (2024년 5월 1일 기준)
교직원 수119명 (2024년 5월 1일 기준)
교목담쟁이덩굴
교조기러기
교색하늘색
웹사이트http://gs-h.goesw.kr

2. 연혁


  • 1983년 1월 10일: 학교설립 인가를 받았다.
  • 1983년 3월 5일: 1983학년도 신입생 입학(경기지역 2학급 60명, 남학생) 및 초대 홍창기 교장이 취임하였다.
  • 1983년 6월 30일: 교사 본관 및 기숙사가 완공되었다.
  • 1986년 2월 17일: 제1회 졸업 및 조기수료식(졸업 54명, 수료 9명)을 거행하였다.
  • 1987년 2월 3일: 특수 목적고로 지정되었다 (문교부 고시 제87-3호).
  • 1988년 3월 2일: 3학급 90명 입학, 남녀공학을 실시하였다.
  • 1988년 10월 28일: 과학탐구관이 준공되었다.
  • 1993년 6월 9일: 김영삼 대통령 공식 방문.[2]
  • 2008년 12월: 영재학교로 지정되었다.
  • 2010년 3월: 과학영재학교로 전환되었다.
  • 2010년 7월: 과학영재학교 선포식을 거행하였다.
  • 2012년 1월: 제27회 졸업 및 조기 졸업식(졸업 21명, 조기졸업 81명)을 통해 총 2,06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 2022년 3월: 김혁 교장이 취임하였다.
  • 2024년 1월: 2023학년도 졸업식(과학영재 제12회, 과학고 제39회)에서 123명이 졸업하였다.

2. 1. 학교 설립 및 초기 역사 (1981년 ~ 1987년)

1981년 11월 19일 경기도 교육위원회에서 과학고등학교 설립 초안이 확정되었다.[1] 1982년 5월 15일 공사를 시작하여,[1] 1983년 1월 10일 학교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3년 3월 5일 초대 홍창기 교장이 취임하고, 같은 해 1983학년도 신입생 입학식을 거행하였다. 당시 신입생은 경기지역 남학생 60명(2학급)이었다.[1] 같은 해 6월 30일 교사 본관 및 기숙사가 완공되었으며, 7월 15일 학교가 공식 개교하였다.

1984년 2월 10일 전두환 대통령이 학교를 공식 방문하였다.[1]

1986년 2월 17일 제1회 졸업 및 조기수료식이 거행되어 졸업생 54명, 수료생 9명을 배출하였다. (1986년 2월 1일 졸업생 54명, 수료생 44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중복을 피하기 위해 2월 17일 기록을 따름).

1987년 2월 3일 문교부 고시 제87-3호에 따라 특수 목적 고등학교로 지정되었다.[1]

2. 2. 남녀공학 실시 및 발전 (1988년 ~ 2007년)

1988년 3월 2일, 3학급 90명의 신입생이 입학하면서 남녀공학이 실시되었다.[1] 같은 해 10월 28일에는 과학탐구관이 준공되었다.

취임일이름비고
1988년 9월 1일강성기제2대
1994년 3월 2일이석근제3대
1999년 3월 1일김종오제4대
2007년 9월 1일부성찬제6대


2. 3. 과학영재학교 지정 및 전환 (2008년 ~ 현재)

2008년 12월 19일, 교육과학기술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과학 영재 학교"로 지정되었다.[3] 2010년 3월 1일에는 공식 명칭이 "경기과학고등학교"로 변경되었으며, 같은 해 7월 2일 "과학 영재 학교"로의 전환이 공식 발표되었다.[5]

이 시기 동안 2007년 9월 1일에는 제6대 부성찬 교장이, 2010년 3월 2일에는 제7대 천영호 교장이 취임하였다.[4]

2011년 1월 22일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 과학 및 수학 고등학교와 양해 각서를 체결하였고, 8월 3일에는 2010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스즈키 아키라 (화학자)가 학교를 방문하였다.[6] 2011년 11월 12일 GIST[7], 2012년 2월 21일 UNIST[8]와 각각 양해 각서를 체결하여 국내외 협력을 강화했다.

2012년 1월에는 제27회 졸업 및 조기 졸업식(졸업 21명, 조기졸업 81명)을 통해 총 2,065명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2013년 2월 1일에는 과학 영재 학교로 변경된 후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다.

3. 교육 과정

경기과학고등학교는 총 139학점의 교과 과정과 33학점의 연구 활동으로 교육 과정이 구성된다.[1]

PT 시스템, 계절 학교 시스템, AP 제도가 있으며, KAIST, POSTECH, GIST, UNIST 등 여러 대학들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1]

3. 1. 교과 과정

경기과학고등학교의 교과 과정은 총 139학점의 교과 과정과 33학점의 연구 활동으로 구성된다.

  • 교과 과정 (139학점)
  • 일반 교과: 필수 과목 26학점, 선택 과목 32학점 (총 58학점)
  • 교양 과목: 4학점
  • 심화 과목: 필수 과목 46학점, 선택 과목 31학점 (총 77학점)
  • 연구 활동 (33학점)
  • 자기 주도 연구(R&E): 20학점
  • 현장 연구: 8학점
  • 졸업 연구: 5학점


PT 시스템, 계절 학교 시스템, AP 제도가 있으며, KAIST, POSTECH, GIST, UNIST 등 여러 대학들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

3. 2. 연구 활동

경기과학고등학교의 교육 과정은 총 139학점의 교과 과정과 33학점의 연구 활동으로 구성된다. 연구 활동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종류학점
자기 주도 연구(R&E)20학점
현장 연구8학점
졸업 연구5학점


3. 3. 기타 교육 제도

총 139학점의 교과 과정과 33학점의 연구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교과 과정 (139학점)
  • * 일반 교과: 필수 과목 26학점, 선택 과목 32학점 (총 58학점)
  • * 교양 과목: 4학점
  • * 심화 과목: 필수 과목 46학점, 선택 과목 31학점 (총 77학점)
  • 연구 활동 (33학점)
  • * 자기 주도 연구(R&E): 20학점
  • * 현장 연구: 8학점
  • * 졸업 연구: 5학점


PT 시스템, 계절 학교 시스템, AP 제도가 있으며, KAIST, POSTECH, GIST, UNIST 등 여러 대학들과 MOU를 체결하고 있다.

4. 입학 정책

경기과학고등학교는 1단계 서류 제출, 2단계 영재성 평가 시험, 3단계 합격자 선발 또는 캠프 참여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120명 정도의 학생을 선발한다.[1]

4. 1. 전형 단계 (참고: 매년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학교 홈페이지 참고)

입학 절차는 4단계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 학생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서류를 제출한다. 이 단계는 모든 지원자가 통과한다. 2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정말 영재인지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치른다. 이 단계에서 2000명 가량의 학생이 통과한다. 3단계이자 마지막 단계에서는 합격자를 선발하거나 캠프에 참여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약 120명의 학생이 합격한다.

5. 졸업 요건

이 학교를 졸업하려면 다음 4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 최소 172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 TEPS에서 최소 65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한다.
  • 단체 활동 및 자율 활동에 각각 최소 120시간 이상 참여해야 한다.
  • 영어로 된 개인 논문을 제출해야 한다.

6. 협력 기관

(협력 기관 섹션은 원본 소스에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하지 않습니다.)

7. 저명한 동문

분류:경기과학고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8. 상징

경기과학고등학교의 교훈은 애국, 창조, 협동이다.

8. 1. 교훈

애국, 창조, 협동

9. 학교 시설

참조

[1]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dna.naver.com[...]
[2] 웹사이트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dna.naver.com[...]
[3] 웹사이트 경기 - 대구과학고, 영재학교 전환 http://www.donga.com[...] 2008-12-19
[4] 웹사이트 경기과학고 초대 공모 교장에 전영호씨 http://news.naver.co[...]
[5] 웹사이트 경기과학고 '과학영재학교 선포' http://news.naver.co[...]
[6] 문서 Article title https://archive.toda[...]
[7] 웹사이트 지스트, 경기과학교와 과학영재발굴 Mou 교환 http://news1.kr/arti[...] 2012-11-12
[8] 웹사이트 경기과학고 울산과학기술대와 Mou 체결 http://www.joongboo.[...] 2012-02-23
[9] 웹인용 경기도립학교 설치조례 별표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